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욤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욤나무는 서남아시아와 동남유럽이 원산지인 낙엽 활엽수로, 동아시아, 지중해 서부, 스페인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높이 15m까지 자라며, 잎은 타원형, 꽃은 연한 녹색이며, 열매는 둥근 장과로 황색 또는 암자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식용 가능하며,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감나무 접목 시 대목으로 사용되며, 목재는 기구재로 쓰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욤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학명 | Diospyros lotus |
| 이명 | Dactylus trapezuntinus Diospyros calycina D. lotus var. angustifolia D. lotus f. ellipsoidea D. lotus f. globosa D. lotus var. laevis D. lotus f. longifolia D. lotus var. mollissima D. lotus f. ovoidea D. mediterranea D. umlovok |
| 한국어 이름 | 마메가키 시나노가키 부도가키 고욤나무 |
| 영어 이름 | date plum |
| 분류 | |
| 계 | 식물계 |
| 문 | 피자식물문 |
| 강 | 쌍떡잎식물강 |
| 목 | 진달래목 |
| 과 | 감나무과 |
| 속 | 감나무속 |
| 보존 상태 | |
| IUCN | LC (최소 관심) |
| 평가 기준 | IUCN 3.1 |
| 분포 | |
| 서식지 | 아시아, 유럽 |
2. 분포 및 생태
고욤나무는 서남아시아와 동남유럽이 원산지이며, 동아시아에서 지중해 서부, 스페인까지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코카서스 산맥의 낮은 지대와 중간 지대(해발 600m)에서 주로 자라며, 중앙아시아에서는 해발 2000m까지 자라는 경우도 있다. 팽나무, 물푸레나무, 단풍나무 등 다른 낙엽성 수종과 함께 자라는 경우가 많다. 토양을 가리지 않고 바위가 많은 경사면에서도 잘 자라지만, 햇빛이 잘 드는 환경을 선호한다. 미국 및 북아프리카에서도 재배된다.
2. 1. 어원
고욤나무는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신의 열매"(Διός πυρός|디오스 퓌로스grc)로 알려졌으며, 이 때문에 속명(Diospyros)의 어원이 되었다. 영어 이름(Date-plum)은 아마도 페르시아어 ''Khormaloo''(خرمالو)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며, 문자 그대로 "대추-자두"를 의미한다. 이는 이 과일의 맛이 자두와 대추야자를 연상시키는 데서 비롯되었다. 파키스탄에서는 ''Amlok''(املوک)이라고 불리며 말려서 섭취한다. 이 종은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에 언급된 "연꽃 나무"의 유력한 후보 중 하나이다. 그 맛이 너무나 훌륭해서 그것을 먹은 사람들은 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잊고 연꽃을 먹는 사람들과 함께 머물며 연꽃을 먹고 싶어 했다.3. 형태
높이는 15m 정도이며, 작은 가지에는 회색 털이 있으나 차차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끝이 급히 좁아져 뾰족하다. 잎 뒷면은 흰빛을 띤다. 잎은 윤기가 나고 가죽 같으며, 길이는 5cm, 너비는 3cm이다. 꽃은 2가화(암수딴그루)로, 6월에 연한 녹색(또는 노란빛을 띤 흰색) 꽃이 새 가지 밑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수꽃은 2~3개씩 한 군데에 달리고 수술이 16개이며, 암꽃은 꽃밥이 없는 8개의 수술(퇴화된 수술)과 1개의 암술로 되어 있다. 열매는 둥근 장과로, 10월에 황색 또는 암자색으로 익는다. 지름은 1cm이다. 씨앗은 얇은 껍질과 매우 단단한 배유를 가지고 있다.
4. 용도
열매는 식용 가능하며 많은 당분, 사과산,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다. 덜 익은 열매를 따 저장하였다가 익으면 먹기도 하고, 생과일 또는 서리가 내린 이후에 섭취하기도 한다. 건조하거나 서리가 내리면 떫은 맛이 사라진다. 열매는 '군천자(君遷子)'라 불리며 한방에서 소갈, 번열증 등에 사용된다. 미숙과는 감 떫은 즙 채취에 사용된다. 씨를 뿌려서 난 고욤나무는 감나무 접목 때 대목 용도로 널리 쓰인다. 목재는 기구재로 쓰이며, 드물게 흑감이 채취되기도 한다.
5. 품종
6. 사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