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마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퍼마켓은 식료품 및 기타 생필품을 판매하는 대규모 소매점으로, 20세기 초 미국에서 셀프 서비스 방식을 도입하며 발전했다. 현재는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상품 구성, 매장 레이아웃, 마케팅 전략 등을 통해 소비자 구매를 유도한다. 대형 슈퍼마켓은 가격 경쟁력과 효율성을 제공하지만, 소규모 상점 및 공급업체에 경제적 압력을 가하고 식품 폐기물 발생과 같은 사회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퍼마켓 - 기업형 슈퍼마켓
기업형 슈퍼마켓은 대규모 유통 기업이 운영하는 체인 형태의 슈퍼마켓으로, 대한민국에서는 1970년대에 등장하여 2000년대 중반 이후 대형마트의 포화로 다시 진출했으며, 중소상인 생존 위협과 골목상권 침해 논란을 야기한다. - 슈퍼마켓 - 하이퍼마켓
하이퍼마켓은 다양한 상품을 한 곳에서 판매하는 대규모 소매점으로, 식료품, 의류, 가전제품 등을 진열하고 고객이 직접 상품을 골라 결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 미국의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미국의 발명품 - 태양 전지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발전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고집광 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의 새로운 기술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 슈퍼마켓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유형 | 소매 |
| 산업 | 식료품점 |
| 관련 산업 | 편의점 창고형 매장 백화점 잡화점 |
| 특징 | |
| 상품 | 식료품, 가정용품, 일부 품목은 비식료품 판매 |
| 형태 | 대규모 소매점 |
| 판매 방식 | 대부분 셀프 서비스 방식 |
| 역사 | |
| 발전 | 20세기 초반에 등장, 대공황 시기에 크게 성장 |
| 초기 형태 | 독립적인 식료품점과 일반 상점의 결합 |
| 혁신 | 셀프 서비스 도입으로 가격 하락과 품목 다양화 |
| 슈퍼마켓 유형 | |
| 일반 슈퍼마켓 | 다양한 식료품 및 가정용품 판매 |
| 식료품 전문점 | 특정 종류의 식료품 전문 판매 |
| 대형 슈퍼마켓 | 식료품 외 다양한 제품 판매 (의류, 가구 등) |
| 온라인 슈퍼마켓 | 온라인으로 주문 및 배달 서비스 제공 |
| 창고형 슈퍼마켓 | 대량 구매 및 할인 제공 |
| 그로서런트 | 식료품 판매와 식당 기능을 결합한 형태 |
| 현대적 슈퍼마켓 | |
| 특징 | 대규모화 넓은 공간 다양한 상품 합리적인 가격 편리한 쇼핑 환경 대량 구매 셀프 서비스 |
| 기술 도입 | 바코드 POS 시스템 RFID 온라인 쇼핑 자율 계산대 |
| 슈퍼마켓의 영향 | |
| 사회적 영향 | 식료품 가격 하락 소비자 선택권 확대 소규모 상점 쇠퇴 대량 생산 및 소비 촉진 |
| 경제적 영향 | 대량 고용 창출 유통 산업 발전 농업 생산 변화 지역 경제 활성화 |
| 기타 | |
| 어원 | 'super'와 'market'의 결합어 |
| 일본어 | スーパーマーケット (sūpāmāketto) |
| 한국어 | 슈퍼마켓 |
2. 역사
1964년 도쿄 올림픽 이후, 중소기업 중심이었던 슈퍼마켓 업계는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며 파산 위기를 맞았다. 니치이는 거래처 증자 인수와 은행 협력으로 이 위기를 극복한 성공 사례였다.
1960년대 후반 슈퍼마켓의 대규모화·종합화가 진행되면서 지역 소규모 소매업체와 분쟁이 발생했다.[96] 1973년 대규모소매점포법(약칭 "대점법", 1974년 시행)이 제정되어 대형 슈퍼마켓을 포함한 "대규모소매점포"의 진출에 있어 이해 조정이 이루어졌다. "대규모소매점포"는 점포 면적 500m2 이상으로 규정되었다.[97]
1973년 제1차 석유파동 발생으로 소비자들의 불안은 슈퍼마켓에서 석유 관련 상품과 화장지를 매점매석하는 형태로 나타났다(화장지 사재기 사건). 같은 해 10월, 산토쿠 주도로 중견·중소 슈퍼마켓들이 결집하여 CGC그룹(시지시제이판)이 설립되었다.[98] 이들은 안정적인 공급을 목표로 공동 구매와 자체 브랜드 공동 개발을 추진했다.[98]
1980년대 각 도도부현에서 슈퍼마켓 협회가 조직되었고,[94][95] 1982년에는 전국슈퍼마켓협회가 설립되었다(초대 회장은 산토쿠의 호리우치 간지).[94][95]
1998년 대규모 소매점포 입지법이 제정(약칭 “대점입지법”, 2000년 시행)되고, 대규모 소매점포법은 폐지되었다.[96] 1999년 식품 슈퍼마켓 업계 단체로서 일본 슈퍼마켓 협회가 발족했다.[99][100] 2009년 일본 셀프 서비스 협회와 전국 슈퍼마켓 협회가 합병하여 현재의 일반 사단 법인 전국 슈퍼마켓 협회가 되었다.[94][95]
대규모 소매점포 입지법은 중소 소매업자 보호에서 생활 환경 보전으로 주안점을 변경하면서 지방 도시 중심 시가지 공동화 문제를 심화시켰다.[97] 2006년 대점입지법·도시계획법·중심 시가지 활성화법(마치즈쿠리 3법이라고 총칭됨)의 개정이 이루어져[97] 조정이 이루어졌다.
2. 1. 세계 슈퍼마켓의 역사






현대 슈퍼마켓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저렴한 식품이다.[12] 20세기 이전에는 식품이 저렴하거나 건강하거나 풍부하지 않았다. 1812년 미국인의 거의 90%가 식량 생산에 종사했고, 종종 부족하고 질이 낮으며 질병이 만연하여 죽음에 이르게 하는 식품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14]
대규모 매장과 체인 매장 건설에 대한 초기 시도는 빈센트 애스터에 의해 이루어졌지만, 시대를 앞서나간 아이디어였다. 그는 1915년 애스터 마켓을 설립하여 75만 달러를 투자하여 맨해튼 95번가와 브로드웨이 모퉁이에 정육, 과일, 채소, 꽃을 판매하는 야외형 미니 몰을 만들었다.[15] 그러나, 10블록 거리의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것조차 어려워 1917년 문을 닫았다.[16][17][18]
1910년대, 미국 소매업계를 이끌었던 것은 식료품점 체인인 그레이트 아틀랜틱 앤 퍼시픽 티 컴퍼니 (A&P)였다. A&P는 "이코노미 스토어"라는 판매 형태로 다점포 전개를 했다.[82] 당시에는 식품 판매에서도 점원이 손님의 주문에 따라 나누어 포장해야 하는 등 노동력 의존도가 큰 판매 형태였다. 그래서 새로운 판매 형태로서, 매장의 셀프 서비스[82]가 등장했다.
1930년대에는 크로거와 세이프웨이와 같은 기존 식료품 체인도 있었고, 처음에는 컬렌의 아이디어에 저항했지만, 세계 대공황으로 경기가 침체되고 소비자가 저가격 지향이 되어 결국 그러한 체인들도 슈퍼마켓 방식으로 전환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89] 1937년에는 캐스터가 달린 쇼핑 카트가 개발되어, 손님은 더 많은 쇼핑을 하게 되었다.[8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교외의 주택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슈퍼마켓이 더욱 확산되었다. 슈퍼마켓 체인의 대부분은 지역적인 것이 많고, 전국적인 브랜드는 아니다. 1950년대에는 슈퍼마켓이 고객에게 특전으로 종종 트레이딩 스탬프를 발행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각 매장 전용의 "멤버십 카드"나 "클럽 카드"를 발행하거나 "포인트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보급에 따라 자동차로 쇼핑을 가는 문화가 생겨나면서, 주차장을 갖춘 대규모 슈퍼마켓이 확립되었다. 1970년대에는 POS 시스템이 도입되어, 계산대는 수동 방식에서 바코드 스캔 방식이 보급되었다.[82] 1996년에는 매장뿐만 아니라 계산도 셀프 서비스로 하는 완전 자동 셀프 계산대가 등장했다.[82] 슈퍼마켓의 보급으로 소규모 신선 식품·잡화점이나 종래의 상점가 등은 감소해 갔다.
1990년대부터 개발도상국의 식품 부문에서 급속한 변화가 일어났다. 성장과 함께 상당한 경쟁과 어느 정도의 통합이 이루어졌다.[60] 이러한 성장은 증가하는 부유층과 중산층의 증가, 여성의 노동 시장 진출, 냉장고 사용 증가, 자동차 소유 증가 등에 의해 촉진되었다.[61]
2. 1. 1. 20세기 초: 슈퍼마켓의 탄생
역사적으로 초기 소매업자는 거리에서 물건을 판매하던 행상인들이었지만, 1920년대까지 미국에서는 식료품 소매 판매가 대부분 작은 코너 식료품점으로 바뀌었다.[4] 당시 표준적인 식료품 소매 사업 모델은 점원이 상인의 카운터 뒤에 있는 선반에서 상품을 가져오는 동안 고객이 카운터 앞에서 기다리며 원하는 품목을 알려주는 것이었다.[4] 고객이 직접 요청해야 했던 이유는 "대부분의 상점이 고객(과 그들의 자녀)이 식품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5] 대부분의 식품과 상품은 개별적으로 포장된 소비자 크기의 포장으로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점원은 원하는 정확한 양을 계량하고 포장해야 했다.[4]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은 이미 수천 년 전 유럽에서 확립되었으며, 고대 로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원시적인 소매점의 사례가 있었다.[7] 이는 광범위한 사회적 상호 작용의 기회를 제공했다.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쇼핑 방식을 "사회적 행사"로 여겼고 종종 "직원이나 다른 고객과 대화를 나누곤 했다".[7]
이러한 관행은 본질적으로 느리고 노동 집약도가 높았으며 매우 비용이 많이 들었다. 한 번에 응대할 수 있는 고객 수는 상점에 고용된 직원 수에 따라 제한되었다. 초기 식료품점은 현대 기준으로 "소박"하고 작았으며, 품목 수가 450개에 불과했다.[8] 식료품 쇼핑은 채소 판매점, 정육점,[10] 빵집, 생선가게 및 잡화점 외에도 잡화점과 같은 여러 전문점을 방문하는 것을 포함했다.[9][6]
1859년 설립된 그레이트 애틀랜틱 앤 패시픽 티 컴퍼니(A&P)는 캐나다와 미국의 초기 식료품점 체인이었으며, 1920년대에는 북미 도시에서 흔해졌다. 1920년대, 여러 상점을 방문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A&P와 같은 미국의 식료품점 체인들은 복합 매장을 도입했다.[19][20] 이는 여러 부서를 한 지붕 아래 결합한 식료품점이었지만, 일반적으로 주문 시 직원이 선반에서 제품을 가져오는 기존 시스템을 유지했다.[19][20]
셀프서비스 식료품점의 개념은 기업가 클라렌스 손더스가 그의 피글리 위글리 매장에서 개발했으며, 그중 첫 번째 매장은 1916년에 문을 열었다.[21] 손더스는 자신의 매장에 통합한 아이디어에 대해 여러 특허를 받았다.[22][23][24][25] 이 매장들은 재정적으로 성공을 거두었고, 손더스는 프랜차이즈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그 이후의 일반적인 경향은 밤에 선반에 상품을 진열하여 고객들이 다음 날 자신의 물건을 가져다 계산대 앞으로 가져와 지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슈퍼마켓의 기원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 많은 논쟁이 있어왔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주 남부의 식료품 체인점인 알파 베타(Alpha Beta)와 랄프스(Ralphs)는 모두 최초의 슈퍼마켓이라는 강력한 주장을 갖고 있다.[27] 그러나 1930년 당시 두 체인점 모두 현대적인 의미의 진정한 슈퍼마켓은 아니었는데, 그 이유는 가격이 상당히 높았기 때문이다.[27]
이 논쟁에 종지부를 찍기 위해, 식품마케팅협회(Food Marketing Institute)는 스미소니언 협회(Smithsonian Institution)와 함께 H.J. 하인즈(H.J. Heinz)의 자금 지원을 받아 이 문제를 연구했다. 그들은 슈퍼마켓의 특징을 "셀프서비스, 별도의 상품 부서, 할인 가격, 마케팅 및 대량 판매"로 정의했다.[29] 그들은 미국의 최초의 진정한 슈퍼마켓이 전 크로거(Kroger) 직원인 마이클 J. 컬렌(Michael J. Cullen)에 의해 1930년 8월 4일 뉴욕시 퀸즈 자메이카(Jamaica, Queens)의 약 557㎡(6,000 평방피트) 규모의 옛 차고 안에 문을 열었다고 결론지었다.[29][30] "많이 쌓아 놓고 싸게 팔아라"라는 원칙 아래 운영된 이 매장 킹 쿨렌(King Kullen)은 고객들이 카운터에서 계산하기 전에 바구니를 사용하여 식료품을 수집하는 개념을 고안한 조셉 언거가 설계한 매장 배치를 가지고 있었다.[31] 매장에 진열된 모든 판매 품목에는 "가격이 명확하게 표시되어 있었"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더 이상 가격을 흥정할 필요가 없었다.[12] 컬렌은 자신의 매장을 "세계 최고의 가격 파괴자"라고 묘사했다.[12][32] 그가 1936년 사망했을 당시, 17개의 킹 쿨렌 매장이 운영되고 있었다. 손더스(Saunders)가 세계에 셀프서비스, 통일된 매장, 전국적인 마케팅을 가져왔지만, 컬렌은 별도의 식품 부서를 추가하고, 할인된 가격으로 대량의 식품을 판매하고, 주차장을 추가함으로써 이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29]
킹 쿨렌과 같은 초기 슈퍼마켓은 당시 업계 전문가들에 의해 "저렴한 시장(cheapy markets)"이라고 불렸는데, 그 이유는 바닥 가격 덕분에 말 그대로 너무 저렴했기 때문이다. 이 용어는 곧 덜 경멸적이고 더 긍정적인 표현인 "슈퍼마켓(super market)"으로 대체되었다.[12] 이 합성어는 그 후 "슈퍼마켓(supermarket)"이라는 현대적인 용어가 되었다.[21]
2. 1. 2. 20세기 중후반: 슈퍼마켓의 확산

크로거(Kroger)와 세이프웨이(Safeway Inc.)와 같은 1930년대에 설립된 미국의 식료품 체인점들은 처음에는 컬렌의 아이디어에 저항했지만, 결국 대공황으로 경제가 침체되면서 자체 슈퍼마켓을 건설해야만 했다. 미국 소비자들은 그전에는 경험해보지 못한 수준으로 가격에 민감해졌다.[29] 크로거는 사방이 주차장으로 둘러싸인 최초의 슈퍼마켓을 개척하며 새로운 소매 형태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켰다.[29]
당시 가장 큰 식료품 체인점이었던 A&P의 경우, 전통적인 식료품점에서 슈퍼마켓으로의 전환은 수천 명의 소매 직원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33] 이들은 현대식 슈퍼마켓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지루하고 전문적인 일자리로 대체되었다.[33] 보통 남성인 재고 담당 직원들은 상자를 옮기고 선반에 상품을 가득 채웠고, 보통 여성인 계산대 직원(계산원)들은 계산을 하고 가려는 조급한 쇼핑객들의 끝없는 줄을 마주해야 했다.[33] 하지만 A&P는 이 새로운 변화에 뛰어들 수밖에 없었다. 킹 쿨렌(King Kullen)의 초기 모방업체 중 하나인 빅 베어(Big Bear)는 1933년 뉴저지에서 첫 슈퍼마켓을 열었고, 1년 만에 100개가 넘는 A&P 매장보다 더 많은 매출을 올렸다.[12] 1937년까지 A&P 매장의 44%가 적자를 기록했다.[34] 1940년 2월까지 A&P는 5,950개의 매장을 폐쇄하고 적자 매장 비율을 18%로 줄였다.[34] A&P의 전통적인 식료품점에서는 "임금과 간접비"가 매출의 18%를 차지했지만, 같은 지역에 새로 문을 연 A&P 슈퍼마켓에서는 그 수치가 매출의 12% 미만이었다.[34]
대형 체인점들이 슈퍼마켓 트렌드에 합류하자, 새로운 소매 형태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1936년 32개 주에 1,200개였던 미국 슈퍼마켓 수는 1937년 47개 주에 3,000개 이상으로 거의 3배가 증가했다.[12] 1950년에는 15,000개가 넘었다.[35] 슈퍼마켓 형태의 성공을 보여주는 한 가지 신호는 미국 소비자들이 식품에 사용하는 가처분소득 비율이 "1930년 21%에서 1940년 16%로 급감"했다는 점이다.[12]
대형 체인점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미국 식료품 시장을 지배하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변화에 대한 반발이 수많은 반(反)체인 운동의 형태로 나타났다. 1933년 케임브리지 경제학자 조앤 로빈슨이 제안한 "독점적 구매 시장" 개념은 강력한 반(反)체인 수사적 장치가 되었다. 1936년, 로빈슨-패트먼법이 시행되었지만, 제대로 시행되지 않아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36]
슈퍼마켓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자동차 소유와 교외 지역 개발이 증가함에 따라 캐나다와 미국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대부분의 북미 슈퍼마켓은 교외 스트립몰에 주요 매장으로 위치해 있다. 크로거는 미국에서 가장 전국적인 슈퍼마켓 체인이지만, 랄프스(Ralphs), 시티 마켓(City Market), 킹 수퍼스(King Soopers), 프라이스 푸드 앤 드럭(Fry's Food and Drug), 스미스 푸드 앤 드럭(Smith's Food and Drug), QFC를 포함한 대부분의 지역 브랜드를 유지하고 있다.
1950년대에 이르러 슈퍼마켓은 미국 소비자들의 일상생활의 일부가 되었지만, 미국 이외 지역에서는 여전히 매우 드물었다. 1956년 미국 농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가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국제식품회의(International Food Congress)에서 "미국식 방식 전시회(American Way exhibit)"를 선보인 후부터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37]
1957년, 미국 상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Commerce)와 미국 식품 체인 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Food Chains)는 당시 유고슬라비아(Yugoslavia)의 일부였던 자그레브 국제 무역 박람회(Zagreb International Trade Fair)에서 더욱 대규모의 "슈퍼마켓 USA(Supermarket USA)"를 기획했다.[38] 슈퍼마켓 USA는 929m²(929m2) 규모의 전시장에 4,000개의 소비재를 선보였으며, "공산주의 국가 최초의 완전 운영 미국식 슈퍼마켓"이었다.[38] 슈퍼마켓 USA는 미국 선전 전략으로 사용되었다.[38]
캐나다는 1930년대에 새로운 소매 형태를 도입했다. 퀘벡(Québec)의 첫 번째 슈퍼마켓은 1934년 몬트리올(Montréal)에 스타인버그(Steinberg's)라는 이름으로 문을 열었다.[39] 캐나다에서 가장 큰 슈퍼마켓 체인은 로블로(Loblaw)이며, 포티노스(Fortinos), 제어스(Zehrs), 노프릴스(No Frills), 리얼 캐나디언 슈퍼스토어(Real Canadian Superstore), 로블로(Loblaws) 등 다양한 브랜드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소베이스(Sobeys)는 캐나다에서 두 번째로 큰 슈퍼마켓이다.
영국에서는 1947년 셀프서비스 매장이 10개에 불과했다.[40] 1951년 패트릭 갈바니(Patrick Galvani)는 전국에 걸쳐 슈퍼마켓 체인을 개설하자는 제안을 이사회에 제출했다. 새로운 프리미어 슈퍼마켓(Premier Supermarkets) 브랜드의 영국 최초 슈퍼마켓은 스트랫험(Streatham), 남런던(South London)에 문을 열었다.[41] 1960년, 이 부문은 대규모 합병을 거치면서 오늘날 영국을 지배하는 테스코(Tesco), 아스다(Asda), 세인즈베리(Sainsbury's), 모리슨(Morrisons)이 탄생하게 되었다.
1950년대에는 슈퍼마켓에서 고객에게 인센티브로 트레이딩 스탬프를 발행했다. 오늘날 대부분의 체인점에서는 매장별 "멤버십 카드", "클럽 카드" 또는 "로열티 카드"를 발행한다. 이 카드는 계산대에서 스캔하면 특정 품목에 대한 회원 전용 할인을 받을 수 있다.[42]
2. 1. 3. 21세기: 경쟁 심화와 변화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전통적인 슈퍼마켓들은 월마트, 알디, 리들과 같은 할인점들과 치열한 경쟁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할인점들은 일반적으로 노동조합 없이 운영되며 더 나은 구매력을 가지고 있다.[44] 코스트코와 같은 창고형 할인점들도 대량 구매 고객에게 할인을 제공하며 경쟁에 가세하고 있다. 월마트와 아스다가 운영하는 것과 같은 대형마트들은 식품 외에도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경쟁을 심화시키고 있다.호주에서는 알디, 울워스, 콜스가 업계의 주요 업체이며, 이들 간의 경쟁이 치열하다. 알디의 시장 점유율 증가는 다른 두 업체가 가격을 인하하고 자체 브랜드 제품 라인을 확대하도록 압박했다.[44] 이러한 창고형 할인점과 대형마트의 확산은 더 작은 지역 식료품점들의 지속적인 사라짐, 자동차 의존도 증가, 그리고 대규모 매장 면적과 증가된 차량 통행의 필요성으로 인한 도시 확산에 기여했다.[44][45] 예를 들어, 2009년 월마트의 2510억달러 규모 국내 매출 중 51%가 식료품에서 발생했다.[45] 일부 비평가들은 대형 체인점들이 손실을 감수하고 판매하는 관행이 반경쟁적이라고 생각하며, 다국적 기업들이 전 세계 공급업체와 협상하는 데 가지는 막강한 힘을 경계하기도 한다.[46]
닷컴 버블 시대에 온라인 전용 슈퍼마켓인 웹반(Webvan)이 설립되었지만 3년 만에 파산하여 아마존에 인수되었다. 영국의 온라인 슈퍼마켓인 오카도(Ocado)는 창고에 높은 수준의 자동화를 도입하여[47] 최초로 성공한 온라인 전용 슈퍼마켓이 되었다. 오카도는 웨이트로즈와 모리슨스와 같은 다른 슈퍼마켓 업체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확장했다.
월마트와 같은 식료품점들은 도어대시와 같은 제3자 업체가 제공하는 식품 배송 서비스를 이용한다.[48] 영국의 딜리버루와 같은 다른 온라인 식품 배송 서비스들은 슈퍼마켓 배송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했다.[49] 배송 로봇은 슈퍼마켓과 파트너십을 맺은 다양한 회사에서 제공하고 있다.
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MFC)는 정교한 자동화된 선반 및 토트 시스템을 갖춘 비교적 작은 규모의 창고로, 주문을 수령 및 배송 준비한다.[50] 주문이 완료되면 고객은 직접 수령(즉, "클릭 앤 컬렉트")하거나 집으로 배송받을 수 있다.[51] 슈퍼마켓들은 자동화를 통해 매장에서 가정까지의 거리를 단축하고 배송 속도를 높여 온라인 상거래 및 전자상거래 비용을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하며 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에 투자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MFC가 수익성 있는 온라인 주문 이행의 핵심이라고 말한다.[52]
1990년대부터 개발도상국의 식품 부문, 특히 라틴 아메리카, 동남아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급속한 변화가 일어났다. 성장과 함께 상당한 경쟁과 어느 정도의 통합이 이루어졌다.[60] 이러한 성장은 증가하는 부유층과 중산층의 증가, 여성의 노동 시장 진출(이에 따른 간편식 수요 증가), 냉장고 사용 증가(매일이 아닌 주 단위 쇼핑 가능), 자동차 소유 증가(먼 거리 매장 방문 및 대량 구매 용이) 등에 의해 촉진되었다. 이러한 잠재력이 제시하는 기회는 여러 유럽 기업들이 (주로 아시아에) 그리고 미국 기업들이 라틴 아메리카와 중국에 투자하도록 장려했다. 현지 기업들도 시장에 진출했다.[61] 초기 슈퍼마켓 개발 이후 현재는 대형마트 성장이 뒤따랐다. 또한 마크로(Makro)와 메트로 캐시 앤 캐리와 같은 기업들이 대규모 도매 사업에 투자했다.
이들 국가에서 가공식품 판매 증가율이 신선식품 판매 증가율보다 훨씬 빠른 반면, 슈퍼마켓이 구매에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야 한다는 절박한 필요성은 이들 국가에서 슈퍼마켓의 확장이 소규모 농가, 특히 부패하기 쉬운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클러스터 형성, 전문 도매업체 개발, 공급을 조직하는 선도 농가, 농민 협회 또는 협동조합을 포함하는 새로운 공급망이 개발되었다.[62] 어떤 경우에는 슈퍼마켓이 소규모 농가로부터 자체 조달을 조직했고, 다른 경우에는 도매 시장이 슈퍼마켓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적응했다.[63]
독립계 슈퍼마켓은 소비자 중심의 기준에 중점을 두는 반면, 대규모 슈퍼마켓 체인은 상품 진열 및 회전율 등 상품 경제적 이익 추구형 기준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고 여겨진다.[90] 그러나 월마트 등의 대형 할인점과 코스트코 등의 회원제 대형 할인점의 등장으로 기존의 슈퍼마켓들이 가격 경쟁에서 패배하여 시장 점유율을 빼앗기는 경향도 나타나기 시작했다.[90]
기존의 슈퍼마켓은 대형 할인점과 회원제 대형 할인점에 대항하기 위해 유기농 식품이나 고급 식품을 취급하는 진열 공간을 설치하는 등 새로운 차별화 전략을 도입하게 되었다.[90] 미국에서는 아시아계 이민자와 그 자손이 많은 지역이나 히스패닉계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 등 거주하는 소비자 집단에 맞춘 식품의 품목 구성 및 레이아웃 변경도 실시하고 있다.[90] 미국에서는 소비자들의 슈퍼마켓 외면과 식료품의 전자상거래 판매 증가도 지적되고 있다.[91]
미국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확산의 영향도 있어 2020년 4~6월기 미국 소매 판매액은 전 분기 대비 3.9% 감소한 1.311조달러가 된 반면, 같은 기간 미국 전자상거래 판매액은 전기 대비 31.8% 증가하여 2115억달러가 되어, 미국 소매 판매액에서 전자상거래가 차지하는 비율은 16.1%까지 확대되었다.[91]
2. 2. 한국 슈퍼마켓의 역사
한국 슈퍼마켓의 역사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발전해왔다.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슈퍼마켓 도입과 성장이 이루어졌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규제 완화와 경쟁 심화가 나타났다.1964년 도쿄 올림픽 이후, 중소기업 중심이었던 슈퍼마켓 업계는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며 파산 위기를 맞았다. 니치이는 거래처 증자 인수와 은행 협력으로 이 위기를 극복한 성공 사례이다.
1960년대 후반 슈퍼마켓의 대규모화·종합화가 진행되면서 지역 소규모 소매업체와 분쟁이 발생했다.[96] 1973년 대규모소매점포법(약칭 "대점법", 1974년 시행)이 제정되어 대형 슈퍼마켓을 포함한 "대규모소매점포"의 진출에 있어 이해 조정이 이루어졌다. "대규모소매점포"는 점포 면적 500m2 이상으로 규정되었다.[97]
1973년 제1차 석유파동 발생으로 소비자들의 불안은 슈퍼마켓에서 석유 관련 상품과 화장지를 매점매석하는 형태로 나타났다(화장지 사재기 사건). 같은 해 10월, 산토쿠 주도로 중견·중소 슈퍼마켓들이 결집하여 CGC그룹(시지시제이판)이 설립되었다.[98] 이들은 안정적인 공급을 목표로 공동 구매와 자체 브랜드 공동 개발을 추진했다.[98]
1980년대 각 도도부현에서 슈퍼마켓 협회가 조직되었고,[94][95] 1982년에는 전국슈퍼마켓협회가 설립되었다(초대 회장은 산토쿠의 호리우치 칸지).[94][95]
1998년 대규모 소매점포 입지법이 제정(약칭 “대점입지법”, 2000년 시행)되고, 대규모 소매점포법은 폐지되었다.[96] 1999년 식품 슈퍼마켓 업계 단체로서 일본 슈퍼마켓 협회가 발족했다.[99][100] 2009년 일본 셀프 서비스 협회와 전국 슈퍼마켓 협회가 합병하여 현재의 일반 사단 법인 전국 슈퍼마켓 협회가 되었다.[94][95]
대규모 소매점포 입지법은 중소 소매업자 보호에서 생활 환경 보전으로 주안점을 변경하면서 지방 도시 중심 시가지 공동화 문제를 심화시켰다.[97] 2006년 대점입지법·도시계획법·중심 시가지 활성화법(마치즈쿠리 3법이라고 총칭됨)의 개정이 이루어져[97] 조정이 이루어졌다.
2. 2. 1. 1950-1980년대: 도입과 성장
일본에서 "슈퍼마켓"이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한 곳은 1952년 게이한 전기철도의 유통 부문(현재의 "게이한 더 스토어")이 오사카의 구 교바시역에 개점한 "게이한 슈퍼마켓"(1970년 3월 15일 폐점)이다. 하지만 이 매장은 점원이 직접 판매하는 방식이었고, 슈퍼마켓의 특징인 셀프서비스는 도입되지 않았다. 미군 매점(PX)에서는 셀프서비스가 채택되었지만, 일본 일반 소비자에게 공개된 매장은 아니었다.[92]일본에서 셀프서비스 슈퍼마켓 형태가 처음 도입된 것은 1953년 11월 기노쿠니야가 도쿄도 미나토구 아카사카 아오야마키타마치 6정목의 진구마에역(현재의 오모테산도역) 근처에 매장을 오픈했을 때이다.[92][93] 일본 NCR의 지도가 있었다. 하지만 개점 당시 기노쿠니야는 규모가 작았고(40평) 청과만을 취급하는 고급 매장이었기 때문에, 1956년 3월 10일 후쿠오카현 고쿠라에 문을 연 "마루와 푸드센터"를 "슈퍼마켓의 원조"로 보는 견해도 있다.[92][93] 그 외에도 1956년 2월 야하타제철 구매회에서 셀프서비스를 도입했으며, 셀프서비스 방식의 보급에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다.[93]
2. 2. 2. 1990년대 이후: 규제 완화와 경쟁 심화
1980년대 후반, 일미 구조 협의에서 미국이 대규모 소매점포법을 비관세 장벽이라고 지적하면서 규제 완화가 진행되었다.[96] 1991년 대규모 소매점포법이 개정(1992년 시행)되어 “대규모 소매점포”의 종별 경계가 개정되고, 상업활동조정협의회(상조협)가 폐지되었다.[96] 1994년에는 개정 대점법 운용 기준이 완화되어, 점포 면적 1000m2 미만 점포의 출점이 원칙적으로 자유화되고, 휴업일수·폐점 시간에 관한 규제가 완화되었다.[96]1990년대 후반부터 담배, 주류 등 면허품 취급, 장시간 영업(오전 9~10시부터 오후 8~12시까지, 일부는 24시간 영업)·판매 면적 대형화·신규 출점이 증가했다. 24시간 영업은 1979년부터 전국에 앞서 후쿠오카현의 지역 슈퍼마켓 「마루와」가 시작했다. 1996년부터 다이에가 일본 슈퍼마켓 업계 최초로 전국 규모로 신정 영업을 시작했으며, 이후 대형 슈퍼마켓을 중심으로 다른 회사에서도 신정 영업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3. 분류
슈퍼마켓은 판매하는 상품, 매장 규모, 운영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하위 문서에서 이미 자세하게 다루고 있는 내용은 제외하고, 일본의 슈퍼마켓의 경우만 간략하게 다루면 다음과 같다.
- '''일본의 슈퍼마켓 분류'''
- 일본의 경우, 매장 면적 300m2 정도부터 3000m2 이상까지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 대규모 매장으로는 식료품, 일용품 같은 소비재부터 의류, 가전 같은 내구소비재까지 취급하는 종합 슈퍼마켓(제너럴 머천다이즈 스토어)이 시가지 중심부에 많이 출점되었지만, 최근에는 식료품과 일용품까지 취급하는 슈퍼마켓이 교외의 쇼핑센터에 출점하는 경우가 많다.
- 일본의 체인점 업계에서는, 구성비가 50% 이상인 부문의 이름을 앞에 붙여 분류한다.
- '''종합슈퍼''': 어떤 하나의 부문 구성비가 70%를 넘지 않고, 3개 이상의 부문에 걸쳐 상품을 갖추고 있는 형태이다. 일본식 슈퍼스토어나 유사 백화점이라고 불렸으며, 미국의 시어스(Sears) 등이 G.M.S.(General Merchandise Store)라고 불리는 것과 유사하다. 일본에서는 유니도가 처음으로 이 업태를 채택했다. 복층 건물을 사용하며, 매장 면적이 넓고, 다양한 상품을 취급하여 주말 등에 대량 구매를 하는 고객들이 주로 찾는다.
- '''식품 슈퍼''': 식료품 매출 구성비가 70% 이상인 슈퍼마켓으로, 점포 수가 가장 많다. 주택가 인근에 위치하며,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일상생활에 필요한 상품을 제공한다. 경쟁이 치열하며, 2000년대 이후로는 장시간 영업하는 곳이 늘고 있다. 교외형 대규모 점포는 '''슈퍼슈퍼마켓'''(SSM)이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미식(グルメ) 트렌드에 맞춰 차별화된 식재료를 제공한다.
- '''미니슈퍼''': 2000년대 중반 이후 도심 지역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소규모 슈퍼마켓이다. 편의점과 유사한 위치에 있으면서도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상품 구성을 갖춘 것이 장점이다. 전일식 체인(全日食チェーン), 마이바스켓(まいばすけっと), 리코스(リコス) 등이 대표적인 체인이다.
- '''의류 슈퍼''': 의류 매출 구성비가 70% 이상인 곳이다. 유니클로(UNIQLO)나 시마무라(しまむら)와 같이 의류 판매점이 대형화되면서 이러한 형태를 띠게 된 경우가 많다.[101]
- '''온라인 슈퍼마켓''': 인터넷을 통해 주문을 받고, 주로 종합 슈퍼마켓 매장에서 해당 상권의 소비자에게 당일 배송하는 형태이다.
- '''이동 슈퍼마켓'''
- 고도경제성장기에는 인구 증가와 도시 확장에 따라 슈퍼마켓이 부족한 지역에 마이크로버스나 소형 트럭 등을 개조하여 다양한 식품과 잡화를 판매하는 이동 슈퍼마켓이 등장했다.
- 1980년대~90년대에는 자동차 보급의 확대 등으로 수요가 감소했지만, 2000년대 이후 쇼핑난민 문제의 확산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산간 벽지에 사는 고령자나 장애인에게 중요한 쇼핑 수단이 되고 있으며, 지자체의 지원도 늘고 있다.
3. 1. 세계의 슈퍼마켓 분류
미국 식품 산업 협회(FMI)는 윌러드 비숍(Willard Bishop)의 연구를 바탕으로 식료품을 판매하는 다음과 같은 형태(매장 유형)를 정의한다.[53]| 매장 유형 | 미국 식품 산업 협회(FMI)/비숍에 따른 정의 |
|---|---|
| 전통적인 식료품점 | |
| 전통적인 슈퍼마켓 | 연간 매출 200만달러 이상, 일반 상품(GM) 및 건강 및 미용 용품(HBC) 매출이 최대 15%인 모든 종류의 식료품, 육류 및 농산물을 판매하는 매장. 15,000~60,000개의 SKU(매장 크기에 따라 다름)를 보유하며, 서비스 델리, 서비스 제과점 및/또는 약국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 앨버트슨스(Albertsons), 세이프웨이(Safeway), 크로거(Kroger), 프라임 슈퍼마켓(Prime Supermarket). |
| 신선 식품 매장 | 전통적인 슈퍼마켓/천연 식품 매장과는 다르게, 신선 식품을 강조하고 다른 중앙 매장 상품 구성을 제공한다. 특히, 민족, 천연 및 유기농 제품 분야에서 차이가 있다. 예: 홀푸즈, 더 프레시 마켓(The Fresh Market), 일부 독립 매장. |
| 한정된 상품 종류의 할인 매장 | 중앙 매장 상품과 신선 식품의 종류가 제한적인(2,000개 미만의 SKU) 저렴한 가격의 가성비 좋은 식료품점. 예: 알디(Aldi), 리들(Lidl), 트레이더 조(Trader Joe's), 세이브어랏(Save-A-Lot). |
| 슈퍼 창고형 매장 | 대형 전통 슈퍼마켓과 창고형 매장의 하이브리드 형태의 대량 판매 매장. 다양한 서비스 부서, 고품질 신선 식품 및 저렴한 가격을 제공한다. 예: 큐브 푸즈(Cub Foods), 푸드 4 레스(Food 4 Less), 스마트 앤 파이널(Smart & Final). |
| 기타(소규모 편의점 식료품점) | 제한된 종류의 필수품과 기타 편의 용품을 판매하는 소규모 동네 식료품점. 테이크아웃 매장은 연간 약 100만달러의 매출을 올린다. 예: 세븐일레븐(7-Eleven), 패밀리마트(FamilyMart), 알파마트(Alfamart) |
| 비전통적인 식료품점 | |
| 도매 클럽 | 다양한 상품과 제한된 종류의 제품을 창고 형태의 환경에서 판매하는 회원제 소매/도매 하이브리드 매장. 약 120,000평방피트 규모이며 GM/HBC가 60~70%이고 대용량 및 대량 판매를 위한 식료품 라인을 갖추고 있다. 회원은 기업 계정과 소비자 그룹을 모두 포함한다. 예: 샘스클럽(Sams Club), 코스트코(Costco), BJ's. |
| 슈퍼센터 | 대형 전통 슈퍼마켓과 대량 판매점의 하이브리드 매장. 다양한 식품과 비식품 상품을 제공한다. 평균 170,000평방피트 이상이며, 일반적으로 공간의 40%를 식료품에 할애한다. 예: 월마트(Walmart) 슈퍼센터, 슈퍼타겟, 마이저(Meijer), 크로거(Kroger) 마켓플레이스. |
| 잡화점 | 필수품과 잡화를 판매했지만, 공격적인 가격대로 식품 및 소모품을 판매하는 소규모 매장 형태로, 매출의 최소 20%에서 최대 66%를 차지한다. 예: 달러 제너럴(Dollar General), 달러 트리(Dollar Tree), 액션, 펩앤코(Pep&Co), 파운드랜드(Poundland), 패밀리 달러(Family Dollar). |
| 약국 | 총 매출의 20% 이상을 소모품, 일반 상품 및 계절 상품으로 발생시키는 처방전 기반 약국. 월그린(Walgreens), DM, AS 왓슨(AS Watson), CVS와 같은 대형 체인 약국이 포함된다. |
| 대량 판매점 | 주로 내구재, 의류, 전자 제품 및 스포츠 용품을 판매하지만 식료품 및 비식품 식료품도 판매하는 대형 매장. 전통적인 월마트(Walmart), 케이마트(Kmart), 타겟이 포함된다. |
| 군대 | 식료품과 소모품을 취급하는 일반적인 식료품점과 유사한 형태이지만, 현역 또는 예비역 군인만 이용할 수 있다. 민간인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매장(군수품 매장이라고 함)에서 쇼핑할 수 없다. |
| 전자상거래(식품 및 소모품) | 결제 방법이나 이행 방법에 관계없이 모든 기기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여 주문하는 식품 및 소모품. 아마존과 피팟(Peapod)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오프라인 소매업체가 창출하는 전자상거래 사업(예: 코본즈(코본즈 딜리버스) 및 샵라이트(샵라이트 프롬 홈 및 샵라이트 딜리버스))도 포함된다. 위의 다른 비전통적인 소매 부문에는 전자상거래 사업이 포함된다. |
일부 슈퍼마켓은 (심지어 전적으로) 유기농 인증을 받은 농산물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54][55] 다른 슈퍼마켓들은 팜유를 포함한 제품을 적게(혹은 전혀) 판매하지 않음으로써 차별화를 시도하는데, 팜유 수요가 열대 우림 파괴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이다.[56] 석유 기반 플라스틱의 식품 포장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제로 웨이스트"와 "플라스틱 없는" 슈퍼마켓과 식료품점이 증가하고 있다.[57][58][59]
일본의 경우, 매장 면적 300m2 정도부터 3000m2 이상까지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대규모 매장으로는 식료품, 일용품 같은 소비재부터 의류, 가전 같은 내구소비재까지 취급하는 종합 슈퍼마켓(제너럴 머천다이즈 스토어)이 시가지 중심부에 많이 출점되었지만, 최근에는 식료품과 일용품까지 취급하는 슈퍼마켓이 교외의 쇼핑센터에 출점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의 체인점 업계에서는, 구성비가 50% 이상인 부문의 이름을 앞에 붙여 분류한다.
- '''종합슈퍼''': 어떤 하나의 부문 구성비가 70%를 넘지 않고, 3개 이상의 부문에 걸쳐 상품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일본식 슈퍼스토어나 유사 백화점이라고 불렸다. 미국의 시어스(Sears), JC페니(J.C. Penney) 등이 G.M.S.(General Merchandise Store. 「M」은 마케팅이 아님)라고 불리는 것에서 유사한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미국의 경우는 식품을 취급하지 않으므로 일본의 것과는 다르다. 드물게 「종합슈퍼마켓」이라고 표기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종합슈퍼」가 사용된다. 일본에서 처음으로 이 업태를 채택하여 영업을 시작한 곳은 후쿠오카시의 유니도(현재는 다이에에 흡수 합병)라고 여겨진다. 복층 건물을 사용하며, 매장 면적은 넓다. 취급하는 상품이 폭넓어, 일상적인 쇼핑이라기보다는 주말 등에 큰 쇼핑이나 묶음 구매를 하기 위해 활기를 띠는 형태의 매장이다. 1990년대 이전에는 교외형 대형 매장이 많이 보였으며, 음식점 등 일부 임대 매장을 입점시키고 있는 경우도 많다.
- '''식품 슈퍼''' : 식료품 매출 구성비가 70% 이상이며, 슈퍼마켓 중에서 점포 수가 가장 많다. 주택가 인근에 주로 위치하며, 방문 빈도는 1주일에 2~3회로 예상된다. 신선식품 취급을 주력으로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매장에 있는 상품만으로 1주일 생활이 가능하도록 상품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래부터 박리다매 형태의 유사 업종 중에서도 특히 경쟁점과의 할인 경쟁이 치열한 업종이다. 2000년대 이후로는 신선식품을 포함한 식료품에 특화하여 장시간 영업하는 곳이 증가하고 있다. 교외형 대규모 점포는 '''슈퍼슈퍼마켓'''(SSM)이라고도 불리며, 인ストア베이커리, 반찬 조리장, 매장 내 식사 공간 등을 갖추고 최종 가열만 하면 되는 식품 판매나 샐러드바 등의 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점포에서는 일반적으로 구하기 어려운 식재료도 갖추어 1980년대 이후 급속도로 확산된 대중의 미식(グルメ) 추세와 더불어 이들을 저렴하게 제공함으로써 인기를 얻고 있다. 대규모소매점포입지법의 규제 매장 면적 이하의 소형 점포는 출점 규제가 엄격한 도심부나 주택가가 많은 지역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어 일정한 번영을 누리고 있다. 반면, 경영 체력적으로 가격 경쟁도 어렵고 편의점과 명확한 차별화를 내세우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젊은층이나 고령자 가정에서는 신선식품을 사지 않고 기성품 도시락이나 반찬으로 해결하는 중식(中食)이 증가하고 있어, 더 좋은 입지 조건을 가진 편의점과의 경쟁도 발생하고 있다.
- '''미니슈퍼''' : 2000년대 중반 이후 수도권 거주자들의 주거지가 도심 중심부로 회귀하고 인구 전체의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대규모 부지와 점포 확보가 어려운 도심을 비롯한 도시 지역에서 편의점 정도의 점포 면적을 가진 슈퍼마켓이 늘어나고 있으며, “미니슈퍼”라고 불린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편의점처럼 집 근처에 점포가 있으면서도 상품 가격이 편의점처럼 높지 않고, 인기 상품 위주이긴 하지만 일반 슈퍼마켓에 준하는 상품 구성을 갖춘다는 장점이 있다. 점포 입장에서는 출점이 용이하고 적은 초기 투자와 인건비로 도시 거주자들을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점포 수와 매출액 모두 증가하고 있다. 심야까지 영업하는 점포도 많다. 점포 면적의 제약상 주방을 갖추지 않은 점포가 많아 고기, 생선, 도시락, 반찬류는 공장에서 배송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주요 체인으로는 전일식 체인(全日食チェーン), 마이바스켓(まいばすけっと), 리코스(リコス) 등이 있다.
- '''의류 슈퍼''' : 상품의 대부분을 의류가 차지하며, 매출 구성비가 70% 이상인 곳이다. 원래는 의류 판매점 등이 대형화 과정에서 이러한 형태에 이르지만(유니클로(UNIQLO)나 시마무라(しまむら)[101]), 점포 면적을 넓혀 종합 슈퍼마켓이 된 경우가 많다.
- '''온라인 슈퍼마켓''' : 인터넷을 통해 주문을 받고, 주로 종합 슈퍼마켓 매장에서 해당 상권의 소비자에게 당일 배송하는 사업 형태이다.
고도경제성장기에는 인구 증가와 도시 확장에 따라 슈퍼마켓이 부족한 지역에 대한 대응책으로 이동 슈퍼마켓이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같은 시기에 대도시권 외곽에서는 베드타운과 단지 조성이 급격히 진행되었다. 급증하는 주민 수에 비해 기존의 상점가, 슈퍼마켓, 백화점 등이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상황이 여러 지역에서 발생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이동 슈퍼마켓이다. 마이크로버스나 소형 트럭, 경트럭을 개조하여 신선도 유지를 위한 쇼케이스를 설치하고 다양한 식품과 잡화를 판매했다. 이 때문에 "'''이동 슈퍼마켓'''"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980년대~90년대에 접어들면서 자동차 보급의 확대, 교외 슈퍼마켓의 진출, 대규모 주택 단지 내 매장 개발 증가, 편의점의 정착 등 매장이 풍부해짐에 따라 쇼핑에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이동 슈퍼마켓의 수요는 감소했다.
하지만 특히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소위 "쇼핑난민" 문제의 확산으로 인해 이동 슈퍼마켓이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는 전국적으로 교외 로드사이드 대규모 슈퍼마켓이 포화 상태에 이른 반면, 지방 산간 지역 등에서는 저출산 고령화·인구 유출로 인한 과소화가 심각해지고 있었다. 그 결과 과소지역 주택가에서 영세하게 영업하던 매장들이 경영난이나 점주 고령화 등으로 폐업했고, 대중교통 감편 및 운행 중단이 확산되었다. 자동차를 운전할 수 없게 되거나 역이나 버스 정류장까지 걸어갈 수 없게 된 고령자나 장애인이 고립되는 등 교통 불편으로 쇼핑하기 어려운 사람이 증가했다. 심지어 최악의 경우 화전농업과 같이 지역 도시 중심부조차도 매장과 상점가의 폐쇄, 교외화, 셔터가게화가 잇따랐으며, 도쿄 23구에서조차 다카시마다이라 단지에서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났다. 21세기 일본에서는 상업 지역을 벗어나면 "언제, 누가 쇼핑난민이 되어도 이상하지 않다"는 상황이 되어가고 있다.
쇼핑난민 대책으로 부활한 이동 슈퍼마켓은 도쿠시마현 발상의 이동 슈퍼마켓 "토쿠시마루"의 급격한 확장과 함께 전국적으로 대수가 증가했다. 대형 슈퍼마켓이나 드럭스토어도 진출하고 있다. 대부분은 순회 일정을 정해 마을에 있는 공터나 특정 주택의 처마 밑에 차를 세우고 판매를 한다. 노선버스 감편·운행 중단 등 교통 수단이 제한적인 산간 벽지에 사는 고령자에게는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귀중한 수단이 되고 있으며, 지자체가 이동 판매 도입을 요청·지원하는 사례도 많다.
3. 2. 한국의 슈퍼마켓 분류
대한민국 중소기업청은 슈퍼마켓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101]
4. 특징
슈퍼마켓은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여러 전략을 사용한다.


상품은 이미 포장되어 슈퍼마켓에 도착하며, 품목의 종류에 따라 통로와 구역에 배열되어 선반에 놓인다. 신선한 농산물과 같이 온전한 냉장 유통 체계를 필요로 하는 품목은 온도 조절 진열대에 보관된다.
매장 광고는 회사마다 다르지만, 슈퍼마켓의 레이아웃은 대부분 비슷하다. 대기업들은 소비자의 쇼핑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이는 소비자들이 더 많은 돈을 쓰도록 유도하기 위한 매장 내 마케팅과 연결되어 있다.[65]
매장의 모든 측면은 색상, 단어, 표면 질감까지 고려하여 설계된다. 슈퍼마켓의 레이아웃은 시각적 머천다이징 프로젝트의 중요한 부분이다. 매장은 레이아웃을 통해 고객의 분위기를 바꾸거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간판 및 그래픽), 조명, 색상, 향기를 통해 분위기를 좋게 만들 수 있다.[65] 예를 들어, 신선한 농산물을 매장 앞에 배치하여 건강한 느낌을 주고, 제빵 품목은 30~40피트의 공간을 할애한다.[66]
슈퍼마켓은 각 상품 구역에 개별적인 차이를 느끼도록 설계되며, 이는 신선 농산물, 유제품, 델리, 정육, 제빵 부서의 디자인에서 잘 나타난다. 각 구역은 바닥재, 스타일, 조명이 다르며, 때로는 개별 서비스 카운터가 있어 여러 개의 시장이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한다.[67]
4. 1. 상품 구성
북미와 유럽의 대형 슈퍼마켓은 일반적으로 여러 브랜드, 크기 및 종류의 많은 품목을 판매한다. 미국의 출판사인 ''슈퍼마켓 뉴스''(Supermarket News)는 다음과 같은 범주를 제시했다.[64] 하이퍼마켓은 의류, 전자제품, 가정 장식 및 가전제품과 같은 비식품 범주를 더 광범위하게 취급한다.| 범주 | 품목 예시 |
|---|---|
| 제빵류 | 포장 제품, 서비스 베이커리, 매장 내 베이커리 |
| 음료 | 비알코올성 포장 음료, 알코올성 음료 (법률 허용 시) |
| 비식품 및 약국 | 담배, 복권, 일반 의약품 (법률 허용 시), DVD 대여, 서적, 잡지 (슈퍼마켓 타블로이드 포함), 카드, 장난감, 전구, 소량의 가정 용품, 가정 용품 (일반적으로 제한적) |
| 개인 위생 용품 | 화장품, 비누, 샴푸 |
| 신선 농산물 | 신선한 과일과 채소 |
| 꽃 | 꽃과 식물 |
| 델리 | 얇게 썬 육류, 치즈 등 |
| 가공식품 | 포장 및 냉동 식품 |
| 육류 | 신선 포장, 냉동, 정육 서비스 카운터 (경우에 따라) |
| 해산물 | 신선 포장, 냉동, 정육 서비스 카운터 (경우에 따라) |
| 유제품 | 유제품 및 계란 |
| 중앙 매장 | 세제, 종이 제품, 가정용 청소 용품 |
| 다문화 | 다양한 국가의 식품 |
| 대량 건조 식품 | 해당사항 없음 |
| 애완동물 사료, 장난감 및 용품 | 해당사항 없음 |

일본의 경우, 매장 면적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대규모 매장으로는 식료품과 일용품 같은 소비재부터 의류·가전과 같은 내구소비재까지 취급하는 종합 슈퍼마켓(제너럴 머천다이즈 스토어)이 있다. 최근에는 식료품과 일용품까지 취급하는 슈퍼마켓이 교외 쇼핑센터에 출점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 체인점 업계에서는 매출 구성비가 50% 이상인 부문의 이름을 붙여 분류한다.
- 식료품 슈퍼마켓: 식료품 매출 구성비가 70% 이상이며, 슈퍼마켓 중에서 점포 수가 가장 많다. 주택가 인근에 주로 위치하며, 방문 빈도는 1주일에 2~3회로 예상된다. 신선식품 취급을 주력으로 일상생활을 지원하며, 매장 상품만으로 1주일 생활이 가능하도록 상품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할인 경쟁이 치열하며, 2000년대 이후로는 신선식품에 특화하여 장시간 영업하는 곳이 증가하고 있다.
- 슈퍼슈퍼마켓(SSM): 교외형 대규모 점포로, 인ストア베이커리, 반찬 조리장, 매장 내 식사 공간 등을 갖추고 있다. 최종 가열만 하면 되는 식품 판매나 샐러드바 등의 밀 솔루션을 제공하며, 구하기 어려운 식재료도 갖추어 1980년대 이후 대중의 미식(グルメ) 추세에 따라 저렴하게 제공하여 인기를 얻고 있다.
- 소형 슈퍼마켓: 대규모소매점포입지법의 규제 매장 면적 이하의 소형 점포로, 도심부나 주택가에 위치한다. 가격 경쟁이 어렵고 편의점과 차별화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 젊은층이나 고령자 가정에서는 중식(中食)이 증가하여 편의점과의 경쟁이 발생하고 있다.
- 의류 슈퍼마켓: 상품 대부분이 의류이며, 매출 구성비가 70% 이상이다. 의류 판매점 등이 대형화되면서 이러한 형태가 되었거나(유니클로(UNIQLO)나 시마무라(しまむら)[101]), 점포 면적을 넓혀 종합 슈퍼마켓이 된 경우가 많다.
4. 2. 매장 구성 전략
대부분의 상품은 이미 포장되어 슈퍼마켓에 도착하며, 포장된 상품들은 품목의 종류에 따라 통로와 구역에 배열되어 선반에 놓인다. 신선한 농산물과 같이 온전한 냉장 유통 체계를 필요로 하는 품목은 온도 조절 진열대에 보관된다.[65]브랜드와 매장 광고는 회사마다 다르지만, 슈퍼마켓의 레이아웃은 사실상 변하지 않는다. 대기업들은 소비자에게 즐거운 쇼핑 경험을 제공하는 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만, 슈퍼마켓의 디자인은 슈퍼마켓이 더 많은 돈을 쓰도록 소비자를 유도하기 위해 실시해야 하는 매장 내 마케팅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65]
매장의 모든 측면은 계획적으로 설계되며, 색상, 단어 및 표면 질감에 주의를 기울인다. 슈퍼마켓의 전반적인 레이아웃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각적 머천다이징 프로젝트이다. 매장은 창의적으로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고객의 분위기에 대한 인식을 바꿀 수 있다. 또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간판 및 그래픽), 조명, 색상 및 향기를 통해 매장의 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65] 예를 들어, 슈퍼마켓이 건강하다는 느낌을 주기 위해 신선한 농산물을 매장 앞에 의도적으로 배치한다. 제빵 품목의 경우 슈퍼마켓은 일반적으로 30~40피트의 매장 공간을 빵 통로에 할애한다.[66]
슈퍼마켓은 "각 상품 구역에 개별적인 차이를 느끼게 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는 핵심 부서인 신선 농산물, 유제품, 델리, 정육 및 제빵의 디자인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67] 각 구역은 바닥재, 스타일, 조명이 다르며, 때로는 개별 서비스 카운터가 있어 쇼핑객들이 하나의 슈퍼마켓 안에 여러 개의 시장이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한다.[67]
마케터는 구매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잘 연구된 기법을 사용한다. 슈퍼마켓의 레이아웃은 일부 사람들이 몇 가지 경험적 규칙과 세 가지 레이아웃 원칙으로 구성된다고 생각한다.[68]
- 레이아웃 원칙
- 고객 유인력이 높은 제품: 매장의 분리된 영역에 배치
- 충동 구매율과 마진이 높은 제품: 가장 눈에 띄는 영역에 배치
- 주력 제품: 통로 양쪽에 배치
- 엔드캡: 특별 할인, 프로모션, 캠페인, 신제품 등에 사용
레이아웃의 첫 번째 원칙은 순환이다. 순환은 슈퍼마켓이 소비자의 동선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품을 배치하여 만든다. 이 경로와 함께, 소비자가 원래 의도하지 않았던 구매를 하도록 유도하는 고객 유인력이 높고 충동 구매율이 높은 품목이 있다. 화장실과 같은 서비스 영역은 추가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특정 제품을 지나도록 소비자를 끌어들이는 위치에 배치된다. 빵과 우유와 같은 필수품은 순환의 시작을 늘리기 위해 매장 후면에 배치한다. 계산대는 순환을 촉진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대부분의 슈퍼마켓에서 입구는 오른쪽에 있는데, 이는 일부 연구에 따르면 시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소비자가 더 많은 돈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67] 그러나 다른 연구자들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소비자가 매장의 더 나은 정신적 지도를 형성하여 결과적으로 매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69]
레이아웃의 두 번째 원칙은 조정이다. 조정은 판매를 촉진하는 제품의 체계적인 배열이다. 빠르게 판매되는 제품과 느리게 판매되는 제품은 전체 판매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전략적 위치에 배치된다. 관리자는 때때로 매출 증가 또는 신제품 홍보를 위해 빠르게 판매되는 장소에 다른 품목을 배치한다.
세 번째 원칙은 소비자 편의성이다. 슈퍼마켓의 레이아웃은 소비자에게 높은 수준의 편의성을 제공하여 쇼핑 경험을 즐겁게 하고 고객 지출을 늘리도록 설계되었다.[71] 이는 머천다이징과 제품 배치의 특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레이아웃 및 제품 레이아웃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많은 다양한 아이디어와 이론이 있다. 한 이론은 평균 고객 지출을 늘리기 위해 유사하거나 상호 보완적인 특성을 가진 특정 제품을 함께 또는 서로 가까이 배치한다고 제안한다.[70] 이 전략은 카테고리 간 판매 유사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다시 말해, 치약은 칫솔 옆이나 인접해 있고, 차와 커피는 달콤한 비스킷과 같은 통로에 있다. 이러한 제품은 서로 보완적이며, 이를 가까이 배치하는 것은 마케터가 구매를 늘리려고 시도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70]
수직 배치의 경우 저렴한 일반 브랜드는 가장 낮은 선반에, 어린이에게 어필하는 제품은 허벅지 중간 높이에, 가장 수익성이 높은 브랜드는 눈높이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다.[71]
네 번째 원칙은 색채 심리학의 사용과 식품의 위치[72]이며, 패스트푸드 브랜딩에서의 사용과 유사하다.
소비자 심리학자들은 대부분의 구매자가 매장에 들어가서 먼저 오른쪽으로 쇼핑하는 경향이 있다고 제안한다.[67] 따라서 일부 슈퍼마켓은 소비자가 입장 시 오른쪽으로 돌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입구를 왼쪽에 배치하여 소비자가 계산대로 돌아가기 전에 매장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완전히 돌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슈퍼마켓 마케터가 계획되지 않은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오른쪽에 제품의 임시 진열대를 배치하여 이 이론을 활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통로 끝은 제품 제조업체에게 매우 인기가 있으며, 제품을 그곳에 배치하기 위해 최고가를 지불한다.[73] 이러한 통로 끝은 고객을 즉흥적인 구매로 유인하고 통로를 따라 쇼핑하도록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슈퍼마켓 레이아웃이 소비자에게 가장 명확하게 영향을 미치는 곳은 계산대인데, 사탕, 잡지 및 음료의 작은 진열대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 기다리는 동안 쇼핑객을 유혹하기 위해 각 계산대에 있다.[67]
5. 사회적 영향 및 논란
대형 슈퍼마켓은 고객에게 저렴한 가격과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공급업체와 소규모 상점에게는 경제적인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74][75][76][77][78] 슈퍼마켓은 많은 식품 쓰레기를 만들지만, 바이오메탄화 시설과 같은 기술을 통해 쓰레기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79][80][81] 또한, 구매 추적으로 부패하기 쉬운 식품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5. 1. 부정적 영향 및 논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많은 국가의 전통적인 슈퍼마켓들은 월마트, 알디, 리들과 같은 할인점들로부터 치열한 경쟁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할인점들은 일반적으로 노동조합이 없고 더 나은 구매력을 바탕으로 운영된다. 코스트코와 같은 창고형 할인점들도 대량 구매 고객에게 할인을 제공하며 경쟁하고 있다. 월마트와 아스다가 운영하는 것과 같은 대형마트들은 식품 외에도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호주에서는 알디, 울워스, 콜스가 업계의 주요 업체이며, 세 업체 간의 경쟁이 치열하다. 알디의 시장 점유율 증가는 다른 두 업체가 가격을 인하하고 자체 브랜드 제품 라인을 확대하도록 압박했다.[44] 이러한 창고형 할인점과 대형마트의 확산은 더 작은 지역 식료품점들의 지속적인 사라짐, 자동차 의존도 증가, 대규모 매장 면적과 증가된 차량 통행의 필요성으로 인한 도시 확산에 기여했다. 예를 들어, 2009년 월마트의 2,510억 달러 규모 국내 매출 중 51%가 식료품에서 발생했다.[45] 일부 비평가들은 대형 체인점들이 손실을 감수하고 판매하는 관행이 반경쟁적이라고 생각하며, 종종 다국적 기업들이 전 세계 공급업체와 협상하는 데 가지는 막강한 힘을 경계한다.[46]대형 슈퍼마켓은 고객에게 비용 절감과 효율성 향상을 가져다주는 경우가 많지만, 공급업체와 소규모 상점에 상당한 경제적 압력을 가할 수 있다.[74][75][76][77][78] 슈퍼마켓은 상당한 식품 쓰레기를 발생시키지만, 바이오메탄화 설비와 같은 최신 기술을 통해 쓰레기를 경제적인 에너지원으로 처리할 수 있다.[79][80][81] 또한, 구매 추적을 통해 슈퍼마켓은 부패하기 쉬운 상품의 재고량을 더 잘 조절하여 식품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rocery store
https://www.merriam-[...]
2020-07-13
[2]
웹사이트
Grocery
https://www.oxfordle[...]
2020-07-13
[3]
뉴스
Why 'Grocerants' are the new trend, taking bite out of restaurants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7-04-06
[4]
서적
Consumer Cultur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17-01-08
[5]
서적
The Great A&P and the Struggle for Small Business in America
https://books.google[...]
Hill and Wang
2011
[6]
서적
The Secret Life of Groceries: The Dark Miracle of the American Supermarket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20
[7]
서적
Public Space and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Design
https://books.google[...]
Edizioni Nuova Cultura
2018-02-28
[8]
서적
The Great A&P and the Struggle for Small Business in America
https://books.google[...]
Hill and Wang
2011
[9]
서적
The Great A&P and the Struggle for Small Business in America
https://books.google[...]
Hill and Wang
2011
[10]
서적
The Secret Life of Groceries: The Dark Miracle of the American Supermarket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20
[11]
서적
The Great A&P and the Struggle for Small Business in America
https://books.google[...]
Hill and Wang
2011
[12]
서적
The Problem with Feeding Cities: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Infrastructure, Abundance, and Inequality in Ame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01-08
[13]
서적
The Secret Life of Groceries: The Dark Miracle of the American Supermarket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20
[14]
서적
The Secret Life of Groceries: The Dark Miracle of the American Supermarket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20
[15]
웹사이트
Opening of the Astor market, New York City, 1915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1915
[16]
간행물
The Retailer
https://books.google[...]
1917-07
[17]
뉴스
The Astor Legacy in Brick and Stone
The New York Times
2006-09-10
[18]
뉴스
Streetscapes: Thalia Theater; a closed revival house that may itself be revive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7-07-05
[19]
서적
The Great A&P and the Struggle for Small Business in America
https://books.google[...]
Hill and Wang
2011
[20]
서적
The Problem with Feeding Cities: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Infrastructure, Abundance, and Inequality in Ame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01-08
[21]
서적
The Problem with Feeding Cities: The Social Transformation of Infrastructure, Abundance, and Inequality in Americ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0-01-08
[22]
웹사이트
Self-serving store.
https://patents.goog[...]
[23]
웹사이트
Lighting system for self-serving stores
https://patents.goog[...]
[24]
웹사이트
Self-serving store
https://patents.goog[...]
[25]
웹사이트
Arrangement and construction of store fixtures
https://patents.goog[...]
[26]
웹사이트
September 6, 1916: The first supermarket opens for business
https://knappily.com[...]
Knappily
2022-04-27
[27]
서적
The Great A&P and the Struggle for Small Business in America
https://books.google[...]
Hill and Wang
2011-01-08
[28]
뉴스
Old timey Houston grocery stores – Did you shop at any of these?
https://www.chron.co[...]
Houston Chronicle
2020-05-01
[29]
간행물
1926–1936: Entrepreneurs and Enterprise: A Look at Industry Pioneers like King Kullen and J. Frank Grimes, and the Institution They Created (Special Report: Social Change & the Supermarket)
Progressive Grocer
1996-12
[30]
웹사이트
The long takeoff of skyrocketing food prices
https://www.theglobe[...]
2023-01-13
[31]
뉴스
Recollections of First Supermarke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3-07-11
[32]
서적
The Great A&P and the Struggle for Small Business in America
https://books.google[...]
Hill and Wang
2011-01-08
[33]
서적
The Great A&P and the Struggle for Small Business in America
https://books.google[...]
Hill and Wang
2011
[34]
서적
The Great A&P and the Struggle for Small Business in America
https://books.google[...]
Hill and Wang
2011
[35]
서적
Shopping Environments: Evolution, Planning and Design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6
[36]
서적
Supermarkets, Free Markets, and the Problem of Buying Power in the Postwar United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7]
서적
The Secret Life of Groceries: The Dark Miracle of the American Supermarket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20
[38]
서적
Supermarket USA: Food and Power in the Cold War Farms Rac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8
[39]
웹사이트
Steinberg Inc
https://www.thecanad[...]
[40]
웹사이트
Regulating UK supermarkets: an oral-history perspective
http://www.historyan[...]
History & Policy
2008-04-00
[41]
웹사이트
It's a super anniversary: it's 50 years since the first full size self-service supermarket was unveiled in the UK
http://findarticles.[...]
2001-11-03
[42]
학술지
Card loyalty. A new emerging issue in grocery retailing.
2003
[43]
서적
The Secret Life of Groceries: The Dark Miracle of the American Supermarket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20
[44]
웹사이트
Supermarkets and Grocery Stores – Australia Market Research Report
https://www.ibisworl[...]
[45]
학술자료
The Effect of a Wal-Mart Supercenter on Supermarket Food Prices: The Case of the City of Plattsburgh in Upstate New York
2014
[46]
웹사이트
Supermarkets behaving badly – how suppliers can get a fairer deal
https://www.theguard[...]
2015-06-25
[47]
방송
On Demand
https://www.bbc.co.u[...]
2019-04-30
[48]
웹사이트
DoorDash and Walmart Join Forces to Accelerate Retailer's Online Grocery Delivery Offering
https://corporate.wa[...]
2018-04-24
[49]
웹사이트
Morrisons and Deliveroo join up to offer grocery home delivery
https://www.morrison[...]
2020-04-07
[50]
뉴스
The Small, But Mighty, Micro-fulfillment Center
https://www.fmi.org/[...]
2019-08-09
[51]
뉴스
Digital-First Grocery: A Look Inside Micro Fulfillment at Albertsons
https://progressiveg[...]
2020-03-17
[52]
뉴스
Grocery Delivery Goes Small With Micro-Fulfillment Centers
https://www.wsj.com/[...]
2020-01-27
[53]
웹사이트
Supermarket facts
https://www.fmi.org/[...]
[54]
웹사이트
The Organic Retail Revolution
https://proguidez.co[...]
[55]
웹사이트
Organic food sector booming in France
https://www.connexio[...]
[56]
웹사이트
Iceland to be first UK supermarket to cut palm oil from own-brand products
https://www.theguard[...]
[57]
웹사이트
Grocery stores are packed with plastic. Some are changing.
https://web.archive.[...]
[58]
웹사이트
Britain's first plastic-free supermarket zones open
https://www.telegrap[...]
[59]
웹사이트
The Rise of 'Zero-Waste' Grocery Stores
https://www.smithson[...]
[60]
학술지
The Rapid Rise of Supermarkets in Developing Countries: Induced Organizational, Institutional, and Technological Change in Agrifood Systems
https://www.fao.org/[...]
Agricultural and Development Economics Divisio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4
[61]
학술지
The Rapid Rise of Supermarkets in Developing Countries: Induced Organizational, Institutional, and Technological Change in Agrifood Systems
[62]
웹사이트
Changes in food retailing in Asia
http://www.fao.org/3[...]
[63]
학술자료
The response of traditional marketing channels to the growth of supermarkets and to the demand for safer and higher quality fruit and vegetabl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sia
http://www.fao.org/d[...]
FAO, Bangkok
[64]
웹사이트
Product Categories
https://www.supermar[...]
[65]
학술자료
The impact of selected visual merchandising techniques on patronage intentions in supermarkets
2011
[66]
웹사이트
NACS Magazine – Category Close Up: Take Bread to the Bank
http://www.nacsonlin[...]
[67]
학술지
Trolley Psychology: Choice unlocks the psychological secrets of the supermarket and shows you how to avoid spending more than you mean to
2010-04-00
[68]
학술자료
Layout strategies for some of the operations
2005
[69]
학술지
Turning Bias and Walking Patterns: Consumers' Orientation in a Discount Store
http://elibrary.vahl[...]
2009
[70]
학술지
Cross-Category Effects of Aisle and Display Placements: A Spatial Modeling Approach and Insights
2009
[71]
뉴스
How to Buy Food: The Psychology of the Supermarket
http://www.bonappeti[...]
2014-10-30
[72]
뉴스
How color affects your spending
https://www.cnn.com/[...]
CNN
2018-03-03
[73]
문서
Browne, 2010
[74]
저널
Competitive Impact of a New Supermarket
1967-11-01
[75]
뉴스
Senate takes look at slotting fees
http://lubbockonline[...]
1999-09-15
[76]
웹사이트
Unfair trading practices / supply chain
http://www.eesc.euro[...]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
2013-07-11
[77]
보도자료
Ten Reasons Supermarket Mergers Are Bad for Consumers
http://www.foe.co.uk[...]
Friends of the Earth
2003-01-13
[78]
뉴스
Growers demand inquiry, ombudsman sought
http://tvnz.co.nz/bu[...]
TVNZ
2010-07-05
[79]
저널
Leachate from market refuse and biomethanation study
2007-12-01
[80]
웹사이트
Methanisatie – 2009, het jaar van de biomethanisering?
http://www.energymag[...]
2014-09-15
[81]
서적
Asia Biomass Handbook
http://www.jie.or.jp[...]
Japan Institute of Energy
[82]
웹사이트
NEW BALANCE vol.85
https://www.teraokas[...]
2019-05-08
[83]
특허
https://www.google.c[...]
[84]
특허
https://www.google.c[...]
[85]
특허
https://www.google.c[...]
[86]
특허
https://www.google.c[...]
[87]
서적
Never Done: A History of American Housework
Holt Paperbacks
[88]
간행물
The place where supermarketing was born
2002-06-17
[89]
간행물
1926-1936: entrepreneurs and enterprise: a look at industry pioneers like King Kullen and J. Frank Grimes, and the institution they created (Special Report: Social Change & the Supermarket)
1996-12-01
[90]
웹사이트
(3)米国の食品流通の構造と動向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21-10-10
[91]
웹사이트
競争激化の米アマゾンと米ウォルマート、相手の得意領域で事業拡大
https://xtech.nikkei[...]
日経クロステック
2021-10-10
[92]
웹사이트
日本初の「スーパーマーケット」には諸説ある
https://news.1242.co[...]
ニッポン放送
2021-08-16
[93]
웹사이트
日本で初めてスーパーを創業した吉田日出男物語
https://diamond-rm.n[...]
2021-08-16
[94]
웹사이트
協会沿革
http://www.super.or.[...]
全国スーパーマーケット協会
2021-08-16
[95]
웹사이트
協会概要
http://www.super.or.[...]
全国スーパーマーケット協会
2021-08-16
[96]
웹사이트
大規模小売店舗法
https://kotobank.jp/[...]
2021-08-16
[97]
웹사이트
大規模小売店舗法
https://kotobank.jp/[...]
2021-08-16
[98]
웹사이트
CGCグループ案内
https://www.cgcjapan[...]
シジシージャパン
2021-08-17
[99]
웹사이트
協会概要
http://www.jsa-net.g[...]
日本スーパーマーケット協会
2021-08-17
[100]
웹사이트
協会沿革
http://www.jsa-net.g[...]
日本スーパーマーケット協会
2021-08-17
[101]
웹사이트
総合スーパー、なぜ不振?――専門店に押され、大量閉店
http://bizacademy.ni[...]
日経Bizアカデミー
2016-10-07
[102]
서적
For the CUSTMORS ダイエーグループ35年の記録
ダイエー社史編纂室
[103]
문서
트라이얼은 대한민국의 지방 중소도시, 군 단위 지역에서도 일부에 한하여 사업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