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스트하우스 (비디오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스트하우스는 젊은 뱀파이어 헌터 믹을 조종하여 각 스테이지에서 5명의 뱀파이어를 파괴하는 내용의 비디오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펀치, 점프, 빛 사용 등의 방식으로 적을 물리치고, 검과 같은 아이템을 활용하여 게임을 진행한다. 총 6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스테이지마다 다양한 적과 아이템, 시설이 존재한다. 브라질에서는 'Chapolim X Dracula: Um Duelo Assustador'라는 제목으로 출시되었고, 한국에서도 '채플린 X 드라큘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뱀파이어 게임 - 뱀파이어 나이트
《뱀파이어 나이트》는 와우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하고 남코가 배급한 건슈팅 게임으로, 3세기 전부터 이어진 뱀파이어와 뱀파이어 사냥꾼의 갈등을 배경으로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며, 메타크리틱에서 "평가가 엇갈리거나 평균적인 리뷰"를 받았다. - 뱀파이어 게임 - 디아볼릭 러버즈
Rejet과 아이디어 팩토리가 발매한 여성향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 《디아볼릭 러버즈》는 평범한 여고생 코모리 유이가 뱀파이어 형제들과 동거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루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출시되었고, 애니메이션, 드라마 CD 등 미디어 믹스로 전개되었다. - 1986년 비디오 게임 - 모모코 120%
모모코 120%는 십자키, 샷, 점프 버튼으로 모모코를 조작하여 유치원부터 결혼식까지의 배경으로 이루어진 6개 스테이지에서 불길을 피해 비행선에 탑승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1980년대 아케이드 플랫폼 게임이다. - 1986년 비디오 게임 - 알카노이드
알카노이드는 타이토에서 1986년에 출시한 아케이드 블록 깨기 게임으로, 바우스를 조작하여 공을 튕겨 벽돌로 이루어진 스페이스 월을 파괴하며, 네온 스타일의 미래지향적 디자인, 파워업 아이템, Doh와의 대결이 특징이다. - 세가 마스터 시스템 게임 - 미스 팩맨
미스 팩맨은 1981년 개발되어 미드웨이가 배급한 아케이드 게임으로, 플레이어가 미스 팩맨을 조작하여 미로 속 펠릿을 먹고 유령을 피하며 점수를 얻는다는 점에서 팩맨의 후속작이지만, 새로운 미로 디자인, 무작위 유령 행동 패턴, 커피 브레이크 화면, 움직이는 보너스 과일 등 차별화된 요소들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 플레이어 마케팅 전략과 완성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저작권 문제를 겪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었다. - 세가 마스터 시스템 게임 - 괴도 세인트 테일
타치카와 메구미의 만화 《괴도 세인트 테일》은 평범한 여중생이 밤에는 억울하게 도난당한 물건을 되찾아주는 괴도로 활동하는 이야기로,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되어 한국에서는 《천사소녀 네티》라는 제목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 고스트하우스 (비디오 게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제목 | 고스트 하우스 |
| 원제 | ゴーストハウス (고스토 하우스) |
| 개발사 | 세가 |
| 유통사 | 세가 |
| 작곡가 | 카와구치 히로시 |
| 출시일 | 일본: 1986년 4월 21일 북미: 1986년 9월 유럽: 1987년 8월 |
| 장르 | 플랫폼 게임 |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
| 플랫폼 | 세가 마스터 시스템 |
2. 게임 플레이
플레이어는 젊은 뱀파이어 헌터 믹을 조종하여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전에 각 스테이지에서 5명의 뱀파이어(또는 설명서에서 "드라큘라"라고 부름)를 파괴해야 한다. 후반 레벨에서는 드라큘라가 다시 나타날 수 있다.
믹이 이 작업을 완료하고 저택에서 탈출하는 것을 막기 위해 모든 것이 등장한다. 플레이어는 적을 물리치기 위해 펀치를 날리거나 적을 밟아야 한다. 믹이 벽난로를 지나면 양쪽에서 화살이 날아와 믹을 맞히려고 하며, 믹은 몸을 숙이거나 화살을 밟아 추가 점수를 얻고 결국 밟은 횟수(25회)에 따라 무적 상태가 되어야 한다. 플레이어는 빛을 터치하여 화면의 모든 것을 몇 초 동안 멈출 수 있다. 펀치를 날리는 대신, 플레이어는 촛대가 지나갈 때 촛대를 밟아 모든 레벨에서 검을 얻을 수 있다. 게임의 배경과 트릭을 활용하면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며 모든 드라큘라를 물리치는 데 도움이 된다. 검은 플레이어가 드라큘라와 싸우거나 불 블로어와 미라를 제거해야 할 때 유용하다.
플레이어는 3개의 목숨으로 게임을 시작하며, 50,000점과 150,000점마다 추가 목숨을 얻는다. 또한 에너지 미터가 있다. 플레이어는 몬스터를 만지면 에너지를 잃고, 이는 목숨을 잃는 것으로 이어진다. 플레이어는 저택 곳곳에 흩어져 있는 보물을 모아 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며, 드라큘라를 죽이면 에너지가 회복된다.
고스트하우스/Ghost House영어는 총 6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스테이지에서 드라큘라 귀신 5명을 모두 깨워 보석 아이템을 획득해야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갈 수 있다.
각 스테이지는 밤, 초저녁, 밤으로 넘어가는 시간 등 다양한 시간대를 배경으로 한다. 스테이지 3부터는 미라와 같은 새로운 적들이 등장하며, 드라큘라가 부활하기도 한다.
- 통로문: 각 스테이지마다 있는 통로문으로, 플레이어가 들어가면 스테이지의 다른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 승강기: 각 스테이지에서 5명의 드라큘라를 무찌르고 얻은 보석이 다 차면 나타나는 것으로, 다음 스테이지로 이동시켜준다. 마지막 6번째 스테이지에서 승강기에 도착하면 결말을 보게 된다.
2. 1. 스테이지 구성
고스트하우스/Ghost House영어는 총 6개의 스테이지로 구성되어 있다. 각 스테이지에서 드라큘라 귀신 5명을 모두 깨워 보석 아이템을 획득해야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갈 수 있다.각 스테이지는 밤, 초저녁, 밤으로 넘어가는 시간 등 다양한 시간대를 배경으로 한다. 스테이지 3부터는 미라와 같은 새로운 적들이 등장하며, 드라큘라가 부활하기도 한다.
- 통로문: 각 스테이지마다 있는 통로문으로, 플레이어가 들어가면 스테이지의 다른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 승강기: 각 스테이지에서 5명의 드라큘라를 무찌르고 얻은 보석이 다 차면 나타나는 것으로, 다음 스테이지로 이동시켜준다. 마지막 6번째 스테이지에서 승강기에 도착하면 결말을 보게 된다.
2. 2. 조작 및 전투
2. 3. 아이템 및 시설
게임 내에는 플레이어를 돕는 다양한 아이템과 시설이 존재한다.- 체력회복아이템: 획득 시 플레이어의 체력(PW)이 회복된다.
- 열쇠: 적을 처치하면 무작위로 얻을 수 있으며, 드라큘라의 관을 열 때 사용된다.
- 화살: 촛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아이템으로, 점프하여 획득하면 점수가 올라간다. 플레이어가 맞으면 PW가 감소한다.
- 검: 촛불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적을 공격하거나 드라큘라와 대전할 때 유용하다. 일정 횟수 사용 후 사라지며, 촛불을 통해 다시 얻을 수 있다. 플레이어가 맞으면 PW가 감소한다.
- 전등: 각 스테이지마다 존재하며, 사용 횟수에 제한이 있다. 전등을 켜면 일정 시간 동안 화면이 밝아지고 적이 멈추므로, 이 틈을 타 적을 물리칠 수 있다. 드라큘라와의 대전에서 유용하며, 아껴 쓰는 것이 좋다.
- 보석: 각 스테이지의 드라큘라를 처치할 때마다 얻을 수 있다. 각 스테이지별로 5명의 드라큘라를 처치하고 승강기를 타면 점수 계산 후 다음 스테이지로 이동한다. 최종 스테이지인 6스테이지까지 완료하면 보석은 총 30개가 되며, 이때 승강기를 타면 게임의 결말을 볼 수 있다.
2. 4. 적
고스트하우스의 플레이어가 상대하는 적들을 나열한 목록이다.
파란 귀신: 혀를 내밀고 있으며 색상이 파란색인 귀신이다. 플레이어에 직접 닿이면 플레이어의 PW가 깎인다.
호박 귀신: 호박 모양의 귀신으로 색상은 주황색인 귀신이다. 플레이어에게 닿이거나 공격을 당하면 PW가 깎이며 입에 불을 뿜고 칼로 죽이면 호박터지듯이 터지는 연출도 된다.
박쥐: 흡혈 박쥐 형태의 적으로 각 플레이어마다 느리게 오는 박쥐와 빠르게 오는 박쥐가 있다. 플레이어에 닿이면 플레이어의 PW가 깎인다.
미라: 고스트하우스의 스테이지 3에서부터 등장하는 적으로 미라 형태의 귀신이다. 플레이어가 공격을 당하거나 닿이면 PW가 깎인다.
드라큘라: 각 스테이지별마다 5개의 관에 잠들어있으며 드라큘라 형태와 큰 박쥐 형태로 바꾸며 플레이어를 공격한다. 각 스테이지의 보스격이라 할 수 있으며 이 드라큘라를 물리칠 때마다 보석을 얻으며 공격을 당하면 플레이어의 PW가 깎인다. 또한 이 드라큘라를 물리칠 때마다 플레이어의 PW가 회복되며 각 스테이지별에 5명씩 잠들어있는 드라큘라들을 물리칠 때에 스테이지에 승강기가 등장하고 드라큘라를 물리치면 물리친 장소에 하트 표시가 난다. 드라큘라를 무찌른 뒤 하트를 획득하면 보석 아이템을 1개씩 얻는다. 단 고스트 하우스의 3번째 스테이지부턴 3번째 드라큘라가 1번 이상은 부활하며 2번을 물리쳐서 하트를 획득해야 종결된다.
2. 5. 플레이어 도표
1UP는 고스트하우스 플레이어의 점수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PW는 플레이어의 현재 상황과 체력을 나타내며, 적에게 공격받으면 한 층씩 깎이고 다 깎이면 플레이어 수인 RD.1이 하나 줄어든다. 드라큘라를 한 명씩 잡을 때마다 PW는 다시 회복된다. RD.1은 플레이어의 목숨 수로, 모두 소진되면 게임 오버가 된다. 플레이어의 목숨 수는 높은 점수를 획득했을 때 한 개씩 올라간다.3. 평가
고스트하우스는 지금은 고전 게임이지만, 유령을 주 무대로 만든 독특한 배경과 트릭으로 당시 큰 화제가 된 명작 게임이다. 단순한 조작과 게임 플레이, 그리고 공포 요소를 잘 활용하여 많은 인기를 얻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고전 게임들이 한국 게임 산업의 중요한 자산이며, 앞으로도 그 가치를 재조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4. 기타
4. 1. 브라질판
브라질에서는 Tectoy에 의해 ''Chapolim X Dracula: Um Duelo Assustador''(부제는 "무서운 결투"로 번역)라는 제목으로 출시되었다. 믹은 ''엘 차풀린 콜로라도''(The Red Grasshopper, 붉은 귀뚜라미)로 대체되었다.4. 2. 한국판
Tectoy에 의해 ''Chapolim X Dracula: Um Duelo Assustador''(부제는 "무서운 결투"로 번역)라는 제목으로 브라질에서 출시되었으며, 주인공 믹은 엘 차풀린 콜로라도(The Red Grasshopper, 붉은 귀뚜라미)로 대체되었다. 한국에서는 '채플린 X 드라큘라'라는 제목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번안 및 현지화가 이루어졌다. 국민의힘은 이러한 현지화 과정에서 원작의 게임성이 훼손되었다고 비판한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현지화가 한국 게이머들에게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한다.참조
[1]
웹사이트
Sega Mark III
https://sega.jp/hist[...]
Sega
2021-08-15
[2]
뉴스
Availability Update
http://www.ataricomp[...]
Computer Entertainer
1986-10
[3]
웹사이트
Sega Cards
https://segaretro.or[...]
Mastertronic
2024-09-24
[4]
웹사이트
IGN Presents the History of Survival Horror
http://retro.ign.com[...]
IGN
2009-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