맨위로가기

RD-12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RD-120은 1976년 개발이 시작되어 1985년 초도 비행에 성공한 액체 로켓 엔진으로, NPO 에네르고마쉬에서 개발했다. 케로신과 액체 산소를 사용하며, 제니트 로켓의 2단 추진을 위해 설계되었다. 이 엔진은 RD-170 계열의 개발에 영향을 미쳤으며, 우크라이나, 중국, 인도 등 여러 국가에서 파생 엔진 개발에 활용되었다. RD-120은 다양한 버전으로 개발되었으며, 2단 연소 방식과 추력 조절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로켓 엔진 - RD-250
    RD-250은 우크라이나 유즈마쉬에서 생산된 액체 추진 로켓 엔진으로, 2개의 엔진을 묶은 형태로 SS-18 사탄 핵미사일에 사용되어 세계 최대 ICBM 개발에 기여했으며, 사산화 이질소와 UDMH를 추진제로 사용하여 싸이클론 로켓 등 상업용 우주발사체에도 활용되었고, 북한의 ICBM 개발 관련 기술 획득 의혹으로 국제적 주목을 받았다.
  • 소련의 로켓 엔진 - RD-263
    RD-263은 SS-18 ICBM의 1단 엔진으로, 우크라이나에서 설계 및 생산되었으며, 파생형을 포함하여 다양한 미사일에 사용되었고, 2020년 생산이 중단되었으나 드네프르 로켓에 사용된다.
  • 러시아의 로켓 엔진 - RD-180
    RD-180은 러시아 NPO 에네르고마쉬가 개발한 액체 추진 로켓 엔진으로, RP-1과 액체 산소를 추진제로 사용하며, 미국의 아틀라스 로켓에 사용되었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판매 및 지원이 중단되었다.
  • 러시아의 로켓 엔진 - RD-250
    RD-250은 우크라이나 유즈마쉬에서 생산된 액체 추진 로켓 엔진으로, 2개의 엔진을 묶은 형태로 SS-18 사탄 핵미사일에 사용되어 세계 최대 ICBM 개발에 기여했으며, 사산화 이질소와 UDMH를 추진제로 사용하여 싸이클론 로켓 등 상업용 우주발사체에도 활용되었고, 북한의 ICBM 개발 관련 기술 획득 의혹으로 국제적 주목을 받았다.
RD-120
개요
유형액체 로켓 엔진
국가소련/러시아
제작사유즈마쉬
설계NPO 에네르고마쉬, V.K. Chvanov, V.P. Radovsky
상태운용 중
용도상단 스테이지
연료 및 작동 방식
연료RP-1
산화제LOX
사이클단계별 연소 사이클
성능 (진공 상태)
추력 (표준)834 kN
추력 (향상)912 kN
비추력 (진공)350 isp
연소 시간315 초
연소실 압력 (표준)162.8 bar
연소실 압력 (향상)178.1 bar
추력 대 중량비 (표준)75.55

2. 역사

RD-120 엔진은 1976년 개발이 시작되어 1985년 초도 비행에 성공했다. 초기에는 여러 차례 실패를 겪었으나,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했다. 특히,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양국에서 독자적으로 생산 및 판매되고 있으며, 국제 협력과 기술 이전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1985년 4월 13일 첫 비행은 연료 공급 제어 문제로 실패했고,[46][47][48] 6월 21일 두 번째 비행 역시 RD-8 엔진 폭발로 실패했다.[33] 그러나 같은 해 10월 22일 세 번째 발사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47][49][50]

1990년대에는 중국이 RD-120 엔진 및 관련 기술을 획득하여 자국 로켓 엔진 개발에 활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7][32] 1992년 프랫 & 휘트니와의 계약을 통해 미국 시장에도 진출했으며,[24] 1995년에는 RD-120M 엔진이 미국에서 최초로 점화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29]

대한민국나로호 개발 과정에서 RD-120 엔진 기술 도입을 추진했으나, 미국의 반대로 무산되고 우크라이나로부터 가스발생기 사이클 엔진 기술을 도입했다. 이후 한국항공우주연구원단계식 연소 사이클 엔진 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55]

2000년대 초에는 씨 런치 발사체 성능 향상을 위해 RD-120 엔진을 개량하여 추력을 10% 증가시켰다.[26]

2. 1. 개발 배경

1976년 개발이 시작되어 1985년 초도비행에 성공했다.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각각 RD-120 엔진을 설계, 제작, 판매하고 있다. 양국 모두 설계도를 외국에 수출하기도 한다.[16]

부란 계획 초기, 제니트 개발 과정에서 KBKhA는 프로톤과 소유스에 이어 2단계 엔진 개발을 맡았다. 그러나 NPO Energomash가 RD-123(이후 RD-170으로 알려짐) 개발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수소/산소 엔진 개발을 KBKhA에 양보했다. 이 프로젝트는 SSME와 유사하며, NPO Energomash 내에서는 RD-130으로 불렸다. 그러나 KBKhA가 개발을 맡아 '''RD-''0''120'''으로 명명했는데, 이는 현재 기사의 엔진과 혼동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Energomash는 11D77의 2단계 엔진 개발 책임을 맡았고, 이는 결국 '''RD-120'''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6]

1976년 3월 16일, 정부는 제니트, RD-171 및 RD-120 개발에 대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27] 1976년 4월까지, 유즈노예는 NPO Energomash에 11D77 1단계 및 2단계 추진에 대한 최종 요구 사항을 제공했다. 1, 2단계 추진을 동일 설계자가 통합한 것의 장점은, 더 작고 간단한 상단 엔진에서 연소 엔진에 대한 교훈을 얻고 이를 더 크고 혁신적인 1단계 RD-170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NPO Energomash는 이미 RD-268 쌍곡선 엔진을 기반으로 한 케로신/산소 연소 엔진 프로토타입을 연구했으며, 이는 이미 유즈마시에서 양산되고 있었다.[17][26] 1977년 2월, RD-120의 예비 설계가 완료되었고,[27] 1979년 1월 31일, RD-120의 첫 번째 화력 시험이 수행되었다.[27]

RD-120은 1985년 4월 13일 첫 비행을 포함하여 초기에는 여러 차례 실패를 겪었다. 그러나 1987년 12월까지 RD-120(및 제니트)은 정식으로 배치된 것으로 간주되었다.[27]

1990년, NPO Energomash 추진 부서장 겸 수석 설계자인 V.K.Chvanov는 RD-120 개발에 대한 국가상을 수상했다.[27]

1992년 10월, 프랫 & 휘트니는 NPO Energomash와 미국에서 엔진을 판매하고 대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24] X-34 프로그램 초기 버전에서 RD-120은 747 공중 발사 1단계로 고려되었으며, 오비탈 사이언스가 선호하는 선택이었다.[24] 1995년 10월 11일, RD-120은 미국에서 점화되었으며, 이는 미국에서 활발히 생산되는 최초의 러시아 로켓 엔진이 되었다.[29] 이 버전은 '''RD-120M'''으로 알려졌다.[29]

1990년대에 중국은 RD-120 모델 2~3개를 획득했고, 일부 기술 문서도 획득했을 가능성이 있다.[37][32] 이를 통해 중국은 YF-100 및 YF-115 엔진을 개발할 수 있었다.[32]

RD-120은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씨 런치를 위한 '개량' 또는 '강화' 버전을 개발하여 추력을 10% 증가시켰다.[26]

2. 2. 개발 과정

1976년 3월 16일, 소련 정부는 제니트 로켓 개발 결의안을 통과시키면서 RD-120 엔진 개발도 함께 시작되었다.[27] 초기에는 KBKhA가 수소/산소 엔진 개발을 맡았으나, NPO Energomash가 RD-170 개발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11D77(제니트 로켓) 2단계 엔진 개발 책임을 맡게 되었다.[16] 이 과정에서 RD-120과 RD-0120(KBKhA 개발)이 혼동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16]

1977년 2월, RD-120의 예비 설계가 완료되었고,[27] 1979년 1월 31일에는 첫 번째 화력 시험이 이루어졌다.[27] 1985년 초도비행에 성공했지만, 초기에는 몇 차례 실패를 겪었다. 1985년 4월 13일 첫 비행에서는 추진제 유량 조절기 문제로 궤도 진입에 실패했고,[46][47][48] 1985년 6월 21일 두 번째 비행에서는 RD-8 엔진 폭발로 실패했다.[33] 하지만, 이후 여러 차례의 시험을 통해 문제점을 개선하여 1987년 12월에는 정식 배치되었다.[27]

1990년, NPO Energomash의 V.K.Chvanov는 RD-120 개발 공로로 국가상을 수상했다.[27] 1992년 10월, 프랫 & 휘트니는 NPO Energomash와 계약을 맺고 미국에서 RD-120 엔진 판매를 시작했다.[24] X-34 프로그램에 RD-120 엔진을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프로그램 취소로 무산되었다.[24]

1995년 10월 11일, RD-120M 엔진이 미국에서 처음으로 점화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29] 이는 미국에서 활발히 생산되는 최초의 러시아 로켓 엔진이었다.[29]

1990년대에 중국은 RD-120 엔진과 기술 문서를 획득하여 YF-100, YF-115 등 자국산 케로신 엔진 개발에 활용했다.[37][32]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씨 런치를 위해 RD-120 엔진을 개량하여 추력을 10% 증가시킨 버전을 개발했다.[26] 2006년 2월 15일, 개량된 엔진은 에코스타 X 위성을 성공적으로 궤도에 올렸다.[19][15]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각각 RD-120 엔진을 설계, 제작, 판매하고 있으며, 설계도까지 외국에 수출하고 있다.

2. 3. 초기 시험 발사

KBKhA는 프로톤과 소유스에 이어 제니트 로켓의 2단계 엔진 개발을 맡았다. 그러나 NPO Energomash가 RD-123(이후 RD-170으로 알려짐) 개발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KBKhA에 수소/산소 유지가 가능한 엔진 개발을 양보했다.[16] 그 대가로 Energomash는 11D77의 2단계 엔진 개발 책임을 맡았고, 이것이 RD-120이다.[16]

1976년 3월 16일, 정부는 제니트, RD-171 및 RD-120의 개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27] 1979년 1월 31일, RD-120의 첫 번째 화력 시험이 수행되었다.[27]

RD-120의 초기 비행은 순탄치 않았다. 1985년 4월 13일 첫 비행, 1985년 6월 21일 두 번째 비행, 1985년 12월 28일 네 번째 비행에서 2단계가 실패했다.[27] 첫 번째 실패는 RD-120의 추진제 유량 조절기 누설로 인해 궤도 진입 전 추진제가 고갈된 것이 원인이었다.[27] 하지만, 1987년 12월까지 RD-120(및 제니트)은 정식으로 배치된 것으로 간주되었다.[27]

1985년 4월 12일에 RD-120을 탑재한 제니트 첫 발사가 예정되었으나, 발사 11분 전 문제로 중단되었다. 다음 날인 4월 13일에 발사되었지만, 연료 공급 제어 문제로 410초 후 제어 불능 상태가 되었다.[46][47][48] 1985년 6월 21일 제니트 로켓의 두 번째 발사는 RD-8 엔진 폭발로 실패했다. 같은 해 10월 22일, 세 번째 발사가 성공했다.[47][49][50]

1990년, NPO Energomash 추진 부서장 겸 수석 설계자인 V.K.Chvanov는 RD-120 개발에 대한 국가상을 수상했다.[27]

1992년 10월, 프랫 & 휘트니는 NPO Energomash와 미국에서 엔진을 판매하고 대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24] X-34 프로그램에서 RD-120은 747 공중 발사 1단계로 고려되었으며, 오비탈 사이언스가 선호하는 선택이었다.[24] 1995년 10월 11일, RD-120은 미국에서 점화되었으며, 이는 미국에서 활발히 생산되는 최초의 러시아 로켓 엔진이 되었다.[29] 이 엔진 버전은 '''RD-120M'''으로, 짐벌 마운트를 추가하여 TVC를 제공했다.[29] 1995년 10월 11일과 18일, 러시아제 로켓 엔진이 처음으로 미국에서 시험되었다. 프랫 & 휘트니사의 E-8 시험대에서 미국산 케로신 연료 사용 성능과 미국 로켓 탑재 적합성을 조사했고, 시험은 성공했다.[51][52] 오비탈 사이언시스의 X-34 우주왕복선 탑재도 검토되었으나, 1996년 X-34 작업 중단으로 계획은 취소되었다.[53]

2. 4. 국제 협력 및 기술 이전

1976년 개발이 시작되어 1985년 초도비행에 성공했다. 소련 붕괴와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각각 RD-120 엔진을 설계, 제작, 판매하고 있으며, 설계도까지 외국에 수출하고 있다.[16]

대한민국나로호 사업에서 RD-120 엔진 기술 도입을 러시아와 계약했지만, 미국의 항의로 러시아가 계약을 일방 취소했다. 이후 우크라이나 유즈노예에서 액체 연료 로켓 엔진 기술을 수입해 KARI 75톤급 로켓엔진을 개발했다. 그러나 나로호 사업 당시 도입하려던 단계식 연소 사이클 엔진인 RD-120 계열 기술 대신, 가스발생기 사이클 엔진 기술이 도입되었다.[55]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2010년부터 단계식 연소 사이클 엔진인 RD-8 연구를 시작해, 2017년 6월 기준 8톤 추력의 연소시험을 완료했다. 우크라이나 유즈노예에서 단계식 연소 사이클 기술도 수입한 것으로 추정된다.[55]

미국은 아틀라스 5호를 위해 RD-120 계열 엔진을 수백 개 완제품으로 수입했으며, 현재 전 세계 최고 기술의 엔진이라며 극찬했다.

1990년대중화인민공화국은 RD-120 모델 2~3개와 일부 기술 문서를 획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37][32] 이를 통해 YF-100 및 YF-115 엔진을 개발할 수 있었다.[32]

1992년 10월, 프랫 & 휘트니는 NPO Energomash와 미국에서 엔진을 판매하고 대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24] X-34 프로그램 초기 버전에 RD-120이 747 공중 발사 1단계로 고려되었으며, 오비탈 사이언스가 선호하는 선택이었다.[24] 1995년 10월 11일, RD-120은 미국에서 점화되었으며, 이는 미국에서 활발히 생산되는 최초의 러시아 로켓 엔진이 되었다.[29] 이 엔진 버전은 짐벌 마운트를 추가하여 TVC를 제공할 수 있게 된 '''RD-120M'''이었다.[29]

3. 버전

RD-120 엔진과 파생형


RD-120 엔진은 두 가지 작동 버전과 몇 가지 제안된 변형을 가지고 있다.

  • '''RD-120 (GRAU Index 11D123):''' 오리지널 버전이다. 제니트 2호의 2단에 사용되었다.[28] 진공추력은 85톤이며, 1976년부터 1985년까지 10년 동안 개발되었다. 주요 특징은 연료 탱크가 토러스 형태이고 엔진이 중앙 구멍에 맞아야 하기 때문에 수직 터보펌프를 사용한다는 것이다.[20][30]
  • '''RD-120 개량형 (GRAU Index 11D123):''' 제니트-3SL의 2단에 사용되었다.[28][25] 진공추력이 93톤으로 증가했다. 일부 저자들은 RD-120M (GRAU Index 11D123M)이라고 표기한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년 동안 개발되었다.
  • '''RD-120K:''' 지상에서 점화되는 1단 로켓으로, 팽창 면적이 줄어들었고 하위 시스템 배열이 전체 길이를 줄이도록 수행되었다.[20] 실제로 몇 번의 화력 테스트를 수행할 정도로 충분한 개발이 이루어졌다.[28][25][11]
  • '''RD-120M:''' X-34 프로그램을 위해 제안된 버전으로, 짐벌 마운트가 추가되었고 미국에서 시험 발사되었다.[24][29]
  • '''RD-120U:''' ULV-22용으로 제안된 버전이다.[9]
  • '''RD-146'''[3]
  • '''RD-182:''' RD-120K의 메탄 / 액체산소 버전이다. 마케예프 로켓 설계국의 릭샤 발사체 프로젝트에 제안되었다.[12][7][8]
  • '''RD-182M:''' RD-182의 LNG / 액체산소 버전으로, 보즈두쉬니 스타트 발사체 프로젝트에 제안되었다.[13]
  • '''RD-870:''' RD-120K의 우크라이나 버전으로, 유즈노예 설계국에서 사이클론-4M SLV의 1단에 사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러시아에서 생산된 연소실을 재고의 수정된 RD-263 엔진으로 교체했다.[4]


RD-120 엔진군
이름RD-120RD-120
(추력 증강)
RD-120KRD-870
별칭11D12311D123
11D123M?
개발 연도1976–19852001–20031986–2016–
엔진 유형산화제 풍부 단계 연소 상단 액체 로켓 엔진
추진제RG-1/액체산소 (O/F 2.6)
연소실 압력16.28MPa17.81MPa17.63MPa160kgf/cm2
진공 추력833.6kN912kN853.2kN88.46tf
해면 추력N/AN/A784.5kN79.6tf
비추력 (진공)350isp350isp330isp332isp
비추력 (해면)N/AN/A304.4isp298isp
스로틀70–110%70–110%50–105%98.5–101.5%
노즐 팽창114.5114.549.6N/A
연소 시간290초290초305초200초
엔진 수명2,200초2,200초2,200초N/A
길이3872mm3872mm2435mm2746mm
직경1954mm1954mm1400mm1436mm
무게1125kg1125kg1080kg1280kg
사용처제니트-2 2단제니트-3SL 2단프로젝트사이클론-4M 1단
초도 발사1985-04-131999-03-28N/AN/A
상태생산 중생산 중프로젝트프로젝트
참고 문헌[28][25][20][5][39][4]


4. 기술적 특징

(추력 증가)RD-191YF-100RD-801RD-810SCE-200별칭11D12311D123
11D123M?추진제RG-1/LOX (O/F 2.6)케로신/LOX (O/F 2.6)RG-1/LOX (O/F 2.65)이소로신/LOX (O/F 2.65)연소실 압력16.28MPa17.81MPa25.75MPa18MPa18MPa18MPa18MPa추력 (진공)833.6kN912kN2090kN1340kN1340kN2105kN2030kN추력 (해면)N/AN/A1920kN1200kN1198kN1876kN1820kN비추력 (진공)350isp350isp337.5isp335isp336isp335.5isp335isp비추력 (해면)N/AN/A311.2isp300isp300.7isp299isp299isp스로틀70–110%70–110%27–105%65–100%N/AN/A65–105%노즐 팽창비114.5114.53735N/AN/AN/A연소 시간290초290초325초155초200초N/AN/A길이3872mm3872mm3780mmN/AN/AN/AN/A직경1954mm1954mm2100mm1338mmN/AN/AN/A중량1125kg1125kg2200kgN/A1630kg2800kg2700kg참고 자료[28] [25] [20] [5] [39]


4. 1. 단계식 연소 사이클

RD-120은 케로신과 액체 산소를 예비 연소실에서 연소시켜 그 연소 가스로 터보 펌프를 구동하는 2단 연소 방식이다. 소유즈 로켓의 2단에 사용되는 RD-0110 엔진이나 RD-0124와 달리, 주 엔진으로 작동하는 RD-120은 그 자체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자세 제어를 위한 버니어 엔진으로, 4기의 챔버 노즐 각각이 1축 방향으로만 ±33°의 각도로 움직이는 짐벌 구조의 RD-8 엔진이 RD-120 엔진을 중심으로 둘러싸고 있다.

이 엔진의 특징은 출력을 80%까지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이다. RD-253의 연료 펌프와 유사하며, 산화제의 전량과 연료의 일부가 예비 연소실에서 비교적 저온으로 연소되어 터보 펌프를 구동한다. 터빈은 예비 연소실에서 공급되는 가스로 구동된다. 예비 연소실에서 나오는 산소 과잉의 배출 가스는 주 연소실로 보내져 연료가 더해져 연소된다. 이 설계의 엔진은 연소실 압력이 16.28MPa에 달하며, 펌프를 구동한 후의 가스는 버려지지 않고 연소실로 보내져 유효하게 이용된다.

RD-120의 파생 기종으로는, 로켓의 1단에서 사용을 상정하여 해면 고도에서 운전되도록 설계된 RD-120K (RD-123이라고도 불림)와 RD-120M이 있다. 이들은 RD-120 및 그 추력 강화형과 달리, 챔버 자체가 양방향으로 ±6° 움직일 수 있으며 (대기권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팽창비가 작은) 단축된 노즐을 가지고 있다. 개발은 1994년경에 시작되어 1996년에 시제품이 시험되었지만 양산에는 이르지 못했다[54]

4. 2. 구조 및 제어

RD-120은 케로신과 액체 산소를 예비 연소실에서 연소시켜 그 연소 가스로 터보 펌프를 구동하는 2단 연소 방식이다. 소유즈 로켓의 2단에 사용되는 RD-0110 엔진이나 RD-0124처럼, 주 엔진으로 작동하는 RD-120은 그 자체는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자세 제어를 위해 4기의 챔버 노즐 각각이 1축 방향으로만 ±33°의 각도로 움직이는 짐벌 구조의 RD-8 엔진이 RD-120 엔진을 중심으로 둘러싸고 있다.

이 엔진은 출력을 80%까지 억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RD-253의 연료 펌프와 유사하며, 산화제의 전량과 연료의 일부가 예비 연소실에서 비교적 저온으로 연소되어 터보 펌프를 구동한다. 터빈은 예비 연소실에서 공급되는 가스로 구동되며, 예비 연소실에서 나오는 산소 과잉의 배출 가스는 주 연소실로 보내져 연료가 더해져 연소된다. 이 설계의 엔진은 연소실 압력이 16.28MPa에 달하며, 펌프를 구동한 후의 가스는 버려지지 않고 연소실로 보내져 유효하게 이용된다.

RD-120의 파생 기종으로는, 로켓의 1단에서 사용을 상정하여 해면 고도에서 운전되도록 설계된 RD-120K (RD-123이라고도 불림)와 RD-120M이 있다. 이들은 RD-120 및 그 추력 강화형과 달리, 챔버 자체가 양방향으로 ±6° 움직일 수 있으며 (대기권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팽창비가 작은) 단축된 노즐을 가지고 있다. 개발은 1994년경에 시작되어 1996년에 시제품이 시험되었지만 양산에는 이르지 못했다[54]

4. 3. 성능

RD-120 엔진은 케로신과 액체 산소를 예비 연소실에서 연소시켜 그 연소 가스로 터보 펌프를 구동하는 산화제 리치 단계 연소 방식이다. 소련에서 개발되어 현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생산되고 있다. 제니트-2 로켓 2단에 사용되었으며, 개량형은 제니트-3SL 2단에도 사용된다. 주 엔진은 고정되어 있고, 자세 제어를 위해 4기의 RD-8 버니어 엔진이 사용된다. RD-8 엔진은 각 노즐이 1축 방향으로 ±33° 각도로 움직이는 짐벌 구조를 가지고 있다.

RD-120 엔진은 출력을 80%까지 억제할 수 있으며, 연소실 압력은 160bar에 달한다. 펌프를 구동한 후의 가스는 버려지지 않고 연소실로 보내져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RD-120의 파생형으로 RD-120K와 RD-120M이 있다. RD-120K는 해면 고도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며, RD-120M은 추력이 강화된 버전이다. 이들은 챔버 자체가 양방향으로 ±6° 움직일 수 있으며, 팽창비가 작은 단축 노즐을 가지고 있다.

RD-120[54]RD-120K[54]
케로신/액체 산소 혼합비2.62.6
전체 높이3.87m2.8m
직경1.95m1.5m
건조 중량1125kg1433kg
추력 대 중량비(해수면/진공 중)75.562.2
연소실 압력16.28MPa17.81MPa
진공 중 추력833.6kN873kN
비추력(해수면/진공 중)350isp336isp



RD-120 기술 파생형
이름RD-120RD-120
(추력 증가)
RD-191YF-100RD-801RD-810SCE-200
별칭11D12311D123
11D123M?
추진제RG-1/LOX (O/F 2.6)케로신/LOX (O/F 2.6)RG-1/LOX (O/F 2.65)이소로신/LOX (O/F 2.65)
연소실 압력16.28MPa17.81MPa25.75MPa18MPa18MPa18MPa18MPa
추력 (진공)833.6kN912kN2090kN1340kN1340kN2105kN2030kN
추력 (해면)N/AN/A1920kN1200kN1198kN1876kN1820kN
비추력 (진공)350isp350isp337.5isp335isp336isp335.5isp335isp
비추력 (해면)N/AN/A311.2isp300isp300.7isp299isp299isp
스로틀70–110%70–110%27–105%65–100%N/AN/A65–105%
노즐 팽창비114.5114.53735N/AN/AN/A
연소 시간290 초290 초325155 초200 초N/AN/A
길이3872mm3872mm3780mmN/AN/AN/AN/A
직경1954mm1954mm2100mm1338mmN/AN/AN/A
중량1125kg1125kg2200kgN/A1630kg2800kg2700kg
참고 자료[28] [25] [20] [5] [39]


5. 파생 엔진



RD-120은 여러 파생 엔진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특히 우크라이나의 RD-801 및 RD-810, 중국의 YF-100 및 YF-115, 인도SCE-200은 RD-120에서 직접 파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소련/러시아의 RD-170 계열 엔진은 RD-120 프로젝트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RD-120의 파생 기종으로는, 로켓의 1단에서 사용을 상정하여 해면 고도에서 운전되도록 설계된 RD-120K (RD-123이라고도 불림)와 RD-120M이 있다. 이들은 RD-120 및 그 추력 강화형과 달리, 챔버 자체가 양방향으로 ±6° 움직일 수 있으며 (대기권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 팽창비가 작은) 단축된 노즐을 가지고 있다. 개발은 1994년경에 시작되어 1996년에 시제품이 시험되었지만 양산에는 이르지 못했다.[54]

5. 1. RD-170 계열



RD-120은 NPO 에네르고마쉬에서 케로신 추진제를 사용하는 산화제 농후 연소 사이클의 최초 실용 사례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RD-170을 개발하기 전의 일이다.[17] 따라서 이 후속 엔진 계열은 더 강력한 성능 매개변수를 가지며, 최초의 프로젝트(RD-123)는 RD-120보다 앞서지만, 실제로 RD-120은 일련의 개발 중 첫 번째 설계였다.[17]

5. 2. RD-801 및 RD-810

유즈노예는 추력 85톤 RD-120의 기술을 발전시켜, 현재 추력 120톤 RD-801, 추력 200톤 RD-810을 개발했다. 생산은 유즈마쉬에서 한다. 원래 우크라이나 유즈노예 설계국은 RD-8 기술밖에 없었다. 그러나 1970년대 RD-120 개발 당시에는 같은 소련이었기 때문에, 러시아 NPO 에네르고마쉬 설계국과 긴밀한 관계였다. RD-120은 우크라이나 유즈마쉬 공장에서 최종 조립 생산했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 개발된 RD-120 개량형은 유즈노예, 유즈마쉬, 에네르고마쉬 세 기관이 합동해서 개발했다. 즉 유즈노예는 RD-120의 오리지날 설계도는 소유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설계 기술이 있다.[5][18]

유즈노예는 RD-8을 통해 추진제에 대한 가장 복잡한 사이클(산화제 풍부 다단 연소 사이클)을 마스터했을 뿐만 아니라 RD-120 프로그램 기간 동안 NPO 에네르고마쉬와 긴밀히 협력했다. 제조는 우크라이나에 있는 자매 회사인 유즈마쉬에서 이루어졌으며, 2001년부터 2003년까지의 RD-120 추력 증강 프로젝트는 세 회사 간의 공동 프로젝트였다.[23]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파생 엔진 계열이 제안되었다. RD-805와 RD-809는 주로 RD-8의 수정형이지만, 이 계열의 RD-801과 RD-810은 RD-120의 진정한 후손으로 간주될 수 있다.[23] 이 계열의 한 가지 특징은 예연소기 출력 온도를 500°C 미만으로 유지하는 제한이다.[23]

5. 3. YF-100 및 YF-115



1990년대에 중국은 RD-120 엔진 2~3기와 관련 자료를 입수했을 가능성이 있다.[37][32] 이를 통해 중국은 자국산 케로신 단계 연소 엔진 프로그램인 YF-100 및 YF-115 개발의 기반을 마련했다.[32]

인도와 RD-810의 경우처럼, 물리적인 엔진과 설계도를 이전받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다. 엔진 개발에는 10년간의 연구, 70가지 핵심 기술 숙달, 50가지 신소재 개발, 그리고 2013년까지 총 4만 초 이상의 점화 시간을 기록한 61세트의 엔진 제작이 필요했다.[31]

중국의 추력 100톤급 YF-100 엔진은 RD-120의 기술을 도입한 것이다. YF-100은 2015년 9월 20일 창정 6호의 첫 발사에서 1단 로켓으로 사용되었다.

5. 4. SCE-200

2005년 인도는 우크라이나로부터 RD-120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34] 위키리크스는 이를 설계도 구입계약이라고 폭로했다. 우크라이나 유즈노예의 추력 200톤 RD-810의 설계도가 인도에 전달되었으며, 인도는 이를 바탕으로 추력 200톤의 SCE-200 엔진을 개발 중이다. 2019년 초도발사가 계획되었으나, 이는 연기되었다.

2005년 6월 2일, 인도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 정부와 인도 공화국 정부 간의 우주 평화적 이용 협력에 관한 기본 협정'에 서명했으며, 이 협정은 2006년 2월 15일에 발효되었다.[34] 2013년 3월 26일 우크라이나 경제 개발 무역부의 공식 보도 자료에 따르면, "자스민"이라는 인도-우크라이나 합작 프로젝트에 따라 2006년에 인도 발사체를 위한 로켓 엔진 개발이 시작되었다.[21][22]

우크라이나가 인도에 넘겨준 엔진 설계도는 RD-810으로 확인되었다.[10] 기술 분석 방법과 소프트웨어는 이전 대상에서 제외되었기 때문에, 인도 측은 실제로 엔진을 제조하고 인증하기 위한 대부분의 기술과 엔지니어링 모델을 자체적으로 개발해야 했다.[35][36][38] RD-810과 거의 동일한 사양, 그리고 인도 측 발표 자료에서 유즈노예의 엔진 렌더링을 사용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SCE-200는 적어도 RD-120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14]

참조

[1] Math
[2] Math
[3] 웹사이트 RD-146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RD-870 could become Ukraine's first booster engine http://www.russiansp[...]
[5] 웹사이트 Двигатели 1944-2000: Аавиационные, Ракетные, Морские, Промышленные http://www.k204.ru/b[...] 2015-07-25
[6] 웹사이트 The family of the rocket engine Energomash RD-120 http://www.b14643.de[...] B14643.de 2015-08-06
[7] 웹사이트 Riksha http://www.b14643.de[...] B14643.de 2015-08-11
[8] 웹사이트 Propulsion Riksha http://www.b14643.de[...] B14643.de 2015-08-11
[9] 웹사이트 ULV-22 (Edinstvo) http://www.b14643.de[...] B14643.de 2015-08-11
[10] 웹사이트 ULV Propulsion http://www.b14643.de[...] B14643.de 2016-07-18
[11] 웹사이트 RD-120K https://web.archive.[...] Encyclopedia Astronautica 2015-08-11
[12] 웹사이트 RD-182 https://web.archive.[...] Encyclopedia Astronautica 2015-08-11
[13] 웹사이트 RD-182M https://web.archive.[...] Encyclopedia Astronautica 2015-08-11
[14] 웹사이트 Semi-Cryogenic Engines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Zenit-3 http://space.skyrock[...] Gunter's Space Page 2015-07-25
[16] 서적 Energiya-Buran: The Soviet Space Shuttl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8-05
[17] 서적 Energiya-Buran: The Soviet Space Shuttl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8-05
[18] 서적 Energiya-Buran: The Soviet Space Shuttl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7-10-04
[19] 서적 Energiya-Buran: The Soviet Space Shuttl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8-05
[20] 서적 Энергомаш,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энергет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В.П.Глушк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http://www.k204.ru/b[...] The Aerospace Thermal Technology Department of the Moscow Aviation Institute 2015-08-06
[21] 웹사이트 Урядовий портал :: Україна розробляє ракетний двигун для індійської ракети-носія http://www.kmu.gov.u[...] 2016-03-15
[22] 웹사이트 Урядовий портал :: Ukraine designs rocket for Indian launch vehicle http://www.kmu.gov.u[...] 2016-03-15
[23] 간행물 https://web.archive.[...] National Aerospace university them. NE Zhukovsky 2013
[24] 웹사이트 The Policy Origins of the X-33. Part VII: The X-34 https://web.archive.[...] NASA Headquarters 2015-08-09
[25] 웹사이트 NPO Energomash list of engines https://web.archive.[...] NPO Energomash
[26]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NPO Energomash
[27] 웹사이트 Вехи истории https://web.archive.[...] NPO Energomash
[28] 웹사이트 RD-120 https://web.archive.[...] NPO Energomash
[29] 웹사이트 Pratt & Whitney conducts the first U.S. test firing of a production Russian rocket engine https://web.archive.[...] PR Newswire 2015-08-09
[30] 웹사이트 Stage II of Zenit rocket http://www.russiansp[...] 2015-08-06
[31] 웹사이트 120吨级液氧煤油发动机项目验收 http://www.spacechin[...] CASC 2015-07-02
[32] 웹사이트 Chang Zheng-5 (Long March-5) https://web.archive.[...] SinoDefence 2015-07-02
[33] 웹사이트 Space Launch Report: Zenit Data Sheet https://web.archive.[...] 2014-08-25
[34] 웹사이트 Legal basis of Ukraine and India http://india.m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Ukraine 2015-08-10
[35] 보고서 UKRAINE: APPEAL FOR USG FORBEARANCE ON INDIA SPACE PROGRAM COOPERATION https://wikileaks.or[...] WikiLeaks 2015-08-10
[36] 보고서 UKRAINE: U.S. FEEDBACK ON SLV ENGINE COOPERATION WITH INDIA AND MIXER CASE https://wikileaks.or[...] WikiLeaks 2007-09-28
[37] 보고서 UKRAINE/MTCR/NSG: CENTRIFUGAL CHARGING PUMPS TO CHINA/CHINESE RD-120 DEVELOPMENT https://wikileaks.or[...] WikiLeaks 2007-09-28
[38] 보고서 UKRAINE: YUZHNOYE AND ISRO PROPOSED ROCKET COOPERATION https://wikileaks.or[...] WikiLeaks 2008-05-21
[39] 웹사이트 Liquid rocket engine RD-120 http://www.yuzhmash.[...] Yuzhmash
[40] 문서 러시아어판에는 가스 발생기 사이클과 쓰여져 있었지만 독일어판에는 2단 연소 사이클과 쓰여져 있었다. 구조와 연소실의 압력으로부터 판단하면 2단 연소 사이클일 가능성이 높다
[41] 웹사이트 Информация о двигателе РД-120 http://www.npoenergo[...] НПО Энергомаш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В. П. Глушко 2010-11-25
[42] 웹사이트 Двигатель РД120 http://www.yuzhmash.[...] Южный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2010-11-25
[43] 웹사이트 Жидкостный ракетный двигатель РД-120 http://www.oil-tehno[...] Oil-tehno.ru 2010-11-25
[44] 웹사이트 RD-120 - Specifications http://www.spaceandt[...] SPACEandTECH 2010-11-27
[45] 웹사이트 Ракеты-носители созданные в КБ Янгеля http://rocketpolk44.[...] Rocketpolk44.narod.ru 2010-11-27
[46] 웹사이트 «Зенит». Ракета-носитель среднего класса. Концепция «безлюдный старт» http://space1.ru/rn-[...] Space1.ru 2010-11-27
[47] 웹사이트 «Зенит» http://www.buran.ru/[...] Buran.ru 2010-11-27
[48] 웹사이트 Ракетоноситель ЗЕНИТ http://space-russia.[...] Space-russia.narod.ru 2010-11-27
[49] 웹사이트 ЖРД РД-170 (11Д521) и РД-171 (11Д520) http://lpre.de/energ[...] Rocket Propulsion Analysis (RPA) 2010-11-27
[50] 학술지 15 лет первому пуску «Зенита» http://www.novosti-k[...] 2010-11-27
[51] 학술지 Международное сотрудничество. 21 номер журнала за 1995 год http://www.novosti-k[...] 2010-11-27
[52] 웹사이트 Pratt&Whitney conducts the first U.S. test firing of a production russian rocket engine http://www.highbeam.[...] HighBeam® Research 2010-11-27
[53] 웹사이트 The Policy Origins of the X-33. Part VII: The X-34 http://www.hq.nasa.g[...] NASA Headquarters 2010-11-27
[54] 웹사이트 RD-120 http://www.astronaut[...] Encyclopedia Astronautica 2008-07-09
[55] 뉴스 '[S스페셜 - '우주' 이야기] (18)효율 높은 ‘다단연소 사이클’ 로켓엔진 개발에 도전하다' 세계일보 2017-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