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환 (북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환은 동위의 실질적인 통치자이자 북제의 추존 황제이다. 496년 북위 회삭진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 부모를 잃고 누나의 집에서 자랐다. 이주영 휘하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이주씨와의 대립에서 승리하여 동위를 건국하고 실권을 장악했다. 효무제를 옹립했으나, 효무제가 우문태와 결탁하자 효정제를 옹립하여 동위를 세웠다. 이후 서위와의 대립에서 옥벽 전투 등에서 고전했으나, 동위의 영토를 유지하며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다. 547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고양이 북제를 건국했다. 고환의 출신에 대해서는 한족과 선비족, 혼혈 등 다양한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47년 사망 - 소속 (여릉위왕)
    소속은 양 무제 소연과 정귀빈 사이에서 태어난 양나라의 황족이자 군인으로, 여릉군왕에 봉해졌으며 여러 주의 자사를 역임하며 군사적 공적을 쌓아 사후 높은 관직으로 추증되었다.
  • 북위의 태사 - 이주영 (북위)
    이주영은 북위 말 군벌로, 하음의 변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하고 효장제를 옹립하여 권력을 강화했지만, 효장제와의 갈등으로 암살당하며 북위의 쇠퇴를 가속화했다.
  • 496년 출생 - 이주천광
    이주천광은 북위 말기의 무장으로 이주영의 측근으로 활약하며 반란 진압에 공을 세웠으나, 이주영 사후 고환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처형되었고, 그의 생애는 북위 말기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과 이주씨 일족의 흥망성쇠를 보여준다.
  • 496년 출생 - 킬데베르투스 1세
    킬데베르투스 1세는 클로비스 1세의 아들이자 511년 프랑크 왕국 분할 당시 파리를 중심으로 영토를 다스린 메로빙거 왕조의 왕으로, 형제들과 함께 영토를 확장하고 파리에 수도원 건립에 기여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영토는 동생에게 상속되었다.
고환 (북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환
이름고환(高歡)
묘호고조(高祖)
시호신무황제(神武皇帝)
신분
작위북제의 황제(추존)
발해왕531년 ~ 547년
평양군공530년 ~ 531년
역할동위의 섭정 (534-547)
섭정 대상효정제
유형군주
후임고징
생애
출생496년
사망547년 2월 13일 (50 - 51세)
가족 관계
아버지고수생
어머니한기희
배우자누소군
공주 여여
배우자 유형측실
자녀고징
문선제
고준
고연
고유
효소제
고환
고우
무성제
고제
고시
고기
고녕
고윤
고씨
태원공주
장락조순공주
영천공주
부양공주
동평공주
사후
시호 (사후)발해헌무왕(渤海獻武王)
헌무황제(獻武皇帝)
신무황제(神武皇帝)
묘소의평릉(義平陵)

2. 생애

고환은 북위 말 혼란기에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치적 수완을 발휘하여 동위 건국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다. 한족 출신이지만 선비족 문화에 동화되어 성장했으며, 북위 말기의 혼란 속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육진의 난 진압 과정에서 이주영의 휘하에서 공을 세웠고, 이주영 사후에는 이주씨 일족과의 대립에서 승리하여 북위의 실권을 장악했다. 효무제우문태에게 달아난 후, 원선견을 옹립하고 업성으로 천도하여 사실상 동위를 건국했다.

이후 서위와의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으나,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사원 전투, 하교·망산의 전투, 옥벽 전투, 망산의 전투 등 숱한 전투를 치렀으며, 546년 옥벽 공격 실패 후 병을 얻어 547년에 사망했다.

고환은 군사적 능력뿐만 아니라 정치적 감각도 뛰어났다. 선비족과 한족 사이의 조화를 추구했으며, 효정제를 정중하게 대우하고, 유능한 인재를 등용하여 동위의 기틀을 다졌다. 그의 사후, 아들 고징(高澄)과 고양(高洋)이 그의 유지를 이어받아 북제를 건국했다.

고환의 주요 전투와 사건
사건시기상대결과
육진의 난 진압525년 ~두락주, 갈영승리 (이주영 휘하)
하음의 변528년영태후, 원조승리 (이주영 휘하)
형고 진압528년형고승리 (이주영 휘하)
흘두릉보번 격파530년흘두릉보번승리 (이주조와 협력)
한릉 전투532년이주조, 이주세륭 등 이주씨 일족승리, 북위 실권 장악
효무제 옹립532년-효무제와 대립
효정제 옹립 및 동위 건국534년-동위 건국, 서위와 대립
사원 전투537년우문태패배
하교·망산의 전투538년우문태무승부 (낙양 탈환)
옥벽 전투542년위효관패배
망산의 전투543년우문태승리
옥벽 전투546년위효관패배, 병을 얻고 사망


2. 1. 초기 생애와 배경

고환은 496년 북위의 북부 수비 도시인 회삭진(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바오터우 시 구양 현 근처)에서 태어났다.[2] 그의 가문은 본래 한족이었으나, 할아버지 고밀(高謐)이 북위에서 벼슬을 하던 중 죄를 지어 회삭진으로 쫓겨난 이후, 대대로 북방의 풍속을 익혀 선비족과 같이 생활하며 선비화되었다.

고환의 아버지 고수생(高樹生)은 고환이 태어난 직후 사망하였고, 고환은 누이 고루근(高婁斤)과 그녀의 남편 위경(尉景)에게 맡겨져 자랐다.[22]

젊은 시절 고환의 집안은 가난했으나, 옛 북위의 수도 평성(平城, 현재 산시 성 다퉁 시)에서 하인으로 일하던 중, 부유한 선비족 출신 루소군이 그의 외모와 행동에 감명을 받아 부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혼인하였다.[3] 이 결혼으로 고환은 말을 살 수 있을 만큼 돈을 갖게 되었고, 평성 방위 사령부의 심부름꾼이 되어 뤄양으로 관공서를 오가게 되었다.

519년, 뤄양에서 재상 장 이의 정책에 분노한 병사들의 폭동이 일어났을 때, 섭정 후 태후는 이들을 처벌하지 못하고 사면하였다. 고환은 후 태후의 행동에 실망하여 북위가 붕괴 직전이라고 생각하고, 평성으로 돌아와 재산을 팔아 동료들을 모았다. 이때 그의 동료들로는 후경을 포함하여 선비족, 한족, 흉노 등 다양한 민족 출신의 사람들이 있었다.

525년, 육진의 난이 일어나자 고환과 그의 동료들은 반란 지도자 두락주(杜洛周)에게 합류했다가, 갈영(葛榮)을 거쳐 이주영(爾朱榮)에게 투항하였다.[5] 고환은 이주영에게 호태후의 친신 정엄(鄭儼)과 서흘(徐紇)을 제거하는 계책을 제시하여 능력을 인정받았다.[22]

2. 2. 이주영 휘하에서의 활약

528년 (무태 원년), 효명제영태후에게 살해되자, 이주영은 거병하여 뤄양으로 진군했고, 고환은 이주영 군의 선봉을 맡았다. 이주영은 영태후와 어린 주군 원조를 하음에서 살해했다(하음의 변). 이주영은 더 나아가 찬탈을 꾀했으므로, 고환은 주조 점을 통해 간언하여 그만두게 했다. 효장제가 즉위하자, 고환은 동태백에 봉해졌다. 이주영의 명을 받아 갈영을 공격하여, 왕을 칭하는 반란자 7명을 항복시켰다. 후에 행대 어휘와 함께 양간태산으로 쳐서, 원천목과 함께 형고를 제남에서 격파했다. 제3진인 추장으로 나아가, 진주자사에 임명되었다.

530년 (영안 3년), 효장제가 이주영을 궁중으로 유인하여 살해했다. 이주조는 복수를 위해 진양에서 거병하고, 고환을 소환했다. 고환은 강촉·분호의 난을 핑계로 이주조의 소집에 응하지 않았다. 이주조가 효장제를 사로잡아 진양으로 연행하자, 고환은 손등을 파견하여 이주조의 공적을 축하하면서, 효장제의 소재를 파악하여 신변을 빼앗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효장제는 이주조에게 살해되었고, 이주세륭 등이 장광왕 원엽을 황제로 옹립했다. 고환은 평양군공에 봉해졌다. 비야두의 흘두릉보번이 진양에 다가오자, 이주조는 패주했다. 이주조는 고환에게 구원을 요청했고, 고환은 이주조와 협력하여 보번을 격파했다. 보번이 패사하자, 이주조는 고환과 형제의 의를 맺었다. 이때 이주세륭·이주도율·이주언백은 낙양에서 조정 정치를 좌우했고, 이주천광관중에서, 이주조는 병주에서, 이주중원동군에서, 각각 군권을 장악하고 할거했다.

2. 3. 이주씨와의 대립과 북위 분열

북위 효장제가 이주영을 살해한 후, 이주씨 일족은 군대를 일으켜 효장제를 살해했다. 이주씨는 장광왕(長廣王) 원엽을 황제로 옹립했지만, 고환은 이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후 고환은 육진의 난을 진압하며 얻은 항복 병사들을 이끌고 하북(河北)으로 갔다.[23][24]

이주씨는 잔인했기에 고환은 그들을 토벌하려 했다. 이주조는 모용소종의 건의를 듣고 고환을 제거하려 했으나, 고환은 이를 눈치채고 이주조와 형제의 의를 맺어 방비를 하지 않았다.[25] 이주도률이 원엽을 폐하고 절민제를 세운 뒤, 고환을 발해왕(渤海王)으로 봉하고 불렀으나, 고환은 계략이 있음을 알고 거절했다.

고환은 신도에서 기병하여, 발해태수(勃海太守) 원랑을 황제로 옹립하고 공식적으로 이주씨 토벌에 나섰다. 1년 간의 전투 동안 한릉 전투에서 고환은 이주조, 이주세륭, 이주언백, 이주천광, 이주도률, 이주중원 등을 격파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모용소종이 항복하자 고환은 그를 중용하였다.

고환은 원랑의 출신이 미천하여 황제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다른 황제를 세우고자 했다. 처음에는 절민제를 다시 옹립하려 했으나, 절민제가 이주씨에 의해 옹립되었고 다루기 어렵다는 위란근, 고건(高乾) 형제, 최릉의 건의에 따라 포기했다. 이후 여남왕(汝南王) 원열을 옹립하려 했으나, 원열의 성품과 행동에 문제가 있어 포기하고, 북위 효문제의 손자 원수를 세우니, 그가 북위 효무제였다. 절민제는 불사에 수감되었다.[26]

고환은 대승상천주대장군태사세습정주자사(大丞相·天柱大將軍·太師·世襲定州刺史)가 되었으나, 천주대장군(天柱大將軍) 직을 거절하여 봉호가 5만호 삭감되었다. 고환이 대권을 독점하자 효무제는 불만을 품고 하발악과 연합하여 고환을 견제하려 했다. 고환의 측근 고건이 효무제의 생각을 몰래 알렸으나,[27] 효무제에게 죽임을 당했다. 고환은 "천자가 함부로 사공을 죽였다"며 울분을 토했다.

고환은 후막진열에게 하발악을 죽이게 하고 후경을 보내 하발악의 부대를 접수하려 했으나, 하발악의 부하들이 우문태를 받들면서 실패했다. 우문태는 하발악의 복수를 명분으로 거병하여 고환을 토벌하려 했다.

534년, 효무제는 관중(關中)으로 도주하여 우문태에게 투항했고, 고환은 원선견을 옹립하여 효정제로 삼았다. 고환은 업(鄴)으로 천도하여 동위를 건국하고 재상이 되었다. 같은 해 12월, 우문태는 효무제를 죽이고 원보거를 황제로 세워 장안(長安)을 도읍으로 삼아 서위를 건국했다. 이로써 동위와 서위의 대립이 시작되었다.

2. 4. 동위의 실질적인 통치자

북위 효장제가 이주영을 죽인 후, 이주씨는 군대를 일으켜 효장제를 살해했다. 이주씨는 장광왕 원엽을 황제로 세웠으나, 고환은 이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후 고환은 육진의 난을 진압하며 얻은 항복 병사들을 이끌고 하북으로 갔다.[23][24]

이주씨는 잔인하여 백성들의 원성을 샀고, 고환은 이들을 토벌하고자 했다. 이주조는 모용소종의 건의를 받아들여 고환을 제거하려 했으나, 고환은 이를 눈치채고 이주조와 형제의 의를 맺어 방비를 풀게 했다.[25] 이주도률이 원엽을 폐하고 절민제를 세운 뒤 고환을 발해왕으로 봉하고 불렀으나, 고환은 계략임을 알고 거절했다.

고환은 신도에서 기병하여 원랑을 황제로 옹립하고 이주씨 토벌을 명분으로 내세웠다. 1년 간의 전투 끝에 한릉 전투에서 이주조, 이주세륭, 이주언백, 이주천광, 이주도률, 이주중원 등을 격파하고 정권을 장악했다. 항복한 모용소종은 고환에게 중용되었다.

고환은 원랑의 출신이 미천하여 황제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 절민제를 다시 옹립하려 했으나 신하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북위 효문제의 아들인 여남왕 원열을 옹립하려 했으나 그의 경솔한 성품 때문에 포기했다. 결국 효문제의 손자 원수를 옹립하니, 이가 북위 효무제이다. 고환은 대승상천주대장군태사세습정주자사(大丞相·天柱大將軍·太師·世襲定州刺史)가 되었으나, 천주대장군은 거절하여 봉읍을 5만 호 삭감받았다.

고환이 대권을 독점하자 효무제는 불만을 품고 하발악과 연합하여 고환을 견제하려 했다. 고환의 측근 고건이 이를 고환에게 밀고했으나, 효무제에게 살해당했다.[27] 고환은 후막진열을 시켜 하발악을 죽이고 후경을 보내 그의 군대를 접수하려 했으나, 하발악의 부하들이 우문태를 지도자로 추대하면서 실패했다. 우문태는 하발악의 복수를 명분으로 거병하여 고환을 토벌하려 했다.

534년, 효무제는 관중으로 도주하여 우문태에게 의탁했고, 고환은 원선견을 옹립하여 효정제로 삼았다. 고환은 업으로 천도하고 동위의 재상이 되었다. 같은 해 12월, 우문태가 효무제를 죽이고 원보거를 황제로 세우면서 서위가 건국되어 동위와 서위의 대립이 시작되었다.

2. 5. 최후

534년, 고환은 소문제의 계략을 간파하고 낙양으로 진군했다. 소문제는 우문태의 영토로 도망갔고, 고환은 낙양 지역을 장악한 뒤 원선견을 황제로 옹립하고 수도를 업성으로 옮겨 제국을 공식적으로 동위서위로 나누었다.[18]

535년 봄, 고환은 소문제가 우문태에게 독살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공식적인 애도 기간을 열었다.[19]

537년, 고환은 서위에 대한 대규모 공격을 시작했으나 사원 전투에서 패배했다.[19] 538년, 하교·망산의 전투에서 서위군과 결정적인 결과를 내지 못하고 낙양을 탈환했다.[19]

542년, 옥벽 전투에서 서위의 방어에 막혀 철수했다.[19] 543년, 망산의 전투에서 서위군을 격파했다.[19]

546년, 옥벽을 다시 공격했으나 함락시키지 못하고 철수했으며, 이 과정에서 병을 얻었다.[19]

547년, 진양에서 사망했다. 그의 죽음은 비밀에 부쳐졌고, 사후에 여러 지위가 추증되었으며, 북제가 건국된 후 황제로 추존되었다.[19]

3. 가족 관계

고환의 부친은 고수생(高樹生)이며, 모친은 한기희(韓期姬)이다.

고환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고환의 배우자
봉호시호성씨이름생몰년도비고
발해왕비무명황후소군(婁昭君)501년 ~ 562년[36]
연연공주욱구려530년 ~ 548년[37]
대이주? ~ 556년[38] [39]
소이주[40] [41]
대차(大車)[42]
지휘(智輝)504년 ~ 551년[43]



고환의 자녀
봉호시호이름생몰년도생모비고
1제왕고징521년 ~ 549년무명황후 누소군북제 추존황제 문양제. [44]
2제왕고양526년 ~ 559년무명황후 누소군북제 초대 황제 문선제. [45]
3영안왕간평고준(高浚)? ~ 558년왕씨[46]
4평양왕정익고엄(高淹)? ~ 565년목씨[47]
5팽성왕경사고유(高浟)533년 ~ 564년대이주씨[48]
6상당왕강숙고환(高渙)533년 ~ 558년한지휘[49]
7상산왕고연535년 ~ 561년무명황후 누소군북제 제3대 황제 효소제. [50]
8양성왕경렬고육(高淯)536년 ~ 551년무명황후 누소군[51]
9장광왕고담537년 ~ 569년무명황후 누소군북제 제4대 황제 무성제. [52]
10임성왕고개538년 ~ 577년소이주씨북제 명목상 제7대 황제 임성왕.
11고양왕강목고식(高湜)538년 ~ 560년유씨
12박릉왕문간고제(高濟)? ~ 569년무명황후 누소군
13화산왕고응(高凝)대이주씨[53]
14풍익왕문소고윤(高潤)543년 ~ 575년정대차
15한양왕경회고흡(高洽)542년 ~ 554년풍씨



고환은 이주영의 딸(효장제의 미망인), 이주조의 딸(폐제 원엽의 미망인), 정중례의 누이(광평왕 원제의 미망인), 이충의 손녀(성양왕 원휘의 미망인), 임성왕 원이의 미망인 풍씨 등 여러 명의 과부를 측실로 삼았다.

4. 출신 논쟁

고대에는 고환 가문이 한족 문벌인 발해고씨(渤海高氏)에서 나왔다는 인식이 의심받지 않았으나, 일본 학자 하마구치 시게쿠니(濱口重国)가 처음으로 사서에 기록된 고환 가문의 족속에 의문을 제기하였다.[29] 1938년 하마구치는 「高斉出自考———高欢の制霸と河北の豪族高乾兄弟の活跃」라는 논문을 통해 고환 가문이 원래 발해고씨 출신이 아니며, 고환의 증조부 고호를 발해고씨 중 가장 유명한 고윤(高允)의 부친 고도(高韜)의 동생으로 기록한 것은 위조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당시 문벌을 중시하는 세태 때문에 무명 가문 출신인 고환이 발해고씨를 사칭하여 가문의 지위를 높이려 했고, 특히 이주씨를 상대로 반기를 들면서 기주(冀州) 일대 호족, 특히 고건 형제의 지지를 얻기 위해 발해고씨 일족의 세계 및 조부 고호가 고윤의 부친 고도의 동생이라는 것을 사칭했다고 주장했다. 하마구치는 고환 가문이 한족 출신이라는 것에도 의문을 제기하며, 고호 자손 대부분이 선비식 이름을 가지고 있고, 고밀을 포함한 고호 자손의 거주지가 하주(河州)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고밀은 하주에서 회삭진으로 이사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지만, 그의 주장은 추측에 불과하다.

중국 학자 요미원(姚薇元), 주일량(周一良)[30], 무월(繆鉞)[31] 등도 북제 황실 세계 족속 문제를 제기하며 역사 문헌 기록에 의문을 제기했다. 요미원은 사학계에서 북조 호성(胡姓) 문제를 연구하는 가장 권위 있는 학자로, 고환의 선대가 선비족에서 나온 누씨(樓氏)라고 주장하였다.[32] 20세기 중엽 이후 관련 논저에서 고씨 세계 족속 문제를 많이 다루었으며, 이에 대해 재차 탐구한 글도 많다. 왕중락(王仲犖)의 『위진남북조사(魏晋南北朝史)』는 고환 족속 문제에 대하여 진술하면서[33] 한편으로는 고환 가문이 선비족이라고 주장하면서도, 사서에 기록된 '죄를 지어 북진으로 이주한(坐法徙居北鎭)' 고밀의 자손이라는 기록을 완전히 부정하지 않았다. 동시대 학자인 오카자키 후미오(岡崎文夫)[34], 진인각(陳寅恪), 전목(錢穆)[35] 등은 고환 가문이 한족 출신이라고 주장하였다.

장금룡(張金龍)은 선비 출신론을 부정하면서, 북위북주 통치자는 호인(胡人) 출신임을 꺼리지 않았고 고환은 가보를 위조할 필요도 없었기에, 고환은 확실히 한족 출신이나 선비 문화를 크게 받았다고 주장하였다. 고환은 보하이 고씨(高氏)를 자신의 조상으로, 보하이를 조상 대대로의 땅이라고 주장했지만, 한화(漢化)되지는 않았다.[7][8] 그는 고오조 (高敖曹)가 현장에 있지 않는 한, 중국어가 아닌 선비어로만 병사들에게 연설을 했다.[9][10][11][12]

5. 평가

고환은 한족 가문 출신이었지만, 문화적으로는 선비족의 모습을 강하게 유지했다.[6] 그는 보하이 고씨(高氏)를 조상으로, 보하이를 조상의 땅이라고 주장했지만, 한화(漢化)되지는 않았다.[7][8] 그는 고오조가 현장에 없을 때는 중국어가 아닌 선비어로만 병사들에게 연설했다.[9]

그는 선비족 병사들에게는 "중국인들은 너희의 노예"라고 말하고, 중국인들에게는 선비족이 "너희를 위해 싸우고 평화와 질서를 누리게 해준다"라고 말하는 등 이중적인 태도를 보였다.[10][11][12] 그의 가문은 허베이성 (보하이)에서 이주한 후 선비족 문화권에서 살면서 선비화되었다.[3][13] 동위는 보하이 땅을 고환에게 봉했고, 그는 "보하이 공" 또는 "보하이 왕"이 되었다.[15][16]

고환은 죽기 전, 주요 선비족, 흉노족, 칠륵족, 한족 장군들 앞에서 "칠륵가"를 부르며 비통하게 울었다.[17] 그는 한족 장군 후징을 믿을 수 없다고 여겨, 선비족과 칠륵족 장군들에게 후징을 감시하도록 했다. 결국 후징은 고환의 아들 고징에게 반란을 일으켰지만, 모용소종에 의해 진압되었다.

누소군은 고환이 더 많은 여성을 첩으로 들이는 것을 지지하고 도왔다.[18]

고환은 서위와의 전쟁에서 계속 우위를 점했지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그는 선비족과 한족 간의 조화를 이루려고 노력했으며, 효정제를 정중하게 대우했다. 그는 효무제가 독살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애도 기간을 가졌고, 자신의 아들 고징과 첩 정대차의 불륜 사건에도 불구하고 고징을 교체하지 않았다.

고환은 유연과의 동맹을 시도했지만 실패했고, 서위와의 전쟁 중 옥벽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고 병을 얻었다. 그는 고징에게 후경의 반란을 경계하라는 유언을 남기고 사망했으며, 그의 무덤은 비밀리에 만들어졌다.

참조

[1] 문서 bingwu day of the 1st month of the 5th year of the Wu'ding era, per volume 2 of Bei Qi Shu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8-12-04
[3]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618 C.E.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2-02-09
[4] 문서 The original "six frontier towns" refer to Huaishuo (怀朔), Wuchuan (武川), Fuming (抚冥), Rouxuan (柔玄), Woye (沃野) and Huaihuang (怀荒). Historian [[Chen Yinke]] is of the view that the term "liuzhen" (六镇) is a general term used to describe all the northern frontier towns in Northern Wei, but this view is not universal. The frontier towns rebelled due to many reasons; the ill-treatment of the residents in the frontier towns after the shifting of the Northern Wei capital to Luoyang was but one of them.
[5]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618 C.E.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2-02-09
[6] 서적 Kingship in Early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2008-01-23
[7] 서적 Papers on Far Eastern History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Far Eastern Histor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8] 서적 Chinese art https://books.google[...] Garland Pub.
[9] 웹사이트 The Stirrup and Its Effect on Chinese Military History http://www.silk-road[...]
[10] 서적 Six Dynasties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1] 서적 Ars Orientalis https://books.google[...]
[12] 서적 Battles of Ancient China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2013-10-09
[13]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618 C.E. https://books.google[...] M.E. Sharpe
[14] 서적 Return of the Buddha: the Qingzhou discoveries https://books.google[...] Royal Academy of Arts
[15] 서적 Annali https://books.google[...] Edizione universitarie
[16] 서적 A monetary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Western Washington 1994-07-01
[17]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618 C.E.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2-02-09
[18]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618 C.E.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2-02-09
[19]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618 C.E.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12-02-09
[20] 문서 《北齊書·本紀·卷一》齊高祖神武皇帝,姓高名歡,字賀六渾,渤海蓚人也。六世祖隱,晉玄菟太守。隱生慶,慶生泰,泰生湖,三世仕慕容氏。……神武旣累世北邊,故習其俗,遂同鮮卑。
[21] 문서 『劉洪徽墓誌蓋及妻高阿難墓誌』
[22] 문서 『북제서(北齊書)』 「신무(神武)상(上)」, "榮遂坐神武于床下, 屏左右而访時事. 神武曰, 聞公有馬十二谷, 色别爲群, 將此竟何用也. 榮曰, 但言爾意. 神武曰, 方今天子愚弱, 太后淫亂, 孽寵擅命, 朝政不行. 以明公雄武, 乘時奮發, 討鄭儼·徐紇而淸帝側, 霸業可擧鞭而成. 此賀六渾之意也. 榮大悅, 語自日中至夜半, 乃出. 自是每參軍謀."
[23] 문서 『북사(北史)』卷6「제본기(齊本紀)」상(上)제6」, "兆患之, 問計于神武. 神武曰, 六鎭反殘, 不可盡殺, 宜選王素腹心者, 私使統焉, 若有犯者, 罪其帥, 則所罪者寡. 兆曰, 善, 誰可行也. 賀拔允時在坐, 請神武, 神武拳毆之, 折其一齒, 曰, 生平天柱時, 奴輩伏處分如鷹犬, 今日天下安置在王, 而阿鞠泥敢誣下罔上, 請殺之. 兆以神武爲誠, 遂以委焉."
[24] 문서 『북사(北史)』卷6「제본기(齊本紀)」상(上)제6」, "居無何, 又使劉貴勝請兆, 以幷·肆頻歲霜旱, 降戶掘黃鼠而食之, 皆面無穀色, 徒汚人國土. 請令就食山東, 待温飽而處分之. 兆從其議."
[25] 문서 《北齐书·神武上》:其长史慕容绍宗谏曰:“不可,今四方扰扰,人怀异望,况高公雄略,又握大兵,将不可为。”兆曰:“香火重誓,何所虑也。”绍宗曰:“亲兄弟尚尔难信,何论香火!”时兆左右已受神武金,因谮绍宗与神武旧有隙,兆乃禁绍宗而催神武发。神武乃自晋阳出滏口。路逢爾朱荣妻北乡长公主,自洛阳来,马三百匹,尽夺易之。兆闻,乃释绍宗而问焉。绍宗曰:“犹掌握中物也。”于是自追神武。至襄垣,会漳水暴长,桥坏。神武隔水拜曰:“所以借公主马,非有他故,备山东盗耳。王受公主言,自来赐追,今渡河而死不辞,此众便叛。”兆自陈无此意,因轻马渡,与神武坐幕下,陈谢,遂授刀引头,使神武斫己。神武大哭曰:“自天柱薨背,贺六浑更何所仰,愿大家千万岁,以申力用。今旁人构间至此,大家何忍复出此言!”兆投刀于地,遂刑白马而盟,誓为兄弟,留宿夜饮。
[26] 문서 《北史·魏兰根传》:神武将入洛阳,时废立未决,令兰根察节闵帝。帝神采高明,兰根恐于后难测,遂与高-{乾}-兄弟及黄门侍郎崔㥄同请。神武不得已,遂立武帝。
[27] 문서 《北齐书·高-{乾}-列传》:及武帝置部曲,-{乾}-乃私谓所亲曰:“主上不亲勋贤,而招集群竖。数遣元士弼、王思政往来关西,与贺拔岳计议。又出贺拔胜为荆州刺史,外示疏忌,实欲树党,令其兄弟相近,冀据有西方。祸难将作,必及于我。”乃密启高祖。高祖召-{乾}-诣并州,面论时事,-{乾}-因劝高祖以受魏禅。高祖以袖掩其口曰:“勿妄言。今启司空复为侍中,门下之事,一以相委。”高祖屡启,诏书竟不施行。
[28] 뉴스 <책> 중국은 '협객의 나라' https://news.naver.c[...]
[29] 서적 高斉出自考———高欢の制霸と河北の豪族高乾兄弟の活跃 史学会 1938
[30] 서적 領民酋長與六州都督 中华书局有限公司 1963
[31] 서적 東魏北斉政治上漢人與鮮卑之衝突 三聯書店(香港)|三聯書店 1978
[32] 서적 北朝胡姓考 科学出版社 1958
[33] 서적 魏晋南北朝史 上海人民出版社 1980
[34] 서적 魏晉南北朝通史——内編 平凡社 1989
[35] 서적 國史大綱 商務印書館 1996
[36] 문서 왕태비(王太妃)/황태후(皇太后)/태황태후(太皇太后)
[37] 문서 유연 (나라) 가한 욱구려 아나괴(郁久閭 阿那瓌)의 딸. 고환 사후 장남 고징에게 재가함.
[38] 문서 팽성왕태비(彭城太妃)
[39] 문서 북위 효장제(孝莊帝)의 황후.
[40] 문서 동해왕비(東海王妃)
[41] 문서 북위 폐제(廢帝) 원엽(元曄)의 황후
[42] 문서 풍익왕태비(冯翊王太妃)
[43] 문서 상당국태비(上黨國太妃)
[44] 문서 왕세자(王世子)/발해왕(渤海王)
[45] 문서 태원군개국공(太原郡開國公)/제군왕(齊郡王)
[46] 문서 영안군공(永安郡公)
[47] 문서 평양군공(平陽郡公)
[48] 문서 장락군공(長樂郡公)
[49] 문서 평원군공(平原郡公)
[50] 문서 상산군공(常山郡公)
[51] 문서 장무군공(章武郡公)
[52] 문서 장광군공(長廣郡公)
[53] 문서 신평군왕(新平郡王)/안정왕(安定王)
[54] 문서 황후(皇后)
[55] 문서 황후(皇后)/중산왕비(中山王妃)
[56] 문서 발해군군(渤海郡君)
[57] 문서 회양공주(淮陽公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