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자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자개는 신라 말기의 인물로, 처음에는 농업에 종사하다가 885년 사불성을 근거지로 군대를 일으켜 장군을 자칭했다. 918년 고려에 항복했으며, 《삼국유사》에는 진흥왕의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다.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의 아버지로, 상원부인과 남원부인 사이에서 5남 1녀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라의 장군 - 김흠순
김흠순은 신라의 왕족이자 장군으로, 김유신의 동생이며 황산벌 전투에서 아들의 죽음으로 신라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고구려 정벌에 참여하여 삼국 통일에 기여한 후 승상에 올랐으나 당나라에 억류되기도 했고, 그의 삶은 여러 작품에서 재조명되었다. - 신라의 장군 - 김무력
김무력은 가락국 구형왕의 아들이자 신라 장군으로, 신주 도독 재임 중 관산성 전투에서 백제 성왕을 전사시키는 공을 세워 신라의 삼국통일 기반 마련에 기여하고 신라 사회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 후삼국 시대의 호족 - 궁예
궁예는 신라 왕족의 서자로 추정되며 후삼국시대에 후고구려를 건국하고 태봉으로 국호를 변경한 인물이며, 말년에 폭정을 일삼다 신하들에게 축출되어 사망했다. - 후삼국 시대의 호족 - 태조 (고려)
고려의 초대 국왕인 태조 왕건은 후고구려 장군으로 군사적 공을 세운 후 신하들에 의해 고려를 건국, 후삼국 통일 전쟁을 통해 한반도를 통일하고 왕권 강화와 호족 통합에 힘썼으며 고구려 계승을 이념으로 북진 정책을 추진, 훈요십조를 남겼다.
아자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자개 |
다른 이름 | 이원선 |
로마자 표기 | Ajagae |
한자 표기 | 阿玆蓋, 阿慈介, 阿慈个, 阿字蓋 |
로마자 표기 (다른 이름) | Yi Won-seon |
한자 표기 (다른 이름) | 李元善 |
직업 | 군인 (지도자) |
활동 시기 | 미상 |
출생지 | 신라 사벌주 |
사망지 | 신라 연산성 |
사망 원인 | 미상 |
배우자 | 상원부인 남원부인 |
자녀 | 견훤 능애 용개 대주도금 보개 소개 |
부모 | 모: 왕교파리 부: 이작진 |
친척 | 진흥왕 (조상) |
한국어 이름 | |
한글 | 아자개 |
한자 | 阿慈介 |
로마자 표기 | Ajagae |
일본어 (가타카나) | アジェゲ |
왕족 정보 | |
원래 이름 | 阿慈介 阿慈个 阿字蓋 |
휘 | 이원선 |
다른 이름 | 김원선 |
작위 | 성주 |
직업 | 상주 성주 |
출생일 | 생년 미상 |
출생지 | 신라 사벌주 |
사망일 | 935년 음력 6월 |
사망지 | 신라 연산성 |
재위 | ~ 935년 음력 6월 |
작위 (사벌주) | 사벌주성 성주 |
재위 (사벌주) | ~ 918년 음력 7월 |
매장지 | 미상 |
자녀 | 견훤 능애 용개 대주도금 보개 소개 |
부친 | 각간 이작진 |
모친 | 왕교파리 |
형제자매 | 미상 |
전임자 | 이작진 |
후임자 | 견훤 |
묘호 | 미상 |
시호 | 미상 |
법명 | 미상 |
묘소 | 미상 |
능묘 | 미상 |
거주지 | 상주시 |
국적 | 상주시 |
성별 | 남성 |
가문 | 상주 |
왕조 | 후백제 |
종교 | 불교 |
호칭 | 성주 |
소속 | 상주 성주 |
2. 생애
《삼국유사》 권2 후백제 견훤조에 인용된 이제가기(李磾家記)에 따르면, 아자개(阿慈介)는 신라 진흥왕과 백숭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구륜공의 후손이라고 한다.
아자개는 신라 진흥왕의 후손이라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아자개는 처음에는 농업에 종사하였지만, 신라 하대의 혼란기에 전국 각지에서 농민을 포함한 지방 세력이 봉기하자, 885년(헌강왕 11년) 887년(진성여왕 1년)에 사불성(沙弗城, 지금의 경상북도 상주시)을 근거지로 군대를 일으켜 장군을 자칭하였다. 918년(태조 천수 1년) 7월에 마침내 고려에 항복하였으나, 고려사 태조 천수 원년 9월 갑오조에는 9월에 항복한 것으로 되어 있다.
국내가 혼란한 가운데, 상주(尙州) 가은현(加恩縣)의 농민 출신으로 885년 사벌성(沙弗城)을 근거지로 삼아 군대를 조직했다. 『삼국유사(三国遺事)』의 「이씨가전(李家伝)」에 따르면, “이원선(李元善)”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다. 918년 상주(尙州)의 적인 아자개(阿字蓋)라는 인물이 고려에 귀부했는데, 이가 동일인물인지는 불명확하다. 제24대 진흥왕(眞興王)의 자손이라는 전승도 있으나, 사칭으로 보인다.
충청남도(忠清南道) 논산시(論山市)에 묘소가 있다.
3. 가계
관계 이름 비고 고조부 진흥왕 신라 제24대 왕 고조모 백숭부인 부여씨 백제 성왕의 딸 증조부 김구륜 진흥왕과 백숭부인의 아들 조부 선품공 문무왕의 왕비 자의왕후의 부친 조모 보룡 12대 풍월주 보리공의 딸 부 김작진 각간 역임 모 왕교파리 3. 1. 처와 자녀
아자개는 상원부인(上院夫人)과 남원부인(南院夫人)을 처로 두었으며, 슬하에 5남 1녀를 두었다. 장남은 견훤이다. 삼국사기 견훤전에도 견훤의 아버지가 아자개로 기록되어 있다. 견훤이 892년 무진주를 기습하고 900년 (효공왕 4년) 완산주를 근거로 후백제를 세운 것과 달리, 아자개는 독자적인 행보를 보였다는 이유로, 견훤이 아자개의 아들이 아니며 두 사람은 출신만 같을 뿐 별개의 세력이라는 소수 견해도 있다.[1]
부인 | 자녀 |
---|---|
상원부인(上院夫人) | |
남원부인(南院夫人) |
4. 기타
5. 아자개가 등장한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네이트 한국학
http://koreandb.nate[...]
2010-09-13
[2]
서적
Samguk Yusa: Legends and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of Ancient Korea
Silk Pagoda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