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울프급 잠수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울프급 잠수함은 1980년대 소련의 잠수함 위협에 대응하여 미국이 개발한 공격형 원자력 잠수함이다.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소련 붕괴와 높은 건조 비용으로 인해 3척만 운용되었다. 시울프급은 로스앤젤레스급보다 크고 빠르며, 더 조용하고 많은 무기를 탑재하며, 최대 50기의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다. 고속 저소음 설계를 바탕으로, 600m의 최대 잠항 심도와 통합 전투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26인치 어뢰 발사관을 통해 다양한 무장을 운용한다. 높은 건조 비용으로 인해 3척만 건조되었으며, 이후 버지니아급 잠수함이 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울프급 잠수함 - USS 지미 카터
    USS 지미 카터 (SSN-23)는 특수 작전 지원을 위해 선체가 연장되고 다목적 플랫폼이 추가된 미국 해군의 시울프급 핵추진 잠수함이다.
  • 잠수함 - 원자력 잠수함
    원자력 잠수함은 원자로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장기간 잠항 능력과 강력한 공격력을 갖춘 해양 전력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했지만, 스텔스 성능 저하, 핵폐기물 문제, 사고 가능성 등의 과제를 안고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잠수함 - 공기 불요 추진
    공기 불요 추진은 재래식 잠수함이 스노클 없이 수중에서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초기에는 연료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방식의 AIP가 개발되어 잠수함의 잠항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 잠수함 함급 - 시에라급 잠수함
    시에라급 잠수함은 소련/러시아 해군의 공격형 핵잠수함으로, 티타늄 합금 선체를 사용하여 경량화와 저소음 성능을 달성했으며, 미국 SSBN/SSN 저지를 목표로 개발된 945형(시에라 I급)과 945A형(시에라 II급)으로 나뉜다.
  • 잠수함 함급 - 뱅가드급 잠수함
    뱅가드급 잠수함은 영국 왕립 해군의 핵추진 탄도 미사일 잠수함으로, 트라이던트 II 미사일을 탑재하여 해상 핵억제력을 담당하고 롤스로이스 PWR2 원자로를 이용한 항해 능력과 핵무장 능력을 갖추었지만, 잦은 사고, 고비용 유지보수, 핵무기 운용 논란으로 드레드노트급 잠수함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시울프급 잠수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개요
함급 이름시울프급 잠수함
건조제너럴 다이내믹스 일렉트릭 보트
운용 국가미국 해군
이전 함급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
다음 함급버지니아급 잠수함
건조 기간1989년–2005년
취역 기간1997년–현재
계획 수량29척
건조 수량3척
취소 수량26척
현역 수량3척
단위당 비용30억 미국 달러 (2023년 기준 60억 미국 달러)
제원
함종핵추진 공격 잠수함
수상 배수량8,600톤
수중 배수량9,138톤 (만재 12,139톤, USS 지미 카터)
전장107.6m (시울프, 코네티컷)
138.07m (USS 지미 카터)
함폭12m
최대 잠항 심도488m
속력20노트 (저소음)
35노트 (최대)
항속 거리무제한 (식량 보급에 따라 제한)
승조원140명 (장교 14명, 수병 126명)
추진 체계
추진 방식스팀 터빈 (제너럴 일렉트릭) x 2
축 및 프로펠러 x 1
출력40,000 shp
원자로웨스팅하우스 S6W 가압수형 원자로 x 1
무장
어뢰 발사관8 × 26.5인치 어뢰 발사관 (21인치 무기 사용 가능)
탑재 무장최대 50발의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하푼 대함 미사일/Mk 48 유도 어뢰
Mk.49 기뢰
Mk.57 기뢰
Mk.60 기뢰
센서
소나AN/BQQ-10 ARCI 업데이트
AN/BQG-5D 헐마운트 WAA
TB-16D 예인 배열
TB-29A 박막 예인 배열
레이더AN/BPS-16 수상 탐색 레이더
기타
USS 시울프 (SSN-21) 항해 중
USS 시울프 (SSN-21) 항해 중
시울프급 잠수함 (1,2번함) 단면도
시울프급 잠수함 (1,2번함) 단면도
USS 지미 카터 (3번함) 단면도
USS 지미 카터 (3번함) 단면도

2. 개발 배경

1980년대 초, 소련은 타이푼급 잠수함과 시에라급 잠수함 등 신형 원자력 잠수함을 취역시키며 미국을 위협했다.[15] 특히 소련의 신형 공격원잠들은 미 해군의 주력 공격원잠이었던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에 필적하는 정숙성을 갖추게 되었다. 이에 미 해군은 "21세기의 공격형 원자력 추진 잠수함"을 모토로 신형 공격원잠 개발에 착수, 1983년부터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었다.[15]

시울프급 잠수함의 설계는 타이푼급 잠수함과 아쿠라급 잠수함과 같은 소련 잠수함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8][9] 1970년대 후반, 미 해군은 소련 해군 원자력 잠수함의 성능 향상, 특히 아쿠라급 원자력 잠수함의 정숙성에 위기감을 느꼈다. 아쿠라급은 로스앤젤레스급 원자력 잠수함 초기형과 거의 동등한 정숙성을 가졌으며, 저속 항해 시 SOSUS망으로도 탐지가 어려웠다. 또한, 소련 해군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성능 향상도 위협적이었다. 델타급 원자력 잠수함과 함께 등장한 R-29 미사일은 6,000km 이상의 사정거리를 가져, 안전 해역에서도 서방 국가를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 시울프급은 로스앤젤레스급 잠수함을 대체하기 위해 1980년대 후반부터 개발이 진행되었다.

3. 설계

시울프급은 소련의 타이푼급 탄도 미사일 잠수함과 아쿨라급 공격 잠수함의 심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되었다.[8][9] 이전의 로스앤젤레스급보다 크고, 빠르며, 훨씬 더 조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더 많은 무기를 탑재하고, 어뢰 발사관의 수도 두 배로 늘었다. 육상 및 해상 표적 공격을 위해 최대 50기의 UGM-109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다. 천해 작전을 위한 광범위한 장비를 갖추고 있다. 더욱 발전된 ARCI 개조형 AN/BSY-2 전투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더 큰 구형 소나 어레이, 광대역 어레이(WAA) 및 새로운 예인 소나가 포함된다.[10] 단일 S6W 원자로(S6W nuclear reactor)로 구동되며, 저소음 펌프 제트(pump-jet)에 45,000마력(약 33.56MW)을 제공한다.

1970년대 후반 이후, 미국 해군은 소련 해군 원자력 잠수함의 성능 향상, 특히 정숙성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점을 주목했다. 아쿠라급은 이전의 어떤 소련 해군 잠수함보다도 정숙했으며, 초기 건조형은 로스앤젤레스급 초기 건조형과 거의 동등했고, 후기 건조형 역시 로스앤젤레스급 후기 건조형과 거의 동등한 수중 소음 레벨에 도달했다. 이 때문에 저속 항해 중인 아쿠라급을 SOSUS망은 탐지할 수 없었고, 로스앤젤레스급은 미국 동부 해안을 초계 중인 아쿠라급 추적에 실패하기도 했다.

또한, 소련 해군은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성능을 향상시켰다. 델타급과 함께 등장한 R-29 미사일은 6,000km 이상의 사정거리를 갖춰, 안전한 해역에서도 서방 국가에 공격을 가할 수 있게 되었다. 시울프급은 이러한 소련 해군 잠수함의 위협 증가에 대응하여 로스앤젤레스급을 대체하기 위해 1980년대 후반 이후 개발되었다.

미국 해군의 마지막 냉전 시대 공격 핵잠수함인 시울프급은 정숙성, 빙해 작전 능력, 탄두 수량을 중시하여 “금단의 영역” 내부로의 적극적인 공세조차 가능한, 모든 면에서 소련 잠수함을 능가하는 초고성능 함정으로 설계되었다. 로스앤젤레스급과 비교해 보면, 감소한 운용 수심을 회복하기 위해 고장력강 HY-110을 채용하고, 빙해 작전 능력도 처음부터 포함되었으며, 수상함용 원자로에서 발전한 S6W형 원자로를 탑재했다.

영국 해군의 운용 실적을 바탕으로 펌프 제트 프로펠러를 처음 장착하여, 캐비테이션 없이 20노트로 항해할 수 있게 되었다. 어뢰발사관 내부 탄약고의 용량도 재검토되어, 냉전 후기부터 미국 핵잠수함이 고민해 온 탑재 무기량 문제가 해결되었다.

다음은 시울프급과 이전 함급들의 성능 비교표이다.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로스앤젤레스급 성능 비교
구분버지니아급시울프급로스앤젤레스급립스컴너월
세부 구분Block VBlock I-IV준동형1, 2번함플라이트 II/III플라이트 I해당 없음해당 없음
함체수상 배수량불명7,568 t7,460 t6,255 t - 6,330 t6,080 t - 6,165 t5,813 t4,450 t
잠수 배수량10,400 t7,800 t12,139 t9,150 t7,102 t - 7,177 t6,927 t - 7,012 t6,480 t5,350 t
전장140.4 m114.8 m138 m107.6 m109.73 m111 m95.91 m
전폭불명12.2 m10.1 m9.8 m11.46 m
흘수불명10.9 m10.67 m9.75 m9.8 m불명8.8 m
추진기관원자로 + 증기터빈
방식GTTEGT
원자로GE S9GWEC S6WGE S6GWEC S5WGE S5G
출력40,000 shp45,000 shp30,000 shp12,500 shp17,000 shp
잠항 속력불명25 kt35 kt31 kt23 kt25 kt
무장어뢰533mm 어뢰 발사관 × 4문660mm 어뢰 발사관 × 8문533mm 어뢰 발사관 × 4문
미사일VLS × 40셀VLS × 12셀VLS × 12셀
동형함 수추정 38척28척 예정1척2척31척31척
(퇴역)
1척
(퇴역)
1척
(퇴역)


4. 특징

시울프급 잠수함은 원자력 잠수함으로,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에 비해 속도, 항속 거리, 무장 탑재 능력은 뛰어나지만 정숙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고속 항해 시 원자로 소음으로 인한 은밀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여, 20노트(침묵 속도)로 항해할 때 로스앤젤레스급보다 절반 정도의 소음만 발생시킨다. 펌프제트 추진기를 채택하여 최고 속력인 35노트(약 65km)에서도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과 비슷한 소음을 내 "바다의 암살자"라는 별칭을 얻었다.

HY-100영어 고장력강을 사용하고 독특한 내구 설계를 통해 최대 잠항 심도 600m를 달성했다.[16] 통합 전투 체계와 선측배열소나를 장착하여 전 방위에서 음영 구역 없이 적 잠수함을 탐지하고, 신속하고 효율적인 공격을 할 수 있다.[16]

로스앤젤레스급보다 2배 많은 8기의 26인치 어뢰 발사관(기존 21인치)을 장착했으며, 회전식 터빈펌프를 이용한 수압식 어뢰 발사관을 사용하여 은밀하게 공격한다. MK48 ADCAP 중어뢰,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 기뢰를 운용할 수 있고, 별도의 수직발사관(VLS)은 없다.

미국과 소련 간의 군비 경쟁 시기에 건조되어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결과, 건조 비용이 매우 높았다. 1번함 시울프함은 25억달러(28.85조),[17] 3번함 지미 카터함은 37억달러(42.698조)로, 대한민국 해군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 건조 비용(1.1조)의 약 4배에 달한다. 높은 건조 비용과 소련 붕괴로 인해 3척만 건조되고 중단되었으며, 이후 미 해군은 버지니아급 공격원잠을 개발해 운용하고 있다.

4. 1. 고속 저소음

시울프급 잠수함은 고속 저소음 개념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다. 원자력 잠수함은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에 비해 속도, 항속 거리, 무장 탑재 능력 등 모든 면에서 성능이 뛰어나지만, 정숙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고속 항해 시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은밀성이 떨어졌다. 그러나 시울프급은 20노트(침묵 속도)로 항해할 때 로스앤젤레스급보다 절반 정도의 소음만 발생시킨다. 또한 펌프제트 추진기를 채택하여 최고 속력인 35노트(약 65km)에서도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과 비슷한 소음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숙성으로 인해 "바다의 암살자"라는 별칭을 얻었다.

4. 2. 잠항 심도

HY-100영어 고장력강을 사용했으며, 독특한 내구 설계 덕분에 최대 잠항 심도가 600m에 이른다.[16]

4. 3. 통합 전투 체계

시울프급 잠수함은 잠수함 전투 체계를 일괄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통합처리체계를 적용했다. 적 잠수함을 탐지하는 소나 역시 선측배열소나를 장착해, 전 방위에서 음영 구역 없이 적 잠수함을 포착할 수 있게 되었다.[16] 이 때문에 적 잠수함을 먼저 발견하고 신속하게 효율적인 공격을 할 수 있다.

4. 4. 무장

로스앤젤레스급보다 2배 많은 8기의 어뢰 발사관을 장착했다.[16] 회전식 터빈펌프를 이용한 수압식 어뢰 발사관을 사용하여 은밀하게 공격한다. 이 어뢰 발사관은 기존 21인치보다 큰 26인치 발사관이다. MK48 ADCAP 중어뢰,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 기뢰를 운용할 수 있다. 별도의 수직발사관(VLS)은 없다.

4. 5. 높은 건조 비용

미국과 소련 간의 군비 경쟁이 치열했던 시기에 건조된 시울프급 잠수함은 최첨단 기술이 집약되면서 건조 비용이 매우 높았다. 1번함 시울프함은 25억달러(28.85조)가 들었고,[17] 3번함 지미 카터함은 37억달러(42.698조)가 들었다. 대한민국 해군의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 건조 비용(1.1조)의 প্রায় 4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엄청난 건조 비용과 소련 붕괴로 인해 시울프급 공격원잠은 결국 3척만 건조되고 중단되었다. 이후 미 해군은 버지니아급 공격원잠을 개발해 운용하고 있다.

5. 소나 시스템


  • AN/BQQ-10(V)4 함수 소나 시스템
  • * 현재 시울프급 잠수함의 함수 소나 시스템은 소나 체계 업그레이드 계획인 '''A-CRI (Acoustic Rapid Commercial off thr shelf Insert)''' 프로그램을 통해서 AN/BQQ-5D에서 AN/BQQ-10(V)4 소나 체계로 업그레이드되었다.
  • AN/BQS-15 액티브/패시브 겸용 소나 (세일 정면)
  • WAA (Wide Aparture Array) AN/BQZ-5D 중/저주파 탐지 소나 (측면 배열 소나)
  • TB-16 fat line TASS 견인식 예인 소나
  • TB-29A thin line TASS 견인식 예인 소나

6. 개량형 (Variants)

Jimmy Carter|지미 카터영어 (SSN-23)는 다목적 플랫폼(MMP)이라고 알려진 구역이 추가되어 다른 두 척의 시울프급 잠수함보다 약 약 30.48m 더 길다. 이 플랫폼은 무인잠수정(ROV)과 네이비 실의 발진 및 회수를 가능하게 한다.[12] MMP는 해저 광케이블의 도청을 위한 수중 접속실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 역할은 이전에는 퇴역한 Parche|파르셰영어 (SSN-683)가 담당했다. 지미 카터는 제너럴 다이내믹스 일렉트릭 보트에 의해 8.87억달러의 비용으로 개조되었다.[13]

7. 주요 임무


  • 은밀한 정보 수집, 감시, 정찰, 수색 작전
  • 대잠전/대수상함전
  • 기뢰전
  • 지상 목표물 타격 작전
  • 특수부대 침투 및 귀환 임무

8. 사건 사고

2021년 10월 2일, 미국 해군의 핵추진 잠수함 코네티컷함이 남중국해 해저에서 미확인 물체와 충돌하여 11명의 수병이 경상을 입었다. 미국 언론들은 이 사건이 적대적 작전에 의해 발생했다거나, 다른 함정이 연관됐다는 증거는 없다고 보도하였다. 미 해군은 “코네티컷함은 안전하고 안정된 상태에 있다. 코네티컷함의 핵추진 설비와 공간은 영향을 받지 않았고 여전히 완전히 작전이 가능하다”고 했다. 또 “잠수함의 나머지 부분이 입은 손상의 정도를 평가하고 있다”며 “사건을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18]

9. 동형함 (Boats in class)

동형함
함번함명기공일진수일취역일상태
SSN-21시울프1989년 10월 25일1995년 6월 24일1997년 7월 19일현역
SSN-22코네티컷1992년 9월 14일1997년 9월 1일1998년 12월 11일현역
SSN-23지미 카터1998년 12월 5일2004년 5월 13일2005년 2월 19일현역



시울프급 잠수함은 모두 제너럴 다이내믹스 일렉트릭 보트에서 건조되었으며, 워싱턴주 브레머턴 키츠압 해군기지를 모항으로 사용하고 있다.

10. 대중 문화


  • 강철의 포효 시리즈에서 첫 작품부터 적 함선으로 "시울프급"이 등장한다. 실제 역사처럼 수중에서 다른 잠수함보다 압도적으로 빠르며, 작품이나 난이도에 따라 순항 미사일을 탑재하여 공격형 원자력 잠수함처럼 취급되기도 한다. 잠수함을 설계할 수 있는 작품에서는 플레이어도 시울프급으로 추정되는 부품을 사용하여 설계할 수 있다.[13]
  • 모던 워쉽스에서 1번함 "시울프"가 등장한다. 최대 2발의 무장을 동시에 발사할 수 있다.[13]
  • 침묵의 함대에 가공의 함선 "킹", "알렉산더"가 등장한다. 가공의 원자력 잠수함 야마토 격침을 목표로 한 오로라 작전에 참가하여 북극해에서 "야마토"와 어뢰전을 벌인다. 그 능력과 뛰어난 연계로 "야마토"를 궁지에 몰아넣지만, 최종적으로 "킹"은 격침되고, "알렉산더"도 격전 끝에 공격 불능이 되어, 백병전을 피하고 항복했다.[13] 시울프급은 원작 연재 당시 함형이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작중의 시울프급은 함형도 성능도 상당 부분이 작가의 상상으로 그려져 있다(펌프제트 추진이 아닌 일반적인 스크류 프로펠러 추진으로 되어 있는 등). 작중 시울프급은 "야마토"와 거의 같은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시배트(야마토)" 건조 계획부터 건조가 예정되어 있었다고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야마토"와 동일한 성능의 함선이라고 할 수 있지만, "야마토"가 극동용인 것에 비해 시울프급은 북극용이기 때문에, 사이드 소나를 갖추고 있다.[13] 또한, "야마토"의 디자인과 설정은 시울프급이 모델이라고 알려져 있다.[13]
  • GODZILLA 괴수묵시록에서 "시울프(シーウルフ)"가 등장하며, 태평양 심해에서 무언가와 충돌한다.[13]
  • 소드 아트 온라인에서 "지미 카터(ジミー・カーター)"가 등장하며, 가브리엘 밀러(ガブリエル・ミラー)가 이끄는 습격 부대를 오션 터틀(オーシャン・タートル)까지 호송한다.[13]
  • 하늘의 후지산(天空の富嶽)에서 모든 함선이 등장한다. 하와이로 향하는 해상자위대 항공모함 전투단에 선행하는 해룡형 특수원자력잠수함 부대에 용감하게 돌격하지만, 오히려 근접전에서 3척 모두 격침된다.[13]

11. 비교 (다른 잠수함과의 성능)

Seawolf영어급은 로스앤젤레스급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냉전 시대 미 해군의 마지막 공격 원잠이다. 정숙성, 빙해 작전 능력, 무장 탑재량을 중시하여 설계되었으며, 소련 잠수함을 능가하는 성능을 목표로 했다.

시울프급, 로스앤젤레스급, 버지니아급 비교
구분시울프급로스앤젤레스급버지니아급 (Block V)
잠수 배수량9150ton6927ton - 7177ton10400ton
전장107.6m109.73m140.4m
전폭12.2m10.1m10.4m
흘수10.67m9.75m9.3m
원자로WEC S6WGE S6GGE S9G
출력45,000 shp30,000 shp40,000 shp
잠항 속력35노트31노트추정 34노트
어뢰660mm 어뢰 발사관 × 8문533mm 어뢰 발사관 × 4문533mm 어뢰 발사관 × 4문
미사일없음VLS × 12셀 (플라이트 II/III)VLS × 40셀



영국 해군의 운용 실적을 바탕으로 펌프 제트 프로펠러를 처음으로 장착하여, 캐비테이션 없이 20노트로 항해할 수 있다.[1] 어뢰 발사관 내부 탄약고 용량도 늘어나, 이전까지 미국 핵잠수함의 문제였던 탑재 무기량 부족 문제를 해결했다.[1]

하지만, 높은 건조 비용과 냉전 종식으로 인해 건조 계획이 축소되었다. 당초 29척 건조 예정이었으나, 기술 문제와 예산 증가로 인해 3척만 건조되었다.[1] 척당 건조 비용은 21억달러로, 아레이 버크급 미사일 구축함의 약 2배에 달했다.[1]

성능은 매우 우수하지만, 높은 비용으로 인해 버지니아급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버지니아급은 시울프급 성능의 75%를 목표로 하되, 건조 비용을 낮추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1]

12. 영향

시울프급은 성능이 매우 우수하여, 이후 버지니아급 공격형 핵잠수함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버지니아급은 시울프급 성능의 75%를 최저 목표로 하되, 건조 비용을 낮추는 방향으로 개발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Navy Wants New 'Seawolf-Like' Attack Submarines To Challenge Russian And Chinese Threats https://www.thedrive[...] Drive Media Inc 2018-10-22
[2] 웹사이트 The US Navy – Fact File http://www.navy.mil/[...] 2008-08-30
[3] 웹사이트 SSN Seawolf Class http://www.naval-tec[...] naval-technology.com
[4] 웹사이트 Run Silent, Run Deep http://www.fas.org/m[...] 1998-12-08
[5] 웹사이트 Learning from Experience: Volume II: Lessons from the U.S. Navy's Ohio, Seawolf, and Virginia Submarine Programs https://www.rand.org[...] rand.org 2011
[6] 웹사이트 Attack Submarines - SSN https://www.navy.mil[...] United States Navy
[7] 웹사이트 Submarine Centennial Chronology http://www.navy.mil/[...]
[8] 서적 The Naval Institute guide to the ships and aircraft of the U.S. fleet https://archive.org/[...] Naval Institute Press
[9] 서적 Submarine Technology for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Trafford Publishing 2018-01
[10] 웹사이트 AN/BSY-2 sonar http://www.harpoonda[...]
[11] 웹사이트 SSN-21 Seawolf Class https://fas.org/prog[...]
[12] 웹사이트 USS Jimmy Carter (SSN-23) http://www.submarine[...]
[13] 웹사이트 Seawolf Class http://www.gdeb.com/[...]
[14] 간행물 海外の艦船切手から 海人社 2020-03
[15] 웹인용 Submarine Chronology http://www.navy.mil/[...] 2012-10-06
[16] 웹인용 AN/BSY-2 sonar http://www.harpoonda[...] 2014-10-06
[17] 웹인용 USS Jimmy Carter (SSN-23) http://www.submarine[...] 2009-07-03
[18] 뉴스 “뭔가와 부딪혔다” 美 핵추진 잠수함, 남중국해서 충돌 사고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1-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