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자재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자재천은 산스크리트어 '마헤슈바라'를 음역한 것으로, '위대한 주'라는 뜻이며, 불교에서 색계의 꼭대기에 거주하는 삼천 세계의 주인으로 여겨진다. 힌두교의 시바 신앙에서 유래하여 불교에 수용되었으며, 삼목 팔비에 흰 소를 타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대자재천은 비사자마혜수라와 정거마혜수라 두 종류로 나뉘며, 밀교에서는 아내 우마비와 함께 강삼세명왕에게 짓밟히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한국 불교에서는 호국신, 민간 신앙의 대상으로 숭배되어 왔으며, 불교의 토착화 과정과 불교와 힌두교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존재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바의 형태 - 링감
링감은 힌두교에서 시바신을 상징하는 형태로, 브라흐만의 존재를 나타내는 증거이자 시바신의 초월성을 나타내는 '징후'로 사용되었으며, 샤이바 전통에서 시바의 상징물로서 남성적, 여성적 원리의 결합 또는 창조적인 에너지와 우주의 힘을 상징하는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된다. - 시바의 형태 - 루드라
루드라는 베다 시대부터 숭배된 인도의 신으로, 리그베다에 초기 언급이 나타나며, '포효하는 자'로 해석되는 무시무시한 모습과 질병 치료 및 풍요를 가져다주는 자비로운 면모를 동시에 지니고 있고, 후대에 시바와 동일시되었으며 불교와 조로아스터교에서도 언급되는 등 다양한 종교적 맥락에서 나타난다. - 호법신 - 산신
산신은 동아시아에서 산의 정령으로 숭배되며, 한국에서는 사찰이나 신당에서 노년 남성의 모습으로 호랑이와 함께 모셔지고, 불교에서는 호법신으로, 중국에서는 오악의 신, 일본에서는 야마노카미, 베트남에서는 특정 산에 깃든 신으로 숭배받으며 각 지역의 문화적 특징을 반영한다. - 호법신 - 길상천
- 천부 - 길상천
- 천부 - 염라대왕
염라대왕은 불교, 중국 신화, 도교 등 여러 문화권에서 사후 세계를 다스리는 신으로 나타나며, 망자를 심판하고 윤회할 곳을 결정하거나 지옥의 심판관으로 숭배받고 죽음과 환생의 순환을 주관하는 존재로 여겨진다.
대자재천 | |
---|---|
기본 정보 | |
![]() 「존상은 세 개의 눈과 여덟 개의 팔을 가졌고 흰 소를 탔다」라고 되어 있다 | |
산스크리트어 이름 | 마헤슈바라 (Maheśvara) |
팔리어 이름 | 마힛사라 (Mahissara) |
중국어 이름 | 다쯔자이톈 (Dàzìzàitiān) |
일본어 이름 | 다이지자이텐 (Daijizaiten) |
타갈로그어 이름 | 마헤스발라 (Mahesbala) |
다른 이름 | 마혜수라 (摩醯首羅) |
2. 이름
'''마혜수라'''(摩醯首羅)는 산스크리트어 '마헤슈바라(Maheśvara)'를 음역한 것으로, '마하(Mahā, 위대한)'와 '이슈바라(Īśvara, 주)'의 합성어이다. '위대한 주(主)'라는 뜻을 지니며, 한국어로는 '''대자재'''(大自在), '''자재천'''(自在天), '''자재천주'''(自在天王), '''천주'''(天主) 등으로 의역된다. '''상갈라'''(商羯羅, Śaṅkarasa), '''이사나'''(伊舍那, Īśānasa)는 시바의 다른 이름을 음역한 것이다.[9]
힌두교의 최고신 중 하나인 시바(Śiva)에서 기원한다.[9] 시바는 파괴, 창조, 보존의 세 가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신으로, 힌두교에서 널리 숭배된다. 대승 불교는 힌두교의 시바 신앙을 수용하면서 마혜수라라는 새로운 신격(神格)을 탄생시켰다.
3. 기원
용수(150?~250?)의 《대지도론》(402~406년) 제2권에는 마혜수라천(시바), 위뉴천(비슈누), 구마라천(무루간)에 대한 묘사가 나타나는데,[9] 이는 불교가 힌두교의 신들을 수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불교에서 마혜수라는 단순한 신이 아니라, 깨달음을 얻은 보살이나 부처의 화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3. 1. 힌두교의 영향
힌두교의 시바 신앙에서 유래한 만큼, 대자재천은 힌두교적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9] 세 개의 눈, 여덟 개의 팔, 흰 소를 타는 모습 등은 힌두교 시바의 전형적인 도상(圖像)과 일치한다. 힌두교에서 시바는 우주의 창조, 유지, 파괴를 주관하는 신으로 여겨지며, 이러한 속성은 불교의 마혜수라에게도 이어진다.[10]
대승 불교에 수용된 '''마헤슈바라'''는 시바 신의 별칭들 중 하나이다.[9] 대자재천(大自在天)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크게[大] 자재한 천신(天, deva, 데바)' 즉 '커다란 역량이 있는 신'으로, 우주를 생성하고 유지하고 파괴하는 역량이 있는 신을 뜻한다. 즉, 트리무르티의 교의에서 말하는 브라흐만의 한 측면으로서의 시바를 뜻한다.[10]
용수(150?~250?)의 《대지도론》 한역본(402~406년) 제2권에는 시바(마혜수라천)에 대한 묘사가 비슈누(위뉴천)와 무루간(구마라천)에 대한 묘사와 함께 나오는데 다음과 같다.
바라문교(후의 힌두교)에서는 세계를 창조하고 지배하는 최고신을 '''이슈바라'''(범어: Īśvara)라고 하는데, 이것은 후에 시바의 별명이 된다. 불교에서는 바라문·힌두의 신들이 받아들여졌지만, "이슈바라", "마헤슈바라"는 각각 "자재천", "대자재천"으로 한역되었다.
불교에서 시바신과 마찬가지로 삼목 팔비에 백우를 타고, 외도(불교 외)와 같은 존상으로 표현되지만, 밀교의 만다라 등에서 제존의 한 존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만다라에서는 남녀 한 쌍으로 표현되며, 비(妃)를 우마비(우마키)라고 한다. 또한 불이나 보살의 응신이라는 해석도 이루어진다.
대자재천에는 다음과 같은 2종류가 있다고 한다.[4]3. 2. 불교적 수용과 변화
불교는 힌두교의 시바 신앙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 아니라, 불교의 교리와 세계관에 맞게 변형하고 재해석했다. 마혜수라는 불교의 수호신 중 하나로 편입되었으며, 불법(佛法)을 수호하고 중생을 제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밀교에서는 마혜수라를 대일여래(大日如來)의 화신으로 보기도 하며, 만다라에 중요한 존상(尊像)으로 등장한다.[4]
불교 경전에서는 마혜수라를 대자재천으로 번역하며, 색계의 정상에 위치하여 삼천대천세계를 다스리는 존재로 묘사한다. 대자재천은 바라문교와 힌두교의 최고신인 이슈바라(Īśvara, 시바의 별명)를 불교적으로 수용한 것이다.
대자재천은 대성환희자재천이나 타화자재천과 혼동될 수 있지만, 타화자재천은 욕계의 육욕천 중 가장 높은 곳에 있는 반면, 대자재천은 색계 > 사선천 > 오정거천 > 색구경천에 위치한다.
대자재천은 세 개의 눈과 여덟 개의 팔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며, 흰 소를 타고 다닌다. 밀교의 만다라에서는 남녀 한 쌍으로 표현되기도 하며, 아내는 우마비(우마키)라고 불린다. 또한 여래나 보살의 화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대자재천은 다음과 같이 두 종류로 구분된다.[4]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어령(御靈)에는 "천만대자재천신"이라는 신호가 붙여졌는데, 이는 어령의 힘을 대자재천과 결합시킨 것이다. 그러나 제도중생계라는 독자적인 세계에 거주하며 삼계를 자유롭게 오가기 때문에 대자재천 자체와는 다르다.
밀교에서는 대자재천과 그의 아내 우마비가 항삼세명왕에게 짓밟히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북송 시대 시호가 번역한 "불설대자재천자인지경"에 따르면, 대자재천은 곤륜산에서 우마비와 함께 살며, 과거 부처가 세상에 나타났을 때 네 명의 수행자가 발원하여 각각 범천왕, 나라연천, 대자재천, 부처가 되었다고 한다.[5]
또한, 대자재천은 범천에서 인간 세상으로 내려와 아귀와 관계하여 아이로 태어났으며, 태어났을 때 여러 귀신과 범천이 그를 경배했다고 한다. 이때 범천은 자신의 다섯 머리 중 하나가 추악하여 대자재천에게 제거해달라고 요청했고, 대자재천은 범천의 머리를 떼어냈다고 한다.[6]
4. 종류
불교 문헌에 따르면 마혜수라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4]
- 비사자마혜수라(毘舍闍摩醯首羅): 밀교에서는 대일여래의 화신으로 여겨지며, 여러 모습으로 변신하여 중생을 제도한다.
- 정거마혜수라(淨居摩醯首羅): 보살이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되기 직전, 색계의 가장 높은 곳인 정거천(淨居天)에서 대자재천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4. 1. 비사자마혜수라(毘舍闍摩醯首羅)
비사자마혜수라(毘舍闍摩醯首羅)에서 비사자(毘舍闍, Piśāca|피샤차sa)는 악귀를 뜻하며, 비사자마혜수라는 악귀들의 왕으로 묘사된다.[4] 두 눈과 여덟 개의 팔을 가지고 흰 소를 타며, 색계에 거주한다.[4] 밀교에서는 대일여래의 화신으로 여겨지며,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변신하여 중생을 제도하는데, 비뉴천, 나라연천, 이사나천 등이 그 예이다.[4]"제바열반론"에는 20종의 외도(불교 이외의 종교)가 나오는데, 그중 비사자마혜수라가 제15의 마혜수라 논사로 언급된다.[4] 또한 대반열반경 19에도 육사외도 중 한 명인 가라구타가선연(카라쿠다카센엔, 팍다 카챠야나)이 이를 숭상했다고 기록되어 있다.[4]
중고기부터 현재까지 힌두교 시바 파(派)의 시바 신앙은 이 대자재천과 관련이 깊으며, 소 또는 남근을 신체의 표식으로 삼는다.[4]
4. 2. 정거마혜수라(淨居摩醯首羅)
보살이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되기 직전에, 색계의 가장 높은 곳인 정거천(淨居天)에서 대자재천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을 정거마혜수라(淨居摩醯首羅)라고 한다. 정거마혜수라는 보살의 모습으로 부처의 지위(佛位)를 잇는 의식인 관정(灌頂)을 받는다.[4] 정거마혜수라는 불교에서 수행과 깨달음의 과정을 상징하는 존재로 여겨진다.5. 현대의 마혜수라
현대의 마혜수라는 불교 신자이며, 전생에 가섭불에게 꿀 한 잔을 공양한 공덕으로 천(Deva)으로 환생했다. 화엄경(Kāraṇḍavyūha Sūtra)에 따르면, 마혜수라는 관세음보살의 눈썹에서 태어났다.[1] 불교 전통에 따르면, 그는 선한 사람, 주로 불교 계율을 따르고 채식을 하는 사람들을 돕고, 악행을 저지른 나쁜 사람들을 벌한다. 그는 쿤달리니 명상을 하는 요가 수행자들을 돕는다.[2][3] 그는 십지 보살이다. 스리랑카 불교에서 숭배되는 중요한 신 중 하나이며, 중국 불교의 24위 호법신 중 하나이자, 티베트 불교의 16명의 달마팔라 중 하나이다.
6. 만트라
마헤수라에게 귀의하고 공양하는 만트라(진언)가 전해진다.[7]
- (산스크리트어)
- (산스크리트어)
6. 1. 중국어 만트라
那嘛 薩曼達 布達喃 嗡 伊hi耶hi 嘛嘿思瓦啦雅 斯哇哈|나마 사만다 부다난 웡 이히예히 마헤스와라야 쓰와하중국어[7]6. 2. 일본어 만트라
オン・マケイシバラヤ・ソワカ일본어[7] (On makeishibaraya sowaka)는 의 일본어 음역이다.7. 남근 신앙과의 관련성 (논란)
일부 학설에서는 마혜수라 신앙이 남근 숭배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시바파 사람들은 인간의 남성 생식기를 천신의 신령한 상징으로 숭배하며, 시바 신은 링가(남근)를 상징으로 하여 남근 숭배와 결합되어 숭배된다는 것이다. 속고승전 현장전, 서역기 건타라국기, 현응음의 25, 대지도론 5, 대지도론 10 등의 문헌에서도 그 흔적을 엿볼 수 있다.[8]
하지만, 마혜수라와 남근 숭배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불교 문헌에서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마라(魔羅, Māra)를 남근으로 해석하는 것은 타화자재천과 마혜수라를 혼동한 결과일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8]
8. 한국 불교와의 관계
한국 불교에서 마혜수라는 대자재천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고려 시대에는 나라를 지키는 신, 즉 호국신으로 숭배되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는 불교가 탄압받는 상황 속에서도 그 명맥을 유지하며 민간 신앙과 융합되기도 했다.
현대 한국 불교에서도 마혜수라는 중요한 신앙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한국의 불교 사찰에서는 마혜수라를 모시는 전각이나 불상, 탱화 등을 볼 수 있다.
9. 결론
마혜수라는 힌두교의 시바 신앙이 불교에 수용되어 변화, 발전된 존재로, 불교의 우주관, 수행관, 철학 등 다양한 측면과 연결되어 있다.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는 마혜수라를 종교적 다양성과 포용성을 상징하는 존재로 해석할 수 있다. 한국 불교에서 마혜수라는 대자재천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호국신, 민간 신앙의 대상으로 숭배되어 왔다. 마혜수라는 불교의 대중화와 한국 불교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존재로 평가할 수 있다. 마혜수라에 대한 연구는 불교와 힌두교의 관계, 불교의 토착화 과정, 한국 불교의 특징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참조
[1]
서적
The Origins of Om Manipadme Hum: A Study of the Karandavyuha Sutr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
웹사이트
Who are Gods & Goddesses
https://nofearmanju.[...]
2021-02-28
[3]
웹사이트
Sri Lanka Web Portal on Astrology and Spiritual Development
https://lankawisdom.[...]
2021-02-28
[4]
문서
入大乗論の所説
[5]
문서
仏説大自在天子因地経の所説
[6]
문서
仏説大自在天子因地経の所説
[7]
서적
呪術・霊符の秘儀秘伝 増補版
ビイング・ネット・プレス
[8]
문서
摩羅
[9]
기타
[10]
간행물
Evolution of Religio-Philosophic Culture in In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