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보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보리는 한국 북부 지방을 포함한 유라시아 대륙 온대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뻗는 줄기가 없고 높이가 60-100cm이며, 잎은 피침형이다. 6-7월에 원추꽃차례로 꽃이 피고, 열매는 영과로 7월에 누렇게 익는다. 목초로 이용되며, 방목지나 엔실리지용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벼과 - 갈대
갈대는 전 세계 온대 및 아한대 지역의 수변 환경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수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과 다양한 활용 가치를 지니지만, 과도한 번식이나 기후 변화로 인한 문제점도 발생한다. - 벼과 - 갯쥐꼬리풀
갯쥐꼬리풀은 염분 농도가 높은 지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 번식력이 강해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며 토착종과의 잡종 형성, 물 순환 방해, 서식지 파괴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제초제를 이용한 방제가 이루어지고, 기후 변화로 인해 확산 가능성이 있어 지속적인 감시와 연구가 필요한 식물이다. - 보리족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보리족 - 개밀
개밀은 벼과 에조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들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라며 보랏빛 꽃이 피고, 푸른개밀과 유사하나 흰색을 띠며 건조 시 까끄라기가 뒤로 젖혀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화본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화본식물 - 벼
벼는 벼과에 속하는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포니카, 인디카, 자바니카의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볍씨 선별, 비료 사용, 수확 등의 과정을 거쳐 재배된다.
| 개보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학명 | Elymus sibiricus |
| 학명이명 | Clinelymus sibiricus (L.) Nevski Elymus krascheninnikovi Roshev. Elymus pendulosus H.J.Hodgs.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군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강 | 외떡잎식물군 |
| 미분류 목 | 닭의장풀군 |
| 목 | 벼목 |
| 과 | 벼과 |
| 속 | 갯보리속 |
| 종 | 개보리 |
2. 분포
한국의 북부지방을 비롯하여 유라시아대륙 온대에 분포하며 산기슭에서 자라거나 밭에서 재배한다.
개보리는 뻗는 줄기가 없으며 높이는 60-100cm이다. 잎은 피침형이나 약간 편평하고 길이 8-20cm, 나비 1cm이며 꽃은 원추꽃차례로 6-7월에 핀다. 꽃이삭은 길이가 8-15cm로 작은 꽃이삭이 많이 모여 붙는다. 포영은 털이 없고 피침형이며, 호영은 5맥이 있고 끝이 갈라지며 그 틈에서 까락이 자라 뒤로 젖혀진다. 열매는 영과로서 7월에 누렇게 익는다.
개보리는 목초로 이용되며, 방목지에 알맞은 식물로서 콩과 목초와 섞어 심을 수 있고 엔실리지(매장사료)용으로도 적당하다.
3. 특징
4. 이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