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류는 조직에 혈액이 공급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1920년 오거스트 크로는 모세혈관의 조절 메커니즘을 발견하여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세동맥과 모세혈관의 개폐를 통해 혈액 관류가 조절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비정상 관류는 과관류와 저관류로 나뉘며, 동맥이나 세동맥의 폐색, 염증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관류는 심박출량(Q)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하며, 마이크로스피어, 핵의학,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 단층촬영(CT), 열 확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흡생리학 - 헤모글로빈
헤모글로빈은 척추동물 혈액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주요 단백질로, 헴과 글로빈이 결합된 4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된 사량체 구조를 가지며, 헴의 철 성분이 산소와 결합하여 폐에서 조직으로 산소를, 조직에서 이산화탄소와 양성자를 운반하고, 산소 결합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유전자 돌연변이는 헤모글로빈병증을 유발하고, 농도와 기능은 질병 진단에 활용되며, 다양한 생물종에서 발견된다. - 호흡생리학 - 메트헤모글로빈
메트헤모글로빈은 헤모글로빈의 일종으로, 헴 철 이온이 산화된 Fe3+ 상태로 존재하여 산소 결합 능력을 상실한 상태를 말하며, 후천적으로는 환경적 요인이나 약물에 의해, 선천적으로는 유전적 결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 심장혈관생리학 - 심박수
심박수는 1분 동안 심장이 뛰는 횟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신체의 산소 요구량, 자율신경계, 호르몬 등의 영향을 받아 변하며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 심장혈관생리학 - 정맥
정맥은 폐정맥을 통해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심장으로 운반하고, 전신 정맥을 통해 산소가 고갈된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리는 혈관계이며, 정맥판을 가지고 혈액 역류를 방지하고, 심장 수축, 골격근 펌프, 호흡 펌프 작용으로 심장으로 혈액을 귀환시키며, 정맥 혈전증, 문맥 고혈압, 정맥염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관류 | |
---|---|
정의 | |
관류 | 순환계 또는 림프계를 통해 장기나 조직으로 유체가 이동하는 것 |
추가 정보 | |
관련 학문 | 생리학 |
2. 발견
오거스트 크로는 모세혈관의 조절 메커니즘을 발견한 공로로 1920년에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6][7] 크로는 세동맥과 모세혈관의 개폐를 통해 근육 및 기타 기관의 혈액 관류가 요구에 따라 조절된다는 것을 처음으로 기술했다.
비정상 관류(Malperfusion)는 부적절한 관류 상태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저관류를 지칭한다. 과관류(Hyperperfusion)와 저관류(Hypoperfusion)는 조직의 대사 요구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류량이 과도하거나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6][7] 1920년, 오거스트 크로는 모세혈관의 조절 메커니즘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 크로흐는 세동맥과 모세혈관의 개폐를 통해 근육 및 기타 기관의 혈액 관류가 요구에 따라 적응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기술했다. 과관류는 염증에 의해 발생하여 신체 부위의 충혈을 유발할 수 있다.
3. 비정상 관류
3. 1. 과관류의 예시
3. 2. 저관류와 허혈
'''저관류'''는 동맥 또는 세동맥이 색전에 의해 막혀 해당 조직에 혈액이 전혀 도달하지 않거나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관류 부전은 불량 관류라고도 하며, 모든 유형의 부적절한 관류를 의미한다. 저관류와 허혈 사이에는 공식적인 구분선이 없다. 허혈은 때때로 관류가 없는 것을 의미하지만, 종종 괴사를 유발할 정도로 심각한 저관류를 의미한다.[1]
4. 측정
수식에서 기호 Q는 심박출량을 나타낼 때 관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용어는 심박출량과 기호 Q가 모두 유량(단위 시간당 부피, 예를 들어 L/min)을 나타내는 반면, 관류는 조직 질량 단위당 유량(mL/(min·g))으로 측정되므로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8]
4. 1. 미세구체 (Microspheres)
1960년대부터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마이크로스피어는 관류를 측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방사성 표지 입자를 시험 대상에게 주입하고, 방사선 검출기가 관심 조직의 방사능을 측정한다.[8] 마이크로스피어는 심장 문제를 진단하는 방법인 방사성 핵종 혈관 조영술에 사용된다.1990년대에는 형광 마이크로스피어를 사용하는 방법이 방사성 입자를 대체하는 일반적인 방법이 되었다.[9]
4. 2. 핵의학 (Nuclear medicine)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PET) 및 단일 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술(SPECT)과 같은 핵의학적 방법을 통해 생체 내에서 다양한 조직의 관류를 측정할 수 있다. 특정 장기를 표적으로 하는 다양한 방사성 의약품이 사용된다.- 133Xe-가스는 SPECT를 이용한 뇌 관류(rCBF)의 절대 정량화에 사용된다.
4. 2. 1. 뇌 관류 측정
단일 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술(SPECT)을 이용한 뇌 관류(rCBF) 연구에는 99mTc 표지 HMPAO 및 ECD가 사용된다.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PET)을 이용한 뇌 관류(rCBF) 연구에는 15O 표지 물이 사용된다.4. 2. 2. 심근 관류 측정
단일 광자 방출 전산화 단층 촬영술(SPECT)을 이용한 심근 관류 영상에는 99mTc 표지 테트로포스민 및 세스타미비가 사용된다.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PET)을 이용한 심근 관류 측정에는 82Rb-염화물이 사용된다.4. 3. 자기공명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조직 관류를 생체 내에서 측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두 가지 주요 범주의 자기 공명 영상(MRI) 기술이 있다.- 첫 번째는 주입된 조영제를 사용하여 혈액의 자기 감수성을 변화시키고, 그에 따라 볼루스 통과 중에 반복적으로 측정되는 MR 신호를 기반으로 한다.[10]
- 다른 범주는 동맥 스핀 표지(ASL)를 기반으로 하며, 여기서는 동맥혈이 검사 대상 조직에 들어가기 전에 자석으로 표지되고, 스핀 표지 없이 얻은 대조 기록과 비교하여 표지량과 비교한다.[11]
4. 4. 컴퓨터 단층촬영 (Computed tomography, CT)
뇌 관류는 조영 증강 CT으로 추정할 수 있다.[12]4. 5. 열 확산 (Thermal diffusion)
관류는 전체 열 확산을 측정하고 이를 열전도율 및 관류 성분으로 분리하여 결정할 수 있다.[13]참조
[1]
웹사이트
perfusion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Unabridged
2008-03-20
[2]
학술지
The measurement of diffusion and perfusion in biological system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2000
[3]
학술지
Fully quantitative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myocardial perfusion ready for clinical use: a comparison between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2017
[4]
웹사이트
Perfusion > What is Perfusion?
http://www.perfusion[...]
Cardiovascular Perfusion Forum
[5]
웹사이트
Perfusion > Perfusion Services
http://www.specialty[...]
Specialty Care Services Group
2017-01-02
[6]
학술지
August Krogh (1874–1949): 1920 Nobel Prize
[7]
학술지
Nobel prize for August Krogh in 1920 for his discovery of regulative mechanism in the capillaries
[8]
간행물
Studies of the Circulation with Radioactive Microspheres.
1969
[9]
웹사이트
Fluorescent Microspheres
http://fmrc.pulmcc.w[...]
Fluorescent Microsphere Resource Center
[10]
서적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inauer, Massachusetts
[11]
학술지
Applications of arterial spin labeled MRI in the brain
2012-05-01
[12]
간행물
Cerebral blood flow determination by rapid-sequence computed-tomography: theoretical analysis
1980-12
[13]
학술지
Continuous monitoring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experimental and clinical validation of a novel thermal diffusion microprobe
2000-08
[14]
웹사이트
perfusion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Unabridged
2008-03-20
[15]
학술지
The measurement of diffusion and perfusion in biological system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2000
[16]
학술지
Fully quantitative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myocardial perfusion ready for clinical use: a comparison between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2017
[17]
웹인용
Perfusion > What is Perfusion?
http://www.perfusion[...]
Cardiovascular Perfusion For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