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 (성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견(甄)과 견(堅)은 한국의 성씨이다. 견(甄)씨는 후백제를 세운 견훤을 시조로 하는 황간 견씨와 상주 견씨가 있으며, 2000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340가구, 1,141명이었다. 견(堅)씨는 고려 개국공신 견권을 시조로 하는 천녕 견씨 단일 본관이며, 2000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서 153가구, 519명이었다.
견(甄)씨는 후백제의 건국 군주인 견훤의 후손으로 전해진다. 견(甄)의 한문 발음은 질그릇 '견', 질그릇장인 '진' 두 가지이고, 병음은 전(Zhen)이다.[4] 따라서, 본래 진이었다가 견으로 변한 것이 아니라, 李를 두음법칙으로 이로 쓰는 것과 비슷하기 때문에 견과 진으로 발음할 수 있다.
견(堅)씨는 천녕을 단본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는 고려의 장군 견권이며, 선조는 전해지지 않는다. 견권은 고려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었고, 말갈족을 물리치는 등의 공을 세웠다.[3] 2000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153가구, 519명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2. 견(甄)씨
동사강목에서는 견훤 이름 앞 글자의 음이 '진'(眞)이라고 주장하며, 고대 한국에서는 甄(견)은 '견' 보다는 '진'으로 발음 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견(甄)은 질그릇 '견', 질그릇장인 '진' 두 가지 발음으로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다. 병음은 '전'(Zhen), '진'(Jian)인데, 중국에서 Jian로 발음되는 성씨는 Jin으로 발음되는 성씨와 혼용되는 사례가 있다.
견(甄)씨가 현재 별로 없기 때문에 견훤의 후손이 대부분 견씨를 유지하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2000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성씨를 가진 사람은 340가구에 총 1,141명이었다.[1]
2. 1. 황간 견씨 / 상주 견씨
후백제를 세운 견훤(甄萱, 867~938)은 상주 견씨의 시조 아자개(阿慈介)의 맏아들이다. 견훤은 원래 이씨(李氏)였는데 후에 견으로 성을 고쳤다고 한다.[4]
견훤은 자신의 후손이라고 주장한다. 견(甄)의 한문 발음은 질그릇 '''견''', 질그릇장인 '''진''' 두가지이고, 병음은 전(Zhen)이다. 따라서, 본래 진이었다가 견으로 변한 것이 아니라, 李를 두음법칙으로 이로 쓰는 것과 비슷하기 때문에 甄의 발음은 견과 진으로 발음할 수 있다.
견훤의 후손이 지었다는 이제가기(李啼家記)에서 견훤은 신라 진흥왕의 후손이라고 기록했다. 진흥왕의 후손 가운데 원선의 아들이 아자개라고 되어 있고, 삼국유사는 이러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동사강목에서는 진훤 이름 앞 글자의 음이 '''진'''(眞)이라고 주장과 함께 고대 한국에서는 甄(견)은 '''견''' 보다는 '''진'''으로 발음 되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견(甄)은 질그릇 '''견''', 질그릇장인 '''진''' 두가지 발음으로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다. 병음은 '''전'''(Zhen), '''진'''(Jian)인데, 중국에서 Jian로 발음되는 성씨는 Jin으로 발음되는 성씨와 혼용 사례가 있다.
견(甄)씨가 현재 별로 없기 때문에 견훤의 후손이 대부분 견씨을 유지하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견훤은 후백제의 건국 군주이다. 2000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견(甄)씨는 340가구에 총 1,141명이었다.[1]
2. 2. 전주 견씨
후백제의 건국 군주인 견훤의 후손이다. 2000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 성씨를 가진 사람은 340가구에 총 1,141명이었다.[1]
3. 견(堅)씨
3. 1. 천녕 견씨
견권을 시조로 하며 선조는 전해지지 않는다. 본관은 천녕 단본이다.
견권은 고려 개국공신 2등이 되었고, 말갈족을 물리치는 공을 세웠다. 견훤, 박술희와 함께 후백제 신검을 공격하여 멸망시켰다.[3] 2000년 대한민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천녕 견씨는 153가구, 519명이다.[1]
4. 주요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행정구역(구시군)/성씨·본관별 가구 및 인구
http://kosis.kr/stat[...]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5-10-23
[2]
서적
성씨 로마자 표기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http://korean.go.kr/[...]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15-10-22
[3]
웹인용
한국의 성(姓)씨 알아보기 4 - 천녕 견씨~태인·해주 경씨
https://www.jgynews.[...]
2018-11-16
[4]
문서
http://hanja.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