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비 푸차씨 (천명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비 푸차씨(천명제)는 누르하치의 후궁으로, 만주 문서에서 '재취 과부 복진'으로 불렸다. 그녀는 누르하치와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낳았으며, 사망 시기와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엇갈린다. 청사고에서는 천명 5년(1620년)에 사망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묘소는 허투아라에 안장되었다가 이후 청영릉, 복릉으로 이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푸차 할라 - 철민황귀비
철민황귀비는 건륭제의 황귀비로, 건륭제의 측실 시절 첫째 아들 영황을 낳았으며 사후 철비로 추증되었다가 황귀비로 재추증되어 철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푸차 할라 - 효현순황후
효현순황후는 건륭제의 황후로, 건륭제와 혼인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검소하고 덕망 있는 인물로 건륭제의 총애를 받았으나 남순 중 사망했다. - 1620년 사망 - 태창제
만력제의 장남인 태창제는 황태자 책봉 과정의 정쟁과 암살 미수 사건을 겪고 즉위 29일 만에 급서하여,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관련된 미스터리는 명나라 말기 정치적 혼란의 중요한 요소로 평가받는다. - 1620년 사망 - 이여백
이여백은 명나라 군인으로, 이성량의 차남이며,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평양성 전투 등에서 활약했으나, 후금과의 전투 패배로 자결했다. - 16세기 출생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 16세기 출생 - 빌럼 바런츠
빌럼 바런츠는 북동 항로를 탐험하다가 노바야제믈랴에서 조난당해 사망했지만, 그의 탐험은 북극 지역에 대한 유럽인들의 지식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계비 푸차씨 (천명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군다이 |
원어 이름 | 继妃 富察氏 |
가문 | 푸차씨 샤지 |
생애 | |
출생 | 16세기 |
사망 | 천명 5년 (1620년) |
배우자 | 태조 고황제 누르하치 |
자녀 (아들) | 알란타이주 충샨 앙아라 망굴타이 더걸러이 |
자녀 (딸) | 양구리의 처 망구지 |
아버지 | 망사이두주후 (또는 주망서) |
작위 | 계복진 |
2. 생애
군다이는 누르하치의 친족 형제인 웨이준의 전 부인이었고, 1585~1586년경 누르하치에게 재가하였다. 이는 당시 여진 사회에서 행해지던 수계혼의 풍습이었다. 만주 문서에는 그녀를 "자이 가이하 앙가시 푸진(jai gaiha anggasi fujin)"이라고 칭하는데, 이는 '''재취 과부 복진'''을 의미한다.
군다이 복진은 누르하치와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전 남편 웨이준과의 사이에서 3남(알란타이주(1583년생), 충샨(1584년~1613년), 앙아라(1635년 처형))을 두었다. 누르하치와의 사이에서는 1587년 망굴타이를, 1590년 망구지를, 1597년 더걸러이를 낳았다. 이후 군다이 복진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2. 1. 초기 생애와 재혼
군다이의 전 남편은 누르하치의 친족 형제인 웨이준으로, 1585~1586년에 누르하치에게 재혼하였다. 당시 여진 사회에서 행해지던 수계혼이었다. 만주 문서에는 그녀를 "자이 가이하 앙가시 푸진(jai gaiha anggasi fujin)"이라고 부르며, '''재취 과부 복진'''을 뜻한다.군다이 복진은 누르하치와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낳았고, 전 남편과의 사이에서는 알란타이주(1583년생), 충샨(1584년~1613년), 앙아라(1635년 처형) 등 3남을 두었다. 1587년, 군다이는 누르하치의 5남 망굴타이를 낳았고, 1590년에는 누르하치의 3녀 망구지를 낳았다. 1597년에는 누르하치의 10남 더걸러이를 낳았다. 이후 군다이 복진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없다.
2. 2. 누르하치와의 결혼 생활
군다이는 누르하치의 친족 형제인 웨이준의 전 부인이었고, 1585~1586년에 누르하치에게 재가하였다. 이는 당시 여진 사회에서 행해지던 수계혼의 풍습이었다. 만주 문서에는 그녀를 "자이 가이하 앙가시 푸진(jai gaiha anggasi fujin)"이라고 칭하는데, 이는 '''재취 과부 복진'''을 의미한다.군다이 복진은 누르하치와의 사이에서 2남 1녀를, 전 남편과의 사이에서 3남을 두었다. 누르하치와의 사이에서 낳은 자녀는 다음과 같다.
계비 푸차씨(군다이)의 사망과 관련된 논란은 여러 기록에서 나타나는 차이점과 불확실성 때문에 발생한다.
이후 군다이 복진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3. 사망과 관련된 논란
《청사고》, 《애신각라종보·성원집경》, 《청황실사보》 등은 군다이가 1620년에 사망했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사망 원인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주장을 제시한다. 특히 《청황실사보》는 군다이가 금백을 훔치고 대귀를 강요하다가 망굴타이에게 살해당했다고 기록하여, 다른 기록들과 큰 차이를 보인다.
누르하치가 군다이를 폐위한 이유와 망굴타이의 모친 시해 사건 역시 《만문노문》의 기록과 다른 사료들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다.
3. 1. 사망 시기와 원인
천명 5년 (1620년)에 군다이가 사망했다는 기록이 여러 사료에 나타난다. 《청사고》는 군다이가 미움을 사서 죽었다고 기록하고, 《애신각라종보·성원집경》은 1620년 2월에 사망하여 허투알라에 묻혔다고 전한다. 당백지가 펴낸 《청황실사보》에는 "천명 5년 2월, 금백을 훔쳐 대귀를 강요하고, 망굴타이를 찾아 시해하고, 허투아라에서 장사지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누르하치가 군다이를 버린 이유와 망굴타이가 어머니를 시해했다는 기록은 《만문노문》의 기록과 차이를 보인다. 《만문노문서》에 따르면, 누르하치의 소복진 더인저가 천명 5년 3월 25일에 대복진과 다이샨 사이의 불륜 관계와 뇌물 수수 혐의를 고발했고, 조사 결과 대복진의 지위가 박탈되었다. 일부 학자들은 이 사건으로 폐위된 대복진이 군다이가 아니라 아바하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망굴타이의 모친 시해는 《만문노문》 천총 5년 (1631년) 8월 기록과 관련이 있는데, 홍타이지는 망굴타이에게 "후일 시해로 생모가 아버지에게 공을 요청했고, 칸은 막내아들인 더거러이에게 부양을 명령했다."라고 언급하며, 이는 망굴타이가 생모를 죽이고 공을 들인 후 누르하치가 더거러이 집에서 살라는 명령과 망굴타이의 생모 시해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후금이 요양성으로 천도한 후, 천명 9년 (1624년), 누르하치는 영릉을 동경릉으로 이장했다. 《만주실록》에는 "군다이 황후"와 황자 추연의 관도 함께 옮겨졌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군다이 황후"라는 표현은 만주어로 '군다이 복진'을 의미하며, 정식으로 황후로 추존된 것은 아니었다.
천총 3년 (1629년) 2월, 홍타이지는 선양 성동 20리 혼하북 석부두리두산에 도의를 내려 관리들을 동경릉에 파견해 어머니 효자고황후와 태조 고황제를 합장하고, 망굴타이의 어머니 푸차씨의 관구도 복릉으로 이장했다.
순치 시기, 섭정왕 도르곤은 순치 원년 (1644년) 2월, 군다이가 "태조의 미움을 먼저 맛보았다"는 이유로 복릉 밖으로 이장했다.
3. 2. 더인저의 고발과 다이샨과의 관계
천명 5년(1620년) 3월 25일, 누르하치의 소복진 더인저는 대복진과 누르하치의 차남 대패륵 다이샨 사이에 불분명한 관계가 있고, 뇌물을 받은 혐의를 고발하였다. 조사 결과, 대복진의 지위가 박탈된 것으로 밝혀졌다. 어떤 학자들은 이 사건으로 폐위된 대복진은 군다이가 아니라 군다이보다 훨씬 젊었던 아바하이라고 보기도 한다. 또 다른 학자들은 군다이 복진이 허투아라에 안장되어 후금의 도읍인 허투아라에서 사망했을 때 (1619년 전)라고 보기도 한다.
3. 3. 망굴타이의 어머니 시해 사건
천명 5년(1620년), 누르하치의 소복진 더인저는 대복진과 누르하치의 차남 대패륵 다이샨 사이에 불륜 관계가 있고, 뇌물을 받았다는 혐의를 고발했다. 조사 결과 대복진의 지위가 박탈되었다. 어떤 학자들은 이 사건으로 폐위된 대복진은 군다이가 아니라 군다이보다 훨씬 젊었던 아바하이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군다이 복진이 허투아라에 안장되어 후금의 도읍인 허투아라에서 사망했을 때가 1619년 전이라고 본다.
망굴타이의 모친 시해는 《만문노문》 천총 5년(1631년) 8월 기록과 관련이 있다. 당시 홍타이지는 망굴타이에게 "후일 시해로 생모가 아버지에게 공을 요청했고, 칸은 막내아들인 더거러이에게 부양을 명령했다. 이 사람들이 어찌 알지 못하겠는가? 어찌하여 나를 때리겠는가?"라고 말했다. 홍타이지는 망굴타이가 생모를 죽이고 공을 들이면 누르하치가 그 후 더거러이 집에서 살라는 것과 망굴타이가 생모를 시해한다는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했다.
후금이 요양성으로 천도하자, 천명 9년(1624년) 누르하치는 부조 능침인 영릉을 동경릉으로 이장하였다. 《만주실록》에는 "군다이 황후" 및 황자 추연의 관도 이곳에 함께 옮겨졌다고 한다. 실제 "군다이 황후"라는 표현의 만문은 군다이 복금이라는 뜻의 'gundai fujin'이다. 그는 누르하치의 원비 퉁기야씨와 마찬가지로 황후로 정식 추존되지는 않았다.
천총 3년(1629년) 2월, 홍타이지는 선양 성동 20리 혼하북 석부두리두산에 도의를 내려 관리들을 동경릉에 파견해 어머니 효자고황후의 재궁과 태조 고황제를 합장하고, 망굴타이의 어머니 푸차씨의 관구도 복릉으로 이장했다.
순치 시기, 아바하이의 아들인 섭정왕 도르곤이 정치를 맡았다. 순치 원년(1644년) 2월, 군다이는 도르곤 등에 의해 "태조의 미움을 먼저 맛보았다"라는 이유로 복릉 밖으로 이장되었다.
4. 사후 무덤 이장
천명 9년(1624년), 누르하치는 영릉을 동경릉으로 이장하면서 "군다이 황후"(군다이 복진, gundai fujin) 및 황자 추연의 관도 함께 옮겼다. 군다이는 원비 퉁기야씨처럼 황후로 정식 추존되지 않았다.
천총 3년(1629년) 2월, 홍타이지는 효자고황후와 태조 고황제를 합장하고, 망굴타이의 어머니 푸차씨의 관도 복릉으로 이장했다.
순치 원년(1644년) 2월, 섭정왕 도르곤은 군다이가 "태조에게 미움을 받았다"는 이유로 복릉 밖으로 이장시켰다.
4. 1. 허투아라 안장과 영릉 이장
천명 5년(1620년) 2월, 군다이는 사망하여 허투아라에 묻혔다. 누르하치는 영릉을 동경릉으로 이장하였다. 《만주실록》에는 "군다이 황후" 및 황자 추연의 관도 이곳에 함께 옮겨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군다이 황후"라는 표현은 만주어로 군다이 복진(gundai fujin)을 의미하며, 정식으로 황후로 추존된 것은 아니었다.천총 3년(1629년) 2월, 홍타이지는 선양 성동 20리 혼하북 석부두리두산에 도의를 내려 관리들을 동경릉에 파견해 어머니 효자고황후의 재궁과 태조 고황제를 합장하고, 망굴타이의 어머니 푸차씨의 관구도 복릉으로 이장했다.
순치 원년(1644년) 2월, 섭정왕 도르곤은 군다이가 "태조에게 미움을 받았다"는 이유로 복릉 밖으로 이장시켰다.
4. 2. 복릉 이장과 도르곤의 축출
천명 9년(1624년), 누르하치는 영릉을 동경릉으로 이장하면서 "군다이 황후" 및 황자 추연의 관도 함께 옮겼다. 여기서 "군다이 황후"는 실제로는 군다이 복진(gundai fujin)을 의미하며, 정식으로 황후로 추존된 것은 아니었다.천총 3년(1629년) 2월, 홍타이지는 선양 성동 20리 혼하북 석부두리두산에 관리들을 보내 효자고황후와 태조 고황제를 합장하고, 망굴타이의 어머니 푸차씨의 관도 복릉으로 이장했다.
순치 원년(1644년) 2월, 섭정왕 도르곤은 군다이가 "태조에게 미움을 받았다"는 이유로 복릉 밖으로 이장시켰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