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교육사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군교육사령부는 대한민국 공군의 교육 및 훈련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1951년 대구에서 항공교육대로 창설되어 대전으로 이전, 기술교육단을 거쳐 197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1988년 진주로 이전했다. 정예 조종사, 기초 군사 훈련, 기술 훈련, 기술 고등학교 교육, 예비군 훈련 등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하며, 기본군사훈련단,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보라매리더쉽센터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2005년 기준 10,600명의 인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장교, 부사관, 병사, 군무원을 대상으로 전문 군사 교육, 대학원 교육, 전문 지속 교육을 실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공군교육사령부 -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는 대한민국 공군에서 운영하는 과학고등학교로, 항공 전자 및 항공 기술 분야의 마이스터고로 지정되어 전문 기술 인력을 양성하며 정보통신과, 항공전자과, 항공기계과, 항공통제과 등의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 대한민국 공군교육사령부 - 공군방공포병학교
대한민국 공군방공포병학교는 방공포병 병과의 장교, 부사관, 병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대공포와 유도무기 운용 및 정비 교육을 제공하며 대한민국 국군의 방공 역량 강화에 기여한다. - 진주시 소재의 관공서 - 국립진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은 1984년 개관하여 1998년 임진왜란 전문 박물관으로 재개관, 임진왜란 관련 유물과 자료를 전시하며, 두암관 개관 및 역사문화홀 신설을 통해 전시 공간을 확장하고 국보 제105호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을 비롯한 다양한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 진주시 소재의 관공서 - 경상남도농업기술원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경상남도 지역의 농업 기술 연구 및 개발을 수행하는 기관으로, 1908년에 설립되어 지역 특화 작물 연구 및 기술 개발을 담당하며, 농가 소득 증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 대한민국 공군 -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6년 개항 이후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을 기록하며 동남권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시설 부족, 안전 및 소음 문제로 인해 김해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고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다. - 대한민국 공군 - 제7항공통신전대
제7항공통신전대는 대한민국 공군 유일의 정보통신 부대로, 항공 작전, 훈련, 행사 지원, 통신 건설 및 사이버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투 부대를 지원하며, 1955년 창설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개편되었고, 전술이동통신대대, 통신전자정비대대, 기지지원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공군교육사령부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공군교육사령부 |
원어 이름 | 空軍敎育司令部 |
로마자 표기 | Gonggun Gyoyuk Saryeongbu |
활동 기간 | 1951년 4월 15일 ~ 현재 |
병과 | 해당 없음 |
종류 | 기능 사령부 |
역할 | 군사교육, 훈련 |
규모 | 사령부 |
명령 체계 | 공군본부 |
본부 |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
별명 | 비성대 |
표어 | 해당 없음 |
색 | 해당 없음 |
군가 | 교육사령부가 |
마스코트 | 해당 없음 |
장비 | 해당 없음 |
참전 | 해당 없음 |
기념일 | 해당 없음 |
장식 | 해당 없음 |
훈장 | 해당 없음 |
사령관 | [[파일:Flag of the ROK Air Force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최춘송 (공사 39기) |
지휘관 명칭 | 사령관 |
주요 지휘관 | 해당 없음 |
영어 명칭 | |
영어 | ROKAF Education & Training Command |
2. 역사
사령부의 기원은 1951년 4월 대구에서 창설된 공군교육대이다. 1952년 대전으로 이전했고, 1956년 기술훈련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3년에는 공군교육사령부로 다시 변경되었다. 1988년 10월 대전에서 현재의 진주 위치로 이전했다.
날짜 | 명칭 |
---|---|
1951년 4월 15일 | 항공교육대 |
1956년 | 기술교육단 |
1973년 | 공군교육사령부 |
사령부의 임무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전문적인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는 것이다.
3. 임무
4. 조직
교육자원정보실(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영어)은 공군이 필요로 하는 각종 교육 자원의 제작, 보수 및 관리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기관이다. 실장은 중령이며, 교관역량개발과, 교육매체개발과, 원격교육지원과, 교재제작과, 운영계획과, 도서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 1. 교육자원정보실
교육자원정보실(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영어)은 공군에 필요한 각종 교육 자원의 제작, 보수,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실장은 중령이며, 교관역량개발과, 교육매체개발과, 원격교육지원과, 교재제작과, 운영계획과, 도서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4. 2. 예하 부대
- 기본군사훈련단
- 제27예비단
- 학교
- *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 군수 제1학교
- * 군수 제2학교
- * 정보통신학교
- * 행정학교
- * 방공포병학교
- 센터
- * 보라매리더쉽센터
- 이전
- * 공군대학, 합동군사대학교로 통합됨.
4. 3. 과거 부대
5. 인력 규모
2005년 당시 전체 인원은 10,600명이었으며, 여기에는 군사 훈련생 5,500명(장교 후보생 1,000명, 부사관 후보생 1,300명, 병 기본교육생 3,200명)이 포함되었다.
6. 교육 훈련
사령부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전문적인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한다.
- 정예 조종사 훈련
- 기초 군사 훈련
- 기술 훈련
- 기술 고등학교 교육
- 예비군 훈련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공군대학은 장교, 부사관, 군무원을 대상으로 경력 전반에 걸쳐 전문 군사 교육, 대학원 교육 및 전문 지속 교육을 실시한다. 국가 안보 및 군사 리더십, 항공 작전 관련 과정으로 유명하다. 기타 군 전문 과정으로는 지휘참모과정(CSC)과 대대장교과정(SOC)이 있으며, 총 600명이 수강한다.
해당 비행단은 대한민국 공군 학사사관후보생 및 부사관후보생 훈련 학교로 구성되어 있다. 해당 비행단의 임무는 대한민국 공군 장교/부사관/병사를 양성하는 것이다. 기초 군사 훈련 기간 동안 태권도, 화생방 방호, 사격술을 교육한다. 해당 비행단은 연간 약 25,000명을 훈련시킨다.
450명이 재학 중인 이 고등학교는 대한민국 교육부로부터 정식 인가를 받았으며, 졸업생은 공군 기술 부사관으로 임관한다. 학교 교육 과정은 공군 정비, 행정, 토목 공학 과목을 포함한다. 2008년 3월, 학교 역사상 처음으로 15명의 여학생이 입학했다.
육군 방공학교는 방공 포병(ADA) 관련 교육을 제공한다. 교육 과정은 운용, 정비, 교리 개발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33개의 과정이 있으며, 연간 1,800명이 교육을 받는다.
임무는 공군 기술자를 양성하는 것이다. 제공되는 130개의 과정은 무기 및 정비, 군수 및 토목 공학에 관한 것이다. 교육생은 1,100명이다.
정보 통신, 컴퓨터 방법론 및 항공 교통 관제 분야를 교육한다. 62개 강좌에 연간 약 3,200명이 입교한다.
임무는 학군 장교를 양성하는 것이다. 교육 과정은 장교 기본 과정이며, 기본적인 군사 훈련을 제공한다. 매년 140명이 등록한다.
임무는 전시/평시 동원 훈련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격술 및 로드 마치를 포함한 직무 관련 훈련을 제공한다. 연간 약 3,500명을 입소시킨다.
이 어학원은 공군 장교 및 부사관을 대상으로 영어 교육을 제공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