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검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검정은 두 집단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검증하는 데 사용되는 통계적 방법이다. 1876년 프리드리히 로베르트 헬메르트와 야콥 뤼로스에 의해 사후검정법으로 처음 유도되었으며, 윌리엄 실리 고셋이 '스튜던트'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논문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T-검정은 독립 표본, 대응 표본, 단일 표본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며, 검정 통계량 계산, 자유도 결정, p-값 계산, 유의 수준 비교 등의 절차를 거쳐 수행된다. 데이터의 정규성, 등분산성 등의 가정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비모수적 방법이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T-검정 | |
---|---|
통계 검정 | |
종류 | 가설 검정 |
이름의 유래 | 윌리엄 실리 고셋의 필명 '스튜던트' |
분포 | t-분포 |
관련 분포 | 정규 분포, 카이제곱 분포, F-분포 |
개요 | |
목적 | 두 모집단의 평균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평가 |
적용 조건 | 모집단이 정규 분포를 따르는 경우 모집단의 분산을 모르는 경우 표본 크기가 작은 경우 |
귀무 가설 | 두 모집단의 평균은 동일하다. |
대립 가설 | 두 모집단의 평균은 동일하지 않다. (양측 검정) 또는 한 모집단의 평균이 다른 모집단의 평균보다 크거나 작다. (단측 검정) |
종류 | |
독립 표본 t-검정 (Two-sample t-test) | 서로 독립적인 두 그룹의 평균 비교 |
대응 표본 t-검정 (Paired t-test) | 동일한 그룹에 대한 두 조건의 평균 비교 (예: 치료 전후) |
단일 표본 t-검정 (One-sample t-test) | 표본 평균이 특정 값과 유의미하게 다른지 여부 검정 |
검정 통계량 | |
공식 | (표본 평균의 차이 - 모집단 평균의 차이) / (추정된 표준 오차) |
자유도 | 표본 크기에 따라 달라짐 (독립 표본: n1 + n2 - 2, 대응 표본: n - 1) |
p-값 | |
의미 | 귀무 가설이 참일 때, 관측된 검정 통계량보다 극단적인 결과가 나올 확률 |
유의 수준 | 일반적으로 0.05 사용. p-값이 유의 수준보다 작으면 귀무 가설 기각 |
주의 사항 | |
가정 | 데이터의 정규성 독립 표본의 경우 분산의 동질성 |
비모수적 대안 | 만-휘트니 U 검정,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
활용 | |
예시 | 신약의 효과 검증 두 가지 교육 방법의 효과 비교 마케팅 캠페인의 효과 분석 |
2. 역사
t-분포는 1876년 프리드리히 로베르트 헬메르트[35][36][37]와 야콥 뤼로스[38][39][40]에 의해 사후검정법 중 하나로 유도되었으며, 1895년에는 칼 피어슨에 의해 피어슨 분포 4형의 특별한 꼴임이 밝혀졌다.[41] 스튜던트 t 분포라는 이름은 윌리엄 실리 고셋이 1908년 과학 학술지인 《바이오메트리카》에 '스튜던트'라는 필명으로 논문을 제출한 데에서 기인했다.[44][45] 로널드 피셔가 이 분포를 '스튜던트 t-분포', '스튜던트 t-테스트'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렸다.[46]
T-검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고셋은 기네스 양조장에서 근무하며 작은 표본을 다루는 문제에 대한 통계적 해법을 찾고자 했다. 1900년경 맥주는 효모 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어 맛이 불안정했다고 한다. 고셋은 그동안의 데이터를 조사하여, 평균으로부터의 편차를 불편추정 표준 오차로 나눈 값(t값)이 확률 분포(t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발견했다. 당시 기네스에서는 기업 비밀 유지를 위해 논문 발표를 허용하지 않았으나, 필명을 사용하는 조건으로 허용했다.[43]
3. 종류 및 방법
t-검정은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각 t-검정 방법에 따라 검정 통계량 t 값을 계산하고, 자유도를 결정한다. t 값과 자유도를 이용하여 p-값을 구하고, 유의 수준(α)과 비교하여 귀무 가설 기각 여부를 결정한다.[15]3. 1. t-검정의 종류
t-검정은 독립된 또는 종속된(대응된) 두 집단의 비교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연구 설계나 논문 등에서 t-검정은 두 평균 등 비교값이 의미 있게 차이가 나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된다.[1]
:
여기서 는 표본 평균, 는 표본 표준 편차, 은 표본 크기이다. 이 검정에 사용되는 자유도는 이다.
검정 | 설명 |
---|---|
일표본 t-검정 (One-sample t-test) | 한 집단의 평균이 특정 값과 같은지 검정한다. |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two-sample t-test) | 두 독립적인 집단의 평균을 비교한다. |
대응 표본 t-검정 (Paired samples t-test) | 짝을 이룬 두 집단(예: 동일 대상의 사전-사후 측정)의 평균을 비교한다. |
회귀 분석에서의 t-검정 |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0과 유의하게 다른지 검정한다. |
3. 2. t-검정 전 단계 (전제 조건 검정)
실무적인 데이터 분석에서 t-검정을 하기 전에 모집단이 다양한 전제를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검정을 수행한다.- 모집단이 정규 분포를 따르는지 여부는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이나 샤피로-윌크 검정 등의 정규성 검정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 F-검정 등을 통해 등분산성을 검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스튜던트 t-검정 또는 웰치 t-검정을 수행하는 것은 검정의 다중성 문제를 일으키므로 권장되지 않는다. 대신, 등분산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웰치 t-검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웰치 t-검정은 등분산성에 강건하므로, 사전에 등분산성 검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3. 3. t-검정 방법
t-검정은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각 t-검정 방법에 따라 검정 통계량 t 값을 계산하고, 자유도를 결정한다. t 값과 자유도를 이용하여 p-값을 구하고, 유의 수준(α)과 비교하여 귀무 가설 기각 여부를 결정한다.[15]- 단일 표본 t-검정: 모집단의 평균이 특정 값과 같은지 검정한다.
- : 표본 평균, : 표본 표준 편차, : 표본 크기, 자유도:
- 독립 표본 t-검정: 두 독립적인 모집단의 평균이 같은지 검정한다.
- 두 표본의 크기가 같고, 분산이 같은 경우:
- : 합동 표준 편차, 자유도:
- 두 표본의 크기가 다르고, 분산이 같은 경우:
- : 합동 표준 편차, 자유도:
- 웰치 t-검정: 두 모집단의 분산이 같지 않은 경우에 사용한다.
- , 자유도: 웰치-새터스웨이트 방정식으로 계산
- 대응 표본 t-검정: 쌍을 이룬 두 표본(예: 동일 대상의 사전/사후 측정)의 평균이 같은지 검정한다.[16]
- : 쌍 간 차이의 평균, : 쌍 간 차이의 표준 편차, : 쌍의 수, 자유도:
4. 통계 프로그램
IBM SPSS는 T-검정에서 영가설의 임계치(α) 영역(영가설 기각 유무)을 확인할 수 있는 P값(유의확률)인 sig를 제시한다. PSPP에서도 이와 같이 sig 값을 보여준다.
: (예) α < sig(P) 이면 영가설 채택(영가설 기각불가)
: (예) α > sig(P) 이면 영가설 기각 (대립가설 채택 -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IBM SPSS, PSPP, R, SAS 등의 통계 프로그램은 가설 검증 시 P값(유의확률) sig를 보여주어 T-검정뿐만 아니라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에서도 일관되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QtiPlot, LibreOffice Calc, Microsoft Excel, SAS, SPSS, Stata, DAP, gretl, R, Python, PSPP, Wolfram Mathematica, MATLAB, Minitab 등 많은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 및 통계 패키지에 스튜던트 t-검정 구현이 포함되어 있다.
언어/프로그램 | 기능 | 참고 |
---|---|---|
Microsoft Excel 2010 이전 | TTEST(array1, array2, tails, type) | [https://support.office.com/ko-kr/article/TTEST-%ED%95%A8%EC%88%98-1696FFC1-4811-40FD-9D13-A0EAAD83C7AE] 참조 |
Microsoft Excel 2010 이상 | T.TEST(array1, array2, tails, type) | [https://support.office.com/ko-kr/article/TTEST-%ED%95%A8%EC%88%98-d4e08ec3-c545-485f-962e-276f7cbed055] 참조 |
Apple Numbers | TTEST(sample-1-values, sample-2-values, tails, test-type) | [https://www.apple.com/au/mac/numbers/compatibility/functions.html] 참조 |
LibreOffice Calc | TTEST(Data1; Data2; Mode; Type) | [https://help.libreoffice.org/Calc/Statistical_Functions_Part_Five#TTEST] 참조 |
Google Sheets | TTEST(range1, range2, tails, type) | [https://support.google.com/docs/answer/6055837] 참조 |
Python | scipy.stats.ttest_ind(a, b, equal_var=True) | [http://docs.scipy.org/doc/scipy/reference/generated/scipy.stats.ttest_ind.html] 참조 |
MATLAB | ttest(data1, data2) | [http://www.mathworks.com/help/stats/ttest.html] 참조 |
Mathematica | TTest[{data1,data2}] | [https://reference.wolfram.com/language/ref/TTest.html] 참조 |
R | t.test(data1, data2, var.equal=TRUE) | [https://stat.ethz.ch/R-manual/R-devel/library/stats/html/t.test.html] 참조 |
SAS | PROC TTEST | [https://web.archive.org/web/20131029195637/http://www.sas.com/offices/europe/belux/pdf/academic/ttest.pdf] 참조 |
Java | tTest(sample1, sample2) | [http://commons.apache.org/proper/commons-math/apidocs/org/apache/commons/math4/stat/inference/TTest.html] 참조 |
Julia | EqualVarianceTTest(sample1, sample2) | [https://juliastats.org/HypothesisTests.jl/stable/parametric/#HypothesisTests.EqualVarianceTTest] 참조 |
Stata | ttest data1 == data2 | [https://www.stata.com/manuals/rttest.pdf] 참조 |
5. Z-검정과의 관계
Z-테스트로부터 T-테스트 값을 계산하여 추정할 수 있다.
:
중심 극한 정리에 따르면,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는 경우에도 표본 크기가 커질수록 표본 평균은 정규 분포에 근사해진다. 따라서 표본 크기가 클수록 표준 검정 값인 은 Z 값에 근사하게 된다. 모집단이 정규 분포에서 완전히 벗어난 분포를 따르고, 표본 크기가 충분히 큰 경우(대학 초등 통계 교과서 등에는 n > 30 등으로 기재된 경우가 있지만,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Z 검정으로 근사적인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t 값은 자유도가 증가하면 Z 값에 근사하기 때문에, 계산상 t-검정을 사용해도 거의 차이 없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철학적으로는 다르지만). 이것이 t-검정이 강건(robust)하다고 말해지는 이유이다.
6. t-검정의 대안
t영어-검정의 가정이 충족되지 않을 때(모집단이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거나, 표본 크기가 작은 경우 등)는 비모수적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19][28] 비모수 검정은 랭킹, 중앙값 또는 분포 등에 주목하여 가설을 세워야 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데이터가 상당히 비정규적이고 표본 크기가 작으면 t영어-검정은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결과를 줄 수 있다. 정규성 가정이 성립하지 않으면, t영어-검정 대신 비모수 검정을 사용했을 때 통계적 검정력이 더 좋을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가 비정규적이고 그룹 간 분산이 다르면, t영어-검정이 일부 비모수적 대안보다 제1종 오류를 더 잘 제어할 수 있다.[28]
이상값이 있으면 t영어-검정은 강건하지 않다. 데이터 분포가 비대칭(분포가 왜곡됨)이거나 분포에 큰 꼬리가 있다면, 윌콕슨 순위합 검정(만-휘트니 ''U'' 검정)이 t영어-검정보다 3~4배 더 높은 검정력을 가질 수 있다.[27][29][30] 쌍체 표본 t영어-검정에 대한 비모수적 대응은 쌍체 표본에 대한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이다.
표본이 독립적이라면 만-휘트니 U 검정을, 짝을 이루는 표본이라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등을 사용할 수 있다.[33]
t영어-검정이 만-휘트니 U 검정 및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과 비교하여 필요한 표본 수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34] 1 미만은 t-검정에 필요한 표본 수가 더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포 | 비율 |
---|---|
정규 분포 | 0.9549 |
균등 분포 | 1 |
양측 지수 분포 | 1.5 |
로지스틱 분포 | 1.0966 |
지수 분포 | 3 |
대수 정규 분포 | 7.3537 |
감마 분포 | 1.2337 |
삼각 분포 | 0.8889 |
이 비율이 최소가 되는 분포 | 0.864 |
7. 윌리엄 고셋의 발견
t-분포는 1876년에 프리드리히 로베르트 헬메르트와[35][36][37] 야콥 뤼로스에[38][39][40] 의해 사후검정법 중 하나로 유도되었고, 1895년에는 칼 피어슨에 의해 피어슨 분포 4형의 특별한 꼴임이 밝혀졌다.[41] 1900년대 초 기네스 양조장에서 일하던 윌리엄 실리 고셋은 맥주 제조 과정에서 효모 수 측정의 부정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t-분포를 발견했다. 당시 발효 탱크 수가 적어(소표본) 정규 분포를 사용한 추정은 정확도가 낮았다. 고셋은 데이터를 조사하여 평균으로부터의 편차를 불편추정 표준 오차로 나눈 값(t값)이 특정 확률 분포(t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발견했다. 고셋은 이 내용을 1908년 과학 학술지 《바이오메트리카Biometrika》에 '스튜던트'라는 필명으로 발표했다.[44][45] 이후 로널드 피셔가 이 분포를 '스튜던트 t-분포', '스튜던트 t-테스트'라는 이름으로 소개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46]
8. 관련 통계 검정
Hotelling영어의 T-제곱 분포는 스튜던트 t 통계량을 일반화한 것으로, 여러 개의 측정값(종종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에 대한 가설 검정을 할 때 사용된다.[1] 예를 들어, 여러 성격 척도로 구성된 검사를 여러 사람에게 실시할 때, 각 척도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척도에 대해 별도로 t-검정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척도 간의 공분산을 무시하고, 적어도 하나의 가설을 잘못 기각할 확률(제1종 오류)을 높이기 때문이다. 이럴 때는 하나의 다변량 검정을 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Hotelling영어의 T-제곱 통계량은 T-제곱 분포를 따르지만, 실제로 이 분포는 표로 정리된 값을 찾기 어려워 거의 사용되지 않고, 대신 F 통계량으로 변환되어 사용된다.
- 일표본 다변량 검정: 평균 벡터가 주어진 벡터와 같은지 검정한다. 검정 통계량은 Hotelling영어의 t-제곱이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여기서 n은 표본 크기, 는 열 평균의 벡터, '''S'''는 표본 공분산 행렬이다.
- 이표본 다변량 검정: 두 표본의 평균 벡터가 같은지 검정한다. 검정 통계량은 Hotelling영어의 이표본 t-제곱이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단순 선형 회귀와의 관계두 표본 t-검정은 단순 선형 회귀의 특별한 경우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임상 시험에서 약물 또는 위약을 투여받은 6명의 환자를 조사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환자 | 약물 투여량 (drug.dose) | 단어 회상 (word.recall) |
---|---|---|
1 | 0 | 1 |
2 | 0 | 2 |
3 | 0 | 3 |
4 | 1 | 5 |
5 | 1 | 6 |
6 | 1 | 7 |
위의 표는 환자의 단어 회상 및 약물 투여량 값을 나타낸다. 이 데이터를 R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t-검정과 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t-검정 결과:
- 0 약물 투여량 그룹의 평균 단어 회상은 2이다.
- 1 약물 투여량 그룹의 평균 단어 회상은 6이다.
- 평균 단어 회상에서 치료 그룹 간의 차이는 4이다.
- 약물 투여량 간의 단어 회상 차이는 유의하다 (p=0.00805).
- 선형 회귀 결과:
계수 | 추정 | 표준 오차 | t 값 | P-값 |
---|---|---|---|---|
절편 | 2 | 0.5774 | 3.464 | 0.02572 |
drug.dose | 4 | 0.8165 | 4.899 | 0.000805 |
- 절편(intercept)의 추정 값 2는 약물 투여량이 0일 때 단어 회상의 평균 값이다.
- 약물 투여량(drug.dose) 계수의 추정 값 4는 약물 투여량이 1단위 증가할 때 평균 단어 회상이 4단위 증가함을 의미한다.
- 기울기 4가 0과 다른지에 대한 p-값은 0.00805이다.

위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t-검정에서 그룹 평균 간의 차이(4)와 선형 회귀에서 기울기(4)는 동일하며, p-값(0.00805)도 동일하다. 즉, 두 방법은 동일한 결과를 제공한다.
이처럼 t-검정은 x 변수가 0과 1의 값을 갖는 단순 선형 회귀의 특별한 경우에 해당하며, 이러한 관계를 통해 다중 선형 회귀 및 다중 방식 분산 분석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참조
[1]
서적
The Microbiome in Health and Disease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20-05-29
[2]
서적
Einführung in die Technische Mechanik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3
[3]
학술지
Untersuchungen über den anastomotischen Kanal zwischen der Arteria coeliaca und mesenterica superior und damit in Zusammenhang stehende Fragen
1937-10
[4]
학술지
Die Genauigkeit der Formel von Peters zur Berechnung des wahrscheinlichen Beobachtungsfehlers directer Beobachtungen gleicher Genauigkeit
https://zenodo.org/r[...]
1876
[5]
학술지
Vergleichung von zwei Werthen des wahrscheinlichen Fehlers
https://zenodo.org/r[...]
1876
[6]
학술지
Studies in the history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XLIV. A forerunner of the ''t''-distribution
[7]
학술지
Helmert's work in the theory of errors
1995
[8]
학술지
X. Contributions to the mathematical theory of evolution.—II. Skew variation in homogeneous material
[9]
웹사이트
T Table
https://www.tdistrib[...]
[10]
학술지
Pseudonymous fame
[11]
서적
Probability & statistics for engineers & scientists
Pearson
2006
[12]
학술지
The Probable Error of a Mean
http://seismo.berkel[...]
2016-07-24
[13]
학술지
William Sealy Gosset and William A. Silverman: Two 'Students' of Science
[14]
서적
The Concise Encyclopedia of Statist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5]
서적
High-Yield Behavioral Scienc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6]
서적
Mathematical Statistics and Data Analysis
Duxbury Advanced
2006
[17]
웹사이트
Student's ''t''-Distribution
http://mathworld.wol[...]
[18]
학술지
The Paired ''t'' Test Under Artificial Pairing
[19]
학술지
The Importance of the Normality Assumption in Large Public Health Data Sets
2002-05
[20]
학술지
Condi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a Preliminary Test of Variance
[21]
학술지
A comparative review of methods for comparing means using partially paired data
2017
[22]
서적
An Introduction to Medical Statis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3]
웹사이트
Central limit theorem and the normality assumption > Normality > Continuous distributions > Distribution > Statistical Reference Guide
https://analyse-it.c[...]
2024-05-17
[24]
학술지
Comparison of Normality Tests in Terms of Sample Sizes under Different Skewness and Kurtosis Coefficients
http://dx.doi.org/10[...]
2022-06-26
[25]
문서
Minimum Detectable Difference for Two-Sample t-Test for Means. Equation and example adapted from Zar, 1984
https://webspace.shi[...]
[26]
arXiv
Te Test: A New Non-asymptotic T-test for Behrens-Fisher Problems
[27]
학술지
A More Realistic Look at the Robustness and Type II Error Properties of the ''t'' Test to Departures From Population Normality
[28]
학술지
Invalidation of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s by Concurrent Violation of Two Assumptions
1998-01
[29]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Power of Wilcoxon's Rank-Sum Statistic to That of Student's ''t'' Statistic Under Various Nonnormal Distributions
[30]
학술지
Wilcoxon–Mann–Whitney or ''t''-test? On assumptions for hypothesis tests and multiple interpretations of decision rules
http://www.i-journal[...]
[31]
학술지
How to compare the means of two samples that include paired observations and independent observations: A companion to Derrick, Russ, Toher and White (2017)
http://eprints.uwe.a[...]
2017
[32]
간행물
JIS Z 8101-1 : 1999 統計 − 用語と記号 − 第1部:確率及び一般統計用語 2.61 t検定
http://kikakurui.com[...]
日本規格協会
[33]
서적
ノンパラメトリック法 (統計解析スタンダード)
朝倉書店
[34]
서적
ノンパラメトリック法 (統計解析スタンダード)
朝倉書店
[35]
서적
Einführung in die Technische Mechanik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03
[36]
저널
Untersuchungen über den anastomotischen Kanal zwischen der Arteria coeliaca und mesenterica superior und damit in Zusammenhang stehende Fragen
1937-10
[37]
저널
Die Genauigkeit der Formel von Peters zur Berechnung des wahrscheinlichen Beobachtungsfehlers directer Beobachtungen gleicher Genauigkeit
https://zenodo.org/r[...]
1876
[38]
저널
Vergleichung von zwei Werthen des wahrscheinlichen Fehlers
https://zenodo.org/r[...]
1876
[39]
저널
Studies in the history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XLIV. A forerunner of the t-distribution
1996
[40]
저널
Helmert's work in the theory of errors
1995
[41]
저널
Contributions to the Mathematical Theory of Evolution. II. Skew Variation in Homogeneous Material
1895-01-01
[42]
저널
William Sealy Gosset and William A. Silverman: Two "students" of science
2005
[43]
간행물
Pseudonymous fame
2016
[44]
저널
The probable error of a mean
1908
[45]
웹인용
T Table {{!}} History of T Table, Etymology, one-tail T Table, two-tail T Table and T-statistic
https://www.tdistrib[...]
[46]
서적
Probability & statistics for engineers & scientists
Pearson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