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음보살보문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세음보살보문품은 관세음보살의 자비와 신통력을 설하는 불교 경전으로, 무진의보살과의 문답을 통해 관세음보살의 구원 능력, 33응신, 자비심 등을 보여준다. 부처는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염송하면 다양한 고난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음욕, 성냄, 어리석음 등의 번뇌를 없앨 수 있다고 설한다. 또한 관세음보살은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공양과 예배를 통해 큰 복덕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이 경전은 광우스님과 정목스님에 의해 번역되었으며, 한국 불교에서도 널리 읽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묘법연화경 - 다보탑
다보탑은 법화경의 다보여래 탑 설화에서 유래한 일본 고유 탑 형식으로, 사각형 초층과 원형 상층의 2층 구조, 불상을 안치하는 수미단 설치가 특징이며, 일본 목조 다보탑 중에는 국보나 중요문화재도 있고 한국 불국사 다보탑은 석조 다보탑의 대표적 예이다. - 묘법연화경 - 나무묘법연화경
나무묘법연화경은 불교 경전인 법화경의 제목을 외는 것으로, 일본 불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니치렌 불교의 핵심 수행법으로 숭배와 깨달음을 상징한다. - 불경 - 명진
명진은 1975년 해인사에서 출가한 조계종 승려이자, 불교계 민주화 운동과 사회 비판적 활동을 펼쳐온 사회 운동가이다. - 불경 - 숫타니파타
숫타니파타는 초기 불교 경전 중 하나로, 부처의 설법을 모아 놓았으며, 석가모니 부처를 역사적 인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하고 출가 수행자의 삶과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강조한다.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관세음보살보문품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제목 | 관세음보살보문품 |
원제 | 觀世音菩薩普門品 |
번역가 | 구마라집(鳩摩羅什) |
국가 | 중국 요진(姚秦) |
언어 | 한자 |
주제 |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
내용 | |
설명 | 묘법연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을 중심으로 설해진 관음신행이 널리 유행하였다. 관음신행이 성행하면서 법화경 보문품을 따로이 독립시켜 관음경이라고까지 불려지고 있다. |
2. 관세음보살보문품의 내용
관세음보살보문품은 중생이 고난에서 벗어나 해탈에 이르는 길을 제시하는 경전이다. 무진의보살과 세존의 문답, 관세음보살의 구원, 자비와 신통력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무진의보살이 세존에게 관세음보살이 어떠한 인연으로 '관세음'이라 불리는지 묻자, 부처는 중생이 고통받을 때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부르면 그 음성을 듣고(觀) 해탈하게 하기 때문이라고 답한다.[9] 관세음보살은 큰 불, 물, 나찰, 칼, 귀신, 쇠사슬, 도적 등 온갖 위험으로부터 중생을 구제하며, 음욕, 성냄, 어리석음과 같은 번뇌를 없애주고,[9] 아들이나 딸을 원하는 이에게 소원대로 아이를 갖게 해주는 힘이 있다.[9]
관세음보살은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 법을 설하며, 두려움과 재난 속에서도 중생에게 두려움 없음을 베푸는 존재이다.[9] 무진의보살은 게송으로 관세음보살의 공덕을 찬양하며, 관세음보살이 중생의 고통을 없애주고, 지혜와 방편으로 시방세계에 두루 나타나며, 자비로운 관찰로 중생을 보살핀다고 노래한다.[9]
2. 1. 무진의보살과의 문답
무진의보살이 세존에게 관세음보살이 어떠한 인연으로 '관세음'이라 불리는지 질문했다.[9] 부처님은 백천만억 중생이 괴로움을 받을 때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부르면, 관세음보살이 그 음성을 듣고(觀) 중생을 해탈하게 한다고 답했다.[9] 이러한 이유로 '관세음(觀世音)'이라 불린다고 설명했다.[9]관세음보살의 명호를 부르면 큰 불, 큰 물, 나찰의 위협, 칼과 몽둥이, 악귀, 죄인의 쇠사슬 등 어떤 위험에서도 벗어날 수 있다.[9] 보물을 가진 상인, 음욕, 성냄, 어리석음이 많은 중생도 관세음보살을 생각하면 어려움에서 벗어난다.[9] 아들이나 딸을 원하는 여인이 관세음보살에게 공양하면 원하는 자녀를 얻는다.[9]
무진의보살이 62억 항하사(恒河沙, 갠지스 강의 모래)만큼 많은 보살에게 공양하는 것과 관세음보살에게 잠시라도 예배 공양하는 복덕이 같다고 하였다.[9]
무진의보살은 관세음보살이 사바세계에서 어떻게 중생을 제도하는지, 그 방편은 무엇인지 다시 질문했다.[9] 부처님은 관세음보살이 중생의 근기에 맞춰 부처, 벽지불, 성문, 범천왕, 제석천왕, 자재천, 대자재천, 천대장군, 비사문천왕, 왕, 장자, 거사, 관리, 바라문, 비구/비구니, 우바새/우바이, 부녀자, 동남/동녀, 천,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 인비인, 집금강신 등 다양한 몸으로 나타나 법을 설한다고 답했다.[9]
무진의보살이 관세음보살에게 보배 목걸이를 공양하려 했으나 관세음보살이 받지 않았다.[9] 부처님의 권유로 관세음보살은 목걸이를 받아 둘로 나누어 석가모니불과 다보여래 탑에 공양했다.[9]
무진의보살은 게송으로 관세음보살의 명호에 담긴 인연을 다시 물었고, 부처님은 게송으로 관세음보살의 공덕을 찬탄했다.[9] 불구덩이, 바다, 높은 산, 흉악한 사람, 원수와 도둑, 옥, 주술과 독약, 나찰, 사나운 짐승, 독사, 천둥 번개와 우박 등 어떤 위험에서도 관세음보살을 생각하면 구원받을 수 있다고 설했다.[9]
2. 2. 관세음보살의 구원
무진의보살이 묻자, 세존께서는 중생이 고통받을 때 일심으로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부르면(염불) 관세음보살이 그 음성을 듣고(관하여) 해탈하게 한다고 답하였다.[9][10] 관세음보살에게 예배하고 공양하면 복덕과 지혜를 갖춘 아들이나 단정한 딸을 낳을 수 있고,[9]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지니고 예배 공양하면 한량없는 복덕을 얻는다.[9]
2. 3. 관세음보살의 자비와 신통력
무진의보살이 석가모니불에게 관세음보살이 어째서 '관세음'이라 불리는지 묻자, 부처는 중생이 고통받을 때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부르면 그 음성을 듣고 해탈하게 하기 때문이라고 답한다.[9][10] 관세음보살은 큰 불, 물, 나찰, 칼, 귀신, 쇠사슬, 도적 등 온갖 위험으로부터 중생을 구제한다.[9][10]관세음보살은 음욕, 성냄, 어리석음과 같은 번뇌를 없애주고,[9][10] 아들이나 딸을 원하는 이에게 소원대로 아이를 갖게 해주는 힘이 있다.[9][10] 관세음보살에게 예배하고 공양하는 것만으로도 한량없는 복덕을 얻을 수 있다.[9][10]
관세음보살은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부처, 벽지불, 성문, 범천왕, 제석천왕, 자재천, 대자재천, 하늘 대장군, 비사문천왕, 왕, 장자, 거사, 관리, 바라문,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부녀자, 동남, 동녀, 천,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 사람, 집금강신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 법을 설한다.[9][10]
관세음보살은 두려움과 재난 속에서도 중생에게 두려움 없음을 베풀어주는 존재로, '두려움 없음을 베푸는 이'라고도 불린다.[9][10] 무진의보살이 보석 목걸이를 공양하려 하자 처음에는 받지 않았으나, 중생을 불쌍히 여겨 목걸이를 받아 둘로 나누어 석가모니불과 다보여래의 탑에 바쳤다.[9][10]
무진의보살은 게송으로 관세음보살의 공덕을 찬양하며, 관세음보살이 중생의 고통을 없애주고, 지혜와 방편으로 시방세계에 두루 나타나며, 자비로운 관찰로 중생을 보살핀다고 노래한다.[9][10] 관세음보살은 바다처럼 한량없는 복덕을 지니고 있어, 중생은 마땅히 머리 숙여 예배해야 한다.[9][10]
3. 관세음보살보문품의 번역본
관세음보살보문품은 여러 한글 번역본이 존재한다. 그중 대표적인 번역본으로 광우스님과 정목스님의 번역본이 있다.
3. 1. 광우스님 번역본
광우스님이 번역한 한글 관세음보살 보문품은 다음과 같다.[9]무진의보살이 세존에게 관세음보살의 이름에 담긴 뜻을 묻자, 부처는 중생이 고통받을 때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부르면 즉시 해탈하게 된다고 답한다. 관세음보살은 불, 물, 나찰, 악귀, 도적 등 어떤 위험에서도 중생을 구원하며, 음욕, 성냄, 어리석음을 없애주고, 자녀를 원하는 이에게 복덕과 지혜를 갖춘 아이를 점지해 준다. 관세음보살에게 공양하는 복은 한량없으며, 다양한 모습으로 중생을 제도한다.[9]
무진의보살이 보석 목걸이를 관세음보살에게 바치려 했으나 처음에는 받지 않았다. 그러나 무진의보살과 사부대중의 간청으로 목걸이를 받아 둘로 나누어 석가모니불과 다보여래의 탑에 바쳤다. 부처는 관세음보살의 공덕을 듣는 것만으로도 큰 복을 받는다고 설법한다.[9]
3. 2. 정목스님 번역본
다음은 정목스님이 번역한 한글 관세음보살 보문품이다.[10]그때에 무진의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 합장하고 부처님을 향하여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관세음보살은 무슨 까닭으로 관세음이라 하나이까?"
부처님이 무진의보살에게 말씀하시었다.
"선남자여, 만약 한량없는 백천만억 중생들이 많은 괴로움을 받을 때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듣고 일심으로 그 이름을 염송하면, 관세음보살이 곧 그 음성을 듣고 모두 해탈케 하느니라.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지니는 이는 설사 큰 불에 들어가도 불이 능히 그를 태우지 못하나니, 이는 관세음보살의 위신력 때문이니라.
또한 큰물에 떠내려가더라도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염송하면 곧 얕은 곳을 얻게 되며, 만일 백천만억 중생들이 금, 은, 유리, 자거, 마노, 산호, 호박, 진주 등 보배를 구하려고 큰 바다에 들어갔다가 배가 폭풍에 밀려 나찰들에게 잡혔을 때라도, 그 가운데 한 사람이라도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염송하는 이가 있으면 여러 사람들이 모두 나찰의 화를 면하게 되나니, 이런 까닭으로 관세음보살이라 하느니라.
또한 어떤 사람이 해를 입게 되었을 때에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염송하면, 그들이 가진 칼과 무기가 조각조각 부서져서 위험에서 벗어나게 되느니라.
만약 어떤 사람에게 삼천대천세계에 가득한 야차와 나찰들이 와서 괴롭히려 하다가도 그 사람이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지성으로 염송하면, 악귀들이 흉악한 눈으로 보지도 못하거늘 하물며 해할 수가 있겠느냐.
또한 어떤 사람이 죄가 있거나 없거나 간에 수갑과 쇠고랑과 사슬에 몸이 묶였더라도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염송하면, 모두 부서지고 끊어져서 위험에서 벗어나게 되느니라.
만일 삼천대천세계에 도적이 가득 찼는데, 어느 날 주인이 귀중한 보물을 가진 장사꾼들을 데리고 험난한 길을 지나갈 때에 그 중에 한 사람이 말하기를, '선남자들아, 두려워하지 말고 그대들은 일심으로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염송하라. 이 보살은 능히 모든 이들의 두려움을 없애주나니, 그대들이 관세음보살의 이름만 염송하면 이 도적들의 난을 벗어나게 되리라'라고 하자, 여러 장사꾼들이 함께 소리를 내어 '관세음보살'하고 그 이름을 염송한 까닭으로 도적들의 화에서 벗어났느니라.
무진의여, 관세음보살마하살의 위신력이 이렇게 크나니라.
어떤 사람이 음욕이 많더라도 항상 관세음보살을 염송하고 공경하면 문득 음욕을 여의게 되고, 만일 성내는 마음이 많더라도 항상 관세음보살을 염송하고 공경하면 문득 성내는 마음이 없어지고, 만일 어리석은 마음이 많더라도 항상 관세음보살을 염송하고 공경하면 문득 어리석음이 없어지게 되느니라.
무진의여, 관세음보살은 이러한 큰 위신력이 있어 모든 이들을 이롭게 하나니, 그러므로 모든 이들은 항상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염송할지니라.
어떤 여인이 아들 낳기를 원하여 관세음보살에게 예배하고 공양하면 문득 복덕 많고 지혜 있는 아들을 낳게 되고, 딸 낳기를 원하면 문득 단정하고 어여쁜 딸을 낳으리니, 이는 전생에 공덕의 근본을 심었으므로 모든 사람들이 사랑하고 공경하는 것이니라.
무진의여, 관세음보살은 이와 같은 힘이 있느니라.
만일 어떤 이가 관세음보살에게 공경하고 예배하면 공덕이 헛되지 않으리니, 그러므로 모든 이들은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받아 지닐 것이니라.
무진의여, 어떤 사람이 육십이억 항하사처럼 많은 보살들의 이름을 받아 지니고, 또 몸이 다하도록 음식과 의복과 침구와 의약으로 공양한다면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람의 공덕이 많지 않겠느냐?'
무진의보살이 말하였다. "매우 많겠나이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시었다.
"만일 어떤 사람이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받아 지니고 한 때만이라도 예배하고 공양하면, 이 두 사람의 공덕이 다름이 없어서 백천만억겁에 이르더라도 다하지 아니하리라.
무진의여,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받아 지니면 이와 같은 한량없고 그지없는 복덕의 이익을 얻느니라."
무진의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관세음보살이 어떻게 이 사바세계에 다니며, 어떻게 모든 이들을 위하여 법을 말하며, 방편의 힘은 어떠하나이까?"
부처님이 무진의보살에게 말씀하시었다.
"착하도다, 무진의여. 관세음보살은 부처님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부처님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벽지불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벽지불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성문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성문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범천왕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범천왕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제석천왕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제석천왕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자재천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자재천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대자재천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대자재천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하늘대장군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하늘대장군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비사문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비사문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소왕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소왕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장자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장자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거사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거사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재관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재관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바라문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바라문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장자, 거사, 재관, 바라문의 부인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다 그 부인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동남, 동녀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동남, 동녀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하늘,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 사람, 사람 아닌 이들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다 그 몸을 나타내어 법을 설하고, 집금강신의 몸으로 제도할 이에게는 집금강신의 몸을 나타내어 법을 말하느니라.
무진의여, 관세음보살은 이와 같은 공덕을 성취하고 가지가지 형상으로 여러 국토에 다니면서 모든 이들을 제도하여 해탈케 하나니, 그러므로 그대들은 마땅히 한결같은 마음으로 관세음보살에게 예배하고 공양해야 하느니라.
관세음보살마하살은 무섭고 급한 재난 가운데서도 두려움을 없게 하나니, 그러므로 이 사바세계에서 모두 그를 이름하여 두려움을 없애주는 분이라 하느니라."
무진의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관세음보살에게 공양하겠나이다."
그리고 목에 장식하였던 백천금이나 되는 영락을 관세음보살에게 드리면서 이렇게 말하였다.
"관세음보살이시여, 법으로 보시하는 보배 영락을 받으소서."
이때에 관세음보살은 받지 않으려 하거늘, 무진의보살이 다시 관세음보살에게 받기를 청하였다.
"관세음보살이시여, 우리를 어여삐 여기시어 이 영락을 받으소서."
이때 부처님이 관세음보살에게 말씀하시었다.
"마땅히 이 무진의보살과 사부대중과 하늘,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 사람, 사람 아닌 이들을 어여삐 여겨 영락을 받으라."
그때에 관세음보살이 사부대중과 하늘,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 긴나라, 마후라가, 사람, 사람 아닌 이들을 어여삐 여겨 그 영락을 받아 두 몫으로 나누어 한 몫은 석가모니부처님께 공양하고, 한 몫은 다보부처님 탑에 공양하였다.
"무진의여, 관세음보살은 이렇게 자유자재한 신통력이 있어 사바세계에 다니느니라."
이때에 무진의보살이 게송으로 여쭈었다.
"묘한 상을 갖추신 세존이시여, 이제 다시 저희들이 여쭈옵니다. 불자들이 어떤 까닭으로서 관세음보살이라 하시나이까?"
묘한 상을 갖추신 부처님께서 무진의보살에게 말씀하시되
"관음보살 거룩하온 덕을 베풂이 곳곳에 나타남을 네가 들으라.
큰 서원은 바다같이 넓고 깊으며, 한량없는 세월 동안 살아오면서 천만억의 부처님을 믿고 섬기어 거룩한 청정원력 이루었도다.
너희들이 알기 쉽게 말해주리라.
이름이라도 듣거나 친견하거나 마음 모아 섬겨서 지성 다하면, 이 세상의 모든 고통 멸해주리라.
가령 나를 어떤 이가 해치고자 하여 불구덩이에 떠밀어서 떨어진다 해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불구덩이가 문득 변해 연못이 되리라.
어쩌다가 바다에서 풍파에 밀려 사나운 용, 고기 떼, 아귀를 만나더라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거센 파도 잔잔해져 구원 얻으리.
만 길 높은 험한 산에 올라섰을 때, 웬 사람이 별안간 떠밀어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햇빛처럼 허공 중에 떠있게 되고, 뜻밖에도 악한 이에게 쫓긴 바 되어 금강산의 골짜기에 떨어질 때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털끝 하나 상하지 않네.
난데없이 원수들과 도적떼들이 제각기 흉기를 들고 협박할 때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도리어 자비심을 일으키리라.
혹시라도 억울하게 죄목을 받아 사형대에 끌려나온 마지막 순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모진 흉기 저절로 조각이 나네.
불행히도 큰칼을 쓰고 감옥에 갇히어 손과 발에 쇠고랑 차고 묶여 있어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저절로 풀려서 벗어나리라.
독한 약과 주술로써 무자비하게 사람들을 해치려고 덤벼들 때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도리어 본심으로 돌아가리라.
어쩌다가 악한 나찰을 만나게 되고, 독룡들과 아귀 떼를 만날지라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그 사람을 해치지 못할지니라.
사나운 맹수들이 에워싸고서 이빨과 발톱으로 위협하여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깜짝할 사이에 맹수들이 흩어지리라.
살모사 등 독을 쏘는 독충 무리가 불꽃 같은 독을 뿜어 위협한데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저마다 앞다투어 사라지리라.
구름 일고 천둥 쳐서 번개를 치며 우박이나 소나기가 쏟아질 때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이내 곧 구름 걷혀 활짝 개이리라.
모든 이들 때때로 곤액을 당해 한량없는 고통들이 핍박하여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모든 고통 건져주리라.
신통력을 갖추신 관세음보살은 지혜와 온갖 방편을 널리 닦으사, 시방세계와 모든 국토에 빠짐없이 두루두루 나타나시며, 여러 가지 생겨 나온 육취 중생들, 지옥, 아귀, 축생까지, 나고 늙고 병들어 죽는 고통을 참답게 모두 없애주시네.
진실다운 관찰이며 해맑은 관찰, 높고 크며 넓은 지혜의 관찰, 가엾고도 사랑하는 자비의 관찰, 한결같이 우러르며 염원하리라.
티끌 없이 밝고 맑은 거룩한 광명, 햇살 같은 지혜의 빛은 번뇌를 부수어 불꽃 바람 재앙들도 항복받아서 세간 속을 두루 밝게 비치시니라.
가엾은 이 건질 때 몸은 우레와 같고, 사랑을 베푼 마음은 구름 같아라. 시원한 감로수로 법비를 내려서 불꽃 같은 번뇌들을 없애주리라.
송사와 다툼으로 관청에 갈 때나 목숨을 걸고 나선 전쟁터라도, 관음보살 묘지력을 염송한다면 많고 많은 원수들도 물러가리라.
중생을 관찰하는 관세음보살, 자재하신 음성으로 설법하신 관세음보살은 바다와 같고, 세간 음성 모두보다 으뜸이시니 그러므로 우리들이 의지하리라.
의심하는 생각일랑 아예 버리고 관음보살 청정세계를 의지하여서, 번뇌로 인한 죽을 고통 당할 때에도 의지되어 모든 고통 감싸주시네.
일체의 모든 공덕을 구족하시고 자비하신 안광으로 중생을 살피사, 바다 같은 공덕이 한량없으니 마땅히 머리 숙여 예배하리라."
그때에 지지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앞에 나아가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만일 어떤 사람이 관세음보살보문품의 자재하신 법문과 넓은 문으로 나타내시는 신통한 힘을 듣는 이가 있으면, 이 사람의 공덕이 적지 아니함을 알겠나이다."
부처님이 이 보문품을 설하실 때에 팔만사천이나 되는 이들이 위없이 높고 평등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観音経(妙法蓮華経観世音菩薩普門品偈)の意味と現代語訳 - 禅の視点 - life -
https://www.zen-essa[...]
2022-07-27
[2]
웹사이트
観音経(かんのんきょう)全文 現代語訳【明石の禅寺】大蔵院
https://www.daizouin[...]
2022-07-27
[3]
웹사이트
法華経とは何か その思想と背景 -植木雅俊 著|中公新書|中央公論新社
https://www.chuko.co[...]
2024-12-23
[4]
문서
要約法華経
[5]
간행물
法華経と空思想
東洋学術研究
1999
[6]
웹사이트
観音さまとは? 掛け軸の専門店 香遊オンライン 【送料無料・安心対応】
https://www.kouyu.in[...]
2022-08-09
[7]
기타
法華経と空思想
東洋学術研究第38巻第2号
[8]
웹인용
법화경 강의 (26) 관세음보문품 관세음보살의 일불승 보살행
http://www.buddhismj[...]
불교저널
2023-06-23
[9]
웹인용
광우스님 법공양 8월달 후원 동참자 축원발원문 - 우리말 관세음보살 보문품 - 한글 반야심경 - 광우스님 낭독
https://www.youtube.[...]
유튜브(구글 알파벳)
2023-09-20
[10]
웹인용
"[경전낭독] 우리말 관세음보살보문품"
https://www.youtube.[...]
유튜브(구글 알파벳)
2023-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