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VV 펜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VVV 펜로는 1903년 창단된 네덜란드의 축구 클럽으로, 에레디비시와 에이르스터 디비시를 오가며 활동했다. 1960-61 시즌에는 에레디비시 3위를 기록했으며, 1959년에는 KNVB컵에서 우승했다. 최근에는 일본 선수들이 많이 거쳐 간 팀으로 알려져 있으며, 2020년 아약스전에서 0-13으로 패하며 에레디비시 최다 실점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림뷔르흐주 (네덜란드)의 스포츠 - 로다 JC
로다 JC는 네덜란드 케르크라데를 연고로 하는 축구 클럽으로, 1954년 SV 케르크라데와 SV 브레이옐헤이데의 합병으로 탄생한 로다 스포르트와 라피도 JC가 1962년 합병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KNVB컵 2회 우승, 놀 헨드릭스의 재정 지원을 통한 성공, 그리고 에이르스터 디비시 강등 등 부침을 겪었고, 홈 경기장은 파크스타트 림뷔르흐 스타디온이다.
VVV 펜로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 네임 | 펜로제 푸트발 페레니힝 펜로 |
짧은 이름 | VVV |
별칭 | 더 굿 올드, 펜로제 트로츠, 남쪽의 자부심, 옐로 블랙 아미 |
창단일 | 1903년 2월 7일 |
홈 경기장 | 데 쿨 |
수용 인원 | 8,000명 |
회장 | 하이 베르던 |
감독 | 존 라머스 |
클럽 정보 | |
리그 | 에이르스터 디비시 |
시즌 | 2023–24 시즌 |
유니폼 | |
홈 | 상의: 노란색 하의: 검은색 양말: 노란색 |
원정 | 상의: 흰색 하의: 흰색 양말: 흰색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VVV 펜로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03년 2월 7일 창단되었다.[11] 1960-61 시즌 에레디비시에서 페예노르트, 아약스에 이어 3위를 기록했으나, 다음 시즌 2부(에이르스터 디비시)로 강등되었다. 이후 승격과 강등을 반복했으며, 1994-95 시즌부터는 2부 리그 소속이었다.[11] 2003년 하이 베르덴 회장 취임 후 성적과 관객 동원 수가 증가했고, 아드리 코스터, 헤르베르트 노이만, 웨첼, 판 다이크 감독을 거치며 공격적인 팀 스타일을 구축했다. VVV는 지역 인기팀, 강호팀, 재정적으로 안정된 클럽으로 성장하여,[11] 2006-07 시즌 2부 리그 2위를 기록,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에레디비시로 승격했다.[11]
2007-08 시즌 17위로 2부 리그로 강등되었으나, 많은 선수를 잔류시켜 전력을 유지했고, 2009년 4월 24일 2부 리그 우승으로 1년 만에 1부 리그로 복귀했다.
최근 일본과 관계가 깊어, 2008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혼다 케이스케, 2010년 1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요시다 마야, 2011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카렌 로버트가 소속되었다.[11][12] 2012년 8월부터 2014년까지 오쓰 유키가, 2014년부터는 후지타 토시야가 코치로 있었다.
2012-13 시즌 17위로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고 어헤드 이글스에 패하며 2부 리그로 강등되었다. 2020년 10월 24일, 홈에서 아약스에 0-13으로 대패, 에레디비시 사상 최다 실점 기록을 세웠다.[13]
2. 1. 창단 초기 (1903-1952)
VVV는 19세기 말 벤로에서 친구들이 결성한 축구 클럽 ''De Gouden Leeuw''에서 시작되었다. 몇 차례 이름 변경을 거쳐 ''Valuas''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가, 1903년 2월 7일, 클럽의 현재 이름인 '''Venlose Voetbal Vereniging'''(VVV)로 변경되었다. VVV는 네덜란드 프로 축구에서 가장 오래된 클럽 중 하나이다. 1909년에는 ''VITOS''와 ''THOR'' 클럽이 VVV에 합병되었고, 1910년에는 ''Quick''가 합류했다.[1]초기에는 네덜란드 남부에 1부 리그(Eerste Klasse)가 없어 VVV는 최고 리그에 진출할 수 없었다. 1911-12 시즌 이전에는 동부 및 서부 Eerste Klasse만 존재했기 때문이다. 1912-13 시즌부터 남부 지역에도 Eerste Klasse가 도입되어 VVV는 이 리그에 참가했다. 1921-22 시즌 이후 2부 리그(Tweede Klasse)로 강등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Eerste Klasse 팀 수가 확장되면서 VVV도 다시 포함되었다. 1948년부터 1952년까지 VVV는 Eerste Klasse에서 4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2. 2. 승격과 강등의 반복 (1952-2006)
VVV 펜로는 에레디비시 1960-61 시즌에 페예노르트, 아약스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11] 그러나 다음 시즌에 2부(에이르스터 디비시)로 강등되었고, 이후 승격과 강등을 반복했다.[11] 1994-95 시즌부터 2부 소속이 계속되었다.[11] 2003년 하이 베르덴이 VVV를 상시 1부에서 경쟁하는 팀으로 만들겠다는 야망을 품고 회장에 취임한 후, 팀은 성적과 관객 동원 수를 늘려갔다.[11] 아드리 코스터(현 아약스 유스 육성 책임자), 헤르베르트 노이만(단, 2006년 개막 전에 해고), 웨첼(현 ADO 감독), 판 다이크를 감독으로 임명하며 공격적인 팀 스타일이 굳어졌다.[11] VVV는 지역 인기 팀, 강호 팀, 재정적으로 안정된 클럽으로 성장했고,[11] 2006-07 시즌에 2위를 차지하여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과, 에레디비시로 복귀했다.[11]2. 3. 최근 역사 (2006-현재)
VVV는 2006-07 시즌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RKC 발베이크를 3-0으로 꺾고 에레디비시로 승격했다.[3] 2007-08 시즌에는 17위로 강등되었으나, 2008–09 에이르스터 디비시에서 우승하며 곧바로 에레디비시로 복귀했다.2009-10 시즌에는 에레디비시에서 12위를 기록하며 1988년 이후 최고의 리그 성적을 달성했다. 혼다 케이스케가 CSKA 모스크바로 이적했지만, 요시다 마야 등 일본 선수들이 VVV 펜로에서 활약하며 한국 팬들에게도 알려지게 되었다.
2012-13 시즌에는 17위로 마감하며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고 어헤드 이글스에 패배하여 에이르스터 디비시로 강등되었다.[3] 2016-17 시즌에는 에이르스터 디비시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에레디비시로 승격했다.[3]
2020년 10월 24일, VVV 펜로는 홈에서 아약스에게 0-13으로 대패하며 에레디비시 역사상 최다 실점 기록을 세웠다.[4][5][13] 2020-21 시즌에는 에레디비시 17위를 기록하며 다시 강등되었다.
3. 경기장
VVV 펜로는 데 쿨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데 쿨은 벤로에 있으며, 1972년에 건설되었다. 8,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현재 경기장 이름은 코베보 스타디온 데 쿨인데, 이는 메인 스폰서의 이름을 따서 지은 것이다.
4. 지역 사회 지원
1998년 7월 1일부터 공식 클럽 마스코트는 "쿨리"(Coolie)라는 개이다.
2003년 얀 클라센스 박물관이 설립되어 펜로 시내에 위치해 있으며 림부르흐 박물관에서 운영한다. 2005년부터 VVV는 자체 유소년 아카데미 출신의 가장 뛰어난 선수에게 매년 얀 클라센스 상을 수여하고 있다.[7]
2004년부터 2003년에 갑작스럽게 사망한 클럽의 아이콘을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딴 헤르만 테우엔 기념 경기가 클럽에서 주최되며, 일반적으로 초청 형식으로 유명한 해외 클럽들이 참가한다.
VVV는 2015년 7월, 2015년 6월 14일 교통사고로 18세의 나이로 사망한 유소년 선수 보 빌터스를 기리기 위해 그가 이전에 착용했던 28번 유니폼을 영구 결번할 것이라고 발표했다.[8]
2011년 4월, VVV 선수 얀 판 데르 메이의 손자이자 지역 꼬마인 바르케 판 데르 메이의 장난감 상자에 해트트릭을 넣는 바이럴 영상이 공개된 후, 클럽은 18개월 된 그에게 명예 계약을 맺어 주었다.[9]
5. 선수
VVV 펜로는 여러 국가대표 선수들을 배출한 구단이다. 특히, 혼다 게이스케(2008-2009)와 요시다 마야(2010-2012) 등이 VVV 펜로를 거쳐 갔다.[1] 네덜란드 국가대표로는 얀 클라센스, 코이 코팔, 파스 빌케스 등이 있다.
VVV 펜로를 거쳐간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1]
- 데니스 헨테나르nl (네덜란드, 2009-2012)
- 루트 보판nl (벨기에, 2010)
- 니키 매엔페fi (핀란드, 2012-2015)
- 라스 운네르슈탈de (독일, 2018-2019)
- 스탄 판 펄크스nl (네덜란드, 1983-1988)
- 존 데 보프nl (네덜란드, 1996-1997)
- 패트릭 파우베nl (네덜란드, 2009-2011)
- 요시다 마야 (일본, 2010-2012)
- 딕 아드보카트 (네덜란드, 1976-1979)
- 어니 스튜어트 (미국, 1988-1990, 2004-2005)
- 마르셀 메우위스nl (네덜란드, 2002-2006, 2011-2012)
- 노르딘 암라바트nl (네덜란드, 2007-2008)
- 아딜 아우아사르nl (네덜란드, 2008-2010)
- 루벤 스하켄nl (네덜란드, 2008-2010)
- 혼다 게이스케 (일본, 2008-2009)
- 오쓰 유키 (일본, 2012-2014)
- 타지마 린타로일본어 (일본, 2016-2017)
- 제디온 젤라렘 (미국, 2017-)
VVV 펜로는 과거 일본 선수들이 많이 활약했던 팀으로, 대한민국 축구 팬들에게도 어느 정도 알려져 있다. 2008년 혼다 케이스케가 나고야 그램퍼스에서 이적한 이후, 요시다 마야, 카렌 로버트, 오쓰 유키 등 많은 일본인 선수들이 VVV 펜로에서 뛰었다.[6][11][12]
5. 1. 선수 명단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
1 | GK | 얀 데 보어 |
2 | DF | 로빈 라토우워르스 |
3 | DF | 로엘 얀센 |
4 | DF | 릭 케팅 |
5 | DF | 시몬 얀센 |
6 | MF | 요프 클루스켄스 |
7 | FW | 라세 베마이어 |
8 | MF | 엘리아스 시에라 |
9 | FW | 콘스탄티노스 둠치오스 |
10 | FW | 파울 푀퍼를 (샬케 04에서 임대) |
11 | MF | 타임 베르헤이엔 |
12 | DF | 실리안 모코노 |
14 | FW | 야쿠로 로에머 |
17 | FW | 마르테인 베르덴 |
18 | FW | 페페인 도에스부르흐 |
19 | FW | 엠마누엘 지암피 (샬케 04에서 임대) |
20 | DF | 딜런 팀버 |
21 | MF | 막스 데 발 (빌렘 II 틸뷔르흐에서 임대) |
22 | GK | 팀 슈리크 |
23 | GK | 델라노 판 크로이 |
24 | MF | 모하메드 오드리 |
26 | MF | 나임 마투그 |
29 | MF | 팀 브렘 |
33 | DF | 가빈 블랑콰르 |
34 | FW | 아르윈 자바드 |
37 | DF | 디에고 판 츠트펜 |
GK | 미할리스 코시디스 | |
FW | 매그너스 카스트럽 | |
DF | 밀란 로베레츠 |
참고: FIFA가 정한 대표 자격 규칙에 따라, 선수들은 둘 이상의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5. 2. 역대 주요 선수
VVV 펜로는 여러 국가대표 선수들을 배출한 구단이다. 특히, 혼다 게이스케(2008-2009)와 요시다 마야(2010-2012) 등이 VVV 펜로를 거쳐 갔다.[1] 네덜란드 국가대표로는 얀 클라센스, 코이 코팔, 파스 빌케스 등이 있다.VVV 펜로를 거쳐간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1]
- 데니스 헨테나르nl (네덜란드, 2009-2012)
- 루트 보판nl (벨기에, 2010)
- 니키 매엔페fi (핀란드, 2012-2015)
- 라스 운네르슈탈de (독일, 2018-2019)
- 스탄 판 펄크스nl (네덜란드, 1983-1988)
- 존 데 보프nl (네덜란드, 1996-1997)
- 패트릭 파우베nl (네덜란드, 2009-2011)
- 요시다 마야 (일본, 2010-2012)
- 딕 아드보카트 (네덜란드, 1976-1979)
- 어니 스튜어트 (미국, 1988-1990, 2004-2005)
- 마르셀 메우위스nl (네덜란드, 2002-2006, 2011-2012)
- 노르딘 암라바트nl (네덜란드, 2007-2008)
- 아딜 아우아사르nl (네덜란드, 2008-2010)
- 루벤 스하켄nl (네덜란드, 2008-2010)
- 혼다 게이스케 (일본, 2008-2009)
- 오쓰 유키 (일본, 2012-2014)
- 타지마 린타로일본어 (일본, 2016-2017)
- 제디온 젤라렘 (미국, 2017-)
5. 3. 대한민국과의 관계
VVV 펜로는 과거 일본 선수들이 많이 활약했던 팀으로, 대한민국 축구 팬들에게도 어느 정도 알려져 있다. 2008년 혼다 케이스케가 나고야 그램퍼스에서 이적한 이후, 요시다 마야, 카렌 로버트, 오쓰 유키 등 많은 일본인 선수들이 VVV 펜로에서 뛰었다.[6][11][12]6.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국적 |
---|---|---|
요스 뤼휘카이 | 2021 ~ 2022 | Jos Luhukaynl |
존 람머스 | 2024 ~ | John Lammersnl |
7. 성적
VVV 펜로는 에이르스터 디비시에서 3회(1993년, 2009년, 2017년) 우승했고, KNVB컵에서 1회(1959년) 우승했다.
다음은 1956년 에레디비시 도입 이후 VVV 펜로의 국내 경기 결과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1956년 이후 국내 경기 결과 | |||||
---|---|---|---|---|---|
국내 리그 | 리그 결과 | 진출 자격 | width="5%" rowspan="68"| | KNVB컵 시즌 | 컵 대회 결과 |
2022-23 에이르스터 디비시 | 7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실패 | 2022-23 | 2라운드 | |
2021-22 에이르스터 디비시 | 10위 | – | 2021-22 | 1라운드 | |
2020-21 에레디비시 | 17위 | 에이르스터 디비시 (강등) | 2020-21 | 준결승 | |
2019-20 에레디비시 | 13위 | – | 2019-20 | 1라운드 | |
2018-19 에레디비시 | 12위 | – | 2018-19 | 2라운드 | |
2017-18 에레디비시 | 15위 | – | 2017-18 | 16강 | |
2016-17 에이르스터 디비시 | 1위 | 에레디비시 (승격) | 2016-17 | 2라운드 | |
2015-16 에이르스터 디비시 | 2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실패 | 2015-16 | 2라운드 | |
2014-15 에이르스터 디비시 | 7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실패 | 2014-15 | 16강 | |
2013-14 에이르스터 디비시 | 5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실패 | 2013-14 | 3라운드 | |
2012-13 에레디비시 | 17위 | 에이르스터 디비시 (승강 플레이오프 패배) | 2012-13 | 2라운드 | |
2011-12 에레디비시 | 16위 | – (승강 플레이오프 생존) | 2011-12 | 2라운드 | |
2010-11 에레디비시 | 17위 | – (승강 플레이오프 생존) | 2010-11 | 3라운드 | |
2009-10 에레디비시 | 12위 | – | 2009-10 | 3라운드 | |
2008-09 에이르스터 디비시 | 1위 | 에레디비시 (승격) | 2008-09 | 2라운드 | |
2007-08 에레디비시 | 17위 | 에이르스터 디비시 (승강 플레이오프 패배) | 2007-08 | 2라운드 | |
2006-07 에이르스터 디비시 | 2위 | 에레디비시 (승강 플레이오프 승리) | 2006-07 | 2라운드 | |
2005-06 에이르스터 디비시 | 2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실패 | 2005-06 | 16강 | |
2004-05 에이르스터 디비시 | 3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실패 | 2004-05 | 2라운드 | |
2003-04 에이르스터 디비시 | 7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실패 | 2003-04 | 2라운드 | |
2002-03 에이르스터 디비시 | 13위 | – | 2002-03 | 3라운드 | |
2001-02 에이르스터 디비시 | 13위 | – | 2001-02 | 3라운드 | |
2000-01 에이르스터 디비시 | 18위 | – | 2000-01 | 16강 | |
1999-2000 에이르스터 디비시 | 15위 | – | 1999-2000 | 조별 예선 | |
1998-99 에이르스터 디비시 | 11위 | – | 1998-99 | 2라운드 | |
1997-98 에이르스터 디비시 | 11위 | – | 1997-98 | 조별 예선 | |
1996-97 에이르스터 디비시 | 4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실패 | 1996-97 | 2라운드 | |
1995-96 에이르스터 디비시 | 5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실패 | 1995-96 | 8강 | |
1994-95 에이르스터 디비시 | 12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실패 | 1994-95 | 2라운드 | |
1993-94 에레디비시 | 17위 | 에이르스터 디비시 (강등) | 1993-94 | 3라운드 | |
1992-93 에이르스터 디비시 | 1위 | 에레디비시 (승격) | 1992-93 | 3라운드 | |
1991-92 에레디비시 | 18위 | 에이르스터 디비시 (강등) | 1991-92 | 8강 | |
1990-91 에이르스터 디비시 | 3위 | 에레디비시 (승강 플레이오프 승리) | 1990-91 | 2라운드 | |
1989-90 에이르스터 디비시 | 4위 | – | 1989-90 | 2라운드 | |
1988-89 에레디비시 | 17위 | 에이르스터 디비시 (강등) | 1988-89 | 2라운드 | |
1987-88 에레디비시 | 5위 | – (UC 플레이오프 패배) | 1987-88 | 준결승 | |
1986-87 에레디비시 | 5위 | – (UC 플레이오프 패배) | 1986-87 | 16강 | |
1985-86 에레디비시 | 13위 | – | 1985-86 | 1라운드 | |
1984-85 에이르스터 디비시 | 2위 | 에레디비시 (승격) | 1984-85 | 2라운드 | |
1983-84 에이르스터 디비시 | 10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실패 | 1983-84 | 2라운드 | |
1982-83 에이르스터 디비시 | 7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실패 | 1982-83 | 16강 | |
1981-82 에이르스터 디비시 | 7위 | 승강 플레이오프: 승격 실패 | 1981-82 | 2라운드 | |
1980-81 에이르스터 디비시 | 13위 | – | 1980-81 | 16강 | |
1979-80 에이르스터 디비시 | 12위 | – | 1979-80 | 1라운드 | |
1978-79 에레디비시 | 18위 | 에이르스터 디비시 (강등) | 1978-79 | 2라운드 | |
1977-78 에레디비시 | 14위 | – | 1977-78 | 2라운드 | |
1976-77 에레디비시 | 13위 | – | 1976-77 | 2라운드 | |
1975-76 에이르스터 디비시 | 2위 | 에레디비시 (승강 플레이오프 승리) | 1975-76 | 2라운드 | |
1974-75 에이르스터 디비시 | 5위 | – | 1974-75 | 2라운드 | |
1973-74 에이르스터 디비시 | 16위 | – | 1973-74 | 2라운드 | |
1972-73 에이르스터 디비시 | 18위 | – | 1972-73 | 2라운드 | |
1971-72 에이르스터 디비시 | 16위 | – | 1971-72 | 1라운드 | |
1970-71 2부 리그 | 11위 | 에이르스터 디비시 (승격) | 1970-71 | 1라운드 | |
1969-70 2부 리그 | 16위 | – | 1969-70 | 1라운드 | |
1968-69 2부 리그 | 15위 | – | 1968-69 | 1라운드 | |
1967-68 에이르스터 디비시 | 18위 | 2부 리그 (강등) | 1967-68 | 조별 예선 | |
1966-67 2부 리그 | 2위 | 에이르스터 디비시 (승격) | 1966-67 | 16강 | |
1965-66 에이르스터 디비시 | 15위 | 2부 리그 (강등) | 1965-66 | 조별 예선 | |
1964-65 에이르스터 디비시 | 8위 | – | 1964-65 | 2라운드 | |
1963-64 에이르스터 디비시 | 14위 | – | 1963-64 | 2라운드 | |
1962-63 에이르스터 디비시 | 14위 | – | 1962-63 | 16강 | |
1961-62 에레디비시 | 17위 | 에이르스터 디비시 (강등) | 1961-62 | ? | |
1960-61 에레디비시 | 3위 | – | 1960-61 | ? | |
1959-60 에레디비시 | 6위 | – | 개최 안 됨 | 개최 안 됨 | |
1958-59 에레디비시 | 10위 | – | 1958-59 | 우승 | |
1957-58 에레디비시 | 7위 | – | 1957-58 | ? | |
1956-57 에레디비시 | 7위 | – | 1956-57 | ? |
참조
[1]
웹사이트
KNVB clubs
https://www.rsssf.or[...]
2020-09-01
[2]
웹사이트
Club 'signs up' hat-trick toddler
https://www.bbc.co.u[...]
2011-04-28
[3]
뉴스
VVV-Venlo na vier jaar terug in de eredivisie
http://nos.nl/artike[...]
NOS
[4]
웹사이트
VVV-Venlo vs. Ajax Amsterdam – Football Match Report – October 24, 2020 – ESPN
https://www.espn.com[...]
2021-06-23
[5]
웹사이트
Eredivisie > Fixtures > Wedstrijdoverzicht (en-US)
https://eredivisie.n[...]
[6]
뉴스
Venlo chief eyes new Japanese talent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14-04-03
[7]
웹사이트
Simon Janssen wint Jan Klaassens Award
https://www.vvv-venl[...]
Officiële website VVV-Venlo
2019-07-30
[8]
웹사이트
Nummer 28...
http://www.vvv-venlo[...]
VVV-Venlo
2015-07-10
[9]
웹사이트
Dutch football club VVV 'signs up' hat-trick toddler
https://www.bbc.co.u[...]
2011-04-28
[10]
웹사이트
Spelers
https://www.vvv-venl[...]
2024-08-11
[11]
뉴스
Robert Cullen nieuwe aanwinst VVV-Venlo
http://www.vvv-venlo[...]
VVV-Venlo News
2011-01-14
[12]
뉴스
カレン、オランダ1部のVVVフェンロに入団
https://web.archive.[...]
スポーツ報知
2011-01-15
[13]
웹사이트
Eredivisie > Fixtures > Wedstrijdoverzicht (en-US)
https://eredivisie.n[...]
2020-10-24
[14]
웹사이트
Selectie
https://www.vvv-venl[...]
2018-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