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라시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라시아는 유럽과 아시아를 합쳐 부르는 명칭으로, 북반구와 동반구에 걸쳐 있으며 세계 육지 면적의 약 36.2%를 차지하는 가장 큰 대륙이다. 지리적으로는 다양한 기후와 지형을 보이며, 역사적으로는 고대 문명의 발상지이자 대항해 시대 이후 여러 제국주의 세력의 각축장이었다. 현재는 유라시아 경제 연합, 상하이 협력 기구 등 다양한 정치·경제 기구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라시아 - 유라시아판
    유라시아판은 유라시아 대륙 대부분을 포함하는 거대한 판으로, 주변의 여러 판들과 다양한 경계를 이루며 특히 인도판과의 충돌로 히말라야 산맥이 형성되었다.
  • 유라시아 - 유라시아 스텝
    유라시아 스텝은 루마니아에서 만주에 이르는 8,000km의 광대한 초원 지대로,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이자 기마 유목 민족의 활동 무대였으며, 여러 민족의 이동과 교류의 통로이자 실크로드와 같은 무역로를 통해 주변 지역과 연결되었고, 다양한 종교와 독특한 문화를 형성했으며 러시아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대륙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 대륙 - 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는 아메리카 대륙의 북쪽 부분으로, 다양한 지형과 기후, 원주민 문명의 번영, 유럽 열강의 식민지배를 거쳐 현재는 미국, 캐나다, 멕시코를 중심으로 강력한 경제권을 형성하고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대륙 또는 아대륙이다.
  • 지리에 관한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지리에 관한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유라시아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대륙유라시아
면적55,000,000 km²
인구54억 명 (2023년 기준)
인구 밀도93 /km²
데모님유라시아인
국가 수~93개국
속령9개 속령
시간대UTC−1 ~ UTC+12
일부아프로-유라시아
명칭
라틴어Eurasia
영어Eurasia
로마자 표기Yureasia
개요
설명유럽과 아시아의 합쳐진 대륙.

2. 지리

유라시아는 주로 북반구와 동반구에 걸쳐 있으며, 서쪽으로는 아이슬란드와 이베리아 반도에서부터 동쪽으로는 러시아 극동까지, 북쪽으로는 러시아 극북에서부터 남쪽으로는 마리타임 동남아시아까지 뻗어 있다. 유라시아의 남쪽 경계를 베버선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유라시아는 남서쪽으로 아프리카, 서쪽으로 대서양, 북쪽으로 북극해, 동쪽으로 태평양, 남쪽으로 인도양-지중해에 접해 있다. 유럽과 아시아를 두 개의 대륙으로 나누는 것은 역사적, 사회적 구성물이며, 두 지역 모두 일반적인 대륙의 정의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유라시아를 가장 큰 대륙으로 인식한다.[4]

유라시아 면적은 약 55e6km2이며, 지구 전체 육지 면적의 약 36.2%에 해당한다. 이곳에는 50억 명이 넘는 인구가 살고 있으며, 이는 세계 인구의 약 70%에 해당한다. 인류는 12만 5천 년 전 아프리카에서 유라시아로 처음 이주했다.

아시아의 지형도


그리스인들은 유럽(에우로파에서 유래)과 아시아(아시아에서 유래)를 별개의 "대륙"으로 분류했다.[26] 두 지역 사이의 경계를 어디에 그을 것인가는 여전히 논의의 대상이다. 쿠마-마뉠 저지대 또는 카프카스 산맥이 남동쪽 경계를 형성하는지 여부가 논란인데, 후자의 경우 엘브루스 산이 유럽의 일부가 되어 유럽에서 가장 높은 산이 된다. 18세기에 필립 요한 폰 슈트랄렌베르크가 정의한 경계( 에게해, 다르다넬스 해협, 마르마라 해, 보스포루스 해협, 흑해, 쿠마-마뉠 저지대, 카스피해, 우랄 강, 우랄 산맥)가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할포드 매킨더와 같은 현대 분석 지리학자들은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27]

자연지리적으로 유럽과 아시아를 나누는 특별한 이유는 없다.[42] 자연지리학적으로 유럽은 유라시아의 서쪽 끝 반도 형태의 육괴일 뿐이며, 면적의 대부분은 아시아이다. 문화적 관점에서는 전통적으로 아시아와 유럽으로 나뉜다.

300px


'''유라시아 대륙'''은 유럽아시아를 합친 대륙으로, 6대륙 중 가장 크다. 유라시아는 유로(Euro) + 아시아(Asia)라는 혼성어에서 알 수 있듯이, 유럽과 아시아를 합친 지형적으로 독립된 지역을 가리킨다.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인의 지리적 지식은 지중해 연안에 한정되어, 북쪽 해안이 유럽, 남쪽 해안이 아프리카, 동쪽 해안이 아시아로 정의되었다. 하지만 이후 지리적 지식이 확대됨에 따라 유럽과 아시아의 지리적 경계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래서 현재는 지리적으로 양쪽을 하나로 보아 유라시아 대륙으로 취급한다.

오늘날에도 아시아와 유럽의 구별은 존재하지만, 그 경계는 인위적인 것이므로 명확하지 않다. 우랄 산맥, 카스피해, 대카프카스 산맥, 흑해 등을 경계로 하는 설이 주류이다. 유라시아의 유럽 부분은 유럽 대륙, 아시아 부분은 아시아 대륙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아시아 대륙 중에서 홍콩·마카오를 제외한 중화인민공화국이 실효 지배하는 지역은 중국 대륙이라고도 불린다.

아프리카수에즈 지협이라는 명확한 경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수에즈 지협 이남은 아프리카 대륙, 이북은 유라시아 대륙으로 지리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된다. 하지만, 양쪽은 육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합쳐 아프로-유라시아 대륙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몽골 고원에서 흑해 북쪽 해안의 킵차크 초원에 이르는 지역을 중앙 유라시아라고 부른다. 유목민의 여러 국가와 정주민의 여러 국가가 중앙 유라시아를 둘러싸고 흥망했다. 또한, 중앙 유라시아는 동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을 잇는 육상 교역로의 결절 지대이며, 경제·문화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지역이기도 하다. 그 교역로를 실크로드라고 부른다.

N60-90, E0-30
N60-90, E30-60
N60-90, E60-90
N60-90, E90-120
N60-90, E120-150
N60-90, E150-180
N60-90, W150-180
N30-60, W0-30
N30-60, E0-30
N30-60, E30-60
N30-60, E60-90
N30-60, E90-120
N30-60, E120-150
N30-60, E150-180
N0-60, E30-60
N0-60, E60-90
N0-60, E90-120
N0-60, E120-150
경도·위도 30도 간격의 지형도에 따른 유라시아 대륙의 위치


2. 1. 지질

유라시아는 지질학적으로 하나의 거대한 지괴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이에 대한 논쟁도 있다.[9][10] 유라시아는 약 3억 7,500만 년에서 3억 2,500만 년 전 사이에 시베리아, 카자흐스탄, 발티카가 합쳐지고, 이것이 로렌시아(현재의 북아메리카)와 합쳐져 유라메리카를 형성하면서 만들어졌다.

2. 2. 주요 지형

유라시아에는 아라비아 반도, 한반도, 인도 아대륙, 아나톨리아 반도, 캄차카 반도를 포함한 많은 반도가 있다. 유럽 자체도 이탈리아 반도나 이베리아 반도와 같은 반도를 포함하고 있다.

국가길이 (km)길이 (mi)
양쯔강(长江) [11]중국63003915
황하(黄河) [11]중국54643395
메콩강 [11]중국,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49093050
레나 강(Лена) [12]러시아42942668
이르티시 강(Иртыш) [13]몽골, 중국, 카자흐스탄, 러시아42482640
브라마푸트라 강(ब्रह्मपुत्र) [11]중국, 인도, 방글라데시39692466
오브 강(Обь) [14]러시아37002299
볼가 강(Во́лга)러시아35312194
예니세이 강(Енисей) [15]몽골, 러시아34872167
인더스 강(सिन्धु/Síndhu/سندھ/سند/سنڌوءَ) [11]중국, 인도, 파키스탄31501957



지구상에서 가장 높은 산 100개는 모두 유라시아 대륙에 있으며, 히말라야 산맥, 카라코람 산맥, 힌두쿠시 산맥, 파미르 산맥, 헝두안 산맥, 톈산 산맥에 분포한다. 7,000미터가 넘는 봉우리는 모두 이러한 산맥과 트랜스히말라야 산맥에 있다. 다른 높은 산맥으로는 쿤룬 산맥, 힌두라지 산맥, 카프카스 산맥이 있다. 알프스-히말라야 지질대는 해양 동남아시아의 자바섬에서 서유럽의 이베리아 반도까지 유라시아 남부를 가로질러 15,000km에 걸쳐 뻗어 있으며, 히말라야, 카라코람, 힌두쿠시, 엘브르즈 산맥, 카프카스, 알프스 산맥 등의 산맥을 포함한다. 알프스-히말라야 지질대 외부의 긴 산맥으로는 동시베리아 산맥, 알타이 산맥, 스칸디나비아 산맥, 친링 산맥, 서고츠 산맥, 빈디야 산맥, 비랑가 산맥, 아나미트 산맥 등이 있다.

면적 기준 유라시아 최대 섬은 보르네오섬, 수마트라섬, 혼슈, 그레이트브리튼섬, 술라웨시섬, 자바섬, 루손섬, 아이슬란드, 민다나오섬, 아일랜드섬, 홋카이도, 사할린, 스리랑카이다.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5개의 섬은 자바, 혼슈, 그레이트브리튼섬, 루손, 수마트라이다. 인구가 많은 다른 유라시아 섬으로는 민다나오, 타이완섬, 살세트섬, 보르네오, 스리랑카, 술라웨시, 규슈, 하이난섬이 있다. 유라시아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섬은 카우비안 가마이섬, 압레이차우, 나보타스섬이다. 북극해에는 세베르니섬, 노르다우스트란데트, 10월 혁명 섬, 볼셰비키섬이 유라시아에서 가장 큰 무인도이며, 코텔니섬, 알렉산드라 랜드, 스피츠베르겐섬은 인구 밀도가 가장 낮다.


  • 체류스킨 곶 - 러시아에 위치. 유라시아 대륙 최북단.
  • 데즈네프 곶 - 러시아에 위치. 유라시아 대륙 최동단.
  • 로카 곶 - 포르투갈에 위치. 유라시아 대륙 최서단.
  • 피아이 곶 - 말레이시아에 위치. 유라시아 대륙 최남단.

2. 3. 기후

유라시아는 광대한 크기와 위도 차이로 인해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른 모든 유형의 기후를 보여준다. 여기에는 가장 혹독한 극한의 고온과 저온, 높고 낮은 강수량, 그리고 다양한 유형의 생태계가 포함된다.[4]

3. 역사

유라시아는 메소포타미아, 인더스 문명, 중국을 중심으로 한 많은 고대 문명의 발상지였다. 기원전 1천년기 중반에는 대서양에서 태평양까지 유라시아 아열대 지방을 가로지르는 연속적인 문명대가 형성되었으며, 이 지역은 2천 년 동안 세계사의 주류를 이루었다.

몽골 고원에서 흑해 북쪽 해안의 킵차크 초원에 이르는 지역은 중앙 유라시아라고 불린다. 유목민과 정주민의 여러 국가가 중앙 유라시아를 둘러싸고 흥망성쇠를 거듭했다. 또한, 중앙 유라시아는 동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을 잇는 육상 교역로의 결절 지대로, 실크로드를 통해 경제·문화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유라시아라는 개념과 용어는 아시아와 유럽이 흑해 건너편에서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이 명확해진 이후에 생겨났지만, 그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할포드 맥킨더는 저서 『민주주의의 이상과 현실』에서 "유라시아의 하트랜드"와 "유라시아의 림랜드"를 언급하며 유라시아라는 용어를 널리 알렸다.[43]

3. 1. 대항해 시대와 제국주의

대항해 시대부터 유라시아 여러 지역을 연결하는 새로운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490년대 이베리아인들이 새로운 해상 루트를 발견했고,[16] 1869년 수에즈 운하가 완공되면서 인도-지중해를 통과하는 직항로가 열렸다. 이는 20세기 중반까지 아프리카와 아시아를 지배했던 서유럽의 "신제국주의" 물결로 이어졌다.[17] 그 후 소비에트 연방을 중심으로 한 유라시아의 공산주의 세력이 1991년 냉전 종식까지 대륙의 상당 부분을 지배했다.[18]

3. 2. 냉전과 탈냉전

대항해 시대부터 유라시아 여러 지역 간 새로운 연결 고리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1490년대 이베리아인들이 새로운 해상 루트를 발견했고,[16] 1869년 수에즈 운하가 완공되면서 인도-지중해를 통과하는 직항로가 열렸다. 20세기 중반까지 서유럽의 "신제국주의" 물결이 아프리카와 아시아를 지배했다.[17] 그 후 소비에트 연방을 중심으로 한 유라시아의 공산주의 세력이 1991년 냉전 종식까지 대륙의 상당 부분을 지배했다.[18]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 구 소련 국가들이 자신들의 지역을 유라시아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유라시아 연합의 제안자이자 유라시아주의를 신봉하는 카자흐스탄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는 열성적이었다. L. N. Gumilyov Eurasian National University영어[46], 유라시아 미디어 포럼[47], Eurasian Development Bank영어[48] 등을 설립했으며,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유라시아 경제 연합의 창설 조약은 모두 카자흐스탄에서 체결되었고, 그 공헌으로 나자르바예프는 최고 유라시아 경제 평의회(유라시아 경제 연합의 최고 의사결정 기관) 명예 의장에도 임명되었다.[49]

4. 지역 구분

유라시아는 지구에서 가장 큰 대륙으로, 면적은 약 5,492만 9,000km²이다. 이는 지구 육지 면적(남극 대륙 포함)의 40.4%, 전체 표면적의 10.8%에 해당한다.[45] 2006년 기준으로 인구는 47억 1,500만 명으로, 지구 총인구의 72%를 차지한다.[45]

유라시아 대륙은 보르네오섬, 수마트라섬, 혼슈, 브리튼섬, 술라웨시섬, 자바섬, 루손섬, 민다나오섬, 홋카이도, 사할린, 규슈, 타이완섬, 하이난섬 등 여러 섬을 포함한다.

대부분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쪽은 북극해, 남쪽은 인도양, 서쪽은 대서양, 동쪽은 태평양과 접한다. 수에즈 지협을 통해 아프리카와 연결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인공적인 수에즈 운하로 분리되어 있다.

자연지리적으로 유럽아시아를 나누는 명확한 기준은 없다.[42] 유럽은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 끝에 위치한 반도 형태의 육괴일 뿐이며, 면적의 대부분은 아시아에 속한다. 하지만 문화적인 관점에서는 전통적으로 아시아와 유럽으로 구분된다. 우랄 산맥, 카스피해, 대카프카스 산맥, 흑해 등이 경계로 제시되기도 하지만, 이는 인위적인 경계이므로 명확하지 않다. 유라시아의 유럽 부분은 유럽 대륙, 아시아 부분은 아시아 대륙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아시아 대륙 중에서 홍콩·마카오를 제외한 중화인민공화국이 실효 지배하는 지역은 중국 대륙이라고도 불린다.

아프리카수에즈 지협이라는 명확한 경계가 있어, 수에즈 지협 이남은 아프리카 대륙, 이북은 유라시아 대륙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두 대륙이 육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아프로-유라시아 대륙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앙 유라시아는 몽골 고원에서 흑해 북쪽 해안의 킵차크 초원에 이르는 지역을 말하며, 유목민과 정주민 국가들이 흥망성쇠를 겪었던 곳이다. 또한 동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을 잇는 육상 교역로가 발달하여 경제, 문화 교류가 활발했던 곳으로, 이 교역로를 실크로드라고 부른다.

경도·위도 30도 간격의 지형도에 따른 유라시아 대륙의 위치



4. 1. 중앙 유라시아

몽골 고원에서 흑해 북쪽 해안의 킵차크 초원에 이르는 지역을 중앙 유라시아라고 부른다.[28] 중앙 유라시아는 유목민의 여러 국가와 정주민의 여러 국가가 흥망을 거듭했던 곳이다. 또한, 동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유럽을 잇는 육상 교역로의 결절 지대로, 경제·문화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지역이기도 하다. 이 교역로를 실크로드라고 부른다.

5. 정치 및 경제

유라시아 전역에는 유라시아 경제 연합, 유럽 단일 시장, 아세안 경제 공동체, 걸프 협력회의 등 여러 단일 시장이 등장했다. 유라시아 전역의 통합을 증진하려는 여러 국제기구와 계획도 있다.

5. 1. 지역 기구 및 협력체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파트너


1996년부터 2년마다 아시아와 유럽 대부분의 국가들이 참여하는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가 개최된다.

  • 독립국가연합(CIS)은 소비에트 연방 해체 이후 형성된 유라시아 지역의 10개 전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구성된 정치·경제 협의체이다. 인구는 약 2억 3,979만 6,010명으로 추산된다. CIS는 경제, 정치, 군사 분야의 협력을 장려하며 무역, 금융, 입법 및 안보를 조정하는 특정 권한을 가지고 있다. CIS 회원국 6개국은 1992년에 설립된 정부 간 군사 동맹인 집단안보조약기구에 가입했다.


유라시아 경제 연합 회원국(녹색), 옵서버 국가(연두색), 기타 후보국(파란색)


유라시아 증권거래소 연합(FEAS)은 예레반에 본부를 둔 국제 기구로, 동유럽, 중동 및 중앙아시아의 주요 증권거래소들을 회원으로 포함하고 있다. 연합의 목적은 유라시아 지역의 자본 시장 협력, 개발, 지원 및 홍보에 기여하는 것이다.

리스본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의 지역 (모든 유럽 및 CIS 국가 포함)


러시아-유럽 연합 관계의 일환인 러시아-EU 4대 공동 공간 구상은 러시아와 EU의 통합 강화, 무역 및 투자 장벽 제거, 개혁 및 경쟁력 증진을 목표로 하는 양측 간의 합의였다. 2010년 러시아 총리 블라디미르 푸틴리스본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 이어지는 공동 경제 공간, 자유 무역 지역 또는 더욱 진전된 경제 통합을 촉구했다. 그러나 2014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EU 관계가 악화되면서 상당한 진전은 없었고, 이 프로젝트는 중단되었다.

  • 상하이 협력 기구(SCO)는 유라시아의 정치·경제·안보 동맹으로, 2001년 6월 15일 중국 상하이에서 창설이 발표되었다. 지리적 범위와 인구 규모 면에서 세계에서 가장 큰 지역 기구이며, 유라시아 대륙의 3분의 5와 세계 인구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

6. 유라시아주의

"유라시아"는 원래 지리적 개념으로, 유럽과 아시아를 합친 가장 큰 대륙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정학적으로는 특정한 이해관계를 반영하여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진다.[19] 즈비그뉴 브제진스키는 유라시아를 지배하는 국가가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지역 중 두 곳을 통제하게 될 것이며, 세계 인구의 약 75%와 물리적 부의 대부분이 유라시아에 있다고 언급했다.[20]

러시아의 "유라시아주의"는 처음에는 1914년 러시아 제국의 영토와 동유럽 일부를 포함한 지역과 거의 일치했다.[21] 러시아는 자신이 "유라시아"의 일부로 간주하는 국가들과의 긴밀한 통합을 주요 지정학적 이해관계 중 하나로 여긴다.[22]

"유라시아"라는 용어는 조지 오웰[24]의 소설 1984에서 세 초강대국 중 하나로 등장하며 지정학적 명성을 얻었다.[23]

유럽과 포스트소비에트 국가의 단일시장; 유럽경제영역과 공동경제공간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of Europe (2023) - Worldometers https://www.worldome[...] 2023-01-01
[2] 웹사이트 Population of Asia (2023) - Worldometers https://www.worldome[...] 2023-01-09
[3] 웹사이트 Continental Divide http://www.geolsoc.o[...] 2012-08-08
[4] 웹사이트 How many continents are there?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7-07-27
[5] 서적 Early Modern Europe, 1450–178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8-05
[6] 서적 'continents' – ''Encyclopedia of World Geography, Volume 1'' https://books.google[...] Golson Books Ltd. 2012-06-26
[7] 웹사이트 Pangaea Supercontinent http://geology.com/a[...] Geology.com 2011-02-19
[8] 서적 Heartlands of Eurasia: The Geopolitics of Political Space Lexington Books 2009
[9] 논문 Siberian paleomagnetic data and the problem of rigidity of the Northern Eurasian continent in the post-Paleozoic https://link.springe[...] 2012-10-09
[10] 논문 Magnetic inclination shallowing problem and the issue of Eurasia's rigidity: insights following a palaeomagnetic study of upper Cretaceous basalts and redbeds from SE China https://academic.oup[...] 2013-07-13
[11] 웹사이트 Longest Rivers in Asia https://world-meters[...] 2023-11-15
[12] 웹사이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водный реестр: река Лена http://textual.ru/gv[...] 2023-01-13
[13] 웹사이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водный реестр: река ИРТЫШ http://textual.ru/gv[...] 2023-01-13
[14] 웹사이트 Обь (река) https://ru.wikipedia[...]
[15] 웹사이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водный реестр: река ЕНИСЕЙ http://textual.ru/gv[...] 2023-01-13
[16] 웹사이트 Vasco da Gama, Portugal's Columbus, Is Just as Controversial https://history.hows[...] 2024-11-12
[17] 웹사이트 Behind the Enduring Relevance of the Suez Canal Is the Long Shadow of European Colonialism https://thewire.in/h[...] 2024-10-04
[18] 논문 Nationalism and the Collapse of Soviet Communism https://www.cambridg[...] 2009
[19] 웹사이트 The Concept of Eurasia http://commentandout[...] Comment and Outlook 2014-06-06
[20] 서적 The grand chessboard : American primacy and its geostrategic imperatives https://archive.org/[...] Basic Books 1997
[21] 서적 Geopolitika : [učebnik] Edinstvo 2004
[22] 웹사이트 The Concept of Eurasia http://commentandout[...] Commentary and Outlook 2014-06-06
[23] 서적 The changing nature of geostrategy, 1900-2000: the evolution of a new paradigm https://apps.dtic.mi[...] Air University Press. Air Force Research Institute 2019-03-08
[24] 웹사이트 The Maps are Too Small: Geography, Strategy and the National Interest https://www.gov.uk/g[...] Government Digital Service 2019-03-08
[25] 논문 Art, Geopolitics and Metapolitics at Tate Galleries London http://discovery.ucl[...] 2019-03-03
[26] 서적 Early Modern Europe, 1450–178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8-05
[27] 서적 Europe: A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8-23
[28] 논문 Is Putin Pursuing a Policy of Eurasianism? 2005
[29] 웹사이트 L. N. Gumilyov Eurasian National University http://www.emu.kz/ Emu.kz 2010-08-07
[30] 웹사이트 The Eurasian Media Forum http://www.eamedia.o[...] Eamedia.org 2010-08-07
[31] 웹사이트 Eurasian Development Bank http://www.eabr.org/[...] Eabr.org 2010-08-07
[32] 웹사이트 Eurasian Bank http://www.eurasian-[...] Eurasian-bank.kz 2010-08-07
[33] 뉴스 Canal will link Caspian Sea to world http://www.timesonli[...] The Times 2007-06-29
[34] 웹사이트 Eurasianet http://www.eurasiane[...] 2017-03-13
[35] 웹사이트 Journal of Eurasian Studies https://www.journals[...] Elsevier 2017-03-13
[36] 웹사이트 About ASEEES http://aseees.org/ab[...] 2017-03-13
[37] 웹사이트 Slavic and Eurasian Studies https://gradschool.d[...] 2017-03-13
[38] 웹사이트 Russian and Eurasian Studies http://russianstudie[...] 2017-03-13
[39] 웹사이트 Department of Slavic and Eurasian Studies https://liberalarts.[...] 2017-03-13
[40] 웹사이트 Center for Russian, East European and Eurasian Studies https://creees.stanf[...] 2017-03-13
[41] 웹사이트 Institute of Slavic, East European and Eurasian Studies http://iseees.berkel[...] 2017-03-13
[42] 서적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小学館
[43] 서적 地域統合の現在と未来 日本国際問題研究所 2013-03
[44] 백과사전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平凡社
[45] 웹사이트 Demographic Yearbook 2006 http://unstats.un.or[...] 국제연합
[46] 웹사이트 About University http://www.enu.kz/en[...] 2019-06-09
[47] 웹사이트 The Eurasian Media Forum http://www.eamedia.o[...] Eamedia.org
[48] 웹사이트 Eurasian Development Bank https://web.archive.[...] Eabr.org
[49] 웹사이트 Nazarbayev commended as honorary chairman of Supreme Eurasian Economic Council http://www.xinhuanet[...] 新華社 2019-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