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A 프리미어 토너먼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TA 프리미어 토너먼트는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여자 테니스 협회(WTA) 투어의 일부로 진행된 대회 등급으로, 상금과 랭킹 포인트에 따라 프리미어 맨데터리, 프리미어 5, 프리미어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프리미어 맨데터리는 4대 메이저 대회 다음 등급으로, 인디언 웰스, 마이애미, 마드리드, 베이징에서 개최되었으며, 프리미어 5는 두바이/도하, 로마, 캐나다, 신시내티, 도쿄/우한에서, 프리미어는 브리즈번, 시드니, 파리, 찰스턴, 슈투트가르트 등 다양한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2020년에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일부 대회가 취소되었으며, 2021년부터는 WTA1000 및 WTA500 토너먼트로 재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폐지된 스포츠 행사 - 쿠프 드 라 리그
쿠프 드 라 리그는 1994년부터 2020년까지 프랑스 프로 축구팀들이 참가하여 UEFA 유로파리그 출전 자격을 부여했던 컵 대회였으며, 파리 생제르맹이 최다 우승팀이고, 에딘손 카바니가 최다 득점 선수이다. - 2020년 폐지된 스포츠 행사 - 코파 데 라 수페르리가
코파 데 라 수페르리가는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시스템 변화 속에서 탄생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중단 및 취소되어 소멸한 대회로, 2019년 단 한 차례 개최되어 CA 티그레가 우승했다. - 200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는 남미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여자 클럽 축구 대회이며, 2009년에 시작되어 브라질 팀들이 강세를 보이며, 2019년부터 16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 후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 200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아부다비 그랑프리
아부다비 그랑프리는 2009년부터 아부다비 야스 마리나 서킷에서 개최되는 포뮬러 1 레이스이며, 루이스 해밀턴이 5회, 막스 페르스타펜이 4회 우승을 차지했다. - WTA 투어 - 여자 테니스 협회
여자 테니스 협회는 빌리 진 킹과 "Original 9" 선수들이 1973년 설립한 여자 프로 테니스 선수 권익 보호 단체로, WTA 투어 운영, 랭킹 발표, 선수 의견 수렴 등 여자 테니스 발전을 위한 활동을 하며 사회적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대처한다. - WTA 투어 - 차이나 오픈 (테니스)
차이나 오픈은 1993년 시작된 테니스 토너먼트 대회로, 남자 단식 위주로 진행되다가 중단 후 재개, 베이징 올림픽 경기장으로 장소를 옮겨 ATP 투어 500과 WTA 프리미어 토너먼트로 승격되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중단되기도 했다.
| WTA 프리미어 토너먼트 | |
|---|---|
| 대회 정보 | |
| 종목 | 여자 테니스 |
| 주최 | 여자 테니스 협회 (WTA) |
| 역사 | |
| 창설 | 2009년 |
| 폐지 | 2020년 |
| 대체 | WTA 1000 |
| 등급별 대회 | |
| WTA 프리미어 먼슬리 | 4개 대회 |
| WTA 프리미어 5 | 5개 대회 |
| WTA 프리미어 | 12개 대회 |
| 기타 | |
| 이전 명칭 | WTA Tier I (1990-2008) |
2. 대회 분류
2009년 WTA는 기존의 티어 I과 티어 II 대회를 통합하여 WTA 프리미어 토너먼트를 신설했으며, 이 체제는 2020년까지 운영되었다. 프리미어 토너먼트는 상금 규모와 부여되는 랭킹 포인트에 따라 세 가지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 '''프리미어 맨더토리 (Premier Mandatory)''': 4대 메이저 대회 바로 다음가는 비중을 가진 대회 등급으로, 총 4개의 대회가 이 등급에 속했다. 우승자에게는 1000점의 랭킹 포인트가 주어졌다.
- '''프리미어 5 (Premier 5)''': 총 5개의 대회가 이 등급으로 운영되었으며, 우승자에게는 900점의 랭킹 포인트가 부여되었다.
- '''프리미어 (Premier)''': 연간 12개의 대회가 프리미어 등급으로 개최되었고, 우승자에게는 470점의 랭킹 포인트가 주어졌다.
2021년부터 WTA는 투어 구조를 개편하여, 프리미어 토너먼트는 남자의 ATP 투어 마스터스 1000과 ATP 투어 500 시리즈에 맞춰 '''WTA 1000'''과 '''WTA 500'''으로 재편되었다.[3]
2. 1. 프리미어 맨데터리 (Premier Mandatory)
4대 메이저 대회 다음가는 등급의 대회로, 2009년부터 2020년까지 개최되었다. 인디언 웰스, 마이애미, 마드리드, 베이징의 4개 대회가 있었으며, 모두 남녀 공동으로 개최되었다. 우승자에게는 1000점의 랭킹 포인트가 주어졌고, 세계 랭킹 상위 10위 이내 선수들은 이 4개 대회에 의무적으로 참가해야 했다.아래는 프리미어 맨데터리 대회 목록이다.
| 토너먼트 | 공식 명칭 | 개최 도시 | 국가 | 코트 종류 | 총 상금 (USD) | 최근 단식 챔피언 |
|---|---|---|---|---|---|---|
| 인디언 웰스 | BNP 파리바 오픈 | 인디언 웰스 | 미국 | 하드 | 902.9999999999999만달러 | 비앙카 안드레스쿠 (2019) |
| 마이애미 | 마이애미 오픈 | 마이애미 가든스 | 미국 | 하드 | 902.9999999999999만달러 | 애슐리 바티 (2019) |
| 마드리드 | 무투아 마드리드 오픈 | 마드리드 | 스페인 | 클레이 | 702만달러 | 키키 베르텐스 (2019) |
| 베이징 | 차이나 오픈 | 베이징 | 중국 | 하드 | 827.9999999999999만달러 | 오사카 나오미 (2019) |
2. 2. 프리미어 5 (Premier 5)
WTA 프리미어 토너먼트의 한 등급으로, 5개 대회가 개최되었다. 우승자에게는 900점의 랭킹 포인트가 부여되었으며, 세계 랭킹 상위 10위 이내의 선수들은 5개 대회 중 4개 대회에 의무적으로 출전해야 했다. 두바이 대회와 도하 대회는 2011년까지 프리미어 등급과 프리미어 5 등급을 번갈아 가며 개최하기도 했다.아래는 프리미어 5 등급으로 분류되었던 대회 목록이다. (2020년 기준)
| 토너먼트 | 공식 명칭 | 개최 도시 | 국가 | 코트 종류 | 총 상금 (US$) | 최근 단식 챔피언 |
|---|---|---|---|---|---|---|
| 도하 | 카타르 토탈 오픈 | 도하 | 카타르 | 하드 | 91.6만달러 | 아리나 사발렌카 (2020) |
| 로마 | 인테르나치오날리 BNL 디탈리아 | 로마 | 이탈리아 | 클레이 | 345만달러 | 시모나 할레프 (2020) |
| 캐나다 | 로저스 컵 | 토론토 / 몬트리올 | 캐나다 | 하드 | 282만달러 | 비앙카 안드레스쿠 (2019) |
| 신시내티 | 웨스턴 & 서던 오픈 | 메이슨 | 미국 | 하드 | 287만달러 | 빅토리아 아자렌카 (2020) |
| 우한 | 둥펑 모터 우한 오픈 | 우한 | 중국 | 하드 | 274만달러 | 아리나 사발렌카 (2019) |
2021년부터는 남자의 ATP 투어 마스터스 1000과 ATP 투어 500 시리즈에 맞춰 '''WTA 1000'''과 '''WTA 500'''으로 재편되었다[3].
2. 3. 프리미어 (Premier)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운영된 WTA 투어의 대회 등급 중 하나이다. 기존의 티어 I과 티어 II 대회를 통합하여 프리미어 맨더토리, 프리미어 5와 함께 세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프리미어 등급 대회는 연간 12개가 개최되었으며, 우승자에게는 470점의 랭킹 포인트가 부여되었다.2021년부터 WTA 투어는 대회 등급 시스템을 개편하여, 프리미어 등급은 ATP 투어 500 시리즈와 유사한 WTA 500 토너먼트로 대체되었다.[3]
아래는 프리미어 등급으로 분류되었던 주요 대회 목록이다. (2020년 시즌 기준)
| 대회명 | 개최 도시 | 국가 | 코트 종류 |
|---|---|---|---|
| 브리즈번 인터내셔널 | 브리즈번 | 오스트레일리아 | 하드 |
| 애들레이드 인터내셔널 | 애들레이드 | 오스트레일리아 | 하드 |
| 상트페테르부르크 레이디스 트로피 | 상트페테르부르크 | 러시아 | 하드 (실내) |
| 볼보 카 오픈 | 찰스턴 | 미국 | 클레이 |
| 슈투트가르트 오픈 | 슈투트가르트 | 독일 | 클레이 (실내) |
| 이스트본 인터내셔널 | 이스트본 | 영국 | 잔디 |
| 실리콘 밸리 클래식 | 산호세 | 미국 | 하드 |
| 정저우 오픈 | 정저우 | 중국 | 하드 |
| J&T 뱅크 오스트라바 오픈 | 오스트라바 | 체코 | 하드 (실내) |
| 도레이 팬 퍼시픽 오픈 | 도쿄 | 일본 | 하드 |
| 크렘린컵 | 모스크바 | 러시아 | 하드 (실내) |
- 참고: 두바이 테니스 챔피언십과 카타르 토탈 오픈은 연도에 따라 프리미어 5와 프리미어 등급을 번갈아 개최하기도 했다.
3. 역대 대회 결과 (2009-2020)
WTA 프리미어 토너먼트는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여자 테니스 협회(WTA) 투어의 일부로 운영되었다. 이 기간 동안 열린 각 대회별 상세 결과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연도 및 등급별로 확인할 수 있다.
3. 1. 2009년
아래는 대회 분류 및 개최 순서대로 정렬된 2009년 WTA 프리미어 토너먼트 결과이다.|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스코어 |
|---|---|---|---|
| 프리미어 맨데터리 | |||
| 인디언 웰스 | 베라 즈보나레바 | 아나 이바노비치 | 7–6(7–5), 6–2 |
| 마이애미 | 빅토리아 아자렌카 | 세레나 윌리엄스 | 6–3, 6–1 |
| 마드리드 | 디나라 사피나 | 카롤리네 보스니아키 | 6–2, 6–4 |
| 베이징 | 스베틀라나 쿠즈넷소바 |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 | 6–2, 6–4 |
| 프리미어 5 | |||
| 두바이 | 비너스 윌리엄스 | 비르지니 라자노 | 6–4, 6–2 |
| 로마 | 디나라 사피나 | 스베틀라나 쿠즈넷소바 | 6–3, 6–2 |
| 신시내티 | 옐레나 얀코비치 | 디나라 사피나 | 6–4, 6–2 |
| 캐나다 (토론토) | 엘레나 데멘티에바 | 마리아 샤라포바 | 6–4, 6–3 |
| 도쿄 | 마리아 샤라포바 | 옐레나 얀코비치 | 5–2 기권 |
| 프리미어 | |||
| 시드니 | 엘레나 데멘티에바 | 디나라 사피나 | 6–3, 2–6, 6–1 |
| 파리 | 아멜리 모레스모 | 엘레나 데멘티에바 | 7–6(9–7), 2–6, 6–4 |
| 찰스턴 | 자비네 리지키 | 카롤리네 보스니아키 | 6–2, 6–4 |
| 슈투트가르트 | 스베틀라나 쿠즈넷소바 | 디나라 사피나 | 6–4, 6–3 |
| 바르샤바 오픈 | 알렉산드라 둘게루 | 알료나 본다렌코 | 7–6(7–3), 3–6, 6–0 |
| 이스트본 | 카롤리네 보스니아키 | 비르지니 라자노 | 7–6, 7–5 |
| 스탠퍼드 | 마리옹 바르톨리 | 비너스 윌리엄스 | 6–2, 5–7, 6–4 |
| 로스앤젤레스 | 플라비아 페네타 | 서맨사 스토서 | 6–4, 6–3 |
| 뉴헤이븐 | 카롤리네 보스니아키 | 엘레나 베스니나 | 6–2, 6–4 |
| 모스크바 | 프란체스카 스키아보네 | 올가 고보르초바 | 6–3, 6–0 |
3. 1. 1. 프리미어 맨데터리
아래는 각 연도별 프리미어 맨데터리 대회 결과이다.'''2009년'''
| 대회명 | 우승자 | 준우승자 | 스코어 |
|---|---|---|---|
| 인디언 웰즈 마스터스 | 베라 즈보나레바 | 아나 이바노비치 | 7-6(5), 6-2 |
| 마이애미 마스터스 | 빅토리아 아자렌카 | 세레나 윌리엄스 | 6-3, 6-1 |
| 마드리드 마스터스 | 디나라 사피나 | 카롤리네 보스니아키 | 6-2, 6-4 |
| 차이나 오픈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 | 6-2, 6-4 |
'''2010년'''
|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점수 |
|---|---|---|---|
| 인디언 웰스 | 옐레나 얀코비치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6-2, 6-4 |
| 마이애미 | 킴 클레이스터르스 | 비너스 윌리엄스 | 6-2, 6-1 |
| 마드리드 | 아라반 레자이 | 비너스 윌리엄스 | 6-2, 7-5 |
| 베이징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베라 즈보나레바 | 6-3, 3-6, 6-3 |
'''2011년'''
|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점수 |
|---|---|---|---|
| 인디언 웰스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마리온 바르톨리 | 6-1, 2-6, 6-3 |
| 마이애미 | 빅토리아 아자렌카 | 마리아 샤라포바 | 6-1, 6-4 |
| 마드리드 | 페트라 크비토바 | 빅토리아 아자렌카 | 7-6(7-3), 6-4 |
| 베이징 |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 | 안드레아 페트코비치 | 7-5, 0-6, 6-4 |
'''2013년'''
|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스코어 |
|---|---|---|---|
| 인디언 웰스 | 마리아 샤라포바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6-2, 6-2 |
| 마이애미 | 세레나 윌리엄스 | 마리아 샤라포바 | 4-6, 6-3, 6-0 |
| 마드리드 | 세레나 윌리엄스 | 마리아 샤라포바 | 6-1, 6-4 |
| 베이징 | 세레나 윌리엄스 | 옐레나 얀코비치 | 6-2, 6-2 |
3. 1. 2. 프리미어 5
=== 2009년 ===|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스코어 |
|---|---|---|---|
| 두바이 | 비너스 윌리엄스 | 버지니 라자노 | 6–4, 6–2 |
| 로마 | 디나라 사피나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 6–3, 6–2 |
| 신시내티 | 옐레나 얀코비치 | 디나라 사피나 | 6–4, 6–2 |
| 캐나다 (토론토) | 엘레나 데멘티에바 | 마리아 샤라포바 | 6–4, 6–3 |
| 도쿄 | 마리아 샤라포바 | 옐레나 얀코비치 | 5–2 기권 |
=== 2010년 ===
|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점수 |
|---|---|---|---|
| 두바이 | 비너스 윌리엄스 | 빅토리아 아자렌카 | 6–3, 7–5 |
| 로마 | 마리아 호세 마르티네스 | 옐레나 얀코비치 | 7–6(7–5), 7–5 |
| 신시내티 | 킴 클레이스터르스 | 마리아 샤라포바 | 2–6, 7–6(7–4), 6–2 |
| 캐나다 (몬트리올)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베라 즈보나레바 | 6–3, 6–2 |
| 도쿄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엘레나 데멘티예바 | 1–6, 6–2, 6–3 |
=== 2011년 ===
|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점수 |
|---|---|---|---|
| 두바이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 6–1, 6–3 |
| 로마 | 마리아 샤라포바 | 사만다 스토서 | 6–2, 6–4 |
| 캐나다 (토론토) | 세레나 윌리엄스 | 사만다 스토서 | 6–4, 6–2 |
| 신시내티 | 마리아 샤라포바 | 옐레나 얀코비치 | 4–6, 7–6(7–3), 6–3 |
| 도쿄 |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 | 베라 즈보나레바 | 6–3, 6–2 |
=== 2013년 ===
|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스코어 |
|---|---|---|---|
| 도하 | 빅토리아 아자렌카 | 세레나 윌리엄스 | 7–6(8–6), 2–6, 6–3 |
| 로마 | 세레나 윌리엄스 | 빅토리아 아자렌카 | 6–1, 6–3 |
| 캐나다 (토론토) | 세레나 윌리엄스 | 소라나 시르스테아 | 6–2, 6–0 |
| 신시내티 | 빅토리아 아자렌카 | 세레나 윌리엄스 | 2–6, 6–2, 7–6(8–6) |
| 도쿄 | 페트라 크비토바 | 안젤리크 케르버 | 6–2, 0–6, 6–3 |
3. 1. 3. 프리미어
=== 2009년 ===|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스코어 |
|---|---|---|---|
| 시드니 | 엘레나 데멘티에바 | 디나라 사피나 | 6–3, 2–6, 6–1 |
| 파리 | 아멜리 모레스모 | 엘레나 데멘티에바 | 7–6(9–7), 2–6, 6–4 |
| 찰스턴 | 사비네 리시츠키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6–2, 6–4 |
| 슈투트가르트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 디나라 사피나 | 6–4, 6–3 |
| 바르샤바 | 알렉산드라 둘게루 | 알로나 본다렌코 | 7–6(7–3), 3–6, 6–0 |
| 이스트본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버지니 라자노 | 7–6, 7–5 |
| 스탠퍼드 | 마리온 바르톨리 | 비너스 윌리엄스 | 6–2, 5–7, 6–4 |
| 로스앤젤레스 | 플라비아 페네타 | 사만다 스토서 | 6–4, 6–3 |
| 뉴헤이븐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엘레나 베스니나 | 6–2, 6–4 |
| 모스크바 | 프란체스카 스키아보네 | 올가 고보르초바 | 6–3, 6–0 |
=== 2010년 ===
|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점수 |
|---|---|---|---|
| 시드니 | 엘레나 데멘티예바 | 세레나 윌리엄스 | 6–3, 6–2 |
| 파리 | 엘레나 데멘티예바 | 루치에 샤파르조바 | 6–7(5–7), 6–1, 6–4 |
| 찰스턴 | 사만다 스토서 | 베라 즈보나레바 | 6–0, 6–3 |
| 슈투트가르트 | 쥐스틴 에냉 | 사만다 스토서 | 6–4, 2–6, 6–1 |
| 바르샤바 | 알렉산드라 둘게루 | 정제 | 6–3, 6–4 |
| 이스트본 | 예카테리나 마카로바 | 빅토리아 아자렌카 | 7–6(7–5), 6–4 |
| 스탠퍼드 | 빅토리아 아자렌카 | 마리아 샤라포바 | 6–4, 6–1 |
| 샌디에이고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 | 6–4, 6–7(7–9), 6–3 |
| 뉴헤이븐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나디아 페트로바 | 6–3, 3–6, 6–3 |
| 모스크바 | 빅토리아 아자렌카 | 마리아 키릴렌코 | 6–3, 6–4 |
=== 2011년 ===
|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점수 |
|---|---|---|---|
| 시드니 | 리나 | 킴 클레이스터스 | 7–6(7–3), 6–3 |
| 파리 | 페트라 크비토바 | 킴 클레이스터스 | 6–4, 6–3 |
| 도하 | 베라 즈보나레바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6–4, 6–4 |
| 찰스턴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엘레나 베스니나 | 6–2, 6–3 |
| 슈투트가르트 | 율리아 괴르게스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7–6(7–3), 6–3 |
| 브뤼셀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펑솨이 | 2–6, 6–3, 6–3 |
| 이스트본 | 마리온 바르톨리 | 페트라 크비토바 | 6–1, 4–6, 7–5 |
| 스탠퍼드 | 세레나 윌리엄스 | 마리온 바르톨리 | 7–5, 6–1 |
| 샌디에고 |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 | 베라 즈보나레바 | 6–3, 6–4 |
| 뉴 헤이븐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페트라 체트코브스카 | 6–4, 6–1 |
| 모스크바 | 도미니카 시불코바 | 카이아 카네피 | 3–6, 7–6(7–1), 7–5 |
=== 2013년 ===
|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스코어 |
|---|---|---|---|
| 브리즈번 | 세레나 윌리엄스 | 아나스타샤 파블류첸코바 | 6–2, 6–1 |
| 시드니 |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 | 도미니카 시불코바 | 6–0, 6–0 |
| 파리 | 모나 바르텔 | 사라 에라니 | 7–5, 7–6(7–4) |
| 두바이 | 페트라 크비토바 | 사라 에라니 | 6–2, 1–6, 6–1 |
| 찰스턴 | 세레나 윌리엄스 | 옐레나 얀코비치 | 3–6, 6–0, 6–2 |
| 슈투트가르트 | 마리아 샤라포바 | 리나 | 6–4, 6–3 |
| 브뤼셀 | 카이아 카네피 | 펑솨이 | 6–2, 7–5 |
| 이스트본 | 옐레나 베스니나 | 제이미 햄프턴 | 6–2, 6–1 |
| 스탠퍼드 | 도미니카 시불코바 |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 | 3–6, 6–4, 6–4 |
| 칼스배드 | 사만다 스토서 | 빅토리아 아자렌카 | 6–2, 6–3 |
| 뉴헤이븐 | 시모나 할레프 | 페트라 크비토바 | 6–2, 6–2 |
| 모스크바 | 시모나 할레프 | 사만다 스토서 | 7–6, 6–2 |
3. 2. 2010-2020년
'''2010년'''|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점수 |
|---|---|---|---|
| 프리미어 매니데이토리 | |||
| 인디언 웰스 | 옐레나 얀코비치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6–2, 6–4 |
| 마이애미 | 킴 클레이스터르스 | 비너스 윌리엄스 | 6–2, 6–1 |
| 마드리드 | 아라반 레자이 | 비너스 윌리엄스 | 6–2, 7–5 |
| 베이징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베라 즈보나레바 | 6–3, 3–6, 6–3 |
| 프리미어 5 | |||
| 두바이 | 비너스 윌리엄스 | 빅토리아 아자렌카 | 6–3, 7–5 |
| 로마 | 마리아 호세 마르티네스 | 옐레나 얀코비치 | 7–6(7–5), 7–5 |
| 신시내티 | 킴 클레이스터르스 | 마리아 샤라포바 | 2–6, 7–6(7–4), 6–2 |
| 캐나다 (몬트리올)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베라 즈보나레바 | 6–3, 6–2 |
| 도쿄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엘레나 데멘티예바 | 1–6, 6–2, 6–3 |
| 프리미어 | |||
| 시드니 | 엘레나 데멘티예바 | 세레나 윌리엄스 | 6–3, 6–2 |
| 파리 | 엘레나 데멘티예바 | 루치에 샤파르조바 | 6–7(5–7), 6–1, 6–4 |
| 찰스턴 | 사만다 스토서 | 베라 즈보나레바 | 6–0, 6–3 |
| 슈투트가르트 | 쥐스틴 에냉 | 사만다 스토서 | 6–4, 2–6, 6–1 |
| 바르샤바 | 알렉산드라 둘게루 | 정제 | 6–3, 6–4 |
| 이스트본 | 예카테리나 마카로바 | 빅토리아 아자렌카 | 7–6(7–5), 6–4 |
| 스탠퍼드 | 빅토리아 아자렌카 | 마리아 샤라포바 | 6–4, 6–1 |
| 샌디에이고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 | 6–4, 6–7(7–9), 6–3 |
| 뉴헤이븐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나디아 페트로바 | 6–3, 3–6, 6–3 |
| 모스크바 | 빅토리아 아자렌카 | 마리아 키릴렌코 | 6–3, 6–4 |
'''2011년'''
| 토너먼트 | 우승자 | 준우승자 | 점수 |
|---|---|---|---|
| 프리미어 필수 | |||
| 인디언 웰스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마리온 바르톨리 | 6–1, 2–6, 6–3 |
| 마이애미 | 빅토리아 아자렌카 | 마리아 샤라포바 | 6–1, 6–4 |
| 마드리드 | 페트라 크비토바 | 빅토리아 아자렌카 | 7–6(7–3), 6–4 |
| 베이징 |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 | 안드레아 페트코비치 | 7–5, 0–6, 6–4 |
| 프리미어 5 | |||
| 두바이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스베틀라나 쿠즈네초바 | 6–1, 6–3 |
| 로마 | 마리아 샤라포바 | 사만다 스토서 | 6–2, 6–4 |
| 캐나다 (토론토) | 세레나 윌리엄스 | 사만다 스토서 | 6–4, 6–2 |
| 신시내티 | 마리아 샤라포바 | 옐레나 얀코비치 | 4–6, 7–6(7–3), 6–3 |
| 도쿄 |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 | 베라 즈보나레바 | 6–3, 6–2 |
| 프리미어 | |||
| 시드니 | 리나 | 킴 클레이스터스 | 7–6(7–3), 6–3 |
| 파리 | 페트라 크비토바 | 킴 클레이스터스 | 6–4, 6–3 |
| 도하 | 베라 즈보나레바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6–4, 6–4 |
| 찰스턴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엘레나 베스니나 | 6–2, 6–3 |
| 슈투트가르트 | 율리아 괴르게스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7–6(7–3), 6–3 |
| 브뤼셀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펑솨이 | 2–6, 6–3, 6–3 |
| 이스트본 | 마리온 바르톨리 | 페트라 크비토바 | 6–1, 4–6, 7–5 |
| 스탠퍼드 | 세레나 윌리엄스 | 마리온 바르톨리 | 7–5, 6–1 |
| 샌디에이고 | 아그니에슈카 라드반스카 | 베라 즈보나레바 | 6–3, 6–4 |
| 뉴 헤이븐 | 캐롤라인 워즈니아키 | 페트라 체트코브스카 | 6–4, 6–1 |
| 모스크바 | 도미니카 시불코바 | 카이아 카네피 | 3–6, 7–6(7–1), 7–5 |
4. 2021년 이후 변화
2021년부터 남자 ATP 투어 마스터스 1000과 ATP 투어 500 시리즈에 맞춰 기존의 프리미어 토너먼트는 '''WTA1000'''과 '''WTA500'''으로 재편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Western & Southern Open | Western & Southern Open"
http://www.wsopen.co[...]
2022-10-03
[2]
웹사이트
WTA will align tournament categories with ATP from 2021 season
https://www.skysport[...]
2020-12-02
[3]
웹사이트
WTAがツアーカテゴリーの名称を変更、ATPと足並みそろえ
https://www.afpbb.co[...]
2020-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