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지미 카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SS 지미 카터 (SSN-23)는 제너럴 다이내믹스사의 일렉트릭 보트 부서에서 건조한 미국 해군의 시울프급 핵추진 잠수함이다. 1996년 건조 계약이 체결되어 2005년 취역했으며, 특수 작전 지원 능력 강화를 위해 선체가 30m 연장되고 다목적 플랫폼(MMP)이 추가되었다. 뱅고어 부두를 모항으로 북극, 러시아 태평양 함대 부근, 북한 미사일 발사 기지, 중국 연안 등에서 작전하며, 2007년과 2012년 전투 효율성 포상, 2013년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선박 - 뉴 카멜리아호
뉴 카멜리아호는 후쿠오카 하카타항과 부산항을 잇는 카페리 여객선으로, 배리어프리 설계와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하카타-부산 항로를 운항하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는 화물 수송만 담당했다. - 2004년 선박 - 209형 잠수함
209형 잠수함은 서독에서 개발된 수출형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으로, 경제성과 운용 편의성을 갖추어 다양한 서브 타입으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의 장보고급 잠수함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 첩보 기술 - 방첩
방첩은 적대 세력의 스파이 활동, 파괴 행위, 전복, 테러 등을 방지하고 무력화하는 활동이며, 수사, 작전, 정보 수집, 분석 등을 통해 자국 내 취약점을 파악하고 적대 세력의 시도를 차단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 첩보 기술 - 방범
방범은 개인, 지역사회, 국가 차원에서 범죄를 예방하고 사회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활동으로, 물리적/사회적 환경 개선, 기술 활용 시스템 도입, 제도적 노력, 홍보 활동 등을 포함한다.
USS 지미 카터 - [배(Ship)]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함명 | USS 지미 카터 |
함명 유래 | 지미 카터 |
기공 | 1998년 12월 5일 |
진수 | 2004년 5월 13일 |
취역 | 2005년 2월 19일 |
모항 | 워싱턴주의 뱅고어 Annex, 키트삽 해군 기지 |
모토 | Semper Optima ("항상 최고를") |
![]() | |
함선 정보 | |
함급 | 개량형 씨울프급 잠수함 |
배수량 | 경하: 7,568톤 만재: 12,139톤 사하중: 1,569톤 |
길이 | 전체: 138m 수선: 128.5m |
폭 | 12.1m |
흘수선 | 10.9m |
추진 | WEC S6W형가압수형 원자로 45,000마력 |
속력 | 46km/h (25노트) 이상 |
승조원 | 장교 15명, 사병 126명 |
무장 | 660mm 어뢰 발사관 8기 (21인치 무기용 슬리브 장착), 토마호크/하푼/Mk 48 유도 어뢰 최대 50기 |
건조 정보 | |
발주 | 1996년 6월 29일 |
건조 | 제너럴 다이내믹스 일렉트릭 보트 |
식별 정보 | |
C4I | BSY-2 SUBACS-B, CCS Mk2 |
레이더 | BPS-16, BRD-9, WLQ-4 |
소나 | 통합 BQQ-5E (BQS-13, BQG-5A WAA, WLY-1, BQS-24, 예인 어레이 TB-16E 및 TB-29) |
2. 역사
지미 카터는 미국 민주당 출신의 제39대 미국 대통령으로, 지미 카터함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98년 12월 5일 기공하여 2004년 5월 13일 진수되었고, 2005년 2월 19일에 취역했다.
지미 카터함은 경하 배수량 7,568톤, 만재배수량 12,139톤에 S6W 원자로 1개를 탑재했다. 저소음 최대속도는 수중 20노트(37 km/h), 소음이 큰 최대속도는 35노트(65 km/h)이다. 모항인 워싱턴주 키쌉 해군기지에서 북한 동해안까지는 8300 km로, 20노트 속도로 10일이면 도착한다.
건조비는 35억달러로, 시울프급 3척 중 가장 비싸다. 이전 2척과 달리 네이비 실 특수부대와 ROV 출입을 위한 2500톤 무게의 공간을 추가하여 잠수함 길이가 30m 늘어났다.
한국 노무현 정부는 SLBM 미탑재 공격원잠(SSN) 1대 건조 비용을 1.3조원으로 추산했으며, 문재인 대통령은 공격원잠 건조를 대선 공약으로 내걸었다. 지미 카터함은 같은 공격원잠이지만 건조 비용이 4조원으로 3배 더 비싸다.
2. 1. 건조
제너럴 다이내믹스사의 일렉트릭 보트 부서와 1996년 6월 29일 건조 계약이 체결되었다.[5] 1998년 12월 5일, 코네티컷 주 그로턴에서 기공되었으나,[5] 2001년 말 또는 2002년 초로 예정되었던 취역은 기밀 임무 수행 및 특수전 지원 능력 강화를 위한 개조 작업으로 인해 지연되었다.1999년 12월 10일, 일렉트릭 보트는 8억 8,700만 달러(8.87억달러) 규모의 계약 연장을 통해 잠수함 개조 작업을 진행했다.[5] 이 과정에서 선체가 약 30m 연장되어 2,500톤 규모의 다목적 플랫폼(MMP)이 추가되었다.[6][7][8] MMP는 잠수부, 원격 무인 잠수정(ROV), 특수 작전 장비를 위한 해양 인터페이스, ROV 처리 시스템, 임무 시스템 저장 및 배치 공간, 승무원 수용을 위한 가압 통로를 갖추고 있다.[6][7][8]
2004년 6월 5일, 전 영부인 로잘린 카터 여사의 후원으로 명명 및 진수되었다.[5]
2. 2. 취역 및 배치
지미 카터는 2005년 2월 19일 뉴런던 해군 기지에서 정식 취역했다.[13] 2005년 10월 14일 키트샙 해군 기지의 뱅고어 부두를 모항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으나, 높은 파도로 인해 잠수함이 해상 운행 중 손상을 입어 회항했다. 이후 수리되었고, 다음 날 뉴런던을 떠나 2005년 11월 9일 오후 뱅고어에 도착하여 배치되었다.[13]2. 3. 임무 수행
지미 카터함은 북극, 러시아 태평양 함대 부근, 북한 미사일 발사 기지, 중국 연안 등에서 다양한 기밀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2017년 4월과 9월, 지미 카터함은 키쌉 해군 기지의 뱅고어 모항에 해적기(졸리 로저)를 게양하고 귀환했는데,[13] 이는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의미한다. 잠수함이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을 때 해적기를 게양하는 것은 1914년 영국 해군의 전통에서 유래한 것이다.[18]3. 특징
USS Jimmy Carter영어는 시울프급 잠수함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함선으로, 이전 함선들과 구별되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다목적 플랫폼(MMP)을 탑재하여 네이비 실 특수부대 지원과 기밀 임무 수행 능력이 강화되었으며, 특이한 해류에서도 정밀한 위치 유지가 가능하다.[1] 경하 배수량 7568ton, 만재 배수량 12139ton이며, 열출력 216 MWt의 S6W 원자로 1개를 탑재했다. 저소음 최대 속도는 수중 20노트(37 km/h), 소음이 큰 최대 속도는 35노트(65 km/h)이다. 모항인 워싱턴주 키쌉 해군기지에서 북한 동해안까지는 8300km로서, 20노트 속도로 10일이면 도착한다.
3. 1. 다목적 플랫폼 (MMP)
지미 카터함은 시울프급 잠수함 중에서도 특수전 지원 및 기밀 임무 수행을 위해 다목적 플랫폼(MMP)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MMP는 네이비 실 특수부대와 원격 무인 잠수정(ROV) 운용을 위한 공간으로, 이 때문에 잠수함의 길이가 약 30m 늘어났다.[5]MMP 내부에는 잠수부, ROV 및 특수 작전 장비를 위한 해양 인터페이스, ROV 처리 시스템, 임무 시스템 저장 및 배치 공간, 승무원 수용 공간 등이 있다.[6][7][8]
또한 지미 카터함은 특이한 해류에서도 특정 표적 위에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앞뒤에 추가적인 기동 장치를 장착했다. 정보 전문가들은 MMP가 광섬유 케이블의 수중 연결 챔버로 임무에 사용될 수 있다고 추측한다.[9][10][11][12]
3. 2. 성능
경하 배수량 7568ton, 만재 배수량 12139ton이며, 열출력 216 MWt의 S6W 원자로 1개를 탑재했다. 저소음 최대 속도는 수중 20노트(37 km/h), 소음이 큰 최대 속도는 35노트(65 km/h)이다. 모항인 워싱턴주 키쌉 해군기지에서 북한 동해안까지는 8300km로서, 20노트 속도로 10일이면 도착한다. 특이한 해류에서도 특정 표적 위에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앞뒤에 추가적인 기동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1]4. 수상 경력
- 2007년 전투 효율성 포상(Battle "E")[14]
- 2012년 전투 효율성 포상
- 2013년 "미션 7"으로 알려진 작전에 대한 공로로 대통령 부대 표창 수상. 이는 함선 전체에 수여되는 해군 십자장과 동등한 훈장이다.[15][16]
5. 생존 인물의 이름을 딴 미 군함
다음은 생존 인물의 이름을 딴 미 군함 목록이다.
- 칼 빈슨 (USS Carl Vinson, CVN-70)
- 알레이 버크 (USS Arleigh Burke, DDG-51)
- '''지미 카터''' (USS Jimmy Carter, SSN-23)
- 로널드 레이건 (USS Ronald Reagan, CVN-76)
- 하이먼 G. 리코버 (USS Hyman G. Rickover, SSN-709)
- 밥 호프 (USNS Bob Hope, T-AKR-300)
- 조지 H. W. 부시 (USS George H. W. Bush, CVN-77)
- 니체 (USS Nitze, DDG-94)
참조
[1]
웹사이트
The US Navy -- Fact File
http://www.navy.mil/[...]
2007-07-05
[2]
웹사이트
Learning from Experience: Volume II: Lessons from the U.S. Navy's Ohio, Seawolf, and Virginia Submarine Programs
https://www.rand.org[...]
rand.org
2011
[3]
웹사이트
Attack Submarines - SSN
https://www.navy.mil[...]
United States Navy
2021-11-13
[4]
웹사이트
Lieutenant James Earle Carter, Jr., USN
https://www.history.[...]
United States Navy
2021-03-22
[5]
서적
SSN-23 Jimmy Carter: U.S. Navy Submarine (Seawolf Class)
https://books.google[...]
Nimble Books
[6]
간행물
USS JIMMY CARTER (SSN23): Expanding Future SSN Missions
http://www.globalsec[...]
Undersea Warfare
1999
[7]
웹사이트
PCU Jimmy Carter Christened at Electric Boat
http://www.navy.mil/[...]
U.S. Navy
2004-06-09
[8]
웹사이트
The Navy's underwater eavesdropper
https://web.archive.[...]
Reuters
2013-07-19
[9]
뉴스
New Nuclear Sub Is Said to Have Special Eavesdropping Ability
https://www.nytimes.[...]
2009-06-30
[10]
논문
Making Intelligence Smarter
IEEE
2002-01
[11]
웹사이트
Spy agency taps into undersea cable
https://www.zdnet.co[...]
CBS Interactive
2009-06-30
[12]
웹사이트
Jimmy Carter: Super Spy?
http://www.defensete[...]
Defensetech.org
2009-06-30
[13]
뉴스
America's Most Secret Spy Sub Returned To Base Flying A Pirate Flag
https://foxtrotalpha[...]
Gizmodo
2017-09-17
[14]
웹사이트
Pacific Northwest Sub Crews Win Battle "E"
http://www.navy.mil/[...]
Navy.mil
2009-06-30
[15]
웹사이트
This secretive U.S. Navy submarine went on a dangerous mission
https://theweek.com/[...]
2019-11-23
[16]
웹사이트
The mystery of the USS Jimmy Carter and Mission 7
https://nationalinte[...]
2023-03-25
[17]
웹사이트
The Navy’s underwater eavesdropper
https://web.archive.[...]
2023-07-04
[18]
뉴스
'해적선 깃발' 달고 귀환한 미 핵잠, 태평양서 무슨 임무 '성공'했기에
조선일보
2017-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