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릉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릉역은 1996년 10월 1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이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가 갖춰져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등 교육기관과 공릉시장, 원자력병원 등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노원구의 전철역 - 석계역
    석계역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와 노원구 경계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의 환승역으로, 1호선은 1985년, 6호선은 2000년에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대학교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이용객 수가 많다.
  • 서울 노원구의 전철역 - 광운대역
    광운대역은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춘선 환승역으로, 1939년 연촌역으로 개통, 1963년 성북역으로 변경, 2013년 광운대역으로 역명 변경과 함께 경춘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3면 5선의 지상역이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보라매역
    보라매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지나며,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시작했고 2022년 신림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논현역
    논현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신분당선이 지나는 강남구의 지하철역으로,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었고 2022년 신분당선 연장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공릉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명판
역명판
모국어 표기공릉 (서울과학기술대)
한자 표기孔陵驛
로마자 표기Gongneung (Seoul Nationa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부역명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위치
주소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395
좌표37°37′31.9″N 127°4′22.7″E
운영 정보
운영 기관서울교통공사
노선7호선
역 번호716
역 구조지하역
승강장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개업일1996년 10월 11일
이용 정보
승차 인원 (2017년)13,024명
승강 인원 (2017년)25,900명
노선 정보
노선7호선
영업 거리장암 기점 9.0 km
이전 역715 하계
이전 역 간 거리1.3 km
다음 역717 태릉입구
다음 역 간 거리0.8 km

2. 역사

1996년 10월 11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개시했다.[1]

3. 역 구조

공릉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진 지하역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개가 있다. 에스컬레이터는 지하 1층에서 지하 3층까지, 지하 2층에서 지하 4층까지 설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하계역 방향 승강장에서 대합실까지, 태릉입구역 방향 승강장에서 지하 1층까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하역으로,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지하 1층,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있으며, 엘리베이터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단, 상행 방면 승강장에 있는 엘리베이터는 지하 2층까지만 운행하며, 지하 2층에서 개찰구 - 하행 승강장 간의 엘리베이터로 갈아타야 한다. 개찰구는 1곳이며,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있다.

출입구는 1번부터 4번까지 총 4곳이 있다.

  • 안내상의 승강장 번호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상행-- 7호선노원도봉산장암 방면
하행-- 7호선군자고속터미널・대림・온수 방면


3. 2. 시설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구부러진 지하역이며,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4개다.

지하 1층에서부터 지하 3층까지, 지하 2층부터 지하 4층까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하계역 방향 승강장에서 대합실까지, 태릉입구역 방향 승강장에서 지하 1층까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지하 1층, 승강장은 지하 4층에 있다. 상행 방면 승강장에 있는 엘리베이터는 지하 2층까지만 운행하며, 지하 2층에서 개찰구 - 하행 승강장 간의 엘리베이터로 갈아타야 한다. 개찰구는 1곳이며, 화장실은 개찰구 밖에 있다.

출입구는 1번부터 4번까지 총 4곳이 있다.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서울 지하철 7호선 공릉역의 이용객 변동은 다음과 같다.[2]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7호선승차10,62213,15814,34214,65414,54914,24814,22113,98013,66913,277
하차10,04612,31713,48813,90113,75813,80513,78513,55313,27813,025
승하차20,66725,47527,83028,55528,30728,05328,00627,53326,94726,302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
7호선승차13,56013,72713,59513,76013,61213,39413,21713,024
하차13,39213,56413,40613,52513,41313,20213,01112,876
승하차26,95227,29127,00127,28527,02526,59626,22825,900


6.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2]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