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EFA 유로 1988 선수 명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EFA 유로 1988에 참가한 각 국가의 선수 명단을 정리한 문서이다. 서독, 이탈리아, 스페인, 덴마크가 A조에, 소련, 네덜란드, 아일랜드, 잉글랜드가 B조에 속했다. 각 팀의 감독, 선수 정보와 함께 조별 리그, 토너먼트, 결승전 결과가 담겨 있다. 네덜란드는 결승전에서 소련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UEFA 유로 1988 - UEFA 유로 1988 예선
UEFA 유로 1988 예선은 서독에서 개최되는 UEFA 유로 1988 본선에 진출할 7개 팀을 가리기 위해 유럽 축구 연맹(UEFA) 주관으로 진행되었으며, 총 32개 팀이 7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의 조별 리그를 치러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 UEFA 유로 1988 - UEFA 유로 1988 결승전
네덜란드는 1988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결승전에서 소련을 2-0으로 꺾고 뤼트 휠릿의 선제골과 마르코 판 바스턴의 발리슛에 힘입어 사상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소련은 페널티킥 실축으로 추격에 실패했다. - 소련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축구 국가대표팀 - 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
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는 벨라루스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소비에트 연방 대표팀에서 73경기 출전, UEFA 유로 1988 준우승을 기록했고, 벨라루스의 골든 플레이어로 선정되기도 했다. - 소련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축구 국가대표팀 - 안드레이 칸첼스키스
소련과 러시아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인 안드레이 칸첼스키스는 빠른 속도와 드리블 능력을 가진 윙어로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등에서 활약하며 프리미어리그 우승 2회 등을 기록했고, 소련, CIS, 러시아 국가대표팀에서 59경기 7골을 기록했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클럽에서 감독직을 수행했다. - UEFA 유로 1988 선수 명단 - 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
세르게이 알레이니코프는 벨라루스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소비에트 연방 대표팀에서 73경기 출전, UEFA 유로 1988 준우승을 기록했고, 벨라루스의 골든 플레이어로 선정되기도 했다. - UEFA 유로 1988 선수 명단 - 호세 마리 바케로
호세 마리 바케로는 스페인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레알 소시에다드와 FC 바르셀로나에서 활약하며 FC 바르셀로나 '드림팀'의 핵심 멤버로서 리그 우승과 유러피언컵 우승에 기여했고,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다.
| UEFA 유로 1988 선수 명단 |
|---|
2. 참가국 및 선수 명단
2. 1. A조
2. 1. 1. 서독
감독: 프란츠 베켄바워|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경기 | 득점 | 소속 클럽 |
|---|---|---|---|---|---|---|
| 1 | GK | 이멜 | 1960년 11월 27일(1960-11-27) (27세) | 15 | 0 | VfB 슈투트가르트 |
| 2 | DF | 부흐발트 | 1961년 1월 24일(1961-01-24) (27세) | 18 | 0 | VfB 슈투트가르트 |
| 3 | DF | 브레메 | 1960년 11월 9일(1960-11-09) (27세) | 36 | 3 | FC 바이에른 뮌헨 |
| 4 | DF | 콜러 | 1965년 10월 6일(1965-10-06) (22세) | 15 | 0 | 1. FC 쾰른 |
| 5 | DF | 헤르게트 | 1955년 11월 14일(1955-11-14) (32세) | 34 | 1 | KFC 위어딩겐 05 |
| 6 | DF | 보로프카 | 1962년 5월 19일(1962-05-19) (26세) | 2 | 0 | SV 베르더 브레멘 |
| 7 | MF | 리트바르스키 | 1960년 4월 16일(1960-04-16) (28세) | 53 | 15 | 1. FC 쾰른 |
| 8 | MF | 마테우스 (주장) | 1961년 3월 21일(1961-03-21) (27세) | 61 | 16 | FC 바이에른 뮌헨 |
| 9 | FW | 푈러 | 1960년 4월 13일(1960-04-13) (28세) | 49 | 21 | AS 로마 |
| 10 | MF | 톤 | 1966년 5월 1일(1966-05-01) (22세) | 24 | 4 | FC 샬케 04 |
| 11 | FW | 밀 | 1958년 7월 23일(1958-07-23) (29세) | 10 | 0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 12 | GK | 일그너 | 1967년 4월 7일(1967-04-07) (21세) | 3 | 0 | 1. FC 쾰른 |
| 13 | MF | 부트케 | 1961년 11월 17일(1961-11-17) (26세) | 3 | 0 |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
| 14 | DF | 베어톨트 | 1964년 11월 12일(1964-11-12) (23세) | 26 | 0 | 헬라스 베로나 FC |
| 15 | DF | 플뤼글러 | 1960년 3월 27일(1960-03-27) (28세) | 6 | 0 | FC 바이에른 뮌헨 |
| 16 | FW | 에크슈타인 | 1964년 3월 12일(1964-03-12) (24세) | 5 | 0 | 1. FC 뉘른베르크 |
| 17 | MF | 도르프너 | 1965년 7월 3일(1965-07-03) (22세) | 5 | 1 | FC 바이에른 뮌헨 |
| 18 | FW | 클린스만 | 1964년 7월 30일(1964-07-30) (23세) | 5 | 0 | VfB 슈투트가르트 |
| 19 | DF | 자우어 | 1964년 6월 11일(1964-06-11) (23세) | 0 | 0 | SV 베르더 브레멘 |
| 20 | MF | 롤프 | 1959년 12월 26일(1959-12-26) (28세) | 31 | 1 | 바이엘 레버쿠젠 |
서독은 조별 리그에서 1승 2무로 조 2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네덜란드에 1-2로 패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2. 1. 2. 이탈리아
|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수 | 득점 | 클럽 |
|---|---|---|---|---|---|---|
| 1 | GK | 젱가 | 1960년 4월 28일(1960-04-28) (28세) | 17 | 0 | 인테르 |
| 2 | DF | 바레시 | 1960년 5월 8일(1960-05-08) (28세) | 21 | 0 | 밀란 |
| 3 | DF | 베르고미 (주장) | 1963년 12월 22일(1963-12-22) (24세) | 46 | 3 | 인테르 |
| 4 | DF | 크라베로 | 1964년 1월 3일(1964-01-03) (24세) | 0 | 0 | 토리노 |
| 5 | DF | 페라라 | 1967년 2월 11일(1967-02-11) (21세) | 4 | 0 | 나폴리 |
| 6 | DF | 페리 | 1963년 8월 20일(1963-08-20) (24세) | 12 | 0 | 인테르 |
| 7 | DF | 프란치니 | 1963년 8월 3일(1963-08-03) (24세) | 7 | 0 | 나폴리 |
| 8 | DF | 말디니 | 1968년 6월 26일(1968-06-26) (19세) | 3 | 0 | 밀란 |
| 9 | MF | 안첼로티 | 1959년 6월 10일(1959-06-10) (29세) | 17 | 1 | 밀란 |
| 10 | MF | 데 아고스티니 | 1963년 4월 7일(1963-04-07) (25세) | 10 | 3 | 유벤투스 |
| 11 | MF | 데 나폴리 | 1964년 3월 15일(1964-03-15) (24세) | 21 | 1 | 나폴리 |
| 12 | GK | 타코니 | 1957년 5월 13일(1957-05-13) (31세) | 1 | 0 | 유벤투스 |
| 13 | MF | 푸시 | 1963년 6월 7일(1963-06-07) (25세) | 1 | 0 | 삼프도리아 |
| 14 | MF | 잔니니 | 1964년 8월 20일(1964-08-20) (23세) | 15 | 0 | 로마 |
| 15 | MF | 프란체스코 로마노 | 1960년 4월 25일(1960-04-25) (28세) | 0 | 0 | 나폴리 |
| 16 | FW | 알토벨리 | 1955년 11월 28일(1955-11-28) (32세) | 57 | 24 | 인테르 |
| 17 | MF | 도나도니 | 1963년 9월 9일(1963-09-09) (24세) | 16 | 1 | 밀란 |
| 18 | FW | 만치니 | 1964년 11월 27일(1964-11-27) (23세) | 13 | 2 | 삼프도리아 |
| 19 | FW | 리치텔리 | 1967년 9월 2일(1967-09-02) (20세) | 2 | 0 | 체세나 |
| 20 | FW | 비알리 | 1964년 7월 9일(1964-07-09) (23세) | 25 | 7 | 삼프도리아 |
이탈리아는 조별 리그에서 2승 1무로 조 1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소련에 0-2로 패배하여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2. 1. 3. 스페인
{{#tag:onlyinclude|'''감독:''' 미겔 무뇨스
|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수 | 득점 | 소속팀 | ||
|---|---|---|---|---|---|---|---|---|
| 1 | GK | 안도니 수비사레타 | 안도니 수비사레타/Andoni Zubizarretaes | 1961년 10월 23일(1961-10-23) (26세) | 115 | 바르셀로나 | ||
| 2 | DF | 토마스 | 토마스 레뇨네스/Tomás Reñoneses | 1960년 8월 9일(1960-08-09) (27세) | 31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
| 3 | DF |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 |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José Antonio Camachoes (주장) | 1955년 6월 8일(1955-06-08) (33세) | 73 | 레알 마드리드 | ||
| 4 | DF | 헤나르 안드리누아 | 헤나르 안드리누아/Genar Andrinúaes | 1964년 5월 9일(1964-05-09) (24세) | 66 | 아틀레틱 빌바오 | ||
| 5 | MF | 빅토르 무뇨스 | 빅토르 무뇨스/Víctor Muñozes | 1957년 3월 15일(1957-03-15) (31세) | 44 | 바르셀로나 | ||
| 6 | MF | 라몬 칼데레 | 라몬 칼데레/Ramón Calderées | 1959년 1월 16일(1959-01-16) (29세) | 21 | 바르셀로나 | ||
| 7 | FW | 훌리오 살리나스 | 훌리오 살리나스/Julio Salinases | 1962년 9월 11일(1962-09-11) (25세) | 30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
| 8 | DF | 마누엘 산치스 | 마누엘 산치스 온티유엘로/Manuel Sanchís Hontiyueloes | 1965년 3월 23일(1965-03-23) (23세) | 13 | 레알 마드리드 | ||
| 9 | FW | 에밀리오 부트라게뇨 | 에밀리오 부트라게뇨/Emilio Butragueñoes | 1963년 7월 22일(1963-07-22) (24세) | 19 | 레알 마드리드 | ||
| 10 | FW | 엘로이 | 엘로이 올라야/Eloy Olayaes | 1964년 7월 10일(1964-07-10) (23세) | 32 | 스포르팅 히혼 | ||
| 11 | DF | 라파엘 고르디요 | 라파엘 고르디요/Rafael Gordilloes | 1957년 2월 24일(1957-02-24) (31세) | 61 | 레알 마드리드 | ||
| 12 | DF | 디에고 | 디에고 로드리게스 페르난데스/Diego Rodríguez Fernándezes | 1960년 4월 20일(1960-04-20) (28세) | 1 | 레알 베티스 | ||
| 13 | GK | 프란시스코 부요 | 프란시스코 부요/Francisco Buyoes | 1958년 1월 13일(1958-01-13) (30세) | 2 | 레알 마드리드 | ||
| 14 | MF | 리카르도 가예고 | 리카르도 가예고/Ricardo Gallegoes | 1959년 2월 8일(1959-02-08) (29세) | 44 | 레알 마드리드 | ||
| 15 | MF | 에우세비오 | 에우세비오 사크리스탄/Eusebio Sacristánes | 1964년 4월 13일(1964-04-13) (24세) | 17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
| 16 | MF | 호세 마리 바케로 | 호세 마리 바케로/José Mari Bakeroes | 1963년 2월 11일(1963-02-11) (25세) | 3 | 레알 소시에다드 | ||
| 17 | MF | 치키 베기리스타인 | 치키 베히리스타인/Txiki Begiristaines | 1964년 8월 12일(1964-08-12) (23세) | 12 | 레알 소시에다드 | ||
| 18 | DF | 미켈 솔레르 | 미켈 솔레르/Miquel Soleres | 1965년 3월 13일(1965-03-13) (23세) | 23 | 에스파뇰 | ||
| 19 | MF | 라파엘 마르틴 바스케스 | 라파엘 마르틴 바스케스/Rafael Martín Vázquezes | 1965년 9월 25일(1965-09-25) (22세) | 3 | 레알 마드리드 | ||
| 20 | MF | 미첼 | 1963년 3월 23일(1963-03-23) (25세) | 1 | 레알 마드리드 |
스페인은 조별 리그에서 1승 2패로 조 3위에 그치며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다.
)
}}
2. 1. 4. 덴마크
피온테크 감독이 이끄는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은 UEFA 유로 1988에 참가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3전 전패를 당하며 최하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주요 선수로는 라우드루프(당시 유벤투스 소속), 엘키에르 라르센(당시 엘라스 베로나 소속) 등이 있었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횟수 | 골 | 소속 클럽 |
|---|---|---|---|---|---|---|
| 1 | GK | 라스무센 | 1961년 4월 7일 (27세) | 27 | 0 | AGFda |
| 2 | DF | 시베베크 | 1961년 10월 25일 (26세) | 49 | 0 | AS 생테티엔프랑스어 |
| 3 | DF | 부스크 | 1953년 4월 10일 (35세) | 59 | 2 | 비너 SCde |
| 4 | DF | M. 올센 (주장) | 1949년 8월 14일 (38세) | 95 | 4 | 1. FC 쾰른de |
| 5 | DF | 닐센 | 1956년 10월 9일 (31세) | 42 | 0 | PSV 에인트호번nl |
| 6 | MF | 레르뷔 | 1958년 2월 1일 (30세) | 64 | 11 | PSV 에인트호번nl |
| 7 | MF | 헬트 | 1959년 12월 29일 (28세) | 15 | 0 | 린그비 BKda |
| 8 | MF | 프리만 | 1962년 6월 4일 (26세) | 14 | 1 | AGFda |
| 9 | DF | 헤인체 | 1963년 8월 17일 (24세) | 5 | 0 | PSV 에인트호번nl |
| 10 | FW | 엘키에르 라르센 | 1957년 9월 11일 (30세) | 67 | 38 | 엘라스 베로나 FCit |
| 11 | MF | 라우드루프 | 1964년 6월 15일 (23세) | 43 | 5 | 유벤투스 FCit |
| 12 | DF | L. 올센 | 1961년 2월 2일 (27세) | 11 | 0 | 브뢴비 IFda |
| 13 | MF | 옌센 | 1965년 5월 3일 (23세) | 12 | 0 | 브뢴비 IFda |
| 14 | MF | J. 올센 | 1961년 3월 20일 (27세) | 40 | 5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영어 |
| 15 | FW | 포울센 | 1966년 12월 3일 (21세) | 11 | 1 | 1. FC 쾰른de |
| 16 | GK | 슈마이켈 | 1963년 11월 18일 (24세) | 6 | 0 | 브뢴비 IFda |
| 17 | MF | 베르그렌 | 1958년 2월 3일 (30세) | 43 | 5 | 토리노 FCit |
| 18 | FW | 에릭센 | 1957년 11월 20일 (30세) | 14 | 4 | 세르베트 FC프랑스어 |
| 19 | DF | 크리스텐센 | 1963년 10월 10일 (24세) | 7 | 1 | AGFda |
| 20 | MF | 빌포르트 | 1962년 11월 15일 (25세) | 9 | 0 | 브뢴비 IFda |
2. 2. B조
2. 2. 1. 소련
로바노우스키 감독 체제의 소련 대표팀은 UEFA 유로 1988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소련은 조별 리그에서 2승 1무로 조 1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 이탈리아를 2-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지만, 네덜란드에 0-2로 패하며 아쉽게 우승컵을 놓쳤다.다음은 당시 소련 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 번호 | 포지션 | 이름 | 소속팀 |
|---|---|---|---|
| 1 | GK | 리나트 다사예프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 2 | DF | 베즈소노우 | 디나모 키예프 |
| 3 | DF | 히디야툴린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 4 | DF | 쿠즈네초프 | 디나모 키예프 |
| 5 | DF | 데미야넨코 | 디나모 키예프 |
| 6 | MF | 라츠 | 디나모 키예프 |
| 7 | MF | 알레이니코프 | 디나모 민스크 |
| 8 | MF | 리톱첸코 | 디나모 키예프 |
| 9 | MF | 자바로프 | 디나모 키예프 |
| 10 | FW | 프로타소프 | 디나모 키예프 |
| 11 | FW | 벨라노프 | 디나모 키예프 |
| 12 | DF | 비슈넵스키 | 드니프로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
| 13 | DF | 술라크벨리제 | 디나모 트빌리시 |
| 14 | DF | 수크리스토프 | 잘기리스 |
| 15 | MF | 미하일리첸코 | 디나모 키예프 |
| 16 | GK | 차노프 | 디나모 키예프 |
| 17 | FW | 드미트리예프 | 제니트 레닌그라드 |
| 18 | MF | 고츠마노프 | 디나모 민스크 |
| 19 | DF | 발타차 | 디나모 키예프 |
| 20 | MF | 파술코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2. 2. 2. 네덜란드
'''감독:''' 리뉘스 미헐스
|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 골 | 클럽 |
|---|---|---|---|---|---|---|
| 1 | GK | 판 브뢰켈런 | 1956년 10월 4일 (31세) | 35 | 0 | PSV 에인트호번 |
| 2 | DF | 판 티헬런 | 1957년 6월 16일 (30세) | 24 | 0 | 안데를레흐트 |
| 3 | DF | 트로스트 | 1959년 8월 28일 (28세) | 3 | 0 | 페예노르트 |
| 4 | DF | R. 쿠만 | 1963년 3월 21일 (25세) | 23 | 1 | PSV 에인트호번 |
| 5 | MF | 빈터르 | 1967년 3월 1일 (21세) | 6 | 0 | 아약스 |
| 6 | DF | 판 알러 | 1962년 12월 8일 (25세) | 6 | 0 | PSV 에인트호번 |
| 7 | MF | 파넨뷔르흐 | 1964년 3월 5일 (24세) | 22 | 0 | PSV 에인트호번 |
| 8 | MF | 뮈런 | 1951년 5월 2일 (37세) | 18 | 2 | 아약스 |
| 9 | FW | 보스만 | 1965년 2월 1일 (23세) | 12 | 9 | 아약스 |
| 10 | FW | 휠릿 (주장) | 1962년 9월 1일 (25세) | 34 | 10 | 밀란 |
| 11 | MF | 판 어트 스히프 | 1963년 12월 30일 (24세) | 16 | 1 | 아약스 |
| 12 | FW | 판 바스턴 | 1964년 10월 31일 (23세) | 19 | 8 | 밀란 |
| 13 | MF | E. 쿠만 | 1961년 9월 20일 (26세) | 10 | 1 | KV 메헬렌 |
| 14 | FW | 키프트 | 1962년 11월 12일 (25세) | 15 | 6 | PSV 에인트호번 |
| 15 | DF | 쿠베르만스 | 1960년 6월 28일 (27세) | 1 | 0 | 포르투나 시타르트 |
| 16 | GK | 힐러 | 1958년 12월 25일 (29세) | 4 | 0 | 페예노르트 |
| 17 | DF | 레이카르트 | 1962년 9월 30일 (25세) | 26 | 2 | 사라고사 |
| 18 | DF | 쉬프린 | 1962년 10월 26일 (25세) | 6 | 0 | 로다 JC |
| 19 | MF | 크뤼젠 | 1964년 11월 24일 (23세) | 3 | 0 | 덴 보스 |
| 20 | MF | 바우터르스 | 1960년 7월 17일 (27세) | 14 | 0 | 아약스 |
네덜란드는 조별 리그에서 2승 1패로 조 2위를 기록하며 준결승에 진출, 서독을 2-1로 꺾고 결승에 진출하여 소련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 2. 3. 아일랜드
잭 찰턴이 아일랜드 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주요 선수로는 리버풀 소속의 존 앨드리지와 레이 호턴이 있었다.아일랜드는 조별 리그에서 1승 1무 1패, 조 3위의 성적을 거두며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다.
| 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 | 출장 경기 수 | 소속팀 |
|---|---|---|---|---|
| 패키 보너 | GK | 1960년 5월 24일 | 23 | 셀틱 FC/Celtic F.C.sco |
| 크리스 모리스 | DF | 1963년 12월 24일 | 5 | 셀틱 FC/Celtic F.C.sco |
| 크리스 휴턴 | DF | 1958년 12월 11일 | 36 | 토트넘 홋스퍼 |
| 믹 매카시 | DF | 1959년 2월 7일 | 27 | 셀틱 FC/Celtic F.C.sco |
| 케빈 모런 | DF | 1956년 4월 29일 | 36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 로니 휠런 | MF | 1961년 9월 25일 | 26 | 리버풀 |
| 폴 맥그라스 | MF | 1959년 12월 4일 | 23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 레이 호턴 | MF | 1962년 1월 9일 | 15 | 리버풀 |
| 존 올드리지 | FW | 1958년 9월 18일 | 15 | 리버풀 |
| 프랭크 스테이플턴 | FW | 1956년 7월 10일 | 63 | 더비 카운티 |
| 토니 갤빈 | MF | 1956년 7월 12일 | 24 | 셰필드 웬즈데이 |
| 토니 카스카리노 | FW | 1962년 9월 1일 | 5 | 밀월 |
| 리암 오브라이언 | MF | 1964년 9월 5일 | 6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 데이비드 켈리 | FW | 1965년 11월 25일 | 3 | 월솔 |
| 케빈 시디 | MF | 1959년 10월 21일 | 13 | 에버턴 |
| 제리 페이튼 | GK | 1956년 5월 20일 | 24 | 본머스 |
| 존 번 | FW | 1961년 2월 1일 | 14 | 르아브르 AC/Le Havre AC프랑스어 |
| 존 셰리던 | MF | 1964년 10월 1일 | 4 | 리즈 유나이티드 |
| 존 앤더슨 | DF | 1959년 10월 7일 | 15 | 뉴캐슬 유나이티드 |
| 나일 퀸 | FW | 1966년 10월 6일 | 9 | 아스날 |
2. 2. 4. 잉글랜드
|'''감독''': 보비 롭슨
|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나이) | 출전 경기 | 득점 | 클럽 | |
|---|---|---|---|---|---|---|---|
| 1 | GK | 실턴 | 1949년 9월 18일(만 38세) | 98 | 더비 카운티 | ||
| 2 | DF | 스티븐스 | 1963년 3월 27일 (만 25세) | 23 | 에버턴 | ||
| 3 | DF | 샌섬 | 1958년 9월 26일 (만 29세) | 83 | 아스널 | ||
| 4 | MF | 웨브 | 1963년 7월 30일 (만 24세) | 7 | 노팅엄 포레스트 | ||
| 5 | DF | 왓슨 | 1961년 11월 20일 (만 26세) | 11 | 에버턴 | ||
| 6 | DF | 애덤스 | 1966년 10월 10일 (만 21세) | 11 | 아스널 | ||
| 7 | MF | 브라이언 롭슨 (주장) | 1957년 1월 11일 (만 31세) | 66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
| 8 | MF | 스티븐 | 1963년 9월 21일 (만 24세) | 23 | 에버턴 | ||
| 9 | FW | 비어슬리 | 1961년 1월 18일 (만 27세) | 24 | 리버풀 | ||
| 10 | FW | 리네커 | 1960년 11월 30일 (만 27세) | 32 | 바르셀로나 | ||
| 11 | MF | 반스 | 1963년 11월 7일 (만 24세) | 39 | 리버풀 | ||
| 12 | MF | 워들 | 1960년 12월 14일 (만 27세) | 34 | 토트넘 홋스퍼 | ||
| 13 | GK | 우즈 | 1959년 11월 14일 (만 28세) | 12 | 레인저스 | ||
| 14 | DF | 앤더슨 | 1956년 7월 29일 (만 31세) | 30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
| 15 | MF | 맥마흔 | 1961년 8월 20일 (만 26세) | 3 | 리버풀 | ||
| 16 | MF | 리드 | 1956년 6월 20일 (만 31세) | 13 | 에버턴 | ||
| 17 | MF | 호들 | 1957년 10월 27일 (만 30세) | 50 | 모나코 | ||
| 18 | FW | 하틀리 | 1961년 11월 7일 (만 26세) | 28 | 모나코 | ||
| 19 | DF | 마크 라이트 | 1963년 8월 1일 (만 24세) | 20 | 더비 카운티 | ||
| 20 | DF | 도리고 | 1965년 12월 31일 (만 22세) | 0 | 첼시 |
}}
잉글랜드는 조별 리그에서 3전 전패를 기록하며 조 최하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3. 대회 진행 과정
3. 1. 조별 리그
3. 2. 토너먼트
3. 2. 1. 준결승전
서독과 네덜란드의 경기에서는 네덜란드가 2-1로 승리했다. 소련과 이탈리아의 경기에서는 소련이 2-0으로 승리했다.
3. 2. 2. 결승전
결승전에서는 네덜란드가 소련을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4. 결과
5.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