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톨릭 삿포로 교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톨릭 삿포로 교구는 홋카이도 전역을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구이다. 1915년 홋카이도의 하코다테 교구에서 분리되어 지목구로 설정된 후, 1929년 삿포로 사도좌 대리구를 거쳐 1952년 삿포로 교구로 승격되었다. 현재 주교좌 성당은 수호천사 삿포로 대성당이며, 2013년 카츠야 타이지 주교가 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 삿포로 교구는 57개의 본당과 54명의 사제를 두고 있으며, 일본어와 영어로 미사를 봉헌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로마 가톨릭 교구 - 가톨릭 사이타마 교구
    가톨릭 사이타마 교구는 사이타마현, 도치기현, 군마현, 이바라키현을 관할하는 교구로, 1939년 요코하마 교구에서 분리된 우라와 지목구로 설립, 1957년 우라와 교구로 승격, 2003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일본사도좌대리구의 역사와 연관되어 마리오 미치아키 야마노우치 주교가 교구장을 맡고 있다.
  • 일본의 로마 가톨릭 교구 - 가톨릭 오사카 대교구
    가톨릭 오사카 대교구는 1888년 중일본대목구로 설립, 1891년 오사카 교구 승격, 1969년 대교구로 승격 후 2023년 다카마쓰 교구와 통합하여 오사카-다카마쓰 대교구로 재편되었으며 현재 오사카부, 효고현, 와카야마현, 가가와현, 에히메현, 도쿠시마현, 고치현을 관할하고 초대 대주교는 마에다 만요 추기경이다.
  • 나라별 로마 가톨릭 교구 - 천주교 서울대교구
    천주교 서울대교구는 서울특별시를 관할하는 한국 천주교회의 대교구로서, 한국 천주교회 역사를 이어받아 1962년 대교구로 승격되었으며, 2020년 기준 약 153만 명의 신자와 954명의 사제가 소속되어 한국 천주교회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며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 교육, 의료, 사회 사목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나라별 로마 가톨릭 교구 - 가톨릭 사이타마 교구
    가톨릭 사이타마 교구는 사이타마현, 도치기현, 군마현, 이바라키현을 관할하는 교구로, 1939년 요코하마 교구에서 분리된 우라와 지목구로 설립, 1957년 우라와 교구로 승격, 2003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일본사도좌대리구의 역사와 연관되어 마리오 미치아키 야마노우치 주교가 교구장을 맡고 있다.
가톨릭 삿포로 교구
기본 정보
이름삿포로 교구
로마자 표기Dioecesis Sapporensis
현지 이름カトリック札幌司教区
관할 지역홋카이도
관구도쿄 관구
교회법상 지위교구
전례로마 전례
면적83,452 km²
인구 (2010년)5,543,556명
가톨릭 신자17,993명
가톨릭 신자 비율0.3%
웹사이트교구 공식 웹사이트
주요 성당
주교좌 성당수호천사 대성당
공동 주교좌 성당(공동 주교좌 성당 정보 없음)
삿포로 기타1조 성당
삿포로 수호천사 대성당
교구 연혁
설립1915년
설립자빈첸시오 기놀드 (프란치스코회)
설정일1923년 5월 4일
교구 구성
교회 수57개
사제 수70명
교구장
교구장가쓰야 다이지 베르나르도
대교구장기쿠치 이사오 타르치시오
명예 주교(명예 주교 정보 없음)

2. 연혁

1915년 2월 12일, 하코다테 교구에서 홋카이도 중 하코다테 교구 관할 지역을 제외한 전역 및 사할린 남부를 관할구역으로 하는 '''지목구'''가 설정되어 독일의 프란치스코회에 위탁되었다.[10] 1929년 3월 30일, '''대목구'''로 승격되어 지목구장 빈첸시오 키놀드 신부가 주교에 서품되었다.[10]

1932년 7월 14일, 사할린 교구가 분리되어 폴란드프란치스코회에 위탁되었다.[10] 1941년, 키놀드 주교가 교구장을 사임하여 토다 몬시뇰이 대목구장이 되었다. 1944년, 토다 몬시뇰이 요코하마 교구장으로 전출되어 세마 유이사무 몬시뇰이 후임 대목구장이 되었다.[10]

1952년 12월 11일, 홋카이도 전역이 '''삿포로 교구'''로 승격되었다.[10] 1953년 3월 19일, 도미자와 신부가 교구장에 임명되어 주교로 서품되었다.[10] 1987년 10월 3일, 도미자와 주교가 사임하여 지누시 도시 오 신부가 후임에 임명되었다. 1988년 1월 15일, 지누시 신부가 주교로 서품되어 교구장으로 취임했다. 2009년 11월 7일, 지누시 주교(79세)가 은퇴하였다. 2013년 6월 22일, 가쓰야 다이지 신부가 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

2. 1. 삿포로 교구 설립 이전

1846년(고카 3년) 일본 사도좌 대리구(현재의 도쿄 대교구)가 설립되어, 요코하마에 대리구장 관저가 설치되었다.

1866년(게이오 2년) 대리구장 관저가 나가사키로 이전되었다.

1876년(메이지 9년) 5월 22일, 일본 사도좌 대리구를 일본 북위 사도좌 대리구, 일본 남위 사도좌 대리구 (현재의 나가사키 교구)의 2개 구역으로 분할하였다. 일본 북위 사도좌 대리구는 요코하마에 대리구장 관저를 두고, 홋카이도, 도호쿠, 간토주부의 각 지방을 관할 구역으로 했다.

1877년(메이지 10년) 7월, 대리구장 관저가 도쿄로 이전되었다.

1891년(메이지 24년) 4월 17일, 홋카이도와 도호쿠 지방을 분리하여 하코다테 사도좌 대리구 (현재의 센다이 교구)가 되었고, 같은 해 6월 15일, 하코다테 교구로 승격되었다.

1915년 (다이쇼 4년) 2월 12일, 하코다테 교구에서 분리하여 홋카이도 중 하코다테 교구 관할 지역을 제외한 전역 및 사할린 남부를 관할구역으로 하는 '''삿포로 사도좌 지목구'''가 설정되어 독일의 프란치스코회에 위탁되었다.

1929년 (쇼와 4년) 3월 30일, 삿포로 사도좌 지목구는 '''삿포로 사도좌 대리구'''로 승격되었다.

1932년 (쇼와 7년) 7월 14일, 사할린 남부를 분리하여 가라후토 지목구를 설립하였다.

1952년 (쇼와 27년) 12월 11일, 그때까지 센다이 교구 (이전의 하코다테 교구)에 속해 있던 하코다테 지구를 병합하여, 삿포로 사도좌 대리구는 '''삿포로 교구'''로 승격되었다.

2. 2. 삿포로 교구 설립 및 발전

1915년 2월 12일, 하코다테 교구에서 홋카이도 중 하코다테 교구 관할 지역을 제외한 전역 및 사할린 남부를 관할구역으로 하는 '''지목구'''가 설정되어 독일의 프란치스코회에 위탁되었다.[10] 1929년 3월 30일, '''대목구'''로 승격되어 지목구장 윈체슬라우스 키놀드 신부가 주교에 서품되었다.[10]

1932년 7월 14일, 사할린 교구가 분리되어 폴란드프란치스코회에 위탁되었다.[10] 1941년, 키놀드 주교가 교구장을 사임하여 토다 몬시뇰이 대목구장이 되었다. 1944년, 토다 몬시뇰이 요코하마 교구장으로 전출되어 세마 유이사무 몬시뇰이 후임 대목구장이 되었다.[10]

1952년 12월 11일, 홋카이도 전역이 '''삿포로 교구'''로 승격되었다.[10] 1953년 3월 19일, 도미자와 신부가 교구장에 임명되어 주교로 서품되었다.[10] 1987년 10월 3일, 도미자와 주교가 사임하여 지누시 토시오 신부가 후임에 임명되었다. 1988년 1월 15일, 지누시 신부가 주교로 서품되어 교구장으로 취임했다. 2009년 11월 7일, 지누시 주교(79세)가 은퇴하였다. 2013년 6월 22일, 카투수야 타이지 신부가 교구장으로 임명되었다.

교황 레오 13세는 삿포로 대목구를 삿포로 교구로 승격시켰다.

2. 3. 삿포로 교구 역대 교구장

대수이름한자임기
1토미자와 다카히코(베네딕토)冨澤孝彦1952년 12월 11일 ~ 1987년 10월 3일
2지누시 도시오(베드로)地主敏夫1987년 10월 3일 ~ 2009년 11월 7일
3카츠야 타이지(베르나르도)勝谷太治2013년 6월 22일 ~



초대 교구장은 토미자와 다카히코(베네딕토) 주교였다.[11] 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참여한 중요한 인물이었다. 2대 교구장은 지누시 도시오(베드로) 주교로, 1987년 10월 3일부터 2009년 11월 17일까지 재임했다.[11] 그는 은퇴 후 삿포로 명예 주교이다. 2009년 11월 17일 지누시 도시오 주교 은퇴 후, 니가타 교구 기쿠치 이사오 주교가 2013년까지 교구 관리를 담당했다.[13] 현재 교구장은 2013년 6월 22일 임명된 카츠야 타이지(베르나르도) 주교이다.[13]

3. 역대 교구장

초대 교구장은 도미자와 다카히코(冨澤孝彦, 베네딕도) 주교로, 1952년 교구 설립 때부터 1987년 10월까지 재임하였다.[11]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 참여하기도 했다.

2대 교구장은 지누시 도시오(地主敏夫, 베드로) 주교로, 1987년 10월 3일부터 2009년 11월 17일까지 재임하였다.[11] 75세 정년을 넘겼으나 교황 베네딕토 16세가 임기를 연장하여 2009년까지 재임했다.

2009년 11월 17일부터 2013년까지는 니가타 교구의 기쿠치 이사오(菊地 功, 타르치시오) 주교가 교구장 서리로서 삿포로 교구를 관리했다. 기쿠치 이사오 주교는 2017년 도쿄 대교구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며, 카리타스 인터내셔널 대표 위원회 일원이자 카리타스 재팬과 카리타스 아시아의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또한 2014년부터 인류 복음화 성성의 일원이기도 하다.[13]

현재 교구장은 카츠야 타이지(勝谷 太治, 베르나르도) 주교로, 2013년 6월에 임명되었다.[13] 일본 가톨릭 정의 평화 협의회 의장을 맡고 있다.

3. 1. 역대 지목구장

대수이름임기
1벤체슬라오 키놀드1915년 ~ 1941년
2토다 다테와키(戸田帯刀, 라우렌시오)1941년 ~ 1944년
3세노 이사무(瀬野 勇, 아우구스티노)1944년 ~ 1952년


3. 2. 역대 대목구장


  • 초대 벤체슬라오 키놀드 (프란치스코회) 주교 (1915~1941) (지목구장)[1]
  • 2대 라우렌시오 토다 타이가 몬시뇰 (1941~1944)[1]
  • 3대 아우구스티누스 세노 이사무 몬시뇰 (1944~1952)[1]

3. 3. 역대 교구장


  • 초대 토미자와 다카히코(冨澤孝彦, 베네딕도) 주교 (1952년 12월 11일 – 1987년 10월 3일)[11]
  • 2대 지누시 도시오(地主敏夫, 베드로) 주교 (1987년 10월 3일 ~ 2009년 11월 17일)[11]
  • 3대 카츠야 타이지(勝谷 太治, 베르나르도) 주교 (2013년 6월 22일 ~ 현재)[13]

4. 관할 구역 및 시설

홋카이도 전역을 관할한다. 수호천사 삿포로 대성당은 가톨릭 삿포로 교구의 주교좌 성당이자 삿포로 교구의 주교인 가쓰야 다이지 주교의 공식 좌석이다. 이 성당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로마 전례에 따라 운영되며, 일본어와 영어로 미사를 봉헌한다.[11]

가톨릭 삿포로 교구 현황 (2017년 기준)
관할 구역 면적교구 인구본당성직자
83452km216,091명 (전체 인구 5,339,980명의 0.3%)57개 (주교좌 성당 소재)사제 54명 (교구 사제 19명, 수도 사제 35명), 부제 1명, 평신도 수도자 337명 (수도 형제 63명, 수녀 274명), 신학생 2명



교구의 특별 성당은 다음과 같다.[11]


  • 주교좌 성당: 수호 천사 대성당 (삿포로)
  • 옛 주교좌 성당: 무염시태 성당 (모토마치 교회) (하코다테)
  • 자비의 특별 희년 기념 성지


주교좌 성당인 삿포로 카테드랄 수호 천사 성당(북1조 교회)은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 키타1조히가시 6초메 10에 위치하고 있다. 가는 방법은 지하철 도자이선 버스센터앞역 10번 출구에서 도보 4분 거리이다.

참조

[1] 학술지 Deus Destroyed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2] 학술지 Catholicism in Japan 1958
[3] 학술지 History of Christianity in Japan 1971
[4] 학술지 Over 20,000 Assyrian Missionaries ... Came to Japan in 199 A.D 1996-06-24
[5] 서적 Transforming selves: Identity, history, and autonomy among Roman Catholics in Tokyo. McMaster University
[6] 서적 History of Chrisianity in Japan. Tokyo: Yoshikawa Kobunkan
[7]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s in Japan. Grand Rapids, MI: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8] 서적 The Catholic Church In Japan Since 1859. Tokyo: Herder Agency, Enderle Bookstore.
[9] 학술지 Kurozumikyo and the new religions of Japan. 1986
[10] 웹사이트 Catholic Bishops conference Japan https://www.cbcj.cat[...]
[11] 웹사이트 Gcatholic http://www.gcatholic[...] 2020
[12] 웹사이트 Guardian Angels Church Sapporo https://sites.google[...]
[13] 웹사이트 UCA news https://www.uca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