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준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준묵은 대한민국의 수학자로, 가야금 연주가 황병기와 소설가 한말숙의 아들이다. 기하학 분야에서 라자스펠트 예상을 증명하고 변형불변성 증명을 완성하여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노틀담 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고등과학원 수학부 정교수로 재직했으며, 기초과학연구원 복소기하학 연구단 초대 단장을 지냈다. 2006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2009년 호암상 과학상, 2021년 대한민국학술원상 등을 수상했으며, 2006년과 2014년 국제 수학자 대회(ICM)에서 초청 강연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 황씨 - 황선혜
황선혜는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부 교수, 제18대 숙명여자대학교 총장을 역임했으며,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강사, 한국응용언어학회 회장, 국립발레단 이사장을 지내고 자유한국당 지방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으로 활동했다. - 우주 황씨 - 황병기
황병기는 대한민국의 가야금 연주자이자 작곡가, 교육자로, 가야금 현대화와 대중화에 기여하고 독창적인 가야금 곡들을 작곡하여 한국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한국과학상 수상자 - 임지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임지순은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Momentum-space formalism" 논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이론물리센터 소장 역임,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 한국과학상 수상자 - 이영숙 (식물세포학자)
이영숙은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포항공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ABC 수송체 연구 등 다수의 연구 업적으로 여성과학기술인상 등을 수상한 식물세포학 분야의 연구자이다. -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 신희섭 (신경과학자)
신희섭은 서울대학교와 코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포항공과대학교, KIST, KAIST 등에서 뇌과학 연구를 선도하며 간질 및 마비 관련 유전자 발견 등 뇌 기능 조절에 미치는 칼슘 역학 변화 연구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신경과학자이다. -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 김광수 (화학자)
김광수는 서울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IBM, 럿거스 대학교 등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포항공과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울산과학기술원 석좌교수 및 초고기능성 소재 연구센터 센터장으로 재직하며, 분자간 상호 작용, 나노물질 연구 등을 진행하고,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및 대한민국 최고 과학 기술상을 수상한 화학자이다.
황준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63년 |
출생지 |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대수기하학 복소 미분기하학 복소 해석학 |
소속 | 기초과학연구원 한국고등과학원 서울대학교 수학과학연구소 노트르담 대학교 |
학력 | 서울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
박사 학위 | 하버드 대학교 |
박사 학위 논문 | Global Nondeformability of the Complex Hyperquadric (복소 초2차곡면의 전역적 비변형성) |
박사 지도 교수 | Yum-Tong Siu |
수상 |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2010년) 호암상 (2009년) 한국과학상 (2001년) |
웹사이트 | 복소기하학 연구단 |
이름 | |
한글 | 황준묵 |
한자 | 黃準默 |
로마자 표기 | Hwang Junmuk |
2. 생애
가야금 연주가 황병기와 소설가 한말숙의 아들로 태어났다.[2]
수학의 핵심 분야이자 도형을 연구하는 학문인 기하학 분야에서 15년간 미해결이던 공간 사이의 변환에 관한 라자스펠트 예상을 1999년 증명하였으며, 40여 년간 미해결 문제였던 변형불변성의 증명을 1997년부터 2005년까지 9년에 걸쳐 총 100페이지가 넘는 4편의 논문을 통해 완성하였다. 이러한 공로로, 국제 저명 학술회의와 세계 유명 대학에서 수십 회에 걸쳐 초청 강연을 하였다. 특히 수학계 최고 권위를 가지는 세계 수학자 대회(ICM)의 2006년 회의에 강연 초청을 받음으로써, 국제 수학계에서도 널리 인정을 받았다. ICM에 대한민국의 수학자가 수학 연구와 관련하여 초청된 것은 최초의 일이었다. 또한 2014년 서울에서 개최된 세계수학자대회에서는 대한민국 수학자로서는 최초로 기조강연을 하였다.
SCI 국제 학술지에 33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2006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하였다. 2023년 아벨상 심사위원으로는 황준묵 복소기하학 연구단장이 위촉되어 눈길을 끈 바 있다.[13][14]
3. 학력
4. 경력
5. 연구 업적
황준묵은 기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들을 남겼다. 특히 15년간 미해결 문제였던 공간 사이의 변환에 관한 라자스펠트 예상을 1999년 증명하였고,[1] 40여 년간 미해결 문제였던 변형불변성을 1997년부터 2005년까지 9년에 걸쳐 총 100페이지가 넘는 4편의 논문을 통해 완성하였다.[13][14]
이러한 공로로 국제 학술회의와 세계 유명 대학에서 수십 회 초청 강연을 하였다. 2006년 세계 수학자 대회(ICM)에 초청받아 강연을 하였는데, 이는 대한민국 수학자가 수학 연구와 관련하여 ICM에 초청된 최초의 일이었다. 또한 2014년 서울에서 개최된 세계수학자대회에서는 대한민국 수학자 최초로 기조강연을 하였다. SCI 국제 학술지에 33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목응명과 함께 최소 유리 접선 다양체 이론을 개발하여 대수기하학과 미분기하학을 융합, 대수 다양체 위의 유리 곡선을 연구하여 여러 문제들을 해결했다.[1] 2020년 기초과학연구원 복소기하학 연구단의 초대 단장이 되었고,[7] 2023년에는 아벨상 심사위원으로 위촉되었다.[8][9]
5. 1. 최소 유리 곡선 이론
목응명과 공동 연구를 통해 최소 유리 접선 다양체 이론을 개발했다. 이 이론은 대수 기하학과 미분 기하학의 방법을 결합하여 대수 다양체 위의 유리 곡선을 연구하는 것이다. 그는 이 이론을 적용하여 유리 곡선으로 덮인 여러 대수 다양체 문제들을 해결했다.[1]5. 2. 라자스펠트 예상 증명
1999년 수학의 핵심 분야이자 도형을 연구하는 학문인 기하학 분야에서 15년간 미해결이던 공간 사이의 변환에 관한 라자스펠트 예상을 증명하였다.[1]5. 3. 변형 불변성 증명
황준묵은 기하학 분야에서 15년간 미해결 문제였던 공간 사이의 변환에 관한 라자스펠트 예상을 1999년 증명하였으며,[13][14] 40여 년간 미해결 문제였던 변형불변성을 1997년부터 2005년까지 9년에 걸쳐 총 100페이지가 넘는 4편의 논문을 통해 완성하였다.[13][14]5. 4. 기타 연구
황준묵은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받은 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했다. 1993년, 섬융통의 지도 아래 ''복소 초곡면의 전역적 비변형성''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3][4] 이후 노트르담 대학교, 수리과학연구소, 서울대학교에서 자리를 잡았다. 1999년부터 고등과학원 교수로 재직했다.[1] 2006년 마드리드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대회(ICM)에서 ''유리 균질 공간의 강성''을 주제로 초청 강연을 했으며,[5] 2014년 서울에서 열린 ICM에서 ''모리 기하학과 카르탕 기하학의 만남: 최소 유리 접선 다양체''를 주제로 전체 강연을 했다.[6]공동 연구자인 목응명과 함께 최소 유리 접선 다양체 이론을 개발했는데, 이는 대수 기하학과 미분 기하학의 방법을 결합하여 대수 다양체 위의 유리 곡선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 이론을 적용하여 유리 곡선으로 덮인 여러 대수 다양체 문제들을 해결했다.[1]
2020년 기초과학연구원 복소기하학 연구단 초대 단장이 되었다.[7] 2023년 아벨상 위원회 위원으로 선정되었다.[8][9]
6. 수상 및 선정
- 2000년: 대한수학회 우수 논문상[12]
- 2001년: 대한민국 과학기술상, 과학기술부
- 2006년: 올해의 과학자상, 대한민국 국회
- 2006년: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11]
- 2007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펠로우
- 2009년: 호암상 과학상, 호암재단
- 2010년: 대한민국 국가과학자, 교육과학기술부
- 2012년: 미국 수학회 펠로우
- 2021년: 대한민국학술원상, 대한민국학술원[10]
7. ICM 초청 및 강연
2006년 마드리드에서 열린 세계 수학자 대회(ICM)에서 '유리 균질 공간의 강성'이라는 주제로 초청 강연을 했고,[5] 2014년에는 서울에서 열린 ICM에서 '모리 기하학과 카르탕 기하학의 만남: 최소 유리 접선 다양체'라는 주제로 전체 강연을 했다.[6] 대한민국 수학자가 수학 연구와 관련하여 ICM에 초청된 것은 최초의 일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wang, Jun-Muk / School of Mathematics
https://web.archive.[...]
2018-09-11
[2]
뉴스
http://news.khan.co.[...]
2014-11-15
[3]
MathGenealogy
[4]
학위논문
Global nondeformability of the complex hyperquadric
https://dl.acm.org/d[...]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21-01-05
[5]
서적
International Congress of Mathematicians, Madrid, 2006
Eur. Math. Soc.
[6]
arXiv
Mori geometry meets Cartan geometry: Varieties of minimal rational tangents
[7]
웹사이트
IBS launches the IBS Center for Complex Geometry
https://www.ibs.re.k[...]
2020-08-31
[8]
웹사이트
The Abel Committee
https://abelprize.no[...]
2023-04-03
[9]
웹사이트
https://biz.chosun.c[...]
2023-04-03
[10]
웹사이트
https://www.ibs.re.k[...]
2023-01-17
[11]
웹사이트
김성훈 교수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선정
https://m.yakup.com/[...]
2023-11-16
[12]
웹사이트
Hwang, Jun-Muk / School of Mathematics
https://web.archive.[...]
2021-01-20
[13]
웹인용
The Abel Committee
https://abelprize.no[...]
2023-04-03
[14]
웹인용
‘수학계 노벨상’ 아벨상 수상자에 루이스 카파렐리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교수
https://biz.chosun.c[...]
2023-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