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등과학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등과학원은 물리학부, 수학부, 계산과학부의 세 학부로 구성된 기초과학 연구 기관이다. 각 학부에서는 순수 및 응용 수학, 이론 물리학, 계산과학 등의 다양한 분야를 연구한다. 예핌 젤마노프, 허준이, 김민형, 마이클 코스털리츠, 뱌체슬라프 무하노프 등 저명한 학자들이 재직하거나 재직했었다. 세계수학자대회 초청 및 기조 강연, 논문 IF, 학회 개최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노벨물리학상, 필즈상,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등 다수의 학술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1996년 개원 이후 여러 원장을 거쳐 현재 노태원이 9대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동대문구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는 세종대왕 관련 문헌 간행 및 유물·유적 수집·보관 사업을 통해 민족 문화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단체이다.
  • 서울 동대문구 - 동대문도서관
    동대문도서관은 1971년에 개관하여 관외대출, 디지털자료실 개설, 리모델링 등 변화를 거쳐 종합자료실, 자율학습실, 어린이실, 식당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수학 연구소 - 중국과학원
    중국과학원은 1949년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립 과학 학술기관이자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 기관으로, 12개 분원, 100개 이상의 연구소, 3개의 대학교 등을 산하에 두고 자연과학 분야 연구와 기술 개발을 수행하며 중국 과학기술 발전을 주도하고 국가 정책에 자문하는 역할을 한다.
  • 수학 연구소 - 스테클로프 수학 연구소
  • 물리학 연구소 - 중국과학원
    중국과학원은 1949년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의 국립 과학 학술기관이자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 기관으로, 12개 분원, 100개 이상의 연구소, 3개의 대학교 등을 산하에 두고 자연과학 분야 연구와 기술 개발을 수행하며 중국 과학기술 발전을 주도하고 국가 정책에 자문하는 역할을 한다.
  • 물리학 연구소 -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
    페르미 국립 가속기 연구소는 미국의 국립 입자 물리학 및 가속기 연구소로, 과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입자 가속기였던 테바트론을 운영했으며 현재는 차세대 가속기 개발과 중성미자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고등과학원 - [연구소]에 관한 문서

2. 구성

고등과학원은 현재 물리학부, 수학부, 계산과학부의 세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 '''수학부''': 대수학, 정수론, 기하학, 위상수학, 대역해석학, 거울대칭, 편미분 방정식 등 순수수학 및 응용수학 분야를 연구한다. 필즈상을 수상한 예핌 젤마노프 교수와 허준이 교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서 유래된 대수기하학의 난제를 풀어낸 김민형 교수가 재직 중이다.
  • '''물리학부''': 초끈이론, 장이론, 입자물리, 통계물리, 응집물질물리, 천체물리와 우주론 등 이론물리 분야를 연구한다.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마이클 코스털리츠 교수와 뱌체슬라프 무하노프 교수가 재직했었다.
  • '''계산과학부''': 이론계산물리학, 이론계산재료과학, 조합론, 생물정보학, 이론계산생물물리학, 양자정보과학 등의 분야를 연구한다.

2. 1. 수학부

대수학, 정수론, 기하학, 위상수학, 대역해석학, 거울대칭, 편미분 방정식 등 순수수학 및 응용수학 분야를 연구한다.

1994년 비가환대수, 군론, 제한된 번사이드 문제 해결로 필즈상을 수상한 예핌 젤마노프(Ефим Исаакович Зельманов|예핌 이사아코비치 젤마노프ru) 석학교수, 2022년 호지 추측으로 여러 조합문제를 해결하여 한국계 수학자 중 최초로 필즈상을 수상한 허준이(June Huh) 석학교수,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서 유래된 대수기하학의 400여 년 난제를 풀어낸 김민형 석학교수가 재직 중이다.

2. 2. 물리학부

이론물리 분야의 연구를 수행한다. 초끈이론, 장이론, 입자물리, 통계물리, 응집물질물리, 천체물리와 우주론 등의 분야를 다룬다.

2016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마이클 코스털리츠 석학교수와 우주론 권위자이자 2015년 막스 플랑크 메달 수상자인 뱌체슬라프 무하노프 석학교수가 재직했었다.

2. 3. 계산과학부

이론계산물리학, 이론계산재료과학, 조합론, 생물정보학, 이론계산생물물리학, 양자정보과학 등의 분야를 다룬다.

3. 실적

2006년에 황준묵 교수를 포함한 고등과학원 교수 3명이 세계수학자대회(ICM)에 한국인 최초로 초청받아 강연했으며, 2014년에는 황준묵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기조강연을 했다. 역대 세계수학자대회에 초청받아 강연한 한국인 수학자 대부분은 전현직 고등과학원 교수들이다.[7] 2007년 국제통계물리학회에서는 박형규 교수가 한국인 교수로는 유일하게 초청받았다.

2006년부터 3년간 발표된 논문의 IF를 비교하면 수학부는 0.69로 미국 예일 대학교의 0.65보다 높으며, 물리학부는 4.36으로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3.62보다 높다.

2008년에는 동아시아 대수기하학 학회가 개최되었다.

2016년 마이클 코스털리츠 석학교수가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으며, 2022년 허준이 석학교수가 필즈상을 수상하여 필즈상 수상자가 2명인 연구소가 되었다. 이 외에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2회, 호암상 5회, 한국과학상 5회, 젊은과학자상 4회 등 다수의 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오성진 교수는 27세 최연소 젊은과학자상 수상자이다.[8]

4. 법인화

대한민국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한나라당 소속 박영아 의원은 2009년 1월 15일, "우리나라를 과학 기술 강국으로 만들기 위해선 순수기초과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기관을 체계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현재 KAIST 부설기관인 고등과학원을 독립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9]

5. 역대 원장

대수이름전공임기
-명효철수학1996년 10월 ~ (원장 직무 대리)
1, 2김정욱물리학1997년 12월 ~ 2004년
3김만원물리학2004년 7월 ~ 2007년
4명효철수학2007년 7월 ~ 2010년
5김두철계산과학2010년 7월 ~ 2013년
6금종해수학2013년 8월 ~ 2016년
7이용희물리학2016년 11월 ~ 2020년
8최재경수학2020년 1월 ~ 2024년
9노태원2024년 6월 ~ [10]


참조

[1] 웹사이트 "Contact,\"Visitor Information, KIAS" http://www.kias.re.k[...] 2012-08-29
[2] 웹사이트 "Mission Statement,\"About KIAS, KIAS" http://www.kias.re.k[...] 2012-09-02
[3] 웹사이트 "About the Institute,\"About KIAS, KIAS" http://www.kias.re.k[...] 2013-10-06
[4] 간행물 고등과학원 설립 및 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 연구 http://naver.nanet.g[...] 과학기술처 1996
[5] 웹사이트 "[노태원 명예교수] 고등과학원장으로 임명" https://physics.snu.[...] 서울대학교 2024-06-10
[6] 간행물 고등과학원 설립 및 운영계획 수립을 위한 조사 연구 http://naver.nanet.g[...] 과학기술처 1996
[7] 문서 '06년 황준묵·오용근·김정한 교수, '10년 오희 KIAS Scholar, '14년 황준묵·김범식 교수, '18년 금종해·허준이 교수, '22년 신석우 KIAS Scholar
[8] 문서 " '06년 [[황준묵]] 교수, '14년 이기명 교수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09년 [[황준묵]] 교수, '12년 [[김민형(수학자)|김민형]] 석학교수, '16년 김명식 교수, '18년 [[오희]] KIAS Scholar, '21년 [[허준이]] 교수 호암상, '95년 최재경 교수, '01년 [[황준묵]] 교수, '08년 금종해 교수, '20년 [[김범식]] 교수, '21년 김인강 교수 한국과학상, '03년 [[김범식]] 교수, '07년 김인강 교수, '16년 이성재 교수, '16년 오성진 교수 젊은과학자상"
[9] 문서 그러나 주무 부처인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와 상위 기관인 [[KAIST]]는 독립 법인화에 반대하고 있다.
[10] 웹인용 "[노태원 명예교수] 고등과학원장으로 임명" https://physics.snu.[...] 서울대학교 2024-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