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플레이크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골드플레이크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군이 이탈리아 전선에서 병력을 재편성하고 다른 전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계획된 작전이다. 1945년 2월 22일부터 시작되어 4월 말까지 6만 명 이상의 병력과 물자가 이탈리아에서 프랑스 마르세유를 거쳐 벨기에 국경까지 이동했다. 이 과정에서 독일군의 눈을 속이기 위해 '펜나이프'라는 은폐 작전이 수행되었으며, 독일군은 캐나다군의 실제 위치를 파악하는 데 상당한 혼란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 중 캐나다의 군사사 - 트랙터블 작전
트랙터블 작전은 1944년 8월 노르망디 전선에서 영국-캐나다군이 팔레즈 포위망을 완성하기 위해 기계화 보병과 중폭격기를 활용하여 진행한 군사 작전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캐나다의 군사사 - 윈저 작전
윈저 작전은 1944년 7월 연합군이 캉 점령을 위해 제3캐나다보병사단을 주축으로 카르피케 비행장 점령과 독일군 방어선 돌파를 시도했으나, 독일군의 저항과 작전 계획 문제로 피해를 입고 목표를 완전히 달성하지 못했으며, 캉 전투에 영향을 미치고 켈러 소장의 지휘 능력에 대한 논란을 야기했다. - 캐나다의 군사사 - 캐나다 군단
캐나다 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원정군의 지휘를 받아 여러 전투에서 활약하며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했고, 캐나다의 국가 정체성 확립에도 영향을 미쳤다. - 캐나다의 군사사 - 6.25 전쟁 기간 캐나다의 군사사
6.25 전쟁 기간 캐나다의 군사사는 유엔 결의에 따라 한국 전쟁에 참전한 캐나다군의 군사적 활동으로, 육군, 해군, 공군을 파병하여 가평 전투 등에 참여, 총 26,791명의 병력을 파견하여 516명의 전사자와 1,042명의 부상자를 냈으며, 정전 후에도 한반도 평화 유지 노력과 대한민국과의 우호 관계를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 이탈리아 전역 - 몬테카시노 전투
몬테카시노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에서 연합군과 독일군이 카시노와 몬테 카시노 수도원을 중심으로 격렬하게 싸운 네 차례의 전투로, 막대한 인명 피해와 전략적 중요성, 그리고 수도원 파괴를 포함한 잔혹성으로 역사에 기록되었으며, 연합군의 승리로 로마 해방의 발판을 마련했지만 큰 희생을 초래했다. - 이탈리아 전역 - 카시빌레 휴전
카시빌레 휴전은 1943년 이탈리아가 연합국에 항복하고 추축국에서 이탈하기 위해 체결된 비밀 휴전 협정이며, 이로 인해 이탈리아는 혼란에 빠지고 독일군에 점령당했으며, 연합군의 이탈리아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골드플레이크 작전 | |
|---|---|
| 골드플레이크 작전 | |
![]() | |
| 정보 | |
| 날짜 | 1944년 11월 – 1945년 5월 |
| 위치 | 이탈리아 |
| 결과 | 성공 |
| 교전 세력 | |
| 연합군 | 영국 캐나다 폴란드 |
| 추축국 | 나치 독일 |
| 지휘관 및 지도자 | |
| 연합군 | 해럴드 알렉산더 경 올리버 리스 경 리처드 갈 경 스타니스와프 마체크 장군 |
| 추축국 | 알베르트 케셀링 원수 |
| 병력 규모 | |
| 연합군 | 175,000+ |
| 사상자 | |
| 연합군 | 알 수 없음 |
| 추축국 | 알 수 없음 |
2. 계획 단계
골드플레이크 작전은 대규모 병력을 다른 전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이동을 은폐하기 위한 계획이었다. 이 이동은 이탈리아 전선에서 병력 재편성을 통해 부대를 회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이탈리아 남부에 병력과 행정 센터가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었기 때문에 방대한 양의 계획이 필요했다. 열차와 도로 수송을 준비해야 했으며, 독일군의 반격으로 전선이 취약해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했다. 병력과 물자는 이탈리아 나폴리와 리보르노 항구에서 프랑스 마르세유로 매일 3,700명, 탱크 40대, 바퀴 달린 차량 650대, 수송차량 50대의 속도로 이동될 예정이었다.
1945년 2월 22일, 캐나다군은 이탈리아에서 프랑스 마르세유로 이동을 시작했다. 마르세유까지는 배로 이동하였으며, 대부분 이틀이 걸렸다. 그 후 벨기에 국경까지 1085km를 5일 동안 육로로 이동해야 했다.[2] 4월 말까지 6만 명이 넘는 병력과 지원 병력이 이탈리아에서 북서 유럽으로 이동했다.[2]
3. 실시 단계
속도가 중요했지만, 연합군은 독일군이 이 계획을 알아채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결국 1945년 4월 3일 한 캐나다 언론인이 보안을 무너뜨렸고, 모든 캐나다 보병과 기갑 부대가 해리 크레러 장군의 지휘 하에 재결합했다고 발표했다.[3] 연합군 사령부는 여전히 독일군이 캐나다군의 위치를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고 믿을 만한 이유가 있었기 때문에 이전에 대한 공식 발표 허가는 4월 20일까지 연기되었다. 캐나다인들은 1945년 4월 23일에 공식적으로 이 사실을 알았지만, 언론의 침묵은 이미 캐나다의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져있었기 때문에 사실상 검열에 의해서만 유지되었다.[4]
3. 1. 펜나이프 작전
연합군은 이탈리아에서 캐나다군의 이동을 은폐하기 위해 "펜나이프" 작전을 시행했다. 이를 위해 제1캐나다 특별 바스라 부대라는 임시 부대가 창설되었다. "바스라"는 은폐 작전의 암호명이었으며, 이 부대는 해체되는 다른 부대(예: 제1항말라리아 통제 부대)에서 차출된 230명의 장교와 병사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독일군이 캐나다군이 주둔하고 있다고 믿는 이탈리아 각지를 돌아다니며 위치 표지판을 설치하고 다음날 이동하는 방식으로 위장 작전을 펼쳤다. 모든 캐나다 클럽, 호스텔, 휴가 센터 및 병원은 계속 운영되었고, 캐나다군 뉴스레터인 "메이플 리프"는 3월 중순까지 로마에서 계속 발행되었다.[2]
캐나다 왕립 통신대는 허위 무선 통신을 보내 독일군을 속였다. 독일군이 이러한 메시지를 방해하려는 노력을 통해 펜나이프 작전의 성공이 입증되었다. 전후 획득한 독일 문서에 따르면, 펜나이프 작전은 캐나다군이 이탈리아에서 벨기에로 이동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은폐했다. 3월 말까지 독일 정보 지도에는 캐나다군이 이탈리아 여러 지역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월 17일, 모든 캐나다군이 벨기에나 프랑스 북부에 있었음에도 독일군은 여전히 안코나 지역에 캐나다군이 있다고 믿었으나, 제1캐나다 장갑 여단의 정확한 위치는 파악하지 못했다. 4월 중순이 되어서야 독일 지도에서 캐나다군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
4. 작전 결과
펜나이프 작전은 성공적이었다. 독일군은 캐나다군이 이탈리아에서 벨기에로 이동하는 것을 알아채지 못했다. 3월 말 독일군 정보 지도에는 캐나다군이 이탈리아 여러 곳에 분산 배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3월 17일, 모든 캐나다군이 벨기에나 프랑스 북부에 있었음에도 독일군은 여전히 캐나다군이 안코나 지역에 있다고 믿었지만, 제1캐나다 장갑 여단의 정확한 위치는 파악하지 못했다.[2] 4월 중순이 되어서야 독일군 지도에서 캐나다군이 사라졌다.
1945년 4월 3일, 한 캐나다 언론인이 보안을 무너뜨려 모든 캐나다 보병과 기갑 부대가 해리 크레러 장군의 지휘 아래 재결합했다고 보도했다.[3] 그러나 연합군 사령부는 독일군이 여전히 캐나다군의 위치를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4월 20일까지 공식 발표를 연기했다. 캐나다 국민에게는 1945년 4월 23일에 공식적으로 통보되었으나, 언론 통제로 인해 이미 대부분의 캐나다 국민이 알고 있는 사실이었다.[4]
참조
[1]
서적
1945
모던아카이브
2012
[2]
서적
The Canadians in Italy, 1943-1945
1956
[3]
서적
The Canadians in Italy, 1943-1945
1956
[4]
서적
The Canadians in Italy, 1943-1945
195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