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계역은 1996년 10월 1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출구는 6개다. 노원구에 위치하며, 노원을지대학교병원, 홈플러스, 세이브존, 2001아울렛 등이 주변에 있다. 7호선 노원역, 도봉산역, 장암역 방면과 군자역, 고속터미널역, 온수역 방면으로 운행한다. 역명은 주변 지명 "하계동"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본에서는 진지명의 역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노원구의 전철역 - 석계역
석계역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와 노원구 경계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의 환승역으로, 1호선은 1985년, 6호선은 2000년에 개통되었으며, 주변에 대학교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이용객 수가 많다. - 서울 노원구의 전철역 - 광운대역
광운대역은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춘선 환승역으로, 1939년 연촌역으로 개통, 1963년 성북역으로 변경, 2013년 광운대역으로 역명 변경과 함께 경춘선 연장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3면 5선의 지상역이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보라매역
보라매역은 서울특별시 동작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지나며,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시작했고 2022년 신림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 논현역
논현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신분당선이 지나는 강남구의 지하철역으로, 2000년에 7호선이 개통되었고 2022년 신분당선 연장으로 환승역이 되었으며, 다양한 시설이 주변에 위치해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행신역
행신역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동에 있는 경의·중앙선과 KTX가 정차하는 지상역으로, 수도권 서부 지역의 중요한 KTX 환승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이용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1996년 개업한 철도역 - 신길역
신길역은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5호선의 환승역으로, 각 노선은 지상/지하에, 쌍상대식/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 주변에는 여러 교육기관과 공공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 하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역 정보 | |
| 한국어 역명 | 하계역 |
| 한자 역명 | 下溪驛 |
| 로마자 표기 | Hagye-yeok |
![]() | |
|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동일로 지하 1196 (273-5) |
| 좌표 | 37 |
| 운영 기관 | 서울교통공사 |
| 승강장 | 1 |
| 선로 | 2 |
| 구조 | 지하 |
| 개업일 | 1996년 10월 11일 |
| 역 번호 | 715 |
| 노선 정보 | |
| 노선 | 7호선 |
| 이전 역 | 714 중계 |
| 다음 역 | 공릉 716 |
| 역간 거리 (중계) | 1.0 km |
| 역간 거리 (공릉) | 1.3 km |
| 기점 역 | 장암 |
| 기점으로부터 거리 | 7.7 km |
| 통계 | |
| 승차 인원 (2015년) | 21,238명 |
| 승하차 인원 (2015년) | 41,217명 |
| 기타 정보 | |
| 주석 | |
2. 역사
- 1996년 10월 1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건대입구역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였다.[1] [2]
- 2017년 5월 31일: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당시)와 서울메트로가 통합되어 서울교통공사의 역이 되었다.[3]
3. 역 구조

하계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하역이며, 전면 스크린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개찰구는 중계 방면과 공릉 방면 2곳에 있으며, 화장실은 남쪽 개찰구 밖에 있다. 출입구는 6곳이다.
3. 1. 승강장
하계역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6개이다. 승강장 번호는 없다.
4. 역 주변
5. 이용객 변동
- - 서울 지하철 7호선 하계역의 이용객 변동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서울 지하철 7호선 | 각주 | ||
|---|---|---|---|---|
| 승차 인원 (명/일) | 하차 인원 (명/일) | 승하차 인원 (명/일) | ||
| 2000년 | 14,370 | 12,808 | 27,178 | [6] |
| 2001년 | 18,305 | 16,049 | 34,353 | |
| 2002년 | 19,404 | 17,013 | 36,417 | |
| 2003년 | 20,049 | 17,861 | 37,909 | |
| 2004년 | 20,083 | 17,611 | 37,694 | |
| 2005년 | 20,504 | 19,713 | 40,217 | |
| 2006년 | 21,098 | 19,856 | 40,954 | |
| 2007년 | 20,687 | 19,343 | 40,031 | |
| 2008년 | 20,676 | 19,340 | 40,016 | |
| 2009년 | 20,448 | 19,031 | 39,480 | |
| 2010년 | 21,002 | 19,523 | 40,525 | |
| 2011년 | 21,497 | 20,062 | 41,558 | |
| 2012년 | 21,307 | 19,934 | 41,241 | |
| 2013년 | 21,743 | 20,331 | 42,074 | |
| 2014년 | 21,642 | 20,382 | 42,024 | |
| 2015년 | 21,237 | 19,979 | 41,217 | |
| 2016년 | 20,805 | 19,603 | 40,408 | |
| 2017년 | 20,391 | 19,207 | 39,598 | |
6. 인접한 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 중계 (714) (장암 방면) |
|---|---|
| 공릉 (716) (석남 방면) |
7. 기타
이 역은 일본에서 読み가 "하게"인 진지명 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니혼 TV 계열 『넵&이모토의 세계 번부』 2013년 6월 21일 방송분에서도 소개되었다.[1] 로마자 표기법에 따르면 "하예"가 되지만, "ye" 직전에 자음이 있으면 "y"가 빠지는 발음 규칙 때문에 실제 발음은 "하게"가 된다.[1]
역 이름은 주변 지명인 "하계동(하게동)"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근처를 흐르는 중랑천의 하류 쪽에 위치한 것에서 비롯되었다.[1] 이와 비슷한 유래로 "중계동(충게동)", "상계동(상게동)"이라는 지명도 있으며, 중계역은 이 역 옆에 있고, 상계역은 4호선에 있다.[1]
일본 고치현 시만토시에도 읽는 방법이 비슷한 한게역이 있지만, 이는 우연히 비슷해진 것으로 관련은 없다.[1]
참조
[1]
웹사이트
하계역
https://terms.naver.[...]
Doopedia
2021-10-08
[2]
웹사이트
하계역
https://terms.naver.[...]
2019-06-14
[3]
웹사이트
하계역
https://terms.naver.[...]
서울지명사전
2021-10-08
[4]
웹사이트
동명유래
https://www.nowon.kr[...]
Nowon District
2021-10-08
[5]
웹사이트
서울도시철도공사 > 알림정보 > 자료실
http://smrt.co.kr/pr[...]
[6]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