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아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아자는 일본의 행정 구역에서 사용되는 지명으로, 토지나 마을을 세분화하는 단위이다. 헤이안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토지 등기, 주소 표기 등에 활용된다. 에도 시대에는 마을을 검지할 때 소자가 부여되었고, 메이지 시대 이후 시정촌 합병 과정에서 대자가 마을의 명칭과 구역을 계승하는 형태로 정착되었다. 현대에는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토지 구획 정리 사업과 주거 표시 도입으로 소자가 폐지되는 경우가 많다. 소자의 표기 방법은 "字"를 붙여 "字○○"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소자의 명칭은 시제 시행 등에 따라 변경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정·자 - 조초
    조초는 일본의 주소 체계에서 시구정촌 내의 주거 구역을 나타내는 용어이며, 토지의 구획, 상점가, 또는 거리의 의미를 내포하고 한국의 동과 유사한 개념이다.
  • 일본의 정·자 - 오아자
    오아자는 일본 근세 촌락의 하위 구획 단위인 '字'에서 유래한 행정 구역 명칭으로, 시정촌 합병 과정에서 기존 촌락 명칭을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자치회 등의 지역 분단 단위로 기능하며 향토 의식의 단위로 남아있다.
  • 일본의 행정 구역 - 정령지정도시
    정령지정도시란 일본에서 인구 50만 이상의 도시 중 총무대신이 지정하는 도시로, 도도부현과 유사한 권한을 가지며 국가와 직접 소통이 가능하고 지방선거도 같은 시기에 실시되지만, 특별구는 지정될 수 없고 지역 불균형, 과도한 개발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일본의 행정 구역 - 도 (행정 구역)
    도는 여러 국가에서 행정 구역 단위로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의 지위가 변화했고, 한반도에서는 조선의 8도 체제가 남북한의 도 체계의 기반이 되었으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만 '도' 명칭을 사용하고,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다른 국가에서도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행정 구역 단위 - 행정동
    행정동은 법정동을 기준으로 설치되며, 행정력 효율성을 위해 법정동을 통합하거나 분할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다.
  • 행정 구역 단위 - 구성국
    구성국은 단일 국가 내에서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나 완전한 독립성은 없는 자치 또는 연합된 단위들을 의미하며, 연합 왕국이나 연방 국가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자치권과 중앙 정부 권한 간의 균형은 지속적인 논의 대상이다.
고아자

2. 역사

일본에서 자(字)는 논밭, 산림 등의 소명(小名)으로 헤이안 시대의 장원 문서에도 나타났지만, 태합검지 이후 제도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2] 토지 한 필지마다 소속된 자가 기재되었고, 자부장에 의해 자마다 묶여졌으며, 명부장에도 자명이 기재되었다.[2] 자 지명은 헤이안 시대 이후 문서에서 보이지만, 태합검지 이후 보편적으로 사용되었고, 필요에 따라 정리되어 기록되었으며, 근세 촌의 검지장, 수장 등에 토지 한 필지마다 자가 기록되었다.[1][2]

부동산 등기에서는 등기부상 한 필지마다의 토지를 소자 단위로 정리하고, 대자 단위로 관리한다. 주민 기본 대장의 주소 표기 등에도 사용된다.

2. 1. 한국

한국에서는 조선시대부터 토지 조사 및 세금 징수를 위해 유사한 개념이 사용되었으나, '자'라는 용어 자체는 일제강점기에 도입되어 토지대장 등에 사용되었다.[2] 해방 이후에도 토지 등기 및 주소 체계에 '자'가 활용되었으나, 현대에 들어서면서 점차 사용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토지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지번 주소 대신 도로명 주소를 도입하면서, '자' 대신 도로명과 건물번호를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2. 2. 일본

일본에서 자(字)는 논밭, 산림 등의 소명(小名)으로 헤이안 시대의 장원 문서에도 나타났다. 태합검지 이후 제도적 의미를 갖게 되었으며[2], 토지 한 필지마다 소속된 자가 기재되었다[2]. 에도 시대에는 마을(현재의 대자(大字)에 해당)을 검지할 때 검지장 1장당 하나의 소자를 붙였다. 따라서 검지가 행해진 연도에 따라 소자 구역이 바뀌는 경우도 많았고, 현재 남아있는 소자명과 과거 지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당시 농민들이 통칭하던 지역명이 기원이 된 경우도 있어 문자 표기가 불명확하거나 가타카나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5].

1889년(메이지 22년) 시제·정촌제 시행, 1944년(쇼와 19년) 전시 정촌 합병 촉진법 시행, 1953년 (쇼와 28년) 정촌 합병 촉진법 및 1956년 (쇼와 31년) 신 시정촌 건설 촉진법 전후[6], 1999년 (헤이세이 11년) 지방 분권 일괄법[7] 시행 등 여러 차례 시정촌 합병이 이루어졌다.

대자는 메이지 시대 합병으로 소멸된 에도 시대부터의 마을 명칭 및 구역을 계승한 것이고, 소자는 그 마을 안의 세세한 집락이나 경지를 가리키는 지명이다[8]. 부동산 등기에서는 등기부상 한 필지마다의 토지를 소자 단위로 정리하고, 대자 단위로 관리한다. 주민 기본 대장의 주소 표기 등에도 사용된다.

3. 표기

공적인 주소나 소재지 표기에서는 일반적으로 "字"를 붙여 "字○○"로 표기하지만, 드물게 "小字○○"로 표기하는 지역도 있다.[10]

3. 1. 한국

한국에서는 '자'를 생략하고 지번만 표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예: ○○동 ○○번지) 토지 등기부나 주민 기본 대장 등에서의 소재지·주소의 공적인 표기에서는 '자○○'이지만, 대자 단위로 지번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우편물 송부 등의 안내에서 줄여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도로명주소가 도입된 이후에는 '자' 표기가 더욱 줄어들고 있다.

3. 2. 일본

일본에서 자(字)는 논밭, 산림 등의 소명(小名)으로 헤이안 시대의 장원 문서에서도 나타났지만, 태합검지 이후 제도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2] 토지 한 필지마다 자가 기재되었고, 자부장에 의해 자마다 묶여졌으며, 명부장에도 자명이 기재되었다.[2] 자 지명에 대한 언급은 헤이안 시대 이후의 문서에서 보이지만, 태합검지 이후에는 보편적으로 사용되었고, 필요에 따라 정리되어 기록되었으며, 근세의 "촌"에 검지장, 수장 등에 토지 한 필지마다의 자가 기록되었다.[1][2]

토지의 권리 관계를 공시하는 부동산 등기에서는 등기부상의 한 필지마다의 토지를 소자 단위로 정리하고, 더 나아가 그것을 대자 단위로 관리하고 있다. 또한 주민 기본 대장에서의 주소 표기 등에도 사용된다.

표기의 순서는 자치체명, 대자, 소자, 번지 순으로 나열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예외도 많다.[9] 공적인 주소나 소재지의 표기에서는 일반적으로 "字"를 붙여 "字○○"로 표기하지만, 드물게 "小字○○"로 표기하는 지역도 있다.[10] 또한 대자를 폐지하고 "○○町"의 표기로 한 지역에서도 소자를 남겨두는 경우가 많다.

"字"를 붙이지 않는 경우는 대개 다음의 이유에 따른다.

  • '''字 표기를 폐지하는 경우''': "字○○"를 "○○"라는 자(아자)로 변경하는 경우. 이 경우, 지방자치법 제260조 제1항에 의거하여 시町村장이 해당 시町村의 의회의 의결을 거쳐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 '''字 표기를 생략하는 경우''': 토지 등기부나 주민 기본 대장 등에서의 소재지·주소의 공적인 표기에서는 "字○○"이지만, 대자 단위로 지번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우편물 송부 등의 안내에서 줄여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丁目"라는 표기에 대해 "○○"가 대자(또는 町), "×丁目"가 소자라는 해석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丁目"으로 하나의 "町"이다. "×丁目"가 소자인 경우도 있지만 드물다(예: 아이치현 오카자키시 이다 정'''자 1정목''', 동 '''자 3정목''', 동 '''자 4정목''' 등).

4. 소자의 폐지 및 명칭 변경

도시 지역에서는 구획 정리 사업이나 주거 표시 도입으로 소자가 폐지되는 경우가 많다. 소자 폐지의 주된 이유는 소자 경계선이 복잡하고 반드시 길로 구분되어 있지 않으며, 지번 부여 방식에 규칙이 없고 토지 측량 순서에 따라 부여된다는 점, 그리고 옛 마을의 월경지가 서로 얽혀 있기 때문이다.

4. 1. 일본

일본에서 자(字)는 논밭, 산림 등의 작은 이름(小名)으로 헤이안 시대의 장원 문서에도 나타났지만, 태합검지 이후 제도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2] 소속된 자는 토지 한 필지마다 기재되었고, 자부장에 의해 자마다 묶여졌으며, 명부장에도 자명이 기재되었다.[2] 에도 시대에는 마을(현재의 대자(大字)에 해당)을 검지할 때, 검지장 1장당 하나의 소자를 붙였기 때문에 검지가 행해진 연도에 따라 소자의 구역이 바뀌는 경우도 많아, 현재 남아있는 소자명과 과거의 지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당시 농민들이 통칭하던 지역명이 기원인 경우도 있기 때문에, 문자 표기가 불명확한 경우도 많아 가타카나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5]

1889년(메이지 22년)경의 시제·정촌제 시행, 1944년(쇼와 19년)의 전시 정촌 합병 촉진법 시행(전후 해소된 것도 많이 있지만 영향은 남는다), 1953년 (쇼와 28년)의 정촌 합병 촉진법 및 1956년 (쇼와 31년)의 신 시정촌 건설 촉진법 전후[6], 그리고 1999년(헤이세이 11년)의 지방 분권 일괄법[7]의 4개 시대에 걸쳐 많은 시정촌 합병이 이루어졌다.

도시 지역에서는 과거에 소자(小字)가 존재했더라도[11], 구획 정리 사업이나 주거 표시 도입으로 소자는 폐지되는 경우가 많다. 소자 폐지의 주된 이유는 소자 경계선이 복잡하고 반드시 길로 구분되어 있지 않으며, 지번 부여 방식에 규칙이 없고 토지 측량 순서에 따라 부여된다는 점, 그리고 옛 마을의 월경지가 서로 얽혀 있기 때문이다.

번지를 소자 구역마다 기번(起番)하는 지역에서는 지번 식별에 소자가 필요하지만,[12] 대자 구역마다 기번하는 지역에서는 소자가 불필요하여 행정상 폐지하는 경우가 많다.[13] 드물게 소자가 신설되는 예도 있다.[15] 소자를 주소 표기에 사용하는 시정촌에서는 시제 시행 등에 따라 소자 명칭이 변경되기도 한다.

2010년 (헤이세이 22년) 1월 4일에 시제를 시행한 미요시시2014년 (헤이세이 26년) 1월 1일에 시제를 시행한 타키자와시는 시제 시행을 계기로 소자 명칭을 변경했다.[16][17]

소자 명칭 변경 사례
지자체변경 전변경 후
미요시시오아자 니시잇시키 자 무라(むら)니시잇시키초 나카(なか)
미요시시오아자 아케치 자 이모소(いもそう)아케치초 미나미(みなみ)
미요시시오아자 아케치 자 이모다(いもだ)아케치초 유타카(ゆたか)
타키자와시시노기 자 지고쿠자와(じごくざわ)시노기 소토야마(そとやま)
타키자와시오가마 자 고미타마리(ごみたまり)오가마 오오시미즈히가시(おおしみずひがし)


5. 소자에 관한 논고

일본에서 자(字)는 논밭·산림 등의 소명(小名)으로 헤이안 시대의 장원 문서에서도 나타났지만, 태합검지 이후 제도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2] 소속된 자는 토지 한 필지마다 기재되었고, 자부장에 의해 자마다 묶여졌으며, 명부장에도 자명이 기재되었다.[2] 자 지명에 대한 언급은 헤이안 시대 이후의 문서에서 보이지만, 태합검지 이후에는 보편적으로 사용되었고, 필요에 따라 정리되어 기록되었으며, 근세의 "촌"에 검지장, 수장 등에 토지 한 필지마다의 자가 기록되었다.[1][2]

메이지 시대 이후로 자명이 정리된 지역이 많지만, 쿠와바라 키미노리는 "소지명이라고는 하지만, 자명은 귀중한 문화재이므로, 그 보존에 힘쓰는 동시에 소멸된 자명은 수집하여 기록에 남겨둘 필요가 있다"라고 언급했다.[1]

또한 이마오 케이스케에 따르면, 메이지 시대에 정리된 소자 중에는, 번호·가나·십간·십이지 등, 고유 명사가 아닌 자명이 된 지역도 존재한다고 한다.[18]

참조

[1] 서적 日本歴史地理用語辞典 新装版 柏書房 1991-01-01
[2] 서적 国史大辞典 第一巻 吉川弘文館 1979-03-01
[3] 문서 耕区
[4] 문서 諫早湾
[5] 문서 ヲヲガケ
[6] 문서 昭和の大合併
[7] 문서 平成の大合併
[8] 문서 新宿市大字渋谷字池袋
[9] 문서 愛知県名古屋市千種区猪高町大字猪子石字猪々道 http://www2.odn.ne.j[...]
[10] 문서 京都府乙訓郡大山崎町
[11] 문서 明治
[12] 문서 青森県
[13] 문서 千葉県銚子市
[14] 문서 八戸市鮫町
[15] 웹사이트 新潟県見附市田井町栃栄町 https://www.google.c[...]
[16] 웹사이트 市制施行について http://www.city.aich[...] みよし市
[17] 웹사이트 市制ガイドのページ http://www.city.taki[...] 滝沢市
[18] 서적 住所と地名の大研究 新潮選書 200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