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는 1902년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철학, 경제학, 사회학을 공부하고 비잔티움 역사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브레슬라우 대학교에서 강사로 활동하다가 1933년 베오그라드 대학교 교수로 초빙되어 비잔틴 농민, 신학, 제국 이념 등을 연구했다. 오스트로고르스키는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회원 및 비잔틴학 연구소 초대 소장을 역임했으며, 베오그라드 연구소를 비잔틴학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1940년 출간된 그의 저서 《비잔틴 제국사》는 비잔티움 제국 연구의 고전으로 평가받으며, 1976년 베오그라드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고슬라비아의 역사가 - 바소 추브릴로비치
바소 추브릴로비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세르비아 역사가로, 사라예보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조언자 역할을 하였고, 유고슬라비아 정부 각료를 역임하며 발칸 반도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 세르비아의 역사가 - 바소 추브릴로비치
바소 추브릴로비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세르비아 역사가로, 사라예보 사건에 연루되어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조언자 역할을 하였고, 유고슬라비아 정부 각료를 역임하며 발칸 반도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 러시아계 세르비아인 -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
파블레 카라조르제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왕족이자 정치인으로, 알렉산다르 1세 사후 페타르 2세가 성년이 될 때까지 섭정으로 통치하며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유고슬라비아 외교 정책 결정에 관여, 삼국 동맹 조약 가입을 추진하다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 러시아계 세르비아인 - 빅토르 트로이츠키
세르비아 출신 은퇴한 프로 테니스 선수 빅토르 트로이츠키는 ATP 투어 단식 3회, 복식 2회 우승, 2010년 데이비스 컵 우승을 기록했으며, 윔블던 복식 준우승과 도핑 규정 위반으로 출전 정지 징계를 받기도 했다.
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 | |
---|---|
기본 정보 | |
![]() | |
인적 사항 | |
이름 | 게오르기예 알렉산드로비치 오스트로고르스키 |
원어 이름 | Георг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Острогорский (러시아어) Georg Ostrogorsky (독일어) Георгије Александрович Острогорски (세르비아어) |
출생 | 1902년 1월 19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
사망 | 1976년 10월 24일 |
사망지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베오그라드 |
배우자 | 파눌라 파파조글루 |
학력 | |
출신 대학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경력 | |
직장 | 베오그라드 대학교 브로츠와프 대학교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
지도교수 | 카를 야스퍼스 하인리히 리케르트 알프레트 베버 루트비히 쿠르티우스 페르시 에른스트 슈람 |
학문 분야 | 비잔틴 연구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10세기 비잔틴 제국의 농촌 세금 공동체 |
박사 학위 논문 발표 년도 | 1921년 |
박사 학위 논문 URL | 10세기 비잔틴 제국의 농촌 세금 공동체 |
2. 생애 및 학문 활동
1902년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러시아 혁명으로 인해 가족과 함께 독일로 이주하여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와 파리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1928년 브레슬라우 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1933년 베오그라드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0년 초판을 발간한 『비잔티움 제국사』는 동로마 문화와 정교회 등을 다룬 명저로 평가받으며, 현재까지 동로마 제국 입문서로 꼽힌다.
1948년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학사원 비잔틴 연구소 초대 소장을 맡았고, 여러 국제 학술 단체의 회원으로 활동하며 동로마 학계의 발전에 기여했다. 1976년 베오그라드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러시아 시기)
1902년 러시아 제국의 수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중등학교 교장이자 교육학 저술가인 아버지 밑에서 태어났다.[1]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고전 김나지움에서 중등 교육을 받았으며, 어린 나이에 그리스어를 습득했다.[1] 러시아 혁명 (1917년)의 혼란을 피해 가족과 함께 독일로 이주했다.2. 2. 학문 연구와 교수 활동 (독일, 프랑스, 유고슬라비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1921년)에서 철학, 경제학, 사회학을 공부하고, 고전 고고학 수업을 들으며 카를 야스퍼스, 하인리히 리케르트, 알프레트 베버, 루드비히 쿠르티우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1] 페르시 에른스트 슈람의 영향으로 역사, 특히 비잔티움 역사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1] 1924년부터 1925년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비잔티움학의 여러 측면을 연구했다.[2] 1927년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10세기의 비잔틴 제국의 농촌 조세 공동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2] 1928년 독일 브레슬라우에서 사강사로 비잔티움학을 가르치기 시작했다.[1] 1933년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 대학교 철학부 비잔티움학 교수로 초빙되어 이주했다.[1] 베오그라드 대학교에서 40년간 비잔티움학을 가르치며 후학 양성에 힘썼으며, 1973년 은퇴 후 보지다르 페르얀치치에게 교수직을 물려주었다.2. 3. 주요 연구 분야 및 업적
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는 비잔틴 농민, 비잔틴 신학 및 제국 이념, 특히 발칸 지역에서의 비잔틴-슬라브 관계에 초점을 맞춰 경제, 사회, 제도적 역사 등 세 가지 주요 연구 분야에 관심을 가졌다.[2]1946년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의 통신 회원이 되었고, 2년 후 정회원이 되었다.[1] 1948년에는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내에 비잔틴학 연구소를 설립하고 초대 소장을 맡아 사망할 때까지 그 직을 유지했다.[2] 그는 비잔틴학 연구소 기관지인 《비잔틴학 연구소 연구집(Zbornik radova Vizantološkog instituta)》의 편집장을 1975년까지 맡았으며, 자신의 연구인 《프로니아》(1951)와 유고슬라비아 민족사 연구를 위한 비잔틴 자료집 등 연구소의 단행본 시리즈를 감독했다. 베오그라드 연구소를 뮌헨, 파리, 덤바턴 오크스와 함께 비잔틴학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그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표준 교재인 ''비잔틴 제국사''(Geschichte des byzantinischen Staatesde)로, 독일어판(1940, 1952, 1963) 3판과 영어판(1판 1956년 영국, 1957년 미국, 2판 1968년 영국, 1969년 미국) 2판을 거쳤으며, 10개 이상의 다른 언어로 번역되었다.[2] 역사뿐만 아니라 동로마 문화와 제국의 종교였던 정교회 등을 풍부한 사료와 문헌을 활용하면서도 간결하게 정리한 고전 명저로 평가받아, 여러 유럽 및 미국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현재에도 그의 『비잔티움 제국사』는 동로마 제국에 대해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가장 기본적인 전문 서적 중 하나로 꼽힌다.
3. 《비잔틴 제국사》와 그 영향
게오르크 오스트로고르스키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표준 교재인 ''비잔틴 제국사''( Geschichte des byzantinischen Staatesde)이다.[2] 1940년 독일어로 초판이 출간되었으며, 역사뿐만 아니라 비잔틴 문화와 제국의 종교였던 정교회 등을 풍부한 사료와 문헌을 활용하면서도 간결하게 정리해 고전 명저로 평가받는다.[2]
독일어판(1940, 1952, 1963) 3판과 영어판(1956년 영국, 1957년 미국, 1968년 영국, 1969년 미국) 2판을 거쳤으며, 10개 이상의 다른 언어로 번역되었다.[2] 현재에도 그의 ''비잔틴 제국사''는 비잔티움 제국에 대해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가장 기본적인 전문 서적 중 하나로 꼽힌다. 일본어판은 와다 히로시 번역으로 2001년에 코분샤에서 출판되었다.
4. 기타 저서
- Studien zu Geschichte des byzantinischen Bilderstreites|성상 파괴 운동사 연구de (1929)
- Pour I'histoire de la fèodalitè byzantine|비잔틴 봉건제fra (1954)
5. 평가 및 유산
오스트로고르스키는 미국이나 소련 등 다른 국가의 연구 센터에서 거주하라는 제안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마지막까지 베오그라드에 충실했다.[2] 그는 유고슬라비아 비잔티움학자들의 새로운 세대를 양성했고, 자신의 개인적인 연구를 통해 유고슬라비아 역사가들의 지평을 넓혔으며, 세계 학계와의 긴밀한 관계를 제공했다.[2] 그의 지도 아래 베오그라드 연구소는 뮌헨, 파리, 덤바턴 오크스와 함께 비잔티움학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 중심지가 되었다. 세계 비잔티움 학계의 중진 지도자로서 활약했다.[2] 1976년 베오그라드에서 사망했다.
참조
[1]
서적
Medieval Scholarship: Biographical Studies on the Formation of a Discipline: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2]
서적
Encyclopedia of Historians and Historical Writing, Volume 1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9
[3]
문서
なお、名前は「ゲオルク (曖昧さ回避)|ゲオルグ」と読まれる場合もあり、またもともとロシア生まれであるため、誕生時の名前はロシア語のГеорг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Острогорский('''ゲオルギー・アレクサンドロヴィチ・オストロゴルスキー''')であったが、ここでは主に彼がドイツで活躍したためドイツ語読みのゲオルク (曖昧さ回避)|ゲオルクを使用す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