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속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각속도는 시간 간격 동안 각의 변화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 속도를 나타낸다. 평균 각속도는 각 변위의 변화량을 시간 간격으로 나눈 값이며, 순간 각속도는 각을 시간으로 미분하여 정의된다. 각속도는 2차원에서는 유사 스칼라, 3차원에서는 유사 벡터로 표현되며, 오른손 법칙에 따라 방향이 결정된다. 강체 회전에서 모든 입자는 동일한 각속도를 가지며, 각속도와 위치 벡터의 외적을 통해 속도를 구할 수 있다. 각속도의 단위는 라디안 매 초(rad/s)이며, 원심력과 코리올리 힘과 같은 물리 현상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속도 - 음속
음속은 소리가 매질을 통해 전달되는 속도로, 매질의 탄성 계수와 밀도에 따라 달라지며, 고체, 액체, 기체 순으로 빠르고, 특히 기체는 비열비, 평균 분자량, 온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 - 속도 - 속력
속력은 물체의 움직이는 빠르기를 나타내는 스칼라량으로, 이동 거리를 시간으로 나눈 값이며, 속도와 달리 방향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다양한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 물리량 - 전위
전위는 전기장 내 단위 전하의 위치 에너지로, 정전기학에서는 기준점에 따라 정의되며 전위차만이 의미를 갖고, 전기장의 음의 기울기로 표현되고, 전기 공학에서는 회로 해석에 활용된다. - 물리량 - 전기장
전기장은 공간의 각 지점에서 단위 전하가 받는 힘으로 정의되는 벡터장으로, 전하 또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며, 전기력선으로 표현되고 맥스웰 방정식으로 기술되는 전자기장의 한 요소이다.
각속도 | |
---|---|
개요 | |
영어 명칭 | Angular velocity |
다른 명칭 | Rotational velocity (회전 속도) Angular speed (각 속도) Rotational speed (회전 속도) |
물리량 | |
기호 | ω |
단위 | 라디안/초 (rad/s) |
기본 단위 | 1/s (초-1) |
차원 | wikidata (위키데이터) |
종류 | 크기 성질 세기 성질 (강체에 한정) |
보존 여부 | 보존되지 않음 |
변환 | 유사 벡터 |
유도식 | ω = dθ / dt |
2. 정의
속도와 마찬가지로, 특정 시간 간격 동안 각이 변한 정도 의 비로부터 '''평균회전속력''' 를 정의할 수 있다.
:
여기서 시간 간격을 무한히 줄이면, 즉 각을 시간으로 미분함으로써 '''순간회전속력''' 를 정의할 수 있다.
:
유한한 회전은 벡터로 표현이 불가능하지만, 회전 무한소는 벡터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13] 이를 시간 무한소로 나눈것, 즉, 어떤 순간의 각을 시간으로 미분한것을 '''각속도''' 라 한다.
:
질점의 위치 벡터를 , 속도 벡터를 라고 할 때, 질점의 원점에 대한 각속도 는
:
로 정의된다. 여기서 는 위치 벡터의 크기 }} 이며, 는 벡터 외적을 나타낸다.
2. 1. 평균 각속도
속도와 마찬가지로, 특정 시간 간격 동안 각이 변한 정도 의 비로부터 '''평균회전속력''' 를 정의할 수 있다.:
2. 2. 순간 각속도
속도와 마찬가지로, 특정 시간 간격 동안 각이 변한 정도 의 비로부터 평균회전속력 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간격을 무한히 줄이면, 즉 각을 시간으로 미분함으로써 순간회전속력 를 정의할 수 있다.
:
유한한 회전은 벡터로 표현이 불가능하지만, 회전 무한소는 벡터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13] 이를 시간 무한소로 나눈 것, 즉, 어떤 순간의 각을 시간으로 미분한 것을 '''각속도''' 라 한다.
:
질점의 위치 벡터를 , 속도 벡터를 라고 할 때, 질점의 원점에 대한 각속도 는
:
로 정의된다. 여기서 는 위치 벡터의 크기 }} 이며, 는 벡터 외적을 나타낸다.
2. 3. 각속도 벡터
3차원 공간에서 움직이는 입자의 위치 벡터 '''r'''에 대해, 궤도 각속도는 크기가 '''r'''이 각도(단위 시간당 라디안)를 쓸어내는 비율이고, 방향이 '''r'''이 각도를 쓸어내는 순간적인 평면(즉, '''r'''과 '''v'''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수직인 유사 벡터이다.[6] 그러나 어떤 평면에도 수직인 방향이 두 개 있으므로, 각속도의 방향을 고유하게 지정하기 위해 오른손 법칙이 사용된다.유사 벡터 를 '''r'''과 '''v'''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수직인 단위 벡터로 하고 오른손 법칙을 만족시키면(즉, 의 위쪽에서 볼 때 순간적인 각 변위의 방향은 반시계 방향), 궤도 각속도 벡터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여기서 ''θ''는 '''r'''과 '''v''' 사이의 각도이다. 외적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다.
:[6]
위의 방정식에서 접선 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각속도는 물체가 회전하는 평면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중 하나를 양으로, 다른 하나를 음으로 정의한다.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오른손 좌표계에서는 각속도의 부호는 반시계 방향을 양으로 정의하고, 각속도의 방향은 오른손 법칙에 따라 회전면이 반시계 방향으로 보이는 방향으로 정해진다.
각속도는 종종 스칼라 또는 벡터로 취급되지만, 거울상 반전에 의해 방향이 바뀐다[11]는 등의 성질로부터 엄밀히 말하면 유사 스칼라 또는 유사 벡터로 취급된다. 2차원 공간에서는 회전 평면의 축은 하나로 제한되므로 각속도는 유사 스칼라가 되고, 3차원 공간에서는 회전 평면의 축은 자유로운 방향을 향할 수 있으므로 각속도는 유사 벡터가 된다[12]. 각속도의 절댓값(또는 노름)을 종종 '''각속도의 크기'''라고 부르지만, 문맥에 따라서는 각속도의 크기를 포함하여 단순히 "각속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3. 각속도와 속도의 관계
회전의 중심으로부터 만큼 떨어진 물체의 속도 와 각속도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
특별히, 물체의 운동이 평면 상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엔 과 가 수직이 되어 아래와 같이 각속도에 대해 식을 쓸 수도 있다.
:
4. 강체 회전
강체 회전의 경우, 강체 내 모든 입자는 동일한 각속도를 가진다.[7] 강체의 각속도는 고정된 점을 기준으로, 강체에 고정된 좌표계의 회전으로 기술할 수 있다.
회전하는 세 개의 단위 좌표 벡터로 이루어진 좌표계가 주어지면, 세 벡터는 모두 각 순간 동일한 각속도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좌표계에서 각 벡터는 일정한 스칼라 반지름을 가진 움직이는 입자로 간주될 수 있다.
오일러의 회전 정리에 따르면, 모든 회전하는 좌표계는 순간 회전축을 가지며, 이는 각속도 벡터의 방향이고, 각속도의 크기는 2차원 경우와 일치한다. 강체에 고정된 기준점
:
고정된 점 O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강체를 생각해 보자. 강체에 고정된 직교 단위 벡터 집합
:
여기서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오일러 각과 중간 프레임을 사용하여 각속도 유사 벡터의 성분을 처음으로 계산했다.[7]
- 기준 프레임의 한 축(세차 축)
- 기준 프레임에 대한 이동 프레임의 교점선(장동 축)
- 이동 프레임의 한 축(고유 회전 축)
오일러는 각속도 유사 벡터의 이 세 축에 대한 투영이 각각의 연관된 각도의 도함수임을 증명했다(이는 순간 회전을 세 개의 순간 오일러 회전으로 분해하는 것과 같다).[7] 따라서:
:
이 기저는 직교 기저가 아니며 사용하기 어렵지만, 이제 기저의 변환만으로 속도 벡터를 고정 프레임 또는 이동 프레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프레임으로 변경하면:
:
(\dot\alpha \sin\beta \sin\gamma + \dot\beta\cos\gamma) \hat\mathbf i+
(\dot\alpha \sin\beta \cos\gamma - \dot\beta\sin\gamma) \hat\mathbf j +
(\dot\alpha \cos\beta + \dot\gamma) \hat\mathbf k
여기서
위치 벡터와 각속도의 벡터 외적은, 삼중 벡터곱 공식으로부터
:
이 된다. 동경 방향의 단위 벡터 '' = '''''r'''''/''r''}} 를 도입하면
:
이다. 동경 방향의 속도 성분을 갖지 않을 때, 즉 원점으로부터의 거리가 변화하지 않을 때
:
이 된다. 특히 원점을 고정점으로 하는 강체 회전에서는, 단일의 각속도에 의해 모든 입자의 속도가 같은 형태로 표현된다.
5. 각속도 텐서
각속도는 텐서(tensor)로도 표현될 수 있다.
6. 단위
각속도의 단위는 각도의 단위와 시간의 단위의 비로 표현된다.[10] 국제단위계(SI)에서 각도의 단위는 라디안(rad), 시간의 단위는 초(s)이므로, 각속도의 단위는 라디안 매 초(rad/s)가 된다.[10] 각속도를 나타내는 기호로는 종종 그리스 문자의 ω 또는 Ω가 사용된다.[10]
7. 관련 물리 현상
각속도와 관련된 물리 현상으로는 원심력과 코리올리 힘이 있다.
참조
[1]
서적
Understanding physic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Inc., authorized reprint to Wiley – India
2007
[2]
웹사이트
Angular velocity Rotational Motion, Angular Momentum, Torque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0-05
[3]
서적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4]
웹사이트
Units with special names and symbols; units that incorporate special names and symbols
http://www.bipm.org/[...]
[5]
서적
Engineering Mechanics
https://books.google[...]
Pearson Prentice Hall
[6]
서적
Angular Velocity
https://cnx.org/cont[...]
Rice University
2021-05-21
[7]
문서
K.S.HEDRIH: Leonhard Euler (1707–1783) and rigid body dynamics
http://www.vti.mod.g[...]
[8]
문서
물리학 등의 문헌에서는, 문맥상 틀림없는 한, 간단히 "차원"이라고 부른다.
[9]
문서
속도의 차원은 길이 L에 시간 T의 역수를 곱한 L⋅T⁻¹이다.
[10]
문서
예를 들어 ω에 대해서는, 등등. Ω에 대해서는, 등등. 후자는 특히 운동좌표계에 대한 일반적인 각속도에 사용된다.
[11]
문서
z축 주위의 회전운동을 나타내는 각속도는 z축 성분만 가지므로, 진정한 벡터라면 x-z면을 거울면으로 하는 거울 반전에 의해 불변으로 유지되어야 하지만, 거울 반전에 의해 회전운동의 방향이 반전되므로, z축 성분의 부호가 반전된다.
[12]
문서
더 고차원의 공간을 포함하는 n차원 공간에 대해 통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자유도 1/2n(n-1)의 2계 반대칭 텐서로 나타내는 방법이 있다.
[13]
문서
물리학에서는 벡터를 좌표변환에 대해 변하지 않는 양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정성적으로 이 정의를 사용해 이를 설명하면, 동전을 상하로 먼저 90도 회전하느냐 좌우로 먼저 90도 회전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다르므로 좌표변환에 따라 양이 바뀜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회전 미분소는 이러한 문제에 시달리지 않기 때문에 벡터로 취급할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