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1 스타리그 2005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o1 스타리그 2005는 2005년 8월 5일부터 11월 5일까지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개인리그이다. 맵돌이닷컴을 통한 오픈베타 테스트 시스템이 처음으로 가동되었으며, 온게임넷 스타리그 3회 우승자에게 골든마우스를 수여하는 정책이 발표되었다. 오영종이 우승하며 로열로더가 되었고, 임요환은 역대 최다 결승 진출 기록을 세웠다. 결승전은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선인체육관에서 개최되었으며, 오영종이 임요환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리그 기간은 2005년 8월 5일부터 2005년 11월 5일까지이다. 스폰서 캐치프레이즈는 "모든 휴대폰은 So1에서 만난다 오픈 모바일 So1"이다. 중계는 온게임넷에서 담당하였다.
맵돌이닷컴을 통한 오픈베타 테스트 시스템이 처음으로 가동되었다. 온게임넷 스타리그 3회 우승자에게 황금마우스(골든마우스)를 수여하는 정책이 발표되었다. 오영종은 2년 만에 가을의 전설을 재현하였다. 3회 우승자에게 차차기 시즌 시드를 부여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2. 리그 정보
3. 주요 특징
최초로 테란 대 테란전 경기가 없었던 리그였다. 테란은 역대 최소인 4명(임요환, 서지훈, 이병민, 최연성)만이 진출하였다. 저그는 최초로 4강 진출에 실패했다. (4강: 임요환 vs 박지호, 최연성 vs 오영종) 최초로 우승자에게 마우스맨 뱃지가 수여되었다. 2006년 제1회 대한민국 e스포츠대상 최고 역전승 수상 경기로 4강 임요환 대 박지호의 경기가 선정되었다.
공식맵 최초로 좁은 본진 입구를 가진 반지상맵 '815'가 등장했다.[1] 역대 최고 시청률을 결승전에서 갱신했다. 오영종은 로열로더 중 6번째 (기욤 패트리-김동수-임요환-이윤열-박성준-오영종) 로열로더가 되었다. 프로토스 우승자 중 3번째로 임요환을 꺾고 우승한 선수가 되었다(김동수-박정석-오영종).
임요환은 스타리그 6번째이자 마지막 결승에 진출하여 역대 최다 결승 진출 및 최고령 결승 진출 기록을 세웠다. 최초로 16강 야외 투어가 수원종합운동장에서 실시되었다. 결승전은 인천대학교 제물포캠퍼스 선인체육관에서 개최되었으며, 2002 SKY 스타리그 결승 이후 최다 관중이 모였다. 최초로 동명이인(박성준(POS), 박성준(Khan)) 간의 대결이 펼쳐졌다.
4. 경기 방식
4. 1. 예선
So1 스타리그 2005 예선은 12개 조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와 패자전 6명을 선발하여 다음 다이렉트 듀얼토너먼트 진출자를 선발하였다.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 I조 J조 K조 L조 변길섭 임요환 고인규 한동욱 이재황 최가람 강민 김환중 박성준 나도현 유인봉 안상원 패자전 A조 패자전 B조 패자전 C조 패자전 D조 패자전 E조 패자전 F조 문준희 오영종 조용호 이현승 박영훈 한승엽
4. 2. 다음 다이렉트 듀얼토너먼트
다음 다이렉트 듀얼토너먼트는 2005년 4월 13일부터 7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1라운드는 6개 조로 나누어 듀얼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조의 1, 2위와 3위 중 성적이 좋은 4명, 총 16명이 선발되었다. 1라운드 각 조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 | 1, 2위 (진출) | 3위 | 탈락 |
---|---|---|---|
A조 | 임요환, 박성준 | 문준희 | 김정민 |
B조 | 박지호, 이재황 | 고인규 | 안상원 |
C조 | 안기효, 변길섭 | 유인봉 | 최가람 |
D조 | 최수범, 김환중 | 박영훈 | 한동욱 |
E조 | 오영종, 조용호 | 나도현 | 이재훈 |
F조 | 한승엽, 조형근 | 강민 | 이현승 |
1라운드에서 3위를 기록했지만, 상위 성적 4명에 포함되어 2라운드에 진출한 선수는 문준희, 고인규, 나도현, 유인봉이다.
2라운드는 2005년 5월 21일부터 7월 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1라운드 통과자 16명이 6개 조로 다시 듀얼 토너먼트를 치러 각 조 1, 2위를 선발했다. 2라운드 각 조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 | 1, 2위 (진출) | 3위 | 탈락 |
---|---|---|---|
A조 | 송병구, 이주영 | 박용욱 | 조형근 |
B조 | 임요환, 홍진호 | 최수범 | 손영훈 |
C조 | 김준영, 박지호 | 이윤열 | 변길섭 |
D조 | 최연성, 박성준 | 전상욱 | 한승엽 |
E조 | 박정석, 안기효 | 변형태 | 이재황 |
F조 | 변은종, 조용호 | 박태민 | 김환중 |
최종 1위 결정전에서는 1라운드 통과자 중 성적 상위 4명에게 시드 배정이 주어졌으며, 3전 2선승제 토너먼트를 통해 오영종이 안기효를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4. 3. 16강
16강은 4개 조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각 조 상위 2명이 8강에 진출했다. 각 선수는 한 경기씩 총 세 경기를 치렀으며, 한 조당 총 여섯 경기가 진행되었다.조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A조 | B조 | C조 | D조 | ||||
---|---|---|---|---|---|---|---|
박성준 (POS) | 2승 1패 | 이병민 | 2승 1패 | 서지훈 | 2승 1패 | 오영종 | 2승 1패 |
박성준 (삼성) | 0승 3패 | 박정석 | 2승 1패 | 변은종 | 2승 1패 | 최연성 | 2승 1패 |
임요환 | 3승 0패 | 송병구 | 0승 3패 | 박지호 | 2승 1패 | 홍진호 | 1승 2패 |
안기효 | 1승 2패 | 이주영 | 2승 1패 | 조용호 | 0승 3패 | 김준영 | 1승 2패 |
B조와 C조에서는 상위 3명의 승패가 동률을 이루어 삼자 재경기가 진행되었다. 재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B조 | C조 | ||
---|---|---|---|
이병민 | 2승 0패 | 서지훈 | 2승 0패 |
박정석 | 1승 1패 | 변은종 | 0승 2패 |
이주영 | 0승 2패 | 박지호 | 1승 1패 |
4. 4. 8강 ~ 결승
8강전과 4강전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는 임요환이 박정석을 2:0으로, 박지호가 이병민을 2:1로, 최연성이 박성준(POS)을 2:0으로, 오영종이 서지훈을 2:1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4강전에서는 임요환이 박지호를 3:2로, 오영종이 최연성을 3: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3, 4위전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으며, 최연성이 박지호를 3:2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결승전은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으며, 오영종이 임요환을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5. 진출 선수
5. 1. 예선 통과자
wikitableA조 | B조 | C조 | D조 | E조 | F조 | G조 | H조 | I조 | J조 | K조 | L조 |
---|---|---|---|---|---|---|---|---|---|---|---|
변길섭 | 임요환 | 고인규 | 한동욱 | 이재황 | 최가람 | 강 민 | 김환중 | 박성준 | 나도현 | 유인봉 | 안상원 |
패자전 A조 | 패자전 B조 | 패자전 C조 | 패자전 D조 | 패자전 E조 | 패자전 F조 |
---|---|---|---|---|---|
문준희 | 오영종 | 조용호 | 이현승 | 박영훈 | 한승엽 |
5. 2. 듀얼 토너먼트 통과자
5. 3. 16강 시드
5. 4. 16강 최종 진출 선수
So1 스타리그 2005 16강에는 테란 4명, 저그 7명, 프로토스 5명이 진출했다.테란은 임요환, 서지훈, 이병민, 최연성이 진출했다. 저그는 박성준(POS), 박성준(Khan), 변은종, 이주영, 조용호, 홍진호, 김준영이 진출했으며, 프로토스는 오영종, 박정석, 박지호, 송병구, 안기효가 진출했다.
6. 대회 결과
(첫 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