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트프리트 하벌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트프리트 하벌러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경제학자로, 국제 무역 이론, 경기 순환 이론, 인플레이션 연구에 기여했다. 빈 대학교에서 정치학 및 경제학을 공부하고 오스트리아 학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1936년 하버드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1971년 은퇴할 때까지 재직했다. 주요 저서로는 《국제 무역 이론》(1936), 《번영과 불황》(1937), 《인플레이션: 그 원인과 해결책》(1960) 등이 있으며, 국제 경제 협회 회장(1950–1953)을 역임했다. 하벌러는 기회 비용 이론을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받으며, 1995년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유지상주의 경제학자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오스트리아 학파의 경제학자이자 철학자로서, 자유 시장과 법치주의를 옹호하며 1974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자유지상주의 경제학자 - 게리 베커
게리 베커는 미국의 경제학자로서, 인적 자본, 차별, 가족, 범죄 등 사회 현상을 경제학적으로 분석하여 1992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오스트리아 학파의 경제학자이자 철학자로서, 자유 시장과 법치주의를 옹호하며 1974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 - 카를 멩거
카를 멩거는 오스트리아 학파의 창시자이자 경제학자로, 주관적 가치 이론과 한계효용 이론을 정립하고 사회과학 방법론에 대한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하여 오스트리아 학파를 확립하는 데 기여하였다. - 오스트리아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피터 L. 버거
피터 L. 버거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사회학자로서, 사회학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사회적 현실 구성 과정을 설명했으며, 종교 사회학 분야에서 현대 사회의 종교적 역할을 탐구했다. - 오스트리아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카를 란트슈타이너
오스트리아 출신의 병리학자이자 면역학자인 카를 란트슈타이너는 ABO식 혈액형 발견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수혈 의학 발전과 폴리오 바이러스 분리, M, N, P 혈액형 및 Rh 인자 발견 등 면역학 및 바이러스학 분야에 크게 기여하여 '수혈 의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고트프리트 하벌러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트프리트 하벌러 |
출생 | 1900년 7월 20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헝가리 푸르커스도르프 |
사망 | 1995년 5월 6일 |
사망지 | 워싱턴 D.C. |
국적 | 오스트리아, 미국 |
학문 분야 | 국제 경제학 |
모교 | 빈 대학교 |
지도교수 | 오트마어 슈판 |
지도교수 | 루트비히 폰 미제스 |
영향을 준 인물 | 프리드리히 폰 비저 |
경력 | |
근무 기관 | 하버드 대학교 |
학문적 영향 | |
제자 | 리처드 E. 케이브스 |
학파 | |
학파 | 오스트리아 학파 |
2. 생애
고트프리트 하벌러는 1900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났다. 1923년과 1925년 빈 대학교에서 각각 학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27년부터 1929년까지 록펠러 재단의 장학금으로 영국과 미국을 여행했다. 1928년 빈 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고, 1932년 하버드 대학교 강사가 되었다. 1934년부터 1936년까지 국제 연맹에서 근무했다. 1936년 하버드 대학교로 돌아와 경제학 교수가 되었으며, 1971년 은퇴할 때까지 재직했다. 은퇴 후에는 워싱턴 D.C.에 있는 미국 기업 연구소(American Enterprise Institute)의 전임 연구원으로 활동했으며, 1995년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 (1900-1927)
하벌러는 1900년 오스트리아-헝가리에서 태어났다.[1]빈에서 중등학교를 졸업한 후, 빈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하기 시작하여 1923년 3월 "환율 이론의 교리사"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그는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에서 교육을 받았다.[1]
1924년 여름 빈의 상공 회의소에서 사서로 일했으며, 1925년 11월에는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1927년부터 1929년까지 박사 후 연구생으로 런던 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공부했다.[1]
2. 2. 학문적 성장과 국제 연맹 활동 (1927-1936)
하벌러는 1927년부터 1929년까지 런던 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생으로 공부했으며, 1928년 빈 대학교에서 "지수의 의미"라는 논문으로 정치 경제학과 통계학을 강의했다.[1] 1929년, 빈 상공 회의소에서 법률 고문으로 활동하기 시작했고(1934년까지) 동시에 하버드 대학교에서 객원 강사로 강의를 하기도 했다(1931/32년).[1] 1934년부터 1936년까지 국제 연맹의 경제 및 금융 기구에서 근무했다.[1]2. 3. 하버드 대학교 교수 시절과 미국 생활 (1936-1971)
1936년 하벌러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에 합류하여 요제프 슘페터와 함께 일했다.[1] 1971년 퇴임할 때까지 하버드 대학교에 재직했다.[1]2. 4. 미국 기업 연구소(AEI) 연구원 및 말년 (1971-1995)
1971년 워싱턴 D.C.에 있는 미국 기업 연구소(American Enterprise Institute)의 전임 연구원이 되었다.[1] 1995년 94세로 사망했다.[1]3. 주요 연구 업적
고트프리트 하벌러는 국제 무역, 경기 순환, 인플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업적을 남겼다.
존 스튜어트 밀과 프리드리히 폰 비저가 발전시킨 기회비용 이론을 더욱 발전시켰으며, 비교 생산비라는 고전파 이론을 일반 균형 이론으로 정식화했다.[11] 그의 주요 저서로는 《국제 무역 이론》(1936)과 《번영과 불황》(1937)이 있다.
국제 경제 협회 회장(1950–1953)을 역임했다.[11]
오스트리아 학파 출신이지만, 반드시 오스트리아 이론을 따르지는 않았다.[11]
3. 1. 국제 무역 이론
하벌러는 존 스튜어트 밀이 개척하고 프리드리히 폰 비저가 발전시킨 기회 비용 이론을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받는다.[11] 1936년에 출간된 그의 저서 《국제 무역 이론》(The Theory of International Trade)에서 비교 생산비라는 고전파 이론을 일반 균형 이론으로 훌륭하게 정식화했다. 제이콥 바이너는 《국제 무역의 이론 연구》(1937년, 1958년)에서 이에 이의를 제기했지만 결론은 나지 않았다.[11]1957년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은 1차 상품의 교역 조건에 관한 보고서를 의뢰했고, 하벌러가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보고서는 1차 생산자의 교역 조건이 하락했음을 발견했는데, 1955년 이후 상품 가격은 5% 하락한 반면, 산업 가격은 6% 상승했다고 한다. 하벌러의 보고서는 1949년 라울 프레비쉬, 1950년 한스 싱어가 작성한 보고서와 유사했다. 그러나 1964년 프레비쉬 또는 유엔 무역 개발 회의(UNCTAD)의 두 번째 보고서가 나오자 하벌러는 이를 비난했다. 그가 특히 반대했던 점은 교역 조건이 장기적으로 체계적으로 하락한다는 생각이었다.[11]
3. 2. 경기 순환 이론
하벌러는 1937년에 《번영과 불황: 경기 순환 운동에 대한 이론적 분석(Prosperity and Depression: A theoretical analysis of cyclical movements)》을 출판하여 경기 순환 이론을 제시했다.[11] 이 책은 1946년에 3판이 출판되기도 했다. 하벌러는 오스트리아 학파 출신이지만, 반드시 오스트리아 이론을 따르지는 않았다.3. 3. 인플레이션 연구
하벌러는 1960년에 출간된 ''인플레이션: 그 원인과 해결책(Inflation: Its causes and cures)''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자신의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11]4. 평가 및 영향
하벌러는 존 스튜어트 밀이 개척하고 프리드리히 폰 비저가 발전시킨 기회비용 이론을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1] 그의 주요 저서로는 《국제 무역 이론》(1936)과 《번영과 불황》(1937)이 있다. 그는 국제 경제 협회 회장(1950–1953)을 역임했다. 1971년 하버드를 떠나 미국 기업 연구소의 연구원이 되었으며, 1995년 파킨슨병으로 사망했다.
4. 1. 비판적 시각
하벌러는 1957년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GATT) 보고서 위원장을 맡아 1차 상품의 교역 조건이 하락했음을 발견했다. 이는 1949년 라울 프레비쉬와 1950년 한스 싱어의 보고서와 유사했지만, 1964년 프레비쉬 또는 유엔 무역 개발 회의(UNCTAD)의 두 번째 보고서에 대해서는 교역 조건의 장기적, 체계적 하락 주장을 비판했다.[1]5. 주요 저서
- 《지수 숫자의 의미(Der Sinn der Indexzahlen)》, 192 (하빌리타치온).[11]
- 〈어빙 피셔의 '이자 이론'(Irving Fisher's 'Theory of Interest')〉, 1931, ''QJE''.
- 〈돈과 경기 순환(Money and the Business Cycle)〉, Wright (ed.), 《금과 통화 안정(Gold and Monetary Stabilization)》, 1932
- 《국제 무역(Der Internationale Handel)》, 1933.
- [https://mises.org/books/Theory_Of_International_Trade_Haberler.pdf 《국제 무역 이론(The Theory of International Trade)》], 1936.
- 〈케인즈의 승수 이론(Mr Keynes' Theory of the Multiplier)〉, 1936, ''ZfN''
- [https://mises.org/books/prosperity_and_depression_Haberler.pdf 《번영과 불황: 경기 순환 운동에 대한 이론적 분석(Prosperity and Depression: A theoretical analysis of cyclical movements)》], 1937. (1946년에 출판된 3판)
- 〈10년 후의 일반 이론(The General Theory After Ten Years)〉, Harris (ed.), 《새로운 경제학(The New Economics)》, 1947.
- 〈외환 시장과 국제 수지의 안정성(The Market for Foreign Exchange and the Stability of the Balance of Payments)〉, 1949, ''Kyklos''.
- 〈국제 무역의 순수 이론에 대한 몇 가지 문제(Some Problems in the Pure Theory of International Trade)〉, 1950, ''EJ''.
- 〈다시 한번 피구 효과(The Pigou Effect Once More)〉, 1952, ''JPE''.
- 〈16년 후(Sixteen Years Later)〉, Lekachman (ed.), 《케인즈의 일반 이론(Keynes's General Theory)》, 1963.
- 〈원근법에서의 세계 경제의 통합과 성장(Integration and Growth of the World Economy in perspective)〉, 1964, ''AER''.
- 《국제 경제에서의 돈(Money in the International Economy)》, 1965.
- [https://mises.org/books/Inflation_its_cause_and_cure_haberler.pdf 《인플레이션: 그 원인과 해결책(Inflation: Its causes and cures)》], 1960.
- 〈경제 안정과 성장을 위한 통화 및 재정 정책(Monetary and Fiscal Policy for Economic Stability and Growth)〉, 1967, ''Il Politico''.
- 〈사회주의 국가의 무역에 대한 이론적 고찰(Theoretical Reflections on the Trade of Socialist Countries)〉, 1968, in Brown and Neuberger (eds.), 《국제 무역과 중앙 계획(International Trade and Central Planning)》.
- 《소득 정책과 인플레이션(Incomes Policy and Inflation)》, 1971.
- 《경제 성장과 안정(Economic Growth and Stability)》, 1974.
- 《국제 통화 질서의 미래에 대한 두 편의 에세이(Two Essays on the Future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Order)》, 1974.
- 《세계 경제와 대공황(The World Economy and the Great Depression)》, 1976.
- 《스태그플레이션의 문제: 거시경제 이론과 정책의 미시적 기초에 대한 고찰(The Problem of Stagflation: Reflection on the Microfoundation of Macroeconomic Theory and Policy)》, 1985.
- 《고트프리트 하벌러의 에세이(Essays of Gottfried Haberler)》(ed. A. Koo), 1985.
- 《자유주의 경제 질서(The Liberal Economic Order)》, (ed. A. Koo), 1993.
- 《하벌러 경기 불경기론》 1939년 개정 증보 3판, 쿠와바라 스스무 역, 실업지일본사, 1944년
- 《하벌러 국제무역론》(상권, 하권), 마츠이 키요시, 오카쿠라 하쿠시 공역, 유히카쿠, 1937년
- 《호황 및 불황의 이론 - 순환 운동의 이론적 분석》 초판, 우지타 토미조 역, 세이와 서방, 1938년
- 《경기 변동론》 5판 (상, 하), 마츠모토 타츠지, 가토 히로시, 야마모토 에이타로, 사사하라 쇼고 공역, 도요게이자이신보사, 1966년
- 《인플레이션 - 그 원인과 대책》, 가토 히로타카, 코야마 타카마사 공역, 도요게이자이신보사, 1969년
- 《G. 하벌러 중요 논고 선집》, 오카다 무츠미 감수, 키무라 시게루, 타나카 키스케, 나카우치 츠네오, 사노 신사쿠, 쿠라시나 히사오, 시마무라 코우키 공역, 케이분샤, 1987년
참조
[1]
문서
de:Adelsaufhebungsgesetz
[2]
서적
Who's Who in Economics: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Major Economists 1700-1986
https://archive.org/[...]
Wheatsheaf Books Limited
[3]
서적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Macmillan Palgrave
[4]
간행물
Haberler, the League of Nations, and the Quest for Consensus in Business Cycle Theory in the 1930s
http://dx.doi.org/10[...]
2006
[5]
간행물
Professor Haberler on the Trade Cycle
https://www.jstor.or[...]
1938
[6]
간행물
Gottfried Haberler's Contributions to International Trade Theory and Policy
[7]
간행물
Transnationalism and the League of Nations: Understanding the Work of Its Economic and Financial Organisation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12-20
[8]
문서
Opportunity Cost: A Fabian Idea?
2015-05-26
[9]
문서
Theory of International Trade
1968
[10]
뉴스
Economist Gottfried Haberler, A Defender of Free Trade, Dies
https://www.washingt[...]
2020-05-14
[11]
웹사이트
CV
https://geschichte.u[...]
[12]
저널
Gottfried Haberler's Contributions to International Trade Theory and Policy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