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진주박물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진주박물관은 1984년 2월 7일 설치되어 같은 해 11월 2일 가야 문화를 중심으로 개관한 박물관이다. 1998년 1월 15일 임진왜란 특성화 박물관으로 재개관하여 임진왜란과 관련된 유물을 전시하며, 2001년 두암관 개관을 통해 전시 공간을 확장했다. 주요 전시실로는 임진왜란실, 역사문화홀, 두암실이 있으며, 임진왜란 관련 유물과 지역 문화재를 전시한다. 주요 소장품으로는 국보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보물 노인 금계일기, 천자총통,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등이 있다. 국립진주박물관은 관장 아래 기획운영과와 학예연구실을 두어 박물관 운영 및 소장품 연구, 전시 기획,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주시의 교육 - 경상남도진주교육지원청
경상남도진주교육지원청은 진주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1952년 설립 후 통합 및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조직과 소속기관을 운영하며 교육과정, 장학, 학교 혁신, 특수교육, 체육, 행정, 재정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군사·전쟁 박물관 - 전쟁기념관 (대한민국)
전쟁기념관은 1994년 개관한, 한국 전쟁사를 다루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비영리 시설로, 전시 공간과 야외 전시장을 운영하며, 2010년부터 상설 전시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군사·전쟁 박물관 - 백제군사박물관
백제군사박물관은 충청남도 논산시 계백장군유적지에 위치하여 백제의 군사 활동, 무기, 논산 지역 역사, 특히 계백 장군의 활약상을 조명하며, 세 개의 전시실과 계백장군유적전승지로 구성되어 백제 시대 무기와 관련 자료들을 전시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 가능하다(월요일, 1월 1일, 설날 및 추석 당일 휴관). - 1984년 설립된 박물관 - 플래그스태프 하우스
플래그스태프 하우스는 1846년에 완공된 영국 군대 사령부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다구문물관으로 운영되어 중국 다구 및 도자기를 전시한다. - 1984년 설립된 박물관 - 처칠 박물관
처칠 박물관은 윈스턴 처칠의 삶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정부의 지휘 본부였던 내각 전쟁 집무실 일부를 개조하여 개관한 박물관으로, 처칠의 생애를 보여주는 전시와 전쟁 당시 주요 시설, 그리고 인터랙티브 전시 'The Lifeline'을 통해 그의 삶을 탐험할 수 있다.
국립진주박물관 | |
---|---|
지도 정보 | |
박물관 정보 | |
![]() | |
이름 | 국립진주박물관 |
한자 표기 | 國立晉州博物館 |
로마자 표기 | Gungnip Jinju bangmulgwan |
개관일 | 1984년 9월 2일 |
위치 | 진주시 |
유형 | 박물관 |
소장 작품 수 | 56,417점 |
운영 주체 | 문화체육관광부 |
관장 | 장상훈 |
방문객 수 | 378,214명 |
홈페이지 | 국립진주박물관 홈페이지 |
2. 연혁
국립진주박물관은 1984년 11월 2일 개관하였다. 처음에는 가야 문화를 중심으로 전시하고 경남 서부 지역의 고고학적 연구를 담당했다. 1998년 1월 임진왜란 최대 격전지인 진주성에 위치한 점을 살려 임진왜란을 주제로 하는 역사박물관으로 전환하였다.
2001년 11월 19일 재일교포 두암 김용두 선생이 기증한 문화재를 전시하기 위한 두암관을 개관하였고, 2008년 12월 역사문화실을 신설하여 경남 지역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그 외에도 기획전시실, 3D 입체영상관, 감각체험실, 정보자료실, 강당 등을 운영하고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하여 지역 문화 발전에 힘쓰고 있다.[1]
2018년 상설전시를 임진왜란 중심으로 개편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84년 ~ 1998년)
1984년 11월 2일 개관 당시 국립진주박물관은 가야 문화를 소개하고, 경남 서부 지역의 고고학적 연구·조사를 담당하는 기관이었다.[1] 건축가 김수근이 한국 전통 목조탑을 석조 건물로 형상화하여 설계하였다.[1]
2. 2. 임진왜란 특성화 (1998년 ~ 현재)
1998년 1월 15일, 국립진주박물관은 진주성이 임진왜란 최대 격전지라는 점을 살려 임진왜란사를 주제로 하는 역사박물관으로 재개관하였다. 이는 1984년 개관 당시 가야 문화를 소개하고 경남 서부 지역의 고고학적 연구·조사를 담당하던 기관에서 큰 변화를 겪은 것이다.[1]2001년 11월 19일에는 경남 사천 출신의 재일교포 두암 김용두(1922~2003) 선생이 기증한 문화재를 전시하기 위해 두암관을 개관하였다.[1]
2018년에는 상설전시를 임진왜란 중심으로 개편하여 임진왜란 특성화 박물관으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강화하였다.[1]
3. 전시실
국립진주박물관은 임진왜란 전문 역사박물관으로서, 임진왜란실, 역사문화홀, 두암실 등을 갖추고 있다.
1984년 11월 2일 개관 당시에는 가야문화를 소개하고 경남 서부 지역의 고고학적 연구·조사를 담당하는 기관이었으나, 1998년 1월 진주성에 위치한 특성을 살려 임진왜란사를 주제로 하는 역사박물관으로 전환하였다.
2001년 11월 19일에는 재일교포 두암 김용두 선생의 기증문화재를 전시하기 위한 두암관을 개관하였고, 2008년 12월에는 역사문화실을 신설하여 경남 지역의 역사와 전통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이외에도 기획전시실, 3D입체영상관, 감각체험실, 정보자료실, 강당, 관람객 식당 등을 운영하며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하여 지역 문화를 이끄는 중심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3. 1. 임진왜란실
1998년 국립진주박물관은 임진왜란사를 주제로 하는 역사박물관으로 전환하였다. 임진왜란의 격전지이자 호국의 성지인 진주성에 위치하여, 임진왜란의 실상과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일반인에게 쉽게 전달하기 위해 11개의 테마로 나누어 관련 문화재를 전시하였다. 전시 유물로는 이순신 친필 수결이 포함된 최희량 임란첩보서목, 오휘문의 쇄미록, 천자총통, 중완구, 비격진천뢰, 김시민 선무공신교서 등이 있다.[1]3. 2. 역사문화홀
국립진주박물관은 지역 거점 국립박물관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강화하고자 2008년 역사문화실을 신설하여 전시 범위를 확대하였다.[1] 역사문화실에서는 경남의 대표적인 유·무형 문화재를 전시하고, 이미지화하여 지역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1]3. 3. 두암실
재일교포 실업가 고 두암 김용두(1922~2003) 선생이 수집한 우리 문화재 179점 중 80여 점을 선별하여 전시하였다. 국외로 유출된 문화재를 뜻있는 개인의 노력으로 환수하여 고국에 기여한 것을 기념하여 마련한 전시실이다. 청자를 비롯한 도자기류, 목공예품, 금속공예품 뿐만 아니라 소상팔경도 등의 서화류도 전시되고 있다.4. 주요 소장품
국립진주박물관은 2016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총 56,417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소장품은 금속, 토제, 도자기, 석조, 유리, 보석, 초제, 목제, 골각, 패갑, 지류, 피모, 사직, 종자 등으로 분류된다.
종류 | 건수 | 점수 |
---|---|---|
금속 | 4,507건 | 5,961점 |
토제 | 26,837건 | 30,786점 |
도자기 | 4,164건 | 4,251점 |
석조 | 7,270건 | 8,454점 |
유리/보석 | 406건 | 3,253점 |
목제 | 553건 | 823점 |
골각/패갑 | 513건 | 2,356점 |
지류 | 1건 | 3점 |
피모 | 35건 | 50점 |
사직 | 2건 | 2점 |
종자 | 4건 | 60점 |
기타 | - | - |
계 | 44,330건 | 56,417점 |
이 중에는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귀중한 문화재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국보 제105호인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보물 제311호인 노인 금계일기, 보물 제637호인 도기 바퀴장식 뿔잔 등이 있다. 특히, 임진왜란 관련 유물인 보물 제647호 천자총통, 보물 제660호 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 보물 제668호 권응수장군유물, 보물 제1476호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등은 역사적 가치가 높다.
이 외에도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3호인 박진영 장군 유품,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307호인 진주향안, 문화재자료인 양금신보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재들은 우리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국립진주박물관은 유물들을 보존하고 전시하여 그 가치를 알리고 있다.
4. 1. 국보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국보 제105호)4. 2. 보물
-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山淸 泛鶴里 三層石塔, 국보 제105호)
- 노인 금계일기(魯認 錦溪日記, 보물 제311호)
- 도기 바퀴장식 뿔잔(陶器 車輪飾 角杯, 보물 제637호)
- 천자총통(天字銃筒, 보물 제647호)
- 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 - 첩보서목(崔希亮 壬亂關聯 古文書 - 捷報書目, 보물 제660호)
- 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 - 교지(崔希亮 壬亂關聯 古文書 - 敎旨, 보물 제660-2호)
- 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 - 시호망단자(崔希亮 壬亂關聯 古文書 - 諡號望單字, 보물 제660-3호)
- 권응수장군유물-권응수초상(權應銖將軍遺物-權應銖肖像, 보물 제668-1호)
- 권응수장군유물-선무공신교서(權應銖將軍遺物-宣武功臣敎書, 보물 제668-2호)
- 권응수장군유물-태평회맹도병풍(權應銖將軍遺物-太平會盟圖屛風, 보물 제668-3호)
- 권응수장군유물-장검(權應銖將軍遺物-長劍, 보물 제668-4호)
- 권응수장군유물-유지및장군간찰(權應銖將軍遺物-有旨및將軍簡札, 보물 제668-5호)
- 권응수장군유물-교지 및 유서(權應銖將軍遺物-敎旨 및 諭書, 보물 제668-6호)
- 권응수장군유물-각대(權應銖將軍遺物-角帶, 보물 제668-7호)
- 중완구(中碗口, 보물 제858호)
- 지자총통(地字銃筒, 보물 제862호)
- 현자총통(玄字銃筒, 보물 제885호)
- 김광려 삼남매 화회문기(金光礪 三男妹 和會文記, 보물 제1020호)
-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金時敏 宣武功臣 敎書, 보물 제1476호)
4. 3. 기타
2016년 12월 31일 기준 소장품 현황은 다음과 같다.금속 | 토제 | 도자기 | 석 | 유리/보석 | 나무 | 골각/패갑 | 지 | 피모 | 사직 | 종자 | 기타 | 계 |
---|---|---|---|---|---|---|---|---|---|---|---|---|
4,507건 | 26,837건 | 4,164건 | 7,270건 | 406건 | 553건 | 513건 | 1건 | 35건 | 2건 | 4건 | 44,330건 | |
5,961점 | 30,786점 | 4,251점 | 8,454점 | 3,253점 | 823점 | 2,356점 | 3점 | 50점 | 2점 | 60점 | 56,417점 |
-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국보 제105호)
- 노인 금계일기 (보물 제311호)
- 도기 바퀴장식 뿔잔 (보물 제637호)
- 천자총통 (보물 제647호)
- 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 - 첩보서목 (보물 제660호)
- 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 - 교지 (보물 제660-2호)
- 최희량 임란관련 고문서 - 시호망단자 (보물 제660-3호)
- 권응수장군유물-권응수초상 (보물 제668-1호)
- 권응수장군유물-선무공신교서 (보물 제668-2호)
- 권응수장군유물-태평회맹도병풍 (보물 제668-3호)
- 권응수장군유물-장검 (보물 제668-4호)
- 권응수장군유물-유지및장군간찰 (보물 제668-5호)
- 권응수장군유물-교지 및 유서 (보물 제668-6호)
- 권응수장군유물-각대 (보물 제668-7호)
- 중완구 (보물 제858호)
- 지자총통 (보물 제862호)
- 현자총통 (보물 제885호)
- 김광려 삼남매 화회문기 (보물 제1020호)
-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보물 제1476호)
- 박진영 장군 유품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03호)
- 진주향안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307호)
- 양금신보 (문화재자료)
5. 조직
국립진주박물관은 관장 아래 기획운영과와 학예연구실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서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5. 1. 관장
국립진주박물관장은 박물관 운영을 총괄하며, 주요 정책 결정, 예산 관리, 대외 협력 관계 구축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학예연구실과 기획운영과를 지휘, 감독한다.5. 1. 1. 기획운영과
기획운영과는 국립진주박물관의 운영 전반을 담당하며, 예산, 행정, 기획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3]5. 1. 2. 학예연구실
국립진주박물관의 학예연구실은 박물관 소장품 연구, 전시 기획,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담당하는 부서이다.[4]6.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국립진주박물관 (國立晉州博物館)
http://kr.dic.yahoo.[...]
Yahoo
2008-04-11
[2]
기타
[3]
기타
[4]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