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루바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골루바츠는 세르비아어로 "비둘기의 도시"를 의미하며, 다뉴브강에 위치한 도시이다. 로마 시대에는 쿠파에 요새였으며, 골루바츠 요새가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14세기부터 19세기까지 헝가리,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1868년 세르비아가 최종적으로 획득했다.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8,331명이 거주하며,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농업, 가공 산업, 관광이 주요 경제 활동이며, 철문 국립공원과 요트 경기 장소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골루바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골루바츠 |
로마자 표기 | Golubac |
기타 언어 표기 | 루마니아어: Golubăț (골루버츠) 헝가리어: Galambóc (걸럼보츠) 독일어: Taubenberg (타우벤베르크) 튀르키예어: Güvercinlik (귀베르진리크) |
행정 구역 | |
국가 | 세르비아 |
지역 | 남부 및 동부 세르비아 |
구 | 브라니체보 구 |
행정 | |
시장 | 네보이샤 미오비치 (세르비아 진보당) |
지리 | |
면적 (시) | 41.74 제곱킬로미터 |
면적 (지방 자치체) | 367.29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72 미터 |
인구 | |
2022년 (시) | 1445 명 |
인구 밀도 (시) | 자동 계산 |
2022년 (지방 자치체) | 6599 명 |
인구 밀도 (지방 자치체) | 자동 계산 |
구성 | 24개 정착지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하계 시간 | CEST |
UTC 오프셋 (하계) | +2 |
기타 | |
우편 번호 | 12223 |
지역 번호 | +381(0)12 |
차량 번호판 | PO |
기후 | Cfb |
웹사이트 | 골루바츠 공식 웹사이트 |
2. 명칭
세르비아어로 ''골루바츠''(Голубац)라고 하며, ''골루브''("비둘기")에서 파생되어 "비둘기의 도시"로 번역된다. 다른 이름으로는 골루바츠|골루바츠ro (''골룸바쿠 마레'' 또는 ''콜룸바쿠''라고도 함), 갈람보츠|갈람보츠hu, 타우벤베르크|타우벤베르크de, 귀베르신릭|귀베르신릭tr ("비둘기장"을 의미)이 있다.
현대 세르비아는 1868년에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골루바츠를 최종적으로 획득했다.[3] 1929년부터 1941년까지 골루바츠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모라바 바노비나의 일부였다.[3]
역사적으로 라틴어로는 ''콜룸비아'' ( (castrum) Columbaria의 축약형, "비둘기의 도시"를 의미, Columba|콜룸바la, kòlymbos|콜림보스el)로 알려져 있었다. 로마 시대 이전에는 컵페(Cuppae)에서 유래된 도시로 알려져 있다.
3. 역사
3. 1. 고대와 중세
로마와 초기 비잔틴 시대(1~6세기)에는 '''쿠파에'''라는 요새였으며, 554/5년에 도시('''콜룸비아''')로 변모했다.[3]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의 테이블 잔해 중 하나가 트라야누스 다리 근처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다뉴브강의 철문을 통과하는 그의 도로를 따라 위치해 있다. 또한 로마 요새 디아나도 있다. 골루바츠 요새는 하류로 4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14세기에 지어졌고, 흥미로운 유적이다.
헝가리의 카를 1세는 1334년에 이 성을 정복했다. 세르비아의 라자르는 이 성을 포위하여 1382년경에 획득했다. 터키군은 1389년 코소보 전투 이후 처음으로 이곳을 점령했고, 1391년 헝가리 대장 페테르 페레니에게 빼앗겼다가 그해 다시 탈환했다. 헝가리의 지기스문트 국왕은 1392년에 이 요새를 장악했다. 라자르의 아들 스테판 라자레비치가 1403~04년에 헝가리의 봉신이 되었을 때, 그는 지기스문트 국왕으로부터 베오그라드와 골루바츠와 같은 중요한 요새를 포함한 광대한 영지를 받았다. 1426년 지기스문트 국왕과 스테판 간의 계약에 따르면, 스테판이 죽으면 국왕이 골루바츠를 돌려받기로 했지만, 세르비아인 지휘관 예레미야는 12000USD에 터키인에게 팔았다. 이에 지기스문트는 1428년 봄에 요새를 포위했지만, 포위는 실패했고, 국왕 본인은 오스만 술탄 무라드 2세의 진격하는 군대에 의해 거의 죽을 뻔했다. 폴란드 기사 자비샤 차르니는 터키인에게 포로로 잡혀 처형당했다. 골루바츠는 1444년 세게드의 평화 조약까지 오스만 제국에 남아 있었고, 이 조약으로 세르비아 데스포트 주라지 브란코비치에게 양도되었다. 1458년에는 터키군이 다시 점령했다. 헝가리 국왕 마차시 1세 코르빈은 이곳을 탈환하려 했지만, 포위는 헝가리 내부 분쟁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마차시가 마침내 1481년에 요새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지만, 곧 철수했다. 이 요새는 19세기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고, 몇 차례의 중단(특히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의 1688~1690년 지배)이 있었다. 18세기에는 이 요새와 관련된 민간인 정착지는 번영하는 도시로 묘사되었다.
3. 2. 오스만 제국 시대
헝가리의 카를 1세는 1334년에 이 성을 정복했다. 세르비아의 라자르는 1382년경 이 성을 포위하여 획득했다. 1389년 코소보 전투 이후 터키군이 처음으로 이곳을 점령했고, 1391년 헝가리 대장 페테르 페레니에게 빼앗겼다가 그해 다시 탈환했다. 1392년 헝가리의 지기스문트 국왕이 이 요새를 장악했다.[3] 1403~04년에 헝가리의 봉신이 된 라자르의 아들 스테판 라자레비치는 지기스문트 국왕으로부터 베오그라드와 골루바츠를 포함한 광대한 영지를 받았다.[3] 1426년 지기스문트 국왕과 스테판 간의 계약에 따르면, 스테판이 죽으면 국왕이 골루바츠를 돌려받기로 했지만, 세르비아인 지휘관 예레미야는 12000USD에 터키인에게 팔았다.[3] 이에 지기스문트는 1428년 봄에 요새를 포위했지만 실패했고, 국왕 본인은 오스만 술탄 무라드 2세의 진격하는 군대에 의해 거의 죽을 뻔했다.[3] 폴란드 기사 자비샤 차르니는 터키인에게 포로로 잡혀 처형당했다.[3] 골루바츠는 1444년 세게드의 평화 조약까지 오스만 제국에 남아 있다가, 이 조약으로 세르비아 데스포트 주라지 브란코비치에게 양도되었다.[3] 1458년 터키군이 다시 점령했다.[3] 헝가리 국왕 마차시 1세 코르빈은 이곳을 탈환하려 했지만, 포위는 헝가리 내부 분쟁으로 인해 중단되었다.[3] 마차시는 1481년에 요새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지만, 곧 철수했다.[3] 이 요새는 19세기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고, 몇 차례 중단(특히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의 1688~1690년 지배)이 있었다.[3] 18세기에는 이 요새와 관련된 민간인 정착지가 번영하는 도시로 묘사되었다.[3]
3. 3. 근현대
헝가리의 카를 1세는 1334년에 이 성을 정복했다. 세르비아의 라자르는 이 성을 포위하여 1382년경에 획득했다. 터키군은 1389년 코소보 전투 이후 처음으로 이곳을 점령했고, 1391년 헝가리 대장 페테르 페레니에게 빼앗겼다가 그해 다시 탈환했다. 헝가리의 지기스문트 국왕은 1392년에 이 요새를 장악했다.[3] 라자르의 아들 스테판 라자레비치가 1403~04년에 헝가리의 봉신이 되었을 때, 그는 지기스문트 국왕으로부터 베오그라드와 골루바츠와 같은 중요한 요새를 포함한 광대한 영지를 받았다.[3] 1426년 지기스문트 국왕과 스테판 간의 계약에 따르면, 스테판이 죽으면 국왕이 골루바츠를 돌려받기로 했지만, 세르비아인 지휘관 예레미야는 12000USD에 터키인에게 팔았다.[3] 이에 지기스문트는 1428년 봄에 요새를 포위했지만, 포위는 실패했고, 국왕 본인은 오스만 술탄 무라드 2세의 진격하는 군대에 의해 거의 죽을 뻔했다.[3] 폴란드 기사 자비샤 차르니는 터키인에게 포로로 잡혀 처형당했다.[3]
골루바츠는 1444년 세게드의 평화 조약까지 오스만 제국에 남아 있었고, 이 조약으로 세르비아 데스포트 주라지 브란코비치에게 양도되었다.[3] 1458년에는 터키군이 다시 점령했다.[3] 헝가리 국왕 마차시 1세 코르빈은 이곳을 탈환하려 했지만, 포위는 헝가리 내부 분쟁으로 인해 중단되었다.[3] 마차시가 마침내 1481년에 요새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지만, 곧 철수했다.[3] 이 요새는 19세기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고, 몇 차례의 중단(특히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의 1688~1690년 지배)이 있었다.[3] 18세기에는 이 요새와 관련된 민간인 정착지는 번영하는 도시로 묘사되었다.[3]
현대 세르비아는 1868년에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골루바츠를 최종적으로 획득했다.[3] 1929년부터 1941년까지 골루바츠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모라바 바노비나의 일부였다.[3]
4. 인구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골루바츠 시에는 8,331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4]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인구 |
---|---|
1948년 | 14,844명 |
1953년 | 15,166명 |
1961년 | 15,320명 |
1971년 | 14,178명 |
1981년 | 13,541명 |
1991년 | 12,513명 |
2002년 | 9,913명 |
2011년 | 8,331명 |
2022년 | 6,599명 |
4. 1. 민족 구성
민족 | 인구 | % |
---|---|---|
세르비아인 | 7,576 | 90.94 |
블라흐족 | 424 | 5.09 |
로마니 | 52 | 0.62 |
루마니아인 | 47 | 0.56 |
유고슬라비아인 | 13 | 0.16 |
몬테네그로인 | 9 | 0.11 |
마케도니아인 | 7 | 0.08 |
크로아티아인 | 6 | 0.07 |
헝가리인 | 5 | 0.06 |
기타 | 192 | 2.30 |
합계 | 8,331 |
5. 경제
다음 표는 2017년 기준 핵심 활동별 전체 고용 인원수를 보여준다.
활동 | 총 인원 |
---|---|
농업, 임업 및 어업 | 47 |
광업 | 45 |
가공 산업 | 183 |
전력, 가스 및 수도 배급 | 1 |
수도 및 폐수 관리 배급 | 36 |
건설업 | 39 |
도매 및 소매, 수리 | 182 |
교통, 창고 보관 및 통신 | 30 |
호텔 및 레스토랑 | 90 |
미디어 및 통신 | 3 |
금융 및 보험 | 5 |
부동산 및 임대 | - |
전문, 과학, 혁신 및 기술 활동 | 38 |
행정 및 기타 서비스 | 39 |
행정 및 사회 보장 | 114 |
교육 | 116 |
건강 관리 및 사회 복지 | 70 |
예술,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 25 |
기타 서비스 | 30 |
총계 | 1,091 |
6. 관광
철문 국립공원은 자연 환경과 사냥터, 하이킹 코스로 유명하다. 마을의 부두는 다뉴브강을 따라 조성되어 있어 여유로운 하이킹을 즐기기에 좋다.
6. 1. 요트
골루바츠는 잘 알려진 요트 경기 장소이다. 세르비아 요트 협회의 요트 센터는 골루바츠에 위치해 있으며, 세르비아 국가대표팀이 주요 요트 경기 전에 현장 준비를 위해 사용한다. 주요 행사 중 하나는 매년 8월에 열리는 전통적인 요트 레가타이다. 여름 동안 센터에서는 초보자들이 최고의 세르비아 요트 선수들과 그들의 국제 게스트들에게 배울 수 있는 옵티미스트급 요트 캠프를 개최한다.참조
[1]
문서
Serbian municipalities 2006
[2]
웹사이트
Census 2022: Total population, by municipalities and cities
https://popis2022.st[...]
[3]
문서
Notitia Dignitatum, the Synekdêmos and Prokopios’s Buildings IV.v.-vii, x
[4]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1-11
[5]
웹사이트
ETHNICITY Data by municipalities and cities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8-02-20
[6]
웹사이트
ОПШТИНЕ И РЕГИОНИ У РЕПУБЛИЦИ СРБИЈИ, 2018.
http://publikacije.s[...]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9-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