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총(Chiliarch)은 "천 명의 지휘관"을 의미하는 용어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고대 마케도니아 군대와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군사 조직의 지휘관을 지칭했으며, 페르시아 제국에서는 왕의 친위대 지휘관을 의미했다. 로마와 비잔틴 제국에서도 유사한 역할을 하는 군사 계급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중세 키예프 루스에서는 민병대 지휘관을, 노브고로드 공화국에서는 행정 및 사법 관료를 의미했다. 근현대에는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 군사 조직 단위로, 헝가리, 터키, 이스라엘 등에서 군사 계급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군사 - 위소제
위소제는 명나라의 기본적인 군사 조직 체계로, 전국에 위와 소를 설치하여 군사를 주둔시키고 평시에는 둔전을 통해 군량을 확보했으나, 군적 고착화 및 군호 세습 등의 문제와 군호의 몰락으로 쇠퇴하였다. - 명나라의 군사 - 제4차 중국의 베트남 지배
제4차 중국의 베트남 지배는 1407년부터 1427년까지 명나라가 베트남을 점령하여 교지성으로 편입하고 식민 통치와 중국화 정책을 시행했으나, 베트남인들의 저항과 레러이의 람선 봉기로 독립을 되찾은 시기이다. - 청나라의 군사 - 의정왕대신회의
의정왕대신회의는 청나라 초기에 설립된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초기에는 황족과 고위 관리들이 군사 문제를 심의했으나 옹정제 시대에 대각원에 의해 기능이 대체되며 권한이 축소되었다. - 청나라의 군사 - 팔기제
팔기제는 17세기 초 누르하치가 여진족을 통일하며 만든 군사·행정 조직으로, 8개의 기로 확장되어 만주족, 몽골족, 한족 등으로 구성되었고 청나라 통치 기반 확립에 기여했으며 현대 만주족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군사 계급 - 4성 장군
4성 장군은 군대 계급 중 대장에 해당하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합동참모의장, 각 군 참모총장 등을 포함한 7명이, 다른 국가에서는 각 군 참모총장, 통합군 사령관 등이 해당되는 군 최고위급 지휘관이다. - 군사 계급 - 대령
대령은 연대 규모의 부대를 지휘하는 장교 계급으로, 국가와 군종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현대에는 부대 운영, 훈련, 작전 수행 등의 책임을 지고 명예연대장과 같은 직책도 존재한다.
천총 | |
---|---|
어원 | |
그리스어 | χιλίαρχος (킬리아르코스), χιλιάρχης (킬리아르케스) |
로마자 표기법 | killiarkhos, killiarkhēs |
뜻 | 천 명의 지휘관 |
군사 계급 | |
역할 | 천 명 규모의 부대 지휘관 |
고대 그리스 | 고대 그리스에서 천 명을 지휘하는 부대 지휘관 |
로마 제국 | 로마군에서 부대 규모를 지휘하는 고위 장교 |
몽골 제국 | 몽골 제국에서 천호(千戶)의 장 |
페르시아 제국 | 하자라파티 (hazārapati) |
기타 | |
관련 문서 | 군사 계급 |
2. 어원
"킬리아르크"(chiliarch)라는 영어 단어는 라틴어 chiliarchusla에서 차용되었으며, 이는 고대 그리스어 ''khilíarkhos'' (χιλίαρχοςgrc) 및 ''khiliárkhēs'' (χιλιάρχηςgrc)를 음역한 것으로, 둘 다 "천 명의 지휘관"을 의미한다. 이 명칭은 '''chiliarcha''', '''chiliarchus''',[1] '''chiliarchos''' 등으로 쓰이거나, '''thousandman'''으로 직역되기도 한다.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 군대에서 킬리아르크(chiliarch)는 1,024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킬리아르키(chiliarchy) 또는 탁시스(taxis) 부대의 지휘관이었다. 이 부대는 페제타이로이와 히파스피스트 중장보병으로 구성되었으며, 64개의 로코스로 세분화되었다.[2]
3. 고대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킬리아르크는 하자라파티시(hazahrapatish)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칭호로, 1,000명으로 구성된 왕의 친위대인 멜로포로이 지휘관이었다. 이들은 종종 후대의 집사 또는 베지어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2][3]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페르시아의 킬리아르크 직책을 채택하여 헤파이스티온, 페르디카스 등에게 수여했다.[2]
후대 그리스 저술가들은 로마의 군사 트리부누스(military tribune)를 가리키는 용어로 킬리아르코스(chiliarch)를 사용했다.[2] 비잔티움 제국에서는 이 칭호를 드룬가리오스(droungarios) 계급에 대한 학문적인 대안으로 사용했으며, 10세기 후반 니케포로스 2세 포카스(Nikephoros II Phokas)가 킬리아르키아(chiliarchia) 또는 탁시아르키아(taxiarchia)라고 불리는 1,000명 규모의 부대를 설립하고 킬리아르코스(chiliarchos) 또는 탁시아르케스(taxiarches)(taxiarchēs)가 이를 지휘하면서 다시 기술 용어가 되었다.[4]
3. 1. 고대 마케도니아와 페르시아
고대 마케도니아 군대에서 킬리아르크(chiliarch)는 1,024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킬리아르키(chiliarchy) 또는 탁시스(taxis) 부대의 지휘관이었다. 이 부대는 페제타이로이와 히파스피스트 중장보병으로 구성되었으며, 64개의 로코스로 세분화되었다.[2]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킬리아르크는 하자라파티시(hazahrapatish)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칭호로 사용되었으며, 1,000명으로 구성된 왕의 친위대인 멜로포로이를 지휘했다. 이들은 종종 후대의 집사 또는 베지어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했다.[2][3]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페르시아의 킬리아르크 직책을 채택하여 헤파이스티온, 페르디카스 등에게 수여했다.[2]
3. 2. 로마와 비잔티움 제국
후대 그리스 저술가들은 로마의 군사 트리부누스(military tribune)를 가리키는 용어로 킬리아르코스(chiliarch)를 사용했다.[2] 비잔티움 제국에서는 이 칭호를 드룬가리오스(droungarios) 계급에 대한 학문적인 대안으로 사용했으며, 10세기 후반에는 니케포로스 2세 포카스(Nikephoros II Phokas)가 킬리아르키아(chiliarchia) 또는 탁시아르키아(taxiarchia)라고 불리는 1,000명 규모의 부대를 설립하고 킬리아르코스(chiliarchos) 또는 탁시아르케스(taxiarches)(taxiarchēs)가 이를 지휘하면서 다시 기술 용어가 되었다.[4]
4. 중세
중세 시대 키예프 루스에서 천총(тысяцкий|티샤츠키ru)은 1,000명(тысяча|티샤차ru)의 민병대를 지휘하는 군사 지도자였다. 노브고로드 공화국에서는 사법 또는 상업 관료로 발전했으며, 베체에서 보야르 중에서 1년 임기로 선출되었다.[1] 베체가 없는 도시에서는 크냐즈 또는 공작이 귀족 보야르 중에서 천총을 임명했고, 천총은 그들의 자리를 아들에게 물려줄 수 있었다.
1374년 바실리 바실리예비치 벨랴미노프 사후, 대공 드미트리 돈스코이는 이 직책을 폐지하고 보예보다와 나메스트니크로 대체했다. 노브고로드의 천총은 1478년 대공 이반 3세가 이 도시를 정복했을 때 폐지되었다. 프스코프에서는 1510년 바실리 3세가 그 도시를 점령했을 때 폐지되었다.
4. 1. 키예프 루스
키예프 루스에서 천총(тысяцкий|티샤츠키ru)은 1,000명(тысяча|티샤차ru)의 민병대를 지휘했던 군사 지도자였다. 노브고로드 공화국에서는 사법 또는 상업 관료로 발전하여 베체에서 보야르 중에서 1년 임기로 선출되었다. 노브고로드의 포사드니크와 마찬가지로, 이 직책은 종종 한 사람이 여러 해 동안 연임했고, 그의 아들 또는 가까운 친척이 계승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이 직책이 씨족 내에서 유지되었고 완전히 선거직이 아니었음을 시사한다.[1] 베체가 없는 도시에서는, 천총은 크냐즈 또는 공작이 귀족 보야르 중에서 임명했고, 그들의 자리를 아들에게 물려줄 수 있었다.노브고로드 공화국에서 천총은 일반 백성("흑색" 백성)의 대표로 여겨졌다. 군 지도자 역할과 함께, 도시 방어 시설 감독, 베체 소집, 사절 활동, 상업 법정 판사 등의 역할을 수행했다. 포사드니크와 마찬가지로, 14세기에는 전직 천총이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과 특권을 유지했고, "구 천총"으로 알려졌다. 노브고로드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남아있는 천총은 푸탸타였다.
1374년 바실리 바실리예비치 벨랴미노프 사후, 대공 드미트리 돈스코이는 이 직책을 폐지하고, 보예보다와 나메스트니크로 대체했다. 노브고로드의 천총은 1478년 대공 이반 3세가 이 도시를 정복했을 때 폐지되었다. 프스코프에서는 1510년 바실리 3세가 그 도시를 점령했을 때 폐지되었다.
5. 근현대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천총(ἑκατονταρχίες|헤카톤타르키에스grc)이라는 명칭이 다시 사용되었다. 1822년 1월, 에피다우루스 제1국민의회는 독립적인 전쟁 지도자들의 불규칙군을 위한 조직 체계를 만들고 킬리아르키아(χιλιαρχίες, chiliarchies)를 설치했다. 각 킬리아르키아는 백 명의 병사로 구성된 열 개의 천총(εκατονταρχίες|에카톤타르키에스grc)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천총은 백인대장(ἑκατόνταρχος|헤카톤타르코스grc)이 지휘했다.[5] 1828년에는 킬리아르키아가 재편성되어 세 개로 축소되었고, 각 킬리아르키아는 다섯 개의 천총으로 구성된 두 개의 펜타코시아르키아(πεντακοσιαρχίες|펜타코시아르키에스grc)를 포함하여 총 1120명으로 구성되었다. 1829년 7월 페트라 전투 이후 킬리아르키아는 폐지되었다.[5]
헝가리어 계급인 ezredes는 "천의"라는 뜻으로, ''ezereskapitány''("천 명의 대장")의 현대적 축약형이다. ''ezereskapitány''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1701~1714)에서 사용되었고, ''ezredes''는 1848년 혁명 이후부터 사용되었다.[1] ''ezredes''는 연대(헝가리에서는 약 1000~1500명)의 지휘관이며, 대령 또는 소령 계급에 해당한다. 헝가리 육군(헝가리 국방군)과 경찰에서도 사용된다.[1]
터키군의 계급인 소령(binbaşı)은 "천 명의 우두머리"라는 뜻으로, 영연방 및 미국의 소령 계급에 해당한다.
이스라엘 방위군(IDF)에서 알루프(אלוף, allūp̄)는 "칠리아크"에 해당하는 장교 계급으로, 다른 나라의 장군, 공군 원수 또는 제독에 해당한다. '알루프'라는 용어는 "천"을 의미하는 셈어 어근에서 유래하여, 알루프는 천 명을 지휘하는 자를 의미한다. 이스라엘 방위군은 통합군이며, 계급은 모든 부대에서 동일하다.
5. 1. 그리스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천총(ἑκατονταρχίες|헤카톤타르키에스grc)이라는 명칭이 다시 사용되었다. 1822년 1월, 에피다우루스 제1국민의회는 여러 독립적인 전쟁 지도자들의 불규칙군을 위한 조직 체계를 만들기로 결정하고, 여러 개의 킬리아르키아(χιλιαρχίες, chiliarchies)를 설치했다. 각 킬리아르키아는 백 명의 병사로 구성된 열 개의 천총(εκατονταρχίες|에카톤타르키에스grc)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천총은 백인대장(ἑκατόνταρχος|헤카톤타르코스grc, centurion)이 지휘했다. 각 킬리아르키아는 킬리아르크(chiliarch)가 지휘했고, 부킬리아르크(υποχιλίαρχος|이포킬리아르코스grc), 타크시아르코스(taxiarchos)로 알려진 부관, 의사, 외과의사, 훈련장교, 사제로 구성된 소규모 참모진이 있었다.[5]1828년, 킬리아르키아는 재편성되어 세 개로 축소되었고, 각각은 이제 다섯 개의 천총으로 구성된 두 개의 펜타코시아르키아(πεντακοσιαρχίες|펜타코시아르키에스grc)를 포함하여 총 1120명으로 구성되었다. 각 킬리아르크는 부관, 서기관, 사제, 의사, 회계관, 훈련장교로 구성된 소규모 참모진을 두었고, 각 펜타코시아르키아에는 깃발병과 나팔수가 배치되었다. 1828년 모델의 킬리아르키아는 1829년 7월 페트라 전투 이후 폐지되었고, 그 대신 13개의 경보병 대대(ταγματα, tagmata)가 편성되었다.[5]
5. 2. 헝가리
헝가리어 계급인 ''ezredes''는 "천의"라는 뜻으로, ''ezereskapitány''("천 명의 대장")의 현대적 축약형이다. ''ezereskapitány''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1701~1714)에서 사용되었고, ''ezredes''는 1848년 혁명 이후부터 사용되었다.[1]''ezredes''는 연대(헝가리에서는 약 1000~1500명)의 지휘관이며, 대령 또는 소령 계급에 해당한다. ''ezredes''는 헝가리 육군(헝가리 국방군)과 경찰에서도 사용된다.[1]
5. 3. 터키
터키군의 계급인 소령(binbaşı)은 "천 명의 우두머리"라는 뜻으로, 영연방 및 미국의 소령 계급에 해당한다.5. 4. 이스라엘
이스라엘 방위군(IDF)에서 알루프(אלוף, allūp̄)는 "칠리아크"에 해당하는 장교 계급으로, 다른 나라의 장군, 공군 원수 또는 제독에 해당한다. '알루프'라는 용어는 "천"을 의미하는 셈어 어근에서 유래하여, 알루프는 천 명을 지휘하는 자를 의미한다. 이스라엘 방위군은 통합군이며, 계급은 모든 부대에서 동일하다. 이스라엘 방위군에는 다음 다섯 가지의 알루프 계급이 있다.[1]- 최고 칠리아크, 라브 알루프(רב-אלוף): 이스라엘 방위군(IDF)에서 가장 높은 계급
- 칠리아크, 알루프
- 차석 칠리아크, 타트 알루프(תת-אלוף)
- 부 칠리아크, 알루프 미슈네(אלוף-משנה)
- 준장, 스간 알루프(סגן-אלוף)
참조
[1]
서적
Encyclopaedia Britannica
Colin Macfarquhar
1771
[2]
백과사전
Chiliarchos
[3]
웹사이트
Chiliarch
http://www.iranicaon[...]
[4]
서적
Warfare, State and Society in the Byzantine World, 565–1204
[5]
백과사전
Great Military and Naval Encyclopaedia
[6]
백과사전
이란 백과사전
[7]
서적
Israel and Hellas
Walter de Gruy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