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 X10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L X10은 1982년부터 1993년까지 제작된 스웨덴의 통근 및 광역 철도용 전동차이다. 스웨덴 철도청(SJ)과 ASEA의 협력으로 개발되었으며, 스톡홀름 광역 교통(SL)을 포함한 여러 지역에서 운행되었다. X10은 2량 1편성으로, 영업 최고 속도는 시속 140km이며, X11, X12, X14와 같은 파생형이 존재한다. 2010년과 2021년에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철도 차량 - 봄바디어 레지나
봄바디어 레지나는 1990년대 초 스웨덴에서 개발된 지역 교통용 전동차로, 광폭 설계와 다양한 맞춤형 옵션을 통해 스웨덴 국내외에서 운행되며 중국 고속철도 차량 CRH1의 기반이 되었다. - 스웨덴의 철도 차량 - SJ X40
SJ X40은 스웨덴 철도청에서 운행했던 2층 객차 고속 열차이며, 200km/h의 속도로 운행하고 1등석과 2등석을 갖췄으나, 기술적 문제와 좁은 공간으로 인해 개선 및 대체되었다. - 스웨덴 - 칼 16세 구스타프
칼 16세 구스타프는 1973년 즉위한 스웨덴 국왕으로, 1974년 헌법 개정 이후 의례적인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며 스웨덴 사회의 변화와 안정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보수적인 성향에 대한 비판과 과거 논란 및 사생활 의혹도 존재한다. - 스웨덴 - 스웨덴 제국
스웨덴 제국은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 초까지 발트해를 중심으로 북유럽을 지배했던 강대국으로,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시작하여 대북방 전쟁에서 패배하며 몰락했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SL X10 | |
|---|---|
| 일반 정보 | |
| 이름 | X10 |
| 종류 | 전동차 |
| 운행 기간 (SL) | 1983년–2017년 |
| 제조사 | ASEA |
| 개조 | 1998년–2002년 |
| 대체 | 2016년–2017년 |
| 운행 정보 | |
| 편성 | 2량 |
| 운영사 | 스토르스톡홀름스 로칼트라피크 |
| 노선 | 스톡홀름 통근 열차 |
| 제작 정보 | |
| 제작 연도 | 1982년–1993년 |
| 운행 연도 | 1983년–2017년 |
| 폐차 연도 | 2017년 |
| 총 생산량 | 101대 |
| 잔존 수량 | 8대 |
| 차량 정보 | |
| 차체 | 해당 사항 없음 |
| 차량 길이 | 49,868mm (2량) |
| 최대 속도 | 140km/h |
| 중량 | 100톤 (X10), 103톤 (X11) |
| 수용량 | 184명 |
| 견인력 | 해당 사항 없음 |
| 엔진 | 해당 사항 없음 |
| 동력 출력 | 1,280kW |
| 전력 공급 | 가공선을 통한 교류 15kV |
| 집전 방식 | 팬터그래프 |
| 제동 장치 | 해당 사항 없음 |
| 안전 장치 | ATC-2 |
| 이미지 정보 | |
![]() | |
![]() | |
2. 개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 스웨덴 남부의 예테보리, 스톡홀름 등에 전동차가 더 필요하여 X10이 개발되었다. 1978년부터 1981년까지 스웨덴 철도청은 다음 지역의 통근 및 광역 철도 운영을 수주하였다.
| 연도 | 지역 |
|---|---|
| 1978년 9월 | 스코네 남서부 (말뫼-룬드-에슬뢰브, 말뫼-룬드-셰블링에) |
| 1979년 12월 | 스코네 북서부 (란드스크로나, 헬싱보리), 예테보리 |
| 1981년 | 스톡홀름 |
X10 전동차는 2량 1편성(동력 제어차 X10-A, 무동력 제어차 X10-B)으로 구성되며, 영업 최고 속도는 140km/h이다.[1] X10-A 차량에는 직류 전동기 4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전장품은 A, B 차량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1] 각 차량에는 양쪽에 3개씩 출입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톡홀름 광역 교통(SL)에서 사용하는 차량은 2+3 좌석 배열을 갖추고 있다.[1] 편성 길이는 49.868m이며, 스톡홀름 지역에서는 4병결 또는 2병결로 운행된다.[1]
SL X10 전동차는 다양한 운행 환경에 맞춰 여러 파생형으로 개발되었다. 주요 파생형으로는 X11, X12, X14가 있다.
협상이 진행되기 전에도 스웨덴 감사원은 SJ와 ASEA의 행동이 세금 낭비라고 비판하였다. 1979년 12월 X10 14편성 제작을 시작하였고, 이 중 5편성이 SL용으로 할당되었다. 1982년 2월-1983년 5월에 초기 물량이 반입되었다. 이후 우플란드, 베스트만란드 지역 교통, X-트라피크에 반입되었다.[1]
3. 기술 사양
X1 전동차와 비교했을 때, X10 전동차는 기기 배치를 개선하여 결빙에 대한 안전성을 높였다.[1] 이는 X1 영업 운행 중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전장품과 공조 장치의 위치를 변경했기 때문이다.[1] 또한 X1의 디스크 제동 외에 발전 제동이 추가되었다.[1] 제동 과정에서 생성된 전기는 지붕에 있는 저항기에서 소모된다.[1]
SL에 납품된 X10의 초기 내부 도색은 당시 스톡홀름 지하철 차량과 비슷한 오렌지/갈색 계열이었고, 외부 도색은 X1과 같은 밝은 파란색이었다.[1] 그러나 1998년부터 2002년 사이에 현재의 도색으로 변경되었다.[1]
4. 파생형
4. 1. X11
1980년대 초반 X10의 지역 열차용 파생형으로 X11이 개발되었다. 개발 과정에서 같은 형태의 객차도 계획되었다. X11은 X10의 문 3개 중 가운데에 있는 문을 빼고 그 자리에 좌석을 더 설치하였으며, 화장실과 화물칸을 추가하였다. 초기 형식 명칭은 X10R이었으나, 이후 X10과 확실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X11로 변경되었다. 베스트만란드 지역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후 말뫼후스와 예테보리 지역에서 도입되었다. 스코네와 베스트라예탈란드 지역에서 차량이 더 필요했을 때 예블레보리 지역에서 11편성, 베스트만란드 지역에서 5편성이 이전하였다. 베스트만란드 지역에 남아 있던 X11 6편성은 X10으로 개조되어 스톡홀름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웁살라에 있던 X10 3편성도 X11로 개조되어 스코네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X10에서 총 49편성이 개조되었고, 이외 제원은 X10과 동일하다. 마지막까지 X11이 사용되는 지역은 스코네와 예테보리이며, X60의 4량 파생형 X61로 대체될 예정이다.
4. 2. X12

X12는 1991년부터 1994년까지 생산된 X10의 파생형 전동차이다. X11, X14와는 다르게 2+2 좌석 배열을 갖추고 있으며, X14와 함께 최고 시속 160km까지 낼 수 있다. 총 18편성이 생산되었고, 이 중 2편성은 X14로 개조되었다. SJ 소유 X12는 웁살라-베스테로스-에스킬스투나-노르셰핑(UVEN) 구간을 운행하며, 2009년 12월부터는 아르보가, 에스킬스투나 등에서 단거리 통근 열차로도 사용된다. 외스트예타트라피크와 베스트트라피크에서도 같은 차량을 사용하며, 과거에는 베스트만란드와 웁살라 지역에서도 운행되었다. 1등석과 2등석이 구분되어 있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다. X11과 같이 중간 문이 없다.
4. 3. X14
X14 전동차는 1994년부터 1995년까지 생산된 마지막 파생형으로, X10 및 X11 전동차와 같이 2+3 좌석 배열을 갖추고 있다. 현재 SJ에서는 셰브데-옌셰핑-네셰 간을 운행하며, 외스트예타트라피켄과 베스트트라피크에서도 사용된다. 총 18편성이 생산되었으며, 2000년과 2009년에 각각 X12 전동차 1편성이 X14 전동차로 개조되었다.
5. 사고
2010년 5월 4일 X10 3160호에서 전기 장치 이상으로 화재가 발생하여 지붕에 있던 각종 전기 장치, 견인 전동기, 내장재가 전소되었다. 엘브셰에 있는 유로메인트 기지 내에서 발생한 화재였기 때문에 인명 피해는 없었다.[1]
2021년 3월 8일 오전 7시 30분(현지 시각)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건널목에 정차되어 있던 굴절버스와 X14 열차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X14 열차에 타고 있던 승객 50명 중 3명이 경미한 부상을 입었으며, 버스 기사는 충돌 직전에 빠져나와 사고를 피할 수 있었다.[2]
참조
[1]
웹사이트
Vagnguide - Motorvagn X12 - järnväg.net
http://www.jarnvag.n[...]
[2]
웹사이트
Vagnguide - Motorvagn X14 - järnväg.net
http://www.jarnvag.n[...]
[3]
뉴스
Fem ombygde togsett settes ut i trafikk
Aftenposten Aften
1992-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