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술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술희는 고려 초기의 무신으로, 후고구려 궁예의 부하에서 왕건을 섬기며 고려 건국에 기여했다. 그는 혜종 옹립을 지원하고 태조 왕건으로부터 훈요십조를 하사받았으나, 권력 투쟁에 휘말려 정종에 의해 유배된 후 암살당했다. 개국 일등 공신으로 태조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시호는 엄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면천 박씨 - 박은수 (1956년)
박은수(1956년)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자 정치인으로, 사법고시에 합격했으나 장애로 인해 법관 임용에서 탈락한 후 판사로 임용되어 변호사, 국회의원, 대구 볼런티어센터 소장,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이사장 등을 역임하며 장애인 지원 활동과 사회 참여 및 권익 신장을 위해 헌신하였다. - 태봉의 군인 - 태조 (고려)
고려의 초대 국왕인 태조 왕건은 후고구려 장군으로 군사적 공을 세운 후 신하들에 의해 고려를 건국, 후삼국 통일 전쟁을 통해 한반도를 통일하고 왕권 강화와 호족 통합에 힘썼으며 고구려 계승을 이념으로 북진 정책을 추진, 훈요십조를 남겼다. - 태봉의 군인 - 홍유
홍유는 고려 초기의 인물로, 궁예를 섬기다 고려 건국에 기여하여 개국 일등 공신으로 왕건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배현경 등과 함께 역성혁명을 모의하고 청주 호족의 반란을 진압하는 등 고려의 안정을 위해 활동했다. - 945년 사망 - 혜종 (고려)
혜종은 고려 태조 왕건의 장남이자 제2대 왕으로, 왕위 계승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박술희의 지지를 받아 즉위했으나, 측근 세력과 이복동생들의 왕위 위협 속에서 재위 2년 만에 사망했다. - 945년 사망 - 이고리 1세
10세기 전반 키예프 루스의 대공 이고리 1세는 류리크의 아들로 즉위 후 주변 부족 평정, 공납 부과, 페체네그족과의 충돌, 비잔티움 제국 원정을 수행했으나 드레블랴네족에게 살해당했다.
박술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정보 | |
한글 | 박술희 |
한자 | 朴述熙 |
한자 (다른 표기) | 朴述希 |
로마자 표기 | Bak Sulhui |
인물 정보 | |
출생 | 871년 |
출생지 | 혜성군 |
사망 | 945년 10월 24일 |
사망지 | 강화군 |
묘호 | 미상 |
시호 | 엄의(嚴毅)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박득의(朴得宜) |
어머니 | 미상 |
배우자 | 미상 |
자녀 | 박정원(朴精元) |
경력 | |
충성 | 고려 |
복무 | 고려군 |
재위 기간 1 | 901년 ~ 918년 |
재위 기간 2 | 918년 ~ 945년 |
주군 | 태조(太祖) |
기타 정보 | |
종교 | 불교 |
본관 | 면천 박씨 |
사당 | 미상 |
2. 생애
박술희는 충청도 당진시 출신으로, 후고구려의 궁예 밑에서 위사로 있었다. 이후 왕건의 부하가 되어 고려 건국 초기에 많은 공을 세웠다. 혜종 옹립에도 힘썼으며, 태조 왕건은 박술희에게 "훈요십조"를 내려 혜종을 보좌하도록 명했다.[6]
935년, 견훤을 탈출시키기 위한 작전의 일환으로 보이는 나주 탈환 작전에 홍유와 함께 지원하였으나, 백성의 마음을 얻기 힘들다는 이유로 왕건은 이들 대신 유금필을 파견하였다.[5]
태조 사후 혜종 즉위 후, 왕규의 난 등 호족 세력과 왕권 사이에 얽힌 복잡한 권력 다툼이 발생했다. 이복동생인 정종과 광종은 외할아버지의 세력인 충주 호족 세력과 왕식렴을 중심으로 한 서경 세력의 지원을 받아 강력한 세력을 갖고 있었고, 외척 왕규도 왕위를 노렸다.[2]
태조가 아니면 유지되기 힘들었던 고려 초기의 불안한 정치 상황에서, 박술희는 권력 투쟁 과정에서 정종과 그를 지지하는 서경 세력에 의해 강화 갑곶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얼마 후 조정의 밀명을 받은 자객에 의해 살해당했다.[2] 정종이 박술희의 모반을 의심하여 강화 갑곶으로 유배 보냈지만, 박술희와 대립 관계에 있던 함규 (왕규)가 왕명을 위조하여 암살했다는 기록도 있다.[2]
홍유, 복지겸, 배현경, 신숭겸 등과 함께 개국 일등 공신에 꼽혀 태조의 묘정에 제사되었다. 시호는 엄의(嚴毅)이다.
2. 1. 가계 및 초기 활동
박술희는 혜성(현재의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출신 호족으로, 18세 때인 889년 궁예의 호위병이 되었다.[3] 이후 왕건의 휘하로 들어가 많은 공을 세워 두터운 신임을 얻고 대광(大匡)의 지위에 올랐다.[3]장화왕후는 왕건의 의중을 박술희에게 전달하여 왕건의 아들 왕무를 정윤(왕태자)으로 책봉하게 하였는데, 이는 박술희가 왕무의 후견인이 되었음을 보여준다.[3][4]
2. 2. 고려 건국과 혜종 옹립
충청남도 당진시 면천면 혜성(현재 지명)의 호족 출신으로, 18세(889년) 때 궁예의 호위병이 되었다. 이후 왕건의 휘하로 들어가 많은 공을 세워 두터운 신임을 얻어 대광(大匡)까지 올랐다.[3] 왕건의 아들 왕무를 정윤(왕태자)으로 책봉할 때, 장화왕후가 왕건의 의중을 박술희에게 전달하게 하여 왕무가 정윤이 되었다. 이로 보아 박술희는 왕무의 후견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3][4]935년, 견훤을 탈출시키기 위한 작전의 일환으로 보이는 나주 탈환 작전에 홍유와 함께 지원하였으나, 백성의 마음을 얻기 힘들다는 이유로 왕건은 이들 대신 유금필을 파견하였다.[5] 943년, 태조가 사망하기 직전 태조로부터 군국대사(軍國大事)를 부탁받고 훈요십조(訓要十條)를 전수받았으며,[6] 자신의 군사력을 바탕으로 혜종의 강력한 후원자가 되었다.
2. 3. 권력 투쟁과 죽음
혜종 즉위 후, 호족 세력과 왕권, 그리고 왕규의 난 사이에 얽힌 복잡한 권력 다툼은 군인이었던 박술희에게는 버거운 것이었다. 혜종의 세력 기반은 미약하였고, 이복동생인 정종과 광종은 외할아버지의 세력인 충주 호족 세력과 왕식렴을 중심으로 한 서경 세력의 지원을 받아 강력한 세력을 갖고 있었다. 여기에 외척 왕규도 왕위를 노렸다.[2]태조가 아니면 유지되기 힘들었던 고려 초기의 불안한 정치 상황에서, 박술희는 권력 투쟁 과정에서 정종과 그를 지지하는 서경 세력에 의해 강화 갑곶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얼마 후 조정의 밀명을 받은 자객에 의해 살해당했다.[2] 정종이 박술희의 모반을 의심하여 강화 갑곶으로 유배 보냈지만, 박술희와 대립 관계에 있던 함규 (왕규)가 왕명을 위조하여 암살했다는 기록도 있다.[2]
3. 사후
사후 태사 삼중대광(太師三重大匡)에 추증되었으며,[3] 혜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7] 시호는 엄의(嚴毅)이다. 홍유, 복지겸, 배현경, 신숭겸 등과 함께 개국 일등 공신으로 태조의 묘정에 제사되었다.
4. 평가
박술희는 고려 건국과 초기 왕조 안정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후고구려의 궁예 휘하에 있다가 왕건의 부하가 되어 고려 건국 초기에 많은 전공을 세웠다.[1] 혜종 옹립에도 힘썼으며, 태조 왕건은 박술희에게 훈요십조를 하사하고 혜종을 보좌하도록 명했다.[1]
홍유, 복지겸, 배현경, 신숭겸 등과 함께 고려 건국 일등 공신으로 꼽혀 태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1] 시호는 엄의(嚴毅)이다.[1]
하지만 정치적 역량 부족으로 권력 투쟁의 희생양이 되었다는 점에서 비극적인 인물로 여겨지기도 한다. 정종이 박술희의 모반을 의심하여 강화군 갑곶으로 유배를 보냈으나, 박술희와 대립 관계에 있던 함규(왕규)가 왕명을 위조하여 암살했다는 기록이 있다.[1]
5. 기타
《고려사》에는 박술희가 천성이 용감했으며, 육식을 좋아하여 땅강아지, 두꺼비, 개미 등도 먹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
5. 1. 가족 관계
《고려사》에 따르면, 아버지는 대승(大丞) 박득의(朴得宜)이며, 아들로는 박정원(朴精元)이 있다.[3]5. 2. 성격
《고려사》에는 박술희가 천성적으로 용감했으며, 육식을 좋아하여 땅강아지, 두꺼비, 개미 등도 먹었다고 기록되어 있다.[3]6. 등장 매체
참조
[1]
서적
고려사
[2]
서적
고려사절요 권2, 혜종 2년(945년) 9월 16일(기유)
[3]
서적
고려사 권92, 〈열전〉5, 박술희
[4]
서적
고려사 권88, 〈열전〉1, 장화왕후 오씨
[5]
서적
고려사 권92, 〈열전〉5, 유금필
[6]
서적
고려사 권2, 〈세가〉2, 태조 26년(943년) 4월
[7]
서적
고려사 권3, 〈세가〉3, 성종 13년(994년) 4월 23일(갑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