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둥병음방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둥병음방안은 광둥어, 객가어, 조주어, 해남어 등 중국 남부 방언의 로마자 표기 체계를 포괄하는 방안들을 의미한다. 각 방언별 병음 방안은 해당 방언의 음운 체계를 로마자로 표기하며, 주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발행되는 관련 저작물에서 사용된다. 광둥어의 경우, 광저우어 병음 방안이 대표적이며, 객가어는 메이셴 방언을, 조주어는 조주어 병음 방안을, 해남어는 문창 방언을 기준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둥어 - 광둥어 대중음악
광둥어 대중음악(Cantopop)은 1970년대 홍콩에서 시작되어 1980~90년대 황금기를 거친, 광둥어 사용 지역과 중화권에서 인기 있는 대중음악 장르로, 서구 팝과 광둥 오페라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1997년 이후 쇠퇴기를 겪었으나 2020년대 홍콩인들의 자부심을 바탕으로 부흥을 맞이하고 있다. - 민난어 - 취안장어
취안장어는 푸젠성 남부에서 사용되는 민남어의 주요 방언으로, 무역과 이민을 통해 해외로 확산되었으며, 음운, 문법, 어휘적 특징과 문어체와 구어체의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 민난어 - 백화자
백화자는 타이완어(민난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식 중 하나로, 선교사들이 개발하여 교회에서 사용되었으며,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19세기에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정립되어 보급되었으나 억압받기도 했지만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 로마자 표기법 - 와일리 표기법
와일리 표기법은 티베트어의 철자법적 특징을 반영하여 모호성을 최소화하면서 티베트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로마자로 옮기는 표기 체계로, 음절 내 자음 연속을 연속된 로마자로 표기하는 특징을 가진다. - 로마자 표기법 -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은 아랍 문자를 로마자(라틴 문자)로 변환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의미하며, 음역과 음사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어 학술, 지명 표기, 인터넷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모음 표기의 불완전성, 음역과 음사 방식의 선택 등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광둥병음방안 |
---|
2. 광둥어
광둥어 표기 체계는 "광저우어 병음 방안"()에 개략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이는 LSHK 문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광둥 로마자 표기'''로 언급된다. 이 체계는 홍콩 정부, 예일, ILE 및 Jyutping과 같은 로마자 표기법이 널리 사용되는 홍콩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광둥어 관련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출판된 저작물에서는 찾아볼 수 있다.
2. 1. 광주화병음방안
광주화병음방안은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 교육부에서 1960년에 발표한 광둥어 로마자 표기 방안이다. 이 방안은 광저우어를 표준으로 하며, 홍콩에서 널리 쓰이는 월병 등 다른 로마자 표기법과는 차이가 있다.광주화병음방안은 성모, 운모, 성조를 조합하여 광둥어 발음을 표기한다. 성모는 자음을, 운모는 모음과 받침을 합쳐서 나타내는 글자이다. 성조는 음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숫자로, 각 음절 뒤에 붙는다. 월병과 동일하게 9개의 성조를 숫자로 표기한다. 다만, 입성인 7, 8, 9성은 1, 3, 6성과 고저가 동일하므로, 1, 3, 6성으로 표기하고 운모의 받침으로 구분한다.
2. 1. 1. 성모
성모 | 발음 |
---|---|
b | |
p | |
m | |
f | |
d | |
t | |
n | |
l | |
g | |
k | |
ng | |
h | |
z | |
c | |
s | |
j | |
q | |
x | |
y | |
w |
- j, q, x는 각각 z, c, s가 i, ü 앞에 위치할 때의 변이음을 나타내는 글자로 쓰인다.
- 월병에서 gw, kw로 표기되는 원순 성모는 gu, ku로 표기된다.
2. 1. 2. 운모
광둥어에는 d, b, g로 나타내는 세 가지 입성운미가 있다. i, u로 시작하는 운모가 영성모일 경우 각각 음절 앞에 y, w를 덧붙인다. ü로 시작하는 운모가 영성모일 경우 ü를 yu로 대체한다. ü앞에 j, q, x가 올 경우 ü를 u로 표기한다. êü는 êu로 표기할 수도, 그대로 표기할 수도 있다.
2. 1. 3. 성조
광둥어의 성조는 9개이며, 각 음절 뒤에 숫자로 성조 번호를 표기한다. 이는 월병과 동일하다. 입성인 7, 8, 9성은 1, 3, 6성과 고저가 동일하므로 1, 3, 6성으로 표기하고 입성운미로 구분한다.3. 객가어
객가어 병음 방안은 메이셴 방언을 표기하기 위한 체계이다. 메이셴 방언은 일반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객가어의 사실상 표준 방언으로 간주된다.
3. 1. 객가화병음방안
객가어에 대한 방안은 "객가어 병음 방안"(客家話拼音方案|Kèjiāhuà Pīnyīn Fāng'àn중국어)에 개략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이 방안은 메이셴 방언을 설명하는데, 메이셴 방언은 일반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객가어의 사실상 표준 방언으로 간주된다.4. 조주어
민난어의 조주어 방언을 표기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주어 병음 방안'이 있다. 이 방안은 '병음(Peng'im)'이라고도 불린다.
4. 1. 조주화병음방안
민난어의 조주어에 대한 방안은 "조주어 병음 방안"(s="潮州话拼音方案"|t=〈潮州話拼音方案〉|Cháozhōuhuà Pīnyīn Fāng'àn중국어)에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다. 이 방안(그리고 이 방안을 기반으로 한 또 다른 유사한 방안)은 종종 '병음(Peng'im)'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병음(pinyin)''의 조주어 발음이다.이 방안은 현재 조주어 문서에 설명된 로마자 표기 방안이다.
5. 해남어
해남어 병음 방안은 중국 본토에서 해남어의 주된 방언으로 여겨지며, 성(省) 차원의 방송에 사용되는 문창 방언을 표기하기 위한 체계이다.
5. 1. 해남화병음방안
해남어 표기 방안은 "해남어 병음 방안"(海南話拼音方案|Hǎinánhuà Pīnyīn Fāng'àn중국어)에 설명되어 있다. 이 방안은 중국 본토에서 해남어의 주된 방언으로 여겨지며, 성(省) 차원의 방송에 사용되는 문창 방언을 설명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