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고구려 고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고구려 고분군은 고구려 시대의 고분군으로, 200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평양, 남포, 안악 등지에 걸쳐 분포하며, 동명왕릉, 호남리 사신총, 강서 삼묘, 덕흥리 고분, 안악 3호분 등 여러 유적이 포함된다. 2003년 등재 당시, 중국의 요청으로 인해 북한과 중국의 고구려 유적이 함께 등재되었으며, 이는 고구려 영토 문제에 대한 인식을 제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구려의 고분 - 덕흥리 고분
    덕흥리 고분은 408년에 사망한 고구려 고위 관료 진의 무덤으로, 횡혈식석실 구조와 벽화를 통해 그의 생전 모습과 신분, 불교 신앙을 보여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고구려 고분군에 속하는 중요한 유적이다.
  • 고구려의 고분 - 수산리 고분
    수산리 고분은 고구려 시대의 단실분으로,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연도와 묘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 벽화에는 인물풍속도를 주제로 당시 귀족의 생활상이 묘사되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유적 - 덕흥리 고분
    덕흥리 고분은 408년에 사망한 고구려 고위 관료 진의 무덤으로, 횡혈식석실 구조와 벽화를 통해 그의 생전 모습과 신분, 불교 신앙을 보여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고구려 고분군에 속하는 중요한 유적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유적 - 강서대묘
    강서대묘는 널방에 사신도 등 벽화가 그려진 원형 분구 형태의 고구려 고분으로, 화강암 널방과 모줄임천장 구조, 철선묘법의 사신도 벽화가 특징이며 7세기 초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구려 고분군
개요
고구려 무덤군
동명왕릉
공식 명칭고구려 고분군
위치평안남도, 황해남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포함동명왕릉
진파리 무덤군
진파리 1호 무덤
진파리 4호 무덤
호남리 사신총
덕화리 무덤
덕화리 1호 무덤
덕화리 2호 무덤
덕화리 3호 무덤
강서삼묘
덕흥리 무덤
약수리 벽화 무덤
수산리 벽화 무덤
용강대총
쌍영총
안악 무덤
안악 1호 무덤
안악 2호 무덤
안악 3호 무덤
기준(i), (ii), (iii), (iv)
ID1091
좌표38°51′47″N 125°24′54″E
등재 연도2004년
면적232.9 헥타르
완충 구역1,701.2 헥타르
한국어 이름
한글고구려 고분군
한자高句麗古墳群
로마자 표기Goguryeo gobungun
매큔-라이샤워 표기Koguryŏ kobun'gun
추가 정보
참고일본 고분 벽화에 영향을 줌

2. 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는 고구려 고분군은 5개 지역, 63기의 고분(벽화고분 16기 포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대표적인 고분으로는 강서대묘, 동명왕릉, 쌍영총, 약수리 고분, 수산리 고분 등이 있다.[1]

고구려 고분 중에는 안악 3호분처럼 아름다운 벽화가 있는 경우가 많다. 벽화는 10,000여 개의 고구려 고분 중 90여 곳에서만 발견될 정도로 드물며, 이러한 고분의 주인은 왕족이나 높은 계급의 귀족으로 추정된다.[1]

2. 1. 벽화의 예술성

고구려 고분 벽화는 당시 고구려의 문화와 풍속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왕, 왕족, 귀족의 무덤인 63기의 고분군에서 발견된 벽화들은 그 예술성을 인정받고 있다. 주요 벽화 고분으로는 안악 3호분, 덕흥리 고분, 수산리 고분, 강서대묘 등이 있다. 이 고분 벽화들 중 일부는 일본 아스카 지역의 다카마쓰즈카 고분 벽화와 관련성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안악 3호분에는 수박도(手搏圖)라는 벽화가 그려져 있어 당시의 무예를 엿볼 수 있다.

3. 주요 유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는 고구려 고분 63기(벽화고분 16기 포함)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대표적인 고분으로는 강서대묘, 동명왕릉, 쌍영총, 약수리 고분, 수산리 고분 등이 있다.

안악 3호분을 비롯한 많은 고분 안에는 아름다운 벽화가 있다. 벽화는 10,000여 개의 고구려 고분 중 90곳에서만 발견되는 매우 드문 것으로, 고분군의 주인은 왕족이거나 계급이 높은 귀족일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 고분 벽화 중에는 일본 아스카의 다카마쓰즈카 고분 벽화와 관련성을 지적하는 것도 있다.[10]

이번에 등록된 고분은 고구려의 왕, 왕족, 귀족의 무덤 63기이다. 대부분은 당시 고구려의 문화와 풍속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벽화 고분이다. 평안남도 대동군에 있는 덕화리 고분도 포함된다.

유네스코
지정번호
사진등록명소재지
1091-003
250x250px
덕화리 고분군 (1, 2, 3호)평안남도 대동군


3. 1. 평양 지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있는 고구려 고분 중 평양 지역에 위치한 고분은 다음과 같다.

유네스코
지정번호
사진등록명소재지
1091-001
동명왕릉
동명왕릉과 진파리 고분군평양직할시 력포구역
1091-002
호남리 사신총
호남리 사신총평양직할시 삼석구역



이 고분들은 고구려의 왕, 왕족, 귀족의 무덤으로, 당시의 문화와 풍속을 보여주는 벽화가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안악 3호분에는 수박도(手搏圖)라는 벽화가 그려져 있다.

3. 2. 남포 지역

유네스코
지정번호
사진등록명소재지
1091-004
강서 삼묘남포특별시 강서구역
1091-005
덕흥리 고분
1091-006
약수리 고분
1091-007
수산리 고분
1091-008
룡강대총남포특별시 룡강군
1091-009
쌍영총


3. 3. 안악 지역

황해남도 안악군에는 안악 1호분, 안악 2호분, 안악 3호분이 있다. 특히 안악 3호분에는 수박도(手搏圖) 벽화가 그려져 있으며, 고구려 왕족이나 높은 계급의 귀족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안악 3호분을 포함한 많은 무덤 안에는 아름다운 벽화가 있는데, 이는 10,000여 개의 고구려 고분 중 90곳에서만 발견되는 매우 드문 것이다.

유네스코
지정번호
사진등록명소재지
1091-010
250x250px
안악 1호분황해남도 안악군
1091-011안악 2호분
1091-012안악 3호분


4. 등재 기준

(ⅰ)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
(ⅱ)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
(ⅲ)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ⅳ)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5. 한반도 역사와 고구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중화인민공화국에 걸쳐 고구려 유적이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이 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역에는 5개 지역, 63기의 고분이 있으며, 그중 16기는 벽화 고분이다. 강서대묘, 동명왕릉, 쌍영총, 약수리 고분, 수산리 고분 등이 대표적이다.

안악 3호분을 비롯한 많은 고분에는 아름다운 벽화가 남아있다. 벽화는 1만여 기의 고구려 고분 중 90여 곳에서만 발견되는 희귀한 것으로, 고분 주인은 왕족이나 고위 귀족으로 추정된다. 안악 3호분의 수박도(手搏圖)는 고구려인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조선의 주요 고구려 벽화 고분으로는 안악 3호분, 덕흥리 고분, 수산리 고분, 강서대묘 등이 있다. 이들 고분 벽화 중 일부는 일본 아스카의 다카마쓰즈카 고분 벽화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5. 1. 남북 관계와 고구려 유적

세계 유산에 등재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고구려 유산은 5개 지역 고분 63기(벽화고분 16기 포함)로 구성되어 있다. 강서대묘, 동명왕릉, 쌍영총, 약수리 고분, 수산리 고분 등이 대표적이다.

안악 3호분처럼 많은 무덤 안에 아름다운 벽화가 있다. 벽화는 10,000여 개의 고구려 고분 중 90곳에서만 발견되는 매우 드문 것으로, 고분군의 주인은 왕족이거나 계급이 높은 귀족일 것으로 여겨진다.

당초, 2003년에는 등재될 예정이었으나, 당시 주일본 중화인민공화국 대사였던 우다웨이로부터 등재 연기와 동시 등재를 요청받은 화가 히라야마 이쿠오가 중·조 양국의 중재를 맡았다. 그 경위로 인해, 두 유적은 2004년에 동시 등재되는 형태로 결정되었다. 북한과 중국 사이에 고구려 지역의 영토 문제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다시금 인식되었다.

참조

[1] 뉴스 https://www.koreawor[...] 2020-08-27
[2] 백과사전 Koguryo http://www.britannic[...] 2013-10-15
[3] 서적 State Formation in Korea: Emerging Elites 2013
[4] 서적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the Koguryo Kingdom 2016
[5] 서적 Historical Atlas of Northeast Asia 2014
[6] PhD The origin and rise of the Korean kingdom of Koguryo, from the 1st century to A.D. 313 University of London 1964
[7] 웹사이트 日本の古墳壁画に影響を与えた!?北朝鮮初の世界遺産「高句麗古墳群」 https://www.koreawor[...] 2020-08-27
[8] 웹사이트 世界遺産というパワーゲーム 「人類全体が守るべきもの」を決める裏には熾烈な駆け引きがある(3/3) http://globe.asahi.c[...] 朝日新聞グローブ 2017-11-14
[9] 뉴스 북한 고구려 고분군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 등재 - 유네스코 뉴스 http://www.unesco.or[...]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20-09-20
[10] 뉴스 https://www.koreawor[...] 2020-09-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