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잠 벵카타수바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잠 벵카타수바이아는 1913년에 태어나 2021년에 사망한 칸나다어 학자이자 작가였다. 그는 칸나다어 사전 편찬, 문학 비평, 문학사 연구에 기여했으며, 10개 이상의 사전을 편찬했다. 칸나다 사히티야 파리샤트 회장, 인도 사전학 협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고, 2017년에는 파드마 시리를 수훈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간잠 벵카타수바이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13년 8월 23일 |
출생지 | 스리랑가파트나 간잠 |
사망일 | 2021년 4월 19일 |
사망지 | 인도 벵갈루루 |
직업 | 언어학자, 저술가, 연구원, 교사 |
활동 기간 | 20세기 |
언어 | 칸나다어, 힌디어, 영어 |
배우자 | 락슈미 |
웹사이트 | G. Venkatasubbiah |
학력 | |
출신 학교 | 마이소르 마하라자 칼리지 |
수상 | |
수상 내역 | 파드마 슈리 사히티야 아카데미 상 팜파 상 |
2. 생애
간잠 벵카타수바이아는 1913년 8월 23일 카르나타카 주에서 태어났다.[4] 칸나다어와 산스크리트어 학자였던 아버지 간잠 팀만나이아의 영향을 받아 고대 칸나다어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마이소르에서 고등 교육을 마친 후 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 교육자의 길을 걸었다. 여러 학교를 거쳐 방갈로르의 비자야 칼리지에서 오랫동안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고, 교장직을 역임하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벵카타수바이아는 1913년 8월 23일에 태어났다.[4] 아버지 간잠 팀만나이아는 유명한 칸나다어와 산스크리트어 학자였으며, 벵카타수바이아가 고대 칸나다어에 대한 애정을 갖도록 영감을 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초등 교육은 남인도 카르나타카 주의 반누르와 마두기리 마을에서 이루어졌다. 8남매 중 둘째였던 그는 공무원인 아버지의 잦은 전근으로 여러 마을을 옮겨 다녀야 했다.
1930년대 초 가족과 함께 마이소르 시로 이주한 뒤, 유바라자 칼리지에서 중급 과정을 수강하며 쿠벤푸의 영향을 받았다. 이후 마이소르의 마하라자 칼리지에 입학하여 문학사(우등) 학위를 받았다. 그는 고대사, 산스크리트어, 고대 칸나다어 등을 전공했다. 이곳에서 T. S. 벤칸나이아에게 '팜파 바라타'를, D. L. 나라심하차르에게 '편집 과학'을, T. N. 스리칸타이아에게 '카비야미맘세'를, S. 스리칸타 샤스트리에게 '카르나타카 역사'를 배웠다.[5] 벵카타수바이아는 1936년부터 1938년 사이에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대학 금메달을 수상했다.
2. 2. 교육 활동
벵카타수바이아는 비자야 칼리지에서 칸나다어 교수로 활동하기 전에 만디아 시립 고등학교와 방갈로르 고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이 시기 그는 친구이자 동료인 라마찬드라 샤르마가 칸나다어 시집을 출판하도록 격려했다. 이 시집은 고팔크리슈나 아디가와 S. R. 에쿤디의 서문과 함께 ''흐루다야기테''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비자야 칼리지에서는 학생 잡지 ''우차하''를 창간하기도 했다. 그는 이 칼리지에서 강사, 교수, 교장을 역임했으며, 퇴직할 때까지 이곳에서 근무했다. 재직 기간 동안 마이소르 대학교 학술 위원회와 사립 칼리지 교사 협회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3. 학문적 업적 및 문학 활동
간잠 벵카타수바이아는 칸나다어 연구와 칸나다 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그의 주요 활동은 크게 사전 편찬, 문학 비평 및 문학사 연구, 그리고 기타 문학 관련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그는 칸나다어 사전 편찬 분야에서 독보적인 업적을 쌓았다. 여러 종류의 칸나다어 사전을 편찬했으며, 칸나다 사전학 연구에도 중요한 기여를 했다. 특히 10년 이상 칸나다 일간지에 언어 관련 칼럼을 연재하며 대중적인 언어 교육에도 힘썼다.
문학 분야에서는 칸나다 문학 비평과 문학사 연구에 매진하여 다수의 저술을 남겼다. 이를 통해 칸나다 문학의 흐름을 정리하고 주요 작가들을 조명했다.
이 외에도 칸나다 사히티야 파리샤트 회장을 역임하며 칸나다 문학 진흥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기여했으며, 번역가로서 외국 문학을 소개하고 어린이를 위한 도서를 저술하는 등 다방면에 걸쳐 활동했다. 그의 학문적 업적과 문학 활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사전 편찬
벵카타수바이아는 8권으로 구성된 칸나다-칸나다 니간투(사전)를 포함하여 10개 이상의 사전을 편찬했다. 이 사전은 카나라 은행(Canara Bank) 구호 및 복지 협회의 점자 번역 센터에 의해 점자로 번역되기도 했다.[6]그는 칸나다 일간지 ''프라자바니''(Prajavani)에 10년 이상 '이고 칸나다'(Igo Kannada)라는 칼럼을 연재했다. 이 칼럼의 기사들은 4권의 책으로 묶여 출판되었는데,[28] 이는 칸나다어 구, 용법, 관용구 및 숙어의 다양한 조합을 담은 사회적 사전의 성격을 띤다.[7] 또한 수바르나 카르나타카(카르나타카 형성 50주년)를 기념하여 ''클리스타파다 코샤''(Klishtapada Kosha, 복잡한 칸나다어 단어 사전)라는 사전을 저술했다.[8] 이 사전은 칸나다어가 여러 세기에 걸쳐 발전해 온 방식을 따라 파생, 구두점, 음소 및 형태 패턴과 같은 다양한 언어적 특징을 다루는 최초의 칸나다어 사전이다.[8]
벵카타수바이아는 1894년 독일의 사제이자 인도학자인 페르디난트 키텔 목사가 저술한 최초의 칸나다어-영어 사전 이후 정확히 100년 만에 출판된 칸나다 사전학 저서 ''칸나다 니간투 샤스트라 파리차야''(Kannada Nighantu Shastra Parichaya)로도 잘 알려져 있다.[3][9]
그는 사전 편찬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에도 참여했다. 1964년부터 1969년까지 칸나다 사히티야 파리샤트(Kannada Sahitya Parishat, 칸나다 문학 센터)에 재직하며 최연소 회장을 역임했다. 회장으로서 그는 정부로부터 협회의 재정 지원을 늘리는 데 기여했다. 또한 '칸나다-칸나다 사전' 프로젝트의 편집장을 맡았으며, 칸나다 사히티야 파리샤트의 월간 잡지 ''칸나다 누디''(Kannada Nudi)의 편집자로도 활동했다.[28] 인도 사전학 협회(Lexicographical Association of India)의 부회장을 17년 동안 역임했으며,[28] 1998년에는 일본어, 칸나다어, 영어, 타밀어로 구성된 첸나이 아시아 연구소(Institute of Asian Studies, Chennai)의 다국어 사전 프로젝트 고문으로 임명되었다.[28] 안드라프라데시 정부의 텔루구 아카데미(Telugu Academy)가 시작한 텔루구 어휘 프로젝트의 자문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 주요 사전 및 관련 저서 ===
3. 2. 문학 비평 및 칸나다 문학사 연구
간잠 벵카타수바이아는 칸나다 문학 비평과 문학사 연구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며 다수의 저술을 남겼다. 특히 1978년에 출간된 ''칸나다 사히타야 나데두반다 다리''[14]는 그의 대표적인 문학사 연구 저작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외에도 그는 번역 이론, 특정 작가 연구, 문학 비평 등 다양한 주제에 걸쳐 글을 썼다.아래는 그의 문학 비평 및 칸나다 문학사 관련 주요 저술 목록이다.
3. 3. 기타 활동
벵카타수바이아는 1964년부터 1969년까지 칸나다 사히티야 파리샤트(칸나다 문학 센터)의 최연소 회장을 역임했다. 회장 재임 기간 동안 정부로부터 협회의 재정 지원 증대에 기여했으며, '칸나다-칸나다 사전' 프로젝트의 편집장을 맡았다. 또한 카르와르와 슈라바나벨라골라에서 열린 칸나다 백과사전 프로젝트와 사히티야 삼멜라나(문학 축제)에 참여했고, 칸나다 사히티야 파리샤트의 월간 잡지 ''칸나다 누디''의 편집자로도 활동했다.사전 편찬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여, 17년 동안 인도 사전학 협회의 부회장을 지냈다.[28] 1998년에는 일본어, 칸나다어, 영어, 타밀어로 구성된 첸나이 아시아 연구소의 다국어 사전 프로젝트 고문으로 임명되었고,[28] 안드라프라데시 정부의 텔루구 아카데미가 시작한 텔루구 어휘 프로젝트의 자문 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그는 카르나타카 형성 은주년을 기념하여 출판된 ''클리스타파다 코샤''(복잡한 칸나다어 단어 사전)를 저술했으며,[8] 이는 칸나다어의 파생, 구두점, 음소 등 언어적 특징을 다룬 최초의 사전으로 평가받는다.[8] 또한 1894년 페르디난트 키텔 목사가 저술한 최초의 칸나다어 사전 이후 100년 만에 출판된 칸나다 사전학 저서 ''칸나다 니간투 샤스트라 파리차야''로도 알려져 있다.[3][9]
그는 여러 칸나다 사히티야 삼멜라나(칸나다 문학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74년 비다르 지역에서 열린 제1회 칸나다 사히티야 삼멜라나의 초대 회장을 맡았으며, 2011년 방갈로르에서 개최된 제77회 아킬라 바라타 칸나다 사히티야 삼멜라나(전인도 칸나다 문학 모임)의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칸나다 일간지 ''프라자바니''(Prajavani)에서는 10년 이상 '이고 칸나다'(Igo Kannada)라는 칼럼을 연재했다.[7] 이 칼럼의 기사들은 칸나다어의 구, 용법, 관용구 등을 다루는 사회적 사전의 성격을 띠며, 4권의 책으로 묶여 출판되었다.[28]
이 외에도 여러 번역 작업과 어린이 도서 저술에 참여했다.
4. 수상 내역
- 비디알란카라 – Charukeerthi Bhattaraka Swamiji
- 카르나타카 문학 아카데미상
- 라지요트사바상
- 카르나타카 문학 아카데미 명예상
- 카르나타카 에키카라나 프라샤스티
- 삼바 프라샤스티
- 세디야푸 프라샤스티
- 시바람 카란트상
- 언론 아카데미 특별상
- 아르야바타상
- 마스티상[27]
- 고루르상
- 스리크리슈나상
- Aa Na Kru 프라샤스티
- 알바스 누디시리
- 탈타자 케샤바바타라 스마라나르타 케샤바 프라샤스티
- 고카크 프라샤스티
- 스리 바나말리 세바 프라샤스티
- K. M. 문시상
- 로터리 파이오니어 특별상
- 타밀나두 안나말라이 대학교에서 열린 "제1회 국제 사전 편찬자 회의"에서 인용됨.[28]
- 폴 해리스 펠로우십
- 나도자상 – 함피 대학교 (문학 박사)[29]
- 라니 첸남마 대학교 명예 박사
- 제77회 전 인도 칸나다 문학 삼멜라나 회장
- 팜파상
- 인도 대통령 – 최고령 생존자 및 동문 명예상 – 마이소르 대학교 100주년 기념.[30]
- 파드마 시리 – 2017[31]
- 리피얀타라 - 2010년 다르마스탈라 만주나타 다르모타나 트러스트[32]
5. 사망
참조
[1]
뉴스
Karnataka: Centenarian lexicographer G Venkatasubbaiah dead
https://timesofindia[...]
2021-04-24
[2]
뉴스
Venkatasubbaiah deserves Jnanpith: Haranahalli
https://web.archive.[...]
2014-03-24
[3]
서적
ಕನ್ನಡದ ಅರ್ಥವನ್ನು ತಿಳಿಸಿದ ನಾಡೋಜ ಪ್ರೊ. ಜಿ. ವೆಂಕಟಸುಬ್ಬಯ್ಯ
Jwalamukhi Mudranalaya
2013
[4]
웹사이트
Venkatasubbaiah deserves Jnanpith: Haranahalli
http://www.hinduonne[...]
2007-10-26
[5]
웹사이트
G. Venkatasubbaiah – Dr S. Srikanta Sastri {{!}} Official Website
http://www.srikanta-[...]
Website Administrator
2016-07-19
[6]
웹사이트
Braille version of dictionary
https://web.archive.[...]
2007-10-27
[7]
서적
Igō Kannaḍa: sāmājika nighaṇṭu
Navakarnāṭaka Prakāśana
1996-01-01
[8]
뉴스
Expert for permanent lexicography section
https://web.archive.[...]
2007-05-02
[9]
서적
ಪುರಾಣ ಕಥಾವಳಿಯ ಪ೦ಡಿತ ಜಿ. ತಿಮ್ಮಣ್ಣಯ್ಯನವರು
Hoysalamale Sampadaka Mandali
2013
[10]
서적
Kannaḍa Sāhitya Pariṣattina Kannaḍa nighaṇṭu.
Kannaḍa Sāhitya Pariṣattu
1970-01-01
[11]
서적
Kannaḍa Sāhitya Paris attina Kannaḍa nighaṇṭu /[Di. El. Narasiṃhāchār ... et al.].
Kannaḍa sāhitya Pariṣattu
1971-01-01
[12]
서적
Nayasēna.
Prasārāṅga, Maisūru Viśvavidyanilaya
1966-01-01
[13]
서적
Anukalpane: kavi-kāvya vimarśe
Pratibhā Prakaṭaṇa Mandira
1957-01-01
[14]
서적
Kannaḍa sāhitya naḍedubanda dāri
Aibiec Prakāṣana
1978-01-01
[15]
서적
Kannaḍavannu uḷisidavaru
Karnāṭaka Sangha
1999-01-01
[16]
서적
Iṇuku nōṭa: hosagannaḍadalli halạgannaḍada siri
Vasanta Prakaśana
2002-01-01
[17]
서적
Samaya-sandarbha-sannivēśa
Sapna Buk Haus
2008-01-01
[18]
서적
Kumāravyāsana antaraṅga: yuddhapañcakadalli
2010-01-01
[19]
서적
Karṇa karṇāmr̥ta
Kannaḍa Sāhitya Pariṣattu
1967-01-01
[20]
서적
Bhaṇḍāra. 1
Kannaḍa mattu Saṃskr̥ti Nirdēśanālaya
1987-01-01
[21]
서적
Muddaṇa bhaṇḍāra
Kannaḍa mattu Saṃskr̥ti Nirdēśanālaya
1987-01-01
[22]
서적
Kannaḍa kathānikala saṃkalanaṃ
Sāhitya Akādemī
1996-01-01
[23]
서적
Liṇḍan jānsannara kathe
Higgin Bāthams
1967-01-01
[24]
서적
Śaṅkarācārya (Translation by G. V.)
Nyāṣanal Buk Ṭrasṭ
1972-01-01
[25]
서적
Rābinsan Krūsō
Karnāṭaka Sahakāri Prakāśana Mandira
1967-01-01
[26]
서적
Ciṇṇara citra Rāmāyaṇa: Bhavānarāva Śrīnivāsarāva ūrpha Bāḷāsāhēba Paṇḍita Pantapratinidhi, saṃthāna aundha, ivaru racisidda citragaḷōḍane
Prisam Buks
2011-01-01
[27]
뉴스
Masti Award
https://web.archive.[...]
2005-12-16
[28]
뉴스
Portraying the life of a lexicographer
https://web.archive.[...]
2004-02-25
[29]
뉴스
Nadoja Award
https://web.archive.[...]
2005-04-26
[30]
뉴스
President of India felicitating G. Venkatasubbiah (2015)
https://web.archive.[...]
New Indian Express Editorial Team
2015-07-28
[31]
웹사이트
Padma Awards 2017 announced
http://pib.nic.in/ne[...]
[32]
Youtube
http://youtube.com/t[...]
[33]
뉴스
Prof. G. Venkatasubbaiah passes away
https://kannada.news[...]
2021-04-19
[34]
뉴스
Kannada writer Prof. G. Venkatasubbaiah passes away at 107
https://indianexpres[...]
2021-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