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샤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기 샤워는 우주선이 대기와 상호 작용하여 생성되는 2차 입자들의 폭포수 현상이다. 1930년대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우주선과 2차 입자 간의 상호 작용, 공기 샤워의 이론적 모델, 관측 기술 개발 등이 이루어졌다. 공기 샤워는 전자기 입자, 하드론, 뮤온 등으로 구성되며, 종단면 및 횡방향 프로파일을 통해 분석된다. 검출에는 지상 검출기, 광학 망원경, 전파 안테나가 사용되며, 이를 통해 초고에너지 우주선 연구에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주선 (물리) - 오마이갓 입자
오마이갓 입자는 빛의 속도에 매우 가깝게 이동하며 지구 입자 가속기에서 생성되는 입자보다 훨씬 높은 에너지를 가진 우주선 입자를 지칭하며, 최초 관측 이후 유사한 사건들이 수백 건 기록되어 텔레스코프 어레이 프로젝트를 통해 근원 추적 연구가 진행 중이고 최근에는 아마테라스 입자가 관측되기도 했다. - 우주선 (물리) - 우주선 파쇄
우주선 파쇄는 우주선이 원자핵과 충돌하여 핵반응을 일으켜 다양한 핵종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특히 리튬, 베릴륨, 붕소와 같은 가벼운 원소의 기원을 설명하고 우주 생성 핵종을 형성하여 여러 분야에 활용된다. - 자연현상 - 스콜
스콜은 풍속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세계기상기구는 풍속 8m/s 이상 증가 및 11m/s 이상 지속을 기준으로 정의하고, 뇌우와 관련되어 강한 강수, 우박, 낙뢰, 강풍 등을 동반할 수 있다. - 자연현상 - 해빙
해빙은 양극 해역에서 생성되어 계절에 따라 면적이 변하는 얼음으로, 북극의 다년빙과 남극의 일년빙으로 나뉘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면적이 급감하여 극지방 생태계와 기후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 대기 - 온실 효과
온실 효과는 대기 중 특정 기체들이 지구 복사열을 흡수하여 지구 표면 온도를 유지하는 현상으로, 산업화 이후 온실가스 증가로 인해 지구 온난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 메탄, 수증기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 대기 - 전리층
전리층은 지구 대기 상층의 전기를 띤 입자층으로, 태양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며, 전파 통신에 기여하고 태양 활동, 계절, 지리적 위치에 따라 이온화 정도가 달라진다.
공기 샤워 | |
---|---|
일반 정보 | |
이름 | 공기 샤워 |
로마자 표기 | Gonggi Syawo |
종류 | 대기 물리학 |
관련 주제 | 우주선 |
관련된 현상 | 전자기 방사 하전 입자 |
세부 정보 | |
설명 |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입자의 연쇄 반응 |
원인 | 고에너지 우주선이 대기 분자와 충돌 |
결과 | 2차 입자 생성 (양성자, 중성자, 뮤온, 전자, 감마선 등) 입자 수 증가 및 에너지 감소 |
탐지 방법 | 지상 검출기 (표면 검출기) 체렌코프 망원경 전파 안테나 |
연구 | |
주요 연구자 | 피에르 오제 브루노 로시 |
주요 관측 시설 | 피에르 오제 천문대 텔레스코프 어레이 |
추가 정보 | |
특징 | 대규모 영역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 에너지 범위에 따라 크기와 구성 성분 변화 |
중요성 | 고에너지 우주선의 특성 연구 및 대기 물리학 연구에 기여 |
2. 역사
공기 샤워 현상은 1930년대부터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했다. 이 현상에 대한 연구는 초기 연구, 이론적 발전, 관측 기술 발전, 그리고 현대의 연구로 나눌 수 있다.
초기에는 우주선과 2차 입자와의 관계를 밝히는 실험들이 진행되었고, 이후 양자 이론을 바탕으로 한 이론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1950년대에는 전자기 입자의 횡 방향 및 각도 구조가 계산되었다.
1950년대 중반부터는 우주선의 도래 방향과 초고에너지 우주선을 감지하기 위한 지표면 검출기 배열이 건설되었다. 1962년에는 의 에너지를 가진 최초의 우주선이 보고되었다. 1965년에는 체렌코프 복사 및 대기 중의 흥분된 질소 분자에 의해 생성된 형광 빛을 직접 관찰하는 새로운 검출 기술이 제안되었고, 1977년에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
볼케이노 랜치는 자금 부족으로 운영을 종료하였다.
현대에 들어서는 KASCADE, AGASA, HIRES를 포함한 많은 공기 샤워 실험이 이어졌다. 1995년에는 HIRES가 이론적으로 예상되는 스펙트럼 절단점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초고에너지 우주선의 검출을 보고했다. 이는 오 마이 갓 입자라고 불린다. 2023년에는 국립천문대의 팀이 공기 샤워를 매우 높은 위치 분해능으로 가시화했다.[22]
2. 1. 초기 연구
1933년, 브루노 로시[3]는 피렌체의 물리학 연구소에서 우주선의 투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했다. 그는 가이거 계수기를 사용하여 우주선에 의해 2차 입자가 생성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천정각이 60° 미만인 우주선의 경우 동시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한다는 것을 알아냈다.1936년, 힐게르트와 보테는 하이델베르크에서 비슷한 실험을 수행하여 로시의 발견을 뒷받침했다.[4]
1939년, 피에르 빅토르 오제는 동료들과 함께 대기 중에서 우주선에 의해 2차 입자의 공기 샤워가 생성된다는 것을 확인했다.[5] 그들은 융프라우요흐(해발 3500m), 피크 뒤 미디 드 빅고르(해발 2900m) 및 해수면에서 실험을 수행하여 검출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동시 발생률이 감소하지만, 높은 고도에서도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통해, 그들은 주요 입자의 에너지를 최대 1PeV로 추정했다.
2. 2. 이론적 발전
바바, 오펜하이머, 란다우 등 여러 물리학자들은 1935년에서 1940년 사이에 양자 이론을 바탕으로 공기 샤워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수행했다. 이들은 핵장 근처에서 고에너지 감마선이 전자와 양전자의 쌍을 생성하고, 전자와 양전자가 방사선에 의해 감마선을 생성한다고 가정했다.[6][7][8][9]1950년대에는 일본 과학자 가마타 고이치와 니시무라 준이 공기 샤워에서 전자기 입자의 횡 방향 및 각도 구조를 계산했다.[10]
2. 3. 관측 기술 발전
1955년, MIT는 주요 우주선의 도래 방향을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정밀도를 가진 최초의 지표면 검출기 배열을 건설했다.[11] 이 배열은 460m 직경의 원형 배열로 배치된 16개의 플라스틱 섬광 계수기로 구성되었지만, 우주선의 도래 방향에 대한 실험 결과는 결론적이지 않았다.1959년, 존 린슬리가 운영한 볼케이노 랜치 실험은 초고에너지 우주선을 감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크기의 최초의 지표면 검출기 배열이었다.[12] 1962년, 볼케이노 랜치 실험에서 의 에너지를 가진 최초의 우주선이 보고되었다. 이 샤워의 크기는 이전에 기록된 모든 사건보다 두 배나 컸으며, 대략 500억 개의 입자를 생성했다. 또한, 지상에서 감지된 입자의 횡 방향 분포가 가마타와 니시무라가 도출한 구조 함수의 케네스 그리센의 근사[13]와 일치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965년, 그리센은 샤워 입자의 체렌코프 복사 및 대기 중의 흥분된 질소 분자에 의해 생성된 형광 빛을 직접 관찰하는 새로운 검출 기술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대기 중 샤워의 종 방향 발달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방법은 1977년 볼케이노 랜치에서 67개의 광학 모듈을 사용하여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14]
2. 4. 현대의 연구
그 이후 수십 년 동안 KASCADE, AGASA, HIRES를 포함한 많은 공기 샤워 실험이 이어졌다. 1995년,[15] HIRES는 이론적으로 예상되는 스펙트럼 절단점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초고에너지 우주선의 검출을 보고했다.[16] 우주선의 공기 샤워는 플라이스 눈 형광 검출기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었으며 최대 약 2400억 개의 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약 3.2E의 우주선에 대한 주 에너지에 해당한다. 오늘날까지, 더 큰 에너지를 가진 단일 입자는 기록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는 공식적으로 오 마이 갓 입자라고 불린다.3. 공기 샤워 형성
공기 샤워는 1차 우주선이 대기와 상호 작용하여 형성되며, 이후 2차 입자의 상호 작용 등에 의해 생성된다. 1차 입자의 유형에 따라 샤워 입자는 주로 강입자 또는 양자 전기역학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된다.[22]
고에너지의 우주선이 대기 중으로 입사할 때, 대기 중의 원자핵과 상호 작용하여 고에너지의 2차 입자가 발생한다. 생성된 2차 입자는 에너지가 높아 추가적인 입자를 생성하며, 이러한 반응이 연쇄적으로 발생하여 대기 중에서 다량의 2차 입자가 발생하는 현상을 '''공기 샤워'''라고 부른다. 대기를 진행하면서 공기 샤워는 발달하고, 샤워 중의 입자 수가 증가하지만, 입자당 에너지는 낮아진다. 결국, 에너지가 낮아진 입자는 더 이상 입자를 생성할 수 없게 되고, 공기 샤워는 감쇠한다.
공기 샤워 중에는, 원자핵의 상호 작용으로 생긴 중성 파이 입자의 붕괴 등으로 감마선이 생성된다. 이 감마선으로부터 쌍생성에 의해 한 쌍의 전자·양전자가 생기고, 이 전자쌍이 대기 중의 원자핵에 의해 여러 번 제동 복사를 일으킴으로써, 다수의 감마선을 방출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입자 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전자기 캐스케이드라고 부른다. 감마선과 전자는 공기 샤워의 주요 성분이므로, 전자기 캐스케이드는 공기 샤워를 특징짓는 주요 현상이다.
3. 1. 단순화된 샤워 모델
주 우주선(주로 양성자 또는 핵)은 대기 중의 핵과 충돌하여 샤워 코어를 생성한다. 샤워 코어는 고에너지 하드론 영역으로, 하드론, 뮤온, 순수 전자기 입자로 구성된 샤워의 주요 입자 성분을 공급한다. 중성 파이온()은 전약 상호작용을 통해 광자 쌍으로 붕괴하여 샤워의 전자기 성분에 기여한다. 전하를 띤 파이온()은 약한 상호작용을 통해 뮤온과 (반)중성미자로 붕괴한다.[18] 전자기 캐스케이드는 쌍생성과 제동 복사를 통해 입자 수가 증가하는 현상이다.샤워의 입자 내용은 모든 샤워의 상호 작용에 참여하는 모든 입자가 사용 가능한 에너지를 동일하게 공유하는 단순화된 모델로 설명할 수 있다.[19] 각 하드론 상호 작용에서 개의 전하를 띤 파이온과 개의 중성 파이온이 생성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중성 파이온은 광자로 붕괴되어 샤워의 전자기 부분을 공급하고, 전하를 띤 파이온은 계속해서 하드론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번의 상호 작용 후, 하드론 성분에 증착된 주 에너지 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따라서 전자기 부분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
세대의 파이온은 의 에너지를 전달한다. 반응은 파이온이 임계 에너지 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며, 이 지점에서 뮤온으로 붕괴된다. 따라서 총
번의 상호 작용이 예상되며, 총 개의 뮤온이 생성되며, 이다. 캐스케이드의 전자기 부분은 제동 복사 및 쌍 생성에 의해 병렬로 발생한다. 편의상 광자, 전자 및 양전자는 종종 샤워에서 동일한 입자로 취급된다. 전자기 캐스케이드는 입자가 임계 에너지 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며, 이 지점부터 대기 중 분자와의 쿨롱 산란으로 인해 대부분의 에너지를 잃기 시작한다. 이므로 전자기 입자가 샤워에서 입자 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샤워에서 생성된 (전자기) 입자 수에 대한 좋은 근사치는 이다. 각 전자기 상호 작용이 평균 방사 길이 후에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샤워는 대략
깊이에서 최대값에 도달한다. 여기서 은 우주선의 첫 번째 상호 작용의 깊이로 가정한다. 그러나 이 근사치는 모든 유형의 주 입자에 대해 정확하지 않다. 특히 무거운 핵에서 오는 샤워는 훨씬 더 일찍 최대값에 도달한다.
3. 2. 종단면 프로파일 (Longitudinal profile)
공기 샤워의 입자 수는 샤워의 열량 에너지 침전에 대략적으로 비례한다. 형광 검출기 망원경에서 볼 수 있듯이, 초과된 대기 물질에 따른 에너지 침전은 샤워의 종단면 프로파일로 알려져 있다. 샤워의 종단면 프로파일의 경우, 입자 내용과 열량 에너지 침전에 기여하는 것은 전자기 입자(전자, 양전자, 광자)뿐이다.샤워 프로파일은 샤워 최대치 부근에서 입자 평균 에너지가 이하로 떨어지기 전 입자 수의 급격한 증가와 이후의 완만한 감소로 특징지어진다. 수학적으로 프로파일은 기울어진 가우시안, 가이서-힐라스 함수 또는 일반화된 그라이젠 함수로 잘 설명될 수 있다.
:
여기서 이며, 공기 중의 전자기 방사 길이 을 사용하여 이다. 는 첫 번째 상호작용 지점을 나타내고, 은 무차원 상수이다.
다양한 시작 깊이와 다양한 1차 에너지의 샤워를 비교하여 보편적인 특징을 강조하기 위해 샤워 연령 매개변수 가 도입되었다. 샤워 최대치()에서 에서 첫 번째 상호 작용이 일어나는 샤워의 경우, 샤워 연령 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위 이미지는 초과된 대기 깊이 또는 그에 상응하는 방사 길이의 수 의 함수로, 다양한 1차 에너지를 사용하는 샤워의 이상적인 종단면 프로파일을 보여준다.
샤워의 종단면 프로파일은 총 열량 에너지 침전과 샤워 최대 깊이 를 측정하는 맥락에서 특히 흥미로운데, 후자는 1차 입자의 유형에 민감한 관찰 가능한 양이기 때문이다. 샤워는 형광 망원경에서 최대일 때 가장 밝게 나타난다.
3. 3. 횡방향 프로파일 (Lateral profile)
이상적인 전자기 샤워의 경우, 전자기 입자의 각도 및 횡방향 분포 함수는 일본 물리학자 니시무라와 카마타에 의해 유도되었다.[20] 에이지 의 샤워의 경우, 샤워 축으로부터의 거리 에 따른 전자기 입자의 밀도는 NKG 함수로 근사될 수 있다.[21]:
여기서 입자 수 , 몰리에 반지름 및 일반적인 감마 함수를 사용한다. 은 예를 들어 종방향 프로파일 함수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뮤온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된 강입자 샤워(즉, 양성자와 같은 1차 강입자에 의해 시작됨)의 횡방향 분포는 여러 입자 구성 요소가 와 에 대한 유효 값을 사용하여 설명되는 NKG와 유사한 함수의 중첩으로 잘 근사될 수 있다.
4. 검출
공기 샤워는 지상 검출기 배열과 광학 망원경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지상 검출기는 일반적으로 체렌코프 검출기 또는 신틸레이션 계수기를 사용하여 지면에 도달하는 하전된 2차 입자를 감지한다. 형광 및 체렌코프 빛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망원경은 큰 거울을 사용하여 빛을 PMT에 집중시킨다.[22] 또한, 공기 샤워는 지구 자기장에 의한 전자와 양전자의 편향으로 인해 전파를 방출하는데, 이는 전파 안테나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광학 기술과 달리, 전파 감지는 24시간 내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AIGA, LOFAR, 피에르 오제 관측소와 같은 여러 현대 실험에서는 입자 검출기, 광학 기술뿐만 아니라 전파 안테나도 함께 사용한다.[22]
참조
[1]
논문
Extensive Cosmic-Ray Showers
1939-07
[2]
논문
On the Magnetic Deflection of Cosmic Rays
1930-08
[3]
논문
Über die Eigenschaften der durchdringenden Korpuskularstrahlung im Meeresniveau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4]
논문
Zur Struktur der kosmischen Ultrastrahlung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5]
논문
Extensive Cosmic-Ray Showers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39-07-01
[6]
논문
The passage of fast electrons and the theory of cosmic showers
The Royal Society
[7]
논문
On Multiplicative Showers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37-02-15
[8]
논문
The cascade theory of electronic showers
The Royal Society
1938-05-19
[9]
논문
Cosmic-Ray Theory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41-10-01
[10]
논문
The Lateral and the Angular Structure Functions of Electron Showers
Oxford University Press (OUP)
[11]
논문
An Experiment on Air Showers Produced by High-Energy Cosmic Ray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12]
논문
Evidence for a Primary Cosmic-Ray Particle with Energy 10^20eV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63-02-15
[13]
논문
Cosmic Ray Showers
1960
[14]
논문
Measurement of Light Emission from Remote Cosmic-Ray Air Showers
American Physical Society (APS)
1977-09-26
[15]
문서
Oh-My-God particle
[16]
논문
Detection of a cosmic ray with measured energy well beyond the expected spectral cutoff due to cosmic microwave radiation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17]
서적
Cosmic Rays and Particle Physics: 2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8]
서적
Extensive Air Showers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19]
논문
A Heitler model of extensive air showers
Elsevier BV
[20]
논문
The Lateral and the Angular Structure Functions of Electron Showers
Oxford University Press (OUP)
[21]
논문
Cosmic Ray Showers
1960
[22]
웹사이트
宇宙から降り注ぐ宇宙線「空気シャワー」の可視化に成功!
https://subarutelesc[...]
すばる望遠鏡
2024-09-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