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둥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둥어는 중국 남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및 중세 중국어의 특징을 많이 보존하고 있다. 남송 시대에는 문화의 중심지였으며, 홍콩, 마카오, 동남아시아, 북미 등 세계 각지 화교 사회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음운, 문법, 어휘 등에서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며, 특히 홍콩에서는 영어 차용어가 많이 사용된다. 광둥어는 9개의 성조를 가지며, 구어체 표현이 발달했다. 문화적으로는 캔토팝, 광둥어 영화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며, 홍콩에서는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2010년 광저우에서 광둥어 사용 제한에 대한 반대 시위가 있었으며, 학교 교육에서도 광둥어 사용이 줄어들고 있다는 우려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둥어 - 광둥병음방안
광둥병음방안은 중국에서 광둥어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기 위해 개발된 체계로, 성모, 운모, 숫자로 표기되는 6~9개의 성조를 포함합니다. - 광둥어 - 광둥어 대중음악
광둥어 대중음악(Cantopop)은 1970년대 홍콩에서 시작되어 1980~90년대 황금기를 거친, 광둥어 사용 지역과 중화권에서 인기 있는 대중음악 장르로, 서구 팝과 광둥 오페라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1997년 이후 쇠퇴기를 겪었으나 2020년대 홍콩인들의 자부심을 바탕으로 부흥을 맞이하고 있다. - 마카오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마카오의 언어 - 마카오어
마카오어는 마카오의 유라시아계 소수 민족인 마카오인들이 사용하는 토착 혼성어이며, 소수의 고령층만이 사용하여 사멸 위기에 처해 있지만 마카오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언어로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홍콩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홍콩의 언어 - 홍콩어
홍콩어는 홍콩에서 사용되는 광동어 방언으로, 영어의 영향과 중국 본토와의 격리 속에서 독자적인 음운, 어휘, 구문을 발전시켜 왔으며, 특히 인터넷과 모바일 환경에서 약어와 단문 메시지 언어가 활발히 사용되는 특징적인 언어이다.
광둥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광둥어 |
고유 이름 | 廣東話 (광둥와) |
로마자 표기 | Gwóngdūng wá |
사용 지역 | 중화인민공화국,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 해외 중국인 공동체 |
사용 지역 | 광둥성 광저우 및 주변 주강 삼각주, 광둥성 서부, 광시 좡족 자치구 동부, 홍콩, 마카오 |
화자 수 | 약 3000만 명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
어파 | 중국어파 |
어족 | 중국어 |
분파 | 월어 |
하위 분파 | 월해 방언 |
방언 | 광둥어 시관 방언 홍콩어 캘리포니아 광둥어 말레이시아 광둥어 단카어 우저우 시관 방언 |
문자 | 번체자, 간체자 |
국가 | 홍콩 마카오 |
정부 기관 | 홍콩: 교육국 마카오: 교육청소년발전국 |
ISO 639-3 | yue |
ISO 639-3 설명 | (모든 월어 방언을 포함하는 상위 집합) |
ISO 639-3 예외 | 방언 |
ISO 639-6 | yyef (월 F) guzh (광저우) |
글롯톨로그 | cant1236 |
글롯톨로그 참고 | 광둥어 |
링구아스피어 | 79-AAA-ma |
언어학적 정보 | |
조상 언어 | 원시 시노티베트어 |
조상 언어 2 | 고대 중국어 |
조상 언어 3 | 동한 중국어 |
조상 언어 4 | 중세 중국어 |
관련 정보 | |
표기법 | 구어 광둥어 광둥어 점자 한자 |
음운 | 광둥어 음운론 광둥어 비음-파열음 교체 변조 광둥어의 정확한 발음 국제음성기호 |
문법 | 양사 대명사 |
표기 체계 | 반절 광둥어 점자 광둥어 주음부호 병음, 예일, 월병 |
2. 역사
광둥어는 한족이 이민족에 의해 남쪽으로 밀려나면서 형성되었으며, 고대와 중세 한어(漢語)의 발음과 특징이 많이 남아 있다. 남송 시대에는 광저우가 그 지역의 문화 중심지가 되어 다양한 민요와 극에 사용되었다. 또한 고전 문학의 한 영역을 구축하여, 중세 중국어 문학은 표준 중국어(보통화)와 다른 현대 중국어 방언들보다 광둥어에 더 가깝게 소리난다.
탁발씨 북위부터 시작하여 여러 차례 이민족에 의해 한족들이 화남지역으로 밀려나 남조를 건국하고 정복되기를 반복하면서, 이민족이 차지한 화북지역의 중국어 발음은 지속적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광둥어와 푸젠성, 장쑤성 등 화남지역의 중국어는 고대, 중세 중국어(漢語)의 발음이 많이 남아 있게 되었다. 따라서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한자 발음은 표준 중국어인 보통화보다 광둥어와 푸젠성 등 화남지역 방언의 한자 발음과 훨씬 비슷하다.[89]
1842년 제1차 아편 전쟁 이후 해금령(海禁令)이 철폐되면서 주강 삼각주 출신의 광둥성 주민들과 상인들이 인근 지역으로 이주하며 광둥어가 확산되었다. 19세기 후반에는 화교들이 해외로 이주하면서 광둥어가 동남아시아, 아메리카, 서유럽 등지로 퍼져 나갔고, 해외 대도시 차이나타운의 주요 언어가 되었다.[89] 1883년에는 영국의 제임스 다이어 볼(James Dyer Ball)이 광저우 서부 시관 방언을 중심으로 광둥어 발음과 억양을 정리한 책을 펴내기도 했다.[90]
1900년대부터는 중국 본토에서 홍콩과 마카오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광둥어가 홍콩에서 주 언어로 부상했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광둥어 화자는 50% 미만이었으나, 1970년대부터는 90% 이상으로 증가했다.[89] 홍콩 영화의 부상으로 광둥어는 중국 영화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92]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국 공산당 집권 이후 보통화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지만,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양문삼어' 정책에 따라 광둥어를 공식 언어로 인정하고 있다.[89]
2. 1. 기원과 발전
남송 시대에 광저우는 그 지역의 문화 중심지가 되었고, 광둥어는 다양한 민요와 극에 사용되었다. 또한 광둥어는 고전 문학의 한 영역을 구축하여, 중세 중국어의 문학은 표준 중국어(보통화)와 다른 현대 중국어 방언들보다 광둥어에 더욱 유사하게 소리난다.[89]탁발씨 북위부터 시작하여 수차례 이민족에 의해 한족들은 화남지역으로 지속적으로 밀려 남조를 건국하며 정복되길 반복하였고 이민족이 차지한 화북지역의 중국어 발음은 지속적으로 변화하였지만 광둥어와 푸젠성, 장쑤성 등 화남지역의 중국어는 고대, 중세 중국어(漢語)의 발음이 많이 남게 되었다. 그래서 대한민국에서 사용하는 한자 발음은 표준 중국어인 보통화보다 광둥어와 푸젠성 등 화남지역의 방언 한자 발음과 훨씬 비슷하다.[89]
1842년 제1차 아편 전쟁이 끝나면서 수 세기 동안 이어져 왔던 해금령 (海禁令)이 철폐되었다. 이에 주강 삼각주 출신의 광둥성 주민들과 상인들이 배를 타고 인근의 광둥성 일대나 이웃한 광시성으로 건너가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월어 내 다른 방언이나 좡어처럼 언어 계통이 달랐던 타지 내 광둥어 화자로 자리잡았는데 난닝-주장 일대의 '융심 방언' (邕潯粵語)이 대표적인 사례다.[89]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바다 건너 해외의 동남아시아, 아메리카, 서유럽 일대로 화교들이 이주하면서 광둥어도 함께 퍼져 나갔으며, 해외 대도시에 형성된 차이나타운 주민들의 언어도 광둥어가 주를 이뤘다.[89]
1900년대부터 중국 본토의 광저우 일대에서 홍콩과 마카오 (당시 영국와 포르투갈의 식민지)로 건너오는 정착민이 늘어났다. 과거 홍콩 일대는 월어 중에서도 선전이나 둥관 방언이 주류였으며 하카어와 민난어 화자들이 섞여 있었으나, 광저우 출신자들이 홍콩 인구 비중을 상당수 차지하게 되면서 자연히 광둥어가 주 언어로 부상하게 되었다.[89] 이후로도 홍콩으로의 이주민 유입이 계속되면서 광둥어 화자 비중도 압도적인 비중으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195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전체 인구 가운데 광둥어 화자는 50% 미만이었으나 1970년대부터는 90% 이상으로 폭증하였다.[89]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국 공산당 집권 이후로 보통화를 공공 문서와 학교에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반면에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양문삼어' (兩文三語) 정책에 따라 광둥어를 공식 언어로 인정하였다. 이 원칙에 따라 홍콩 정부와 홍콩 법률은 여전히 광둥어를 주 언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정부인사나 공무원들도 공식 석상에서 광둥어를 사용한다.[89]
2. 2. 해외 확산
1842년 제1차 아편 전쟁이 끝나면서 수 세기 동안 이어져 왔던 해금령(海禁令)이 철폐되었다. 이에 주강 삼각주 출신의 광둥성 주민들과 상인들이 배를 타고 인근의 광둥성 일대나 이웃한 광시성으로 건너가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이들은 월어 내 다른 방언이나 좡어처럼 언어 계통이 달랐던 타지 내 광둥어 화자로 자리 잡았는데, 난닝-주장 일대의 '융심 방언'(邕潯粵語)이 대표적인 사례다.[89]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바다 건너 해외의 동남아시아, 아메리카, 서유럽 일대로 화교들이 이주하면서 광둥어도 함께 퍼져 나갔으며, 해외 대도시에 형성된 차이나타운 주민들의 언어도 광둥어가 주를 이루었다.[89] 서양에서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1883년 영국의 제임스 다이어 볼(James Dyer Ball)은 광저우 서부 시관(西關) 방언을 중심으로 광둥어 발음과 억양을 처음으로 정리한 〈쉽게 만든 광둥어〉(Cantonese made easy)를 펴냈다.[90]2. 3. 홍콩과 마카오의 역할
1900년대부터 중국 본토에서 홍콩과 마카오(당시 영국과 포르투갈의 식민지)로 건너오는 정착민이 늘어났다.[89] 과거 홍콩 일대는 월어 중에서도 선전이나 둥관 방언이 주류였으며 하카어와 민난어 화자들이 섞여 있었으나, 광저우 출신자들이 홍콩 인구 비중을 상당수 차지하게 되면서 자연히 광둥어가 주 언어로 부상하게 되었다.[89] 이후로도 홍콩으로의 이주민 유입이 계속되면서 광둥어 화자 비중도 압도적인 비중으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195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전체 인구 가운데 광둥어 화자는 50% 미만이었으나 1970년대부터는 90% 이상으로 폭증하였다.[89] 반면 마카오에서 사용되던 기존 월어는 중산 방언에 해당되었으며, 마카오로 유입된 광둥어도 기존 월어 방언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광둥어의 음운론에 영향을 끼치는 방식으로 나아가게 되었다.[91][89]동시대 중국 연예계가 근거지를 홍콩으로 대거 이전하였고, 영국 식민지라는 지역 특성상 국내관객에 머무르지 않고 해외관객도 겨냥하는 쪽으로 변화해 나갔다.[92] 머지않아 홍콩 영화의 부상으로 중국 영화계는 홍콩 기반의 광둥어와 본토 기반의 관화로 양분되었다.[92] 표준 광둥어의 보수적인 억양과 더불어 광저우 시관 방언의 억양이 그대로 대중매체에 반영되었으며 이는 특히 1930년대 홍콩 영화에서 두드러졌다. 다만 이 기간 동안의 음운변화도 상당하여, 옛 광둥어에서 현대 광둥어로의 변화가 감지된다.[93]
중국 대륙에서는 1949년 중국 공산당 집권 이후로 보통화를 공공 문서와 학교에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반면에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양문삼어' 정책에 따라 광둥어를 공식 언어로 인정하였다.[89] 이 원칙에 따라 홍콩 정부와 홍콩 법률은 여전히 광둥어를 주 언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정부인사나 공무원들도 공식 석상에서 광둥어를 사용한다.[89]
3. 지역별 사용
광둥어는 홍콩과 마카오, 중국 본토(광둥성, 광시성)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북미, 서유럽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된다.[94]
3. 1. 홍콩과 마카오
홍콩의 기본법에 따르면 중국어와 영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94] 여기서 말하는 중국어는 수많은 방언 중 하나인 광둥어를 포함한다. 예로부터 홍콩에서는 광둥어가 주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홍콩 정부와 법원은 사실상 광둥어를 공용어로 간주하고 널리 사용한다. 학교 수업에서도 영어와 함께 광둥어를 사용한다.마카오 역시 중국어와 포르투갈어를 공용어로 지정했지만, 실제로는 광둥어가 널리 사용된다. 홍콩과 마찬가지로 마카오 정부도 광둥어를 공식 언어로 사용한다. 홍콩과 마카오의 광둥어는 광저우를 포함한 중국 본토의 광둥어와 비교하여 억양, 발음, 어휘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의사소통은 가능하다.
3. 2. 중국 본토
주강 삼각주 일대의 항구도시 광저우는 광둥어가 발원한 지역이다.[95] 예로부터 광저우는 무역과 문화 도시로 발전했으며, 광둥어는 남송 대부터 월어 가운데서도 고위층의 방언으로 부상하여 지금의 광둥성과 광시성 대부분 지역에 걸쳐 사용되었다.[95]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표준중국어가 유일한 공용어로 확립되었으나, 광둥성 등지에서 광둥어의 영향력은 여전하였다.[95] 중국 정부는 방송에서 지역 방언 대신 표준중국어를 사용하도록 장려하고 있지만,[95] 광둥성에서는 지역 방송과 대중교통 안내 방송에서 광둥어를 사용하는 등, 다른 중국어 방언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위를 누리고 있다.[96] 대학교 선택 과목이나 중국어를 제2외국어로 가르치는 수업에서도 광둥어가 소통 언어로 쓰이기도 한다.[96][97] 광둥어가 공용어인 홍콩의 문화적 영향력과 광둥어 매체의 높은 시청률 덕분에 광둥어는 중화인민공화국 내에서도 제한적으로나마 사용되고 있다.[98]
광둥어 비중을 줄이고 표준중국어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은 지역 내에서 여전히 논란거리이다.[98] 2010년 광저우 TV 채널의 표준중국어 프로그램 비중을 늘리려던 정부 정책에 반발한 시민들이 1989년 톈안먼 사태 이후 최대 규모의 거리시위를 벌여 정책이 철회되기도 했다.[99] 2010년대 이후, 중국의 대표 경제 도시인 광저우에 타지 출신 표준중국어 화자들이 계속 유입되고 정부의 엄격한 정책이 시행되면서, 광둥어 화자 비중이 줄고 표준중국어로 대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그 결과, 광둥어는 지역 정체성으로서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문화로 취급되고 있다.[99] 학교 교과 과정에 광둥어 수업을 도입하거나 방송 매체에서 광둥어 프로그램을 방영하는 등 광둥어 비중을 되살리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00][101]
3. 3.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의 화교들 사이에서도 광둥어가 널리 사용되는데, 이는 광둥어가 모어인 화자들뿐만 아니라 취안장어, 차오저우어, 하카어 등 다른 방언 화자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한 링구아 프랑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102] 홍콩 영화 등 광둥어 매체와 대중문화가 동남아시아 화교들 사이에서 널리 퍼져 있는 것도 광둥어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국가 | 지역 및 내용 |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23]와 주변 클랑밸리(페탈링자야, 암팡, 푸트라자야, 체라스, 셀랑, 수응아이불로, 푸총, 샤알람, 카장, 방이, 수방자야)의 말레이시아 중국인 사회에서 광둥어가 널리 사용된다. 셀랑고르주 북부 사박베르남 지역의 세킨찬 마을, 페락주의 주도 이포와 킨타밸리 지역의 고팽, 바투가자, 캄파르, 페락주 남부 타파, 비도르, 네게리슴빌란주 대부분 지역(세렘반 주도, 포트딕슨, 쿠알라필라, 바하우, 탐핀, 렘바우, 게마스)에서도 널리 사용된다. 젤레부, 만틴, 닐라이, 쿠알라클라왕 등지에서는 호키엔어와 객가어가 주로 사용된다. 동부 사바의 산다칸, 파항주의 쿠안탄, 라우브, 벤통, 테멜로, 페칸, 제란투트, 캐머런하일랜드, 사라왁주 사리케이, 조호르주 머싱 등에서도 사용된다. 호키엔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이고 중국어학교에서는 표준어인 만다린어가 교육 언어이지만, 광둥어는 현지 중국어 매체에 큰 영향력을 미치며 말레이시아 중국인들의 상업 활동에서도 사용된다.[24] 홍콩 대중문화의 인기로 인해 광둥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사람도 많음에도 불구하고 널리 이해된다. 말레이시아 텔레비전 방송국에서는 홍콩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원음인 광둥어로 정기적으로 방송하며, 광둥어 라디오 방송도 있고, 현지 제작 중국어 텔레비전에서도 광둥어가 널리 사용된다.[25][26] 말레이어와 호키엔어, 티우치우어와 같은 다른 중국어 방언의 영향을 받는다.[27] |
베트남 | 주요 중국계 소수 민족인 화교(Hoa people) 공동체의 주요 언어이며, 그 수는 약 백만 명으로 베트남에서 가장 큰 소수 민족 중 하나를 구성한다.[22] 베트남 중국계 인구 중 절반 이상이 광둥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광둥어는 서로 다른 중국어 방언 집단 간의 공용어 역할도 한다. 많은 화자들이 베트남어 악센트 또는 광둥어와 베트남어 간의 코드 전환 경향을 보인다. |
싱가포르 | 정부는 표준 중국어(북경어)를 공식적인 중국어로 사용하며, 다른 중국어 방언의 사용을 억제하고 표준 중국어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표준 중국어 사용 운동(SMC)을 펼치고 있다. 싱가포르 중국계 가구의 15%가 조금 넘는 비율이 광둥어를 사용한다. 정부의 적극적인 SMC 홍보에도 불구하고, 광둥어 사용 중국계 사회는 다른 방언 집단에 비해 광둥어를 비교적 성공적으로 보존해 왔다.[28] 1979년 이후로 표준 중국어가 아닌 중국어 방언으로 제작된 모든 TV 및 라디오 프로그램이 중단되었다.[29] 당시 이광요(Lee Kuan Yew) 수상은 국민들에게 상반된 신호를 보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호키엔어로 연설하는 것을 중단하기도 했다.[29] 홍콩(광둥어)과 타이완어 드라마는 지상파 방송에서 번역되지 않은 원어 버전으로 볼 수 없지만, 중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의 드라마는 원어로 방영된다. 지상파 TV 채널에서 방영되는 광둥어 드라마는 표준 중국어로 더빙되어 원본 광둥어 오디오와 사운드트랙 없이 방송된다. 그러나 케이블 TV와 온라인 비디오와 같은 다른 소스를 통해 원본을 이용할 수 있다. SMC의 파생 효과로 남중국 방언에서 유래한 특정 용어들이 한어병음으로 번역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딤섬은 싱가포르 영어 언론에서 종종 diǎn xīn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주로 스타일의 문제이며 대부분의 싱가포르인들은 영어로 말할 때 여전히 dim sum이라고 부른다.[30] 1990년대 중반과 2000년대에 표준 중국어가 아닌 방언으로 된 미디어에 대한 정부의 규제가 완화되면서 싱가포르에서 광둥어의 존재감이 크게 커졌다. 홍콩의 텔레비전 드라마, 영화 및 팝 음악과 같은 홍콩 대중문화는 싱가포르 사회에서 인기를 얻었고, 더빙되지 않은 원본 버전의 미디어가 널리 이용 가능해졌다. 여러 교육 기관에서 광둥어를 선택 과목으로 제공하고 있다.[31] |
3. 4. 북미
1850년부터 2000년대까지 광둥성은 서구 국가로 이주한 대다수 중국인들의 출신지였기 때문에, 광둥어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전통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이었다. 최근에는 중국 본토와 대만의 다른 지역에서 온 이민자들이 증가하면서 표준 중국어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화교 공동체에서 광둥어가 사용되고 있다.[10]3. 5. 서유럽
영국에는 홍콩 출신 이민자와 동남아시아 출신 화교들이 광둥어를 사용하며, 프랑스와 포르투갈에도 광둥어 사용자가 존재한다.[10]4. 특징
광둥어는 중국어의 주요 방언 중 하나로, 홍콩과 마카오, 그리고 해외 화교 사회에서 널리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광저우는 주강 삼각주 지역의 문화 중심지였으며, 남송 시대부터 광둥어는 월어의 위상 언어로 부상했다.[10] 18세기 이후 광저우가 중국의 주요 대외 무역항이 되면서 광둥어는 서구 세계와 가장 많이 접촉하는 중국어 방언이 되었다.[8]
광둥어는 중국 중세어의 특징을 많이 보존하고 있으며, 특히 음절말 자음(-m, -n, -ng, -p, -t, -k)이 잘 보존되어 있다.
표준어와의 차이점으로는 광둥어에는 권설음과 설면음이 없으며, 일부 어휘와 문법 구조에서 차이를 보인다.
광둥어는 구어체 표현을 위한 고유한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번체자를 기반으로 하지만 표준 중국어에 없는 단어를 표기하기 위한 추가적인 문자를 포함한다.[73] 홍콩 증보 문자 집합과 같은 컴퓨터용 문자 세트도 개발되었다.
광둥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여러 가지가 존재하며, 예일 표기법과 Jyutping 표기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67]
4. 1. 음운
광둥어는 입성과 비음운모를 가지고 있으며, 중고음과의 일치성이 높다. 보통화와 비교하여 권설음과 설면음이 존재하지 않으며, 설치음 성모 z, c, s는 i, yu 앞에서 설면음으로 발음되는 변이음이 존재한다.[22]colspan=2 rowspan=2| | 순음 | 치음 | 경구개 | 연구개 | 성문 | ||
---|---|---|---|---|---|---|---|
비원순 | 원순 | ||||||
파열음 | /p/ | /t/ | /k/ | /kʷ/ | |||
/pʰ/ | /tʰ/ | /kʰ/ | /kʷʰ/ | ||||
파찰음 | /ts/ | ||||||
/tsʰ/ | |||||||
마찰 | /f/ | /s/ | /h/ | ||||
비강 | /m/ | /n/ | /ŋ/ | ||||
접근 | /l/ | /j/ | /w/ |
광둥어 발음의 사실상 표준은 광저우의 광둥어이다. 홍콩 광둥어와 표준 광저우 광둥어 사이에는 약간의 음운론적 차이가 있지만, 두 형태는 거의 동일하다. 홍콩과 마카오의 음소 체계는 특정 음소 쌍을 병합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 현상은 게으른 발음()으로 묘사되었지만, 광저우 발음보다 열등한 것으로 여겨지며 20세기 초부터 해당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광둥어 모음은 중국 중세어에서 만다린어 대응어보다 더 뒤로 거슬러 올라가는 경향이 있다. 자음의 경우, 광둥어의 더 다양한 음절 종성(예: '-p', '-t', '-k'로 끝나는 음절)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IPA | /jɐn˨˩ jɐn˨˩ sɐŋ˥˧ ji:˨˩ tsiː˨ jɐuː˨˩, hɐi˧˥ tsy:n˥˧ jiːm˨˩ tʰʊŋ˨˩ ma:i˨˩ kʰyːn˨˩ lei˨ sœ:ŋ˨ jɐt˥ lɵt˨ pʰɪŋ˨˩ tɐŋ˧˥. kʰɵy˩˧ tei˨ jɐu˩˧ lei˩˧ sɪŋ˧ tʰʊŋ˨˩ ma:i˨˩ lœ:ŋ˨˩ sɐm˥˧, ji:˨˩ tsʰɛ:˧˥ jɪŋ˥ tɔ:ŋ˧˥ ji:˩˧ jy:˩˧ hɪŋ˥˧ tɐi˨ kʷaːn˥˧ hɐi˨ kɛ:˧ tsɪŋ˥˧ sɐn˨˩ sœ:ŋ˥˧ tɵy˧ tɔ:i˨./ |
---|---|
Yale 표기법[66] | yàhnyàhn sàng yìh jihyàuh, hái jyùnyìhm tùhngmàaih kyùhn leih seuhng yātleuht pìhngdáng. kéuihdeih yáuh léihsing tùhngmàaih lèuhngsàm, yìhché yìngdòng yíh hìngdaih gwàanhaih ge jìngsàhn sèung deui doih. |
Jyutping | jan4 jan4 sang1 ji4 zi6 jau4, hai2 zyun1 jim4 tung4 maai4 kyun4 lei6 soeng6 jat1 leot6 ping4 dang2. keoi5 dei2 jau5 lei5 sing3 tung4 maai4 loeng4 sam1, ji4 ce2 jing1 dong1 ji5 hing1 dai6 gwaan1 hai6 ge3 zing1 san4 soeng1 deoi3 doi6. |
원문(영어) | "모든 인간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 |
4. 1. 1. 성모
광둥어는 19개의 성모(자음)를 가지고 있으며, 무성음, 유성음, 유기음, 무기음 등의 구분이 있다. 보통화와 비교하여 음운적 차이가 있으며, 특히 권설음과 설면음이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colspan="2" rowspan="2" | | 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파열음 | 파찰음 | 비원순 | 원순 | |||||
폐쇄음 | 무성무기음 | b /p/ 巴 | d /t/ 打 | z /t͡s/ 渣 | g /k/ 加 | gw /kʷ/ 瓜 | ( /ʔ/ 啊) | |
무성유기음 | p /pʰ/ 怕 | t /tʰ/ 他 | c /t͡sʰ/ 茶 | k /kʰ/ 卡 | kw /kʰʷ/ 誇 | |||
비음 | m /m/ 媽 | n /n/ 那 | ng /ŋ/ 牙 | |||||
마찰음 | f /f/ 花 | s /s/ 沙 | h /h/ 哈 | |||||
접근음 | l /l/ 啦 | j /j/ 也 | w /w/ 話 |
광동어의 자음으로는 입성 음절 말에 나타나는 내파음이 있다. 내파음에는 양순(-p ), 치경(-t ), 연구개(-k )의 3종이 있다. 또한, 비입성 음절 말에는 양순(-m [m]), 치경(-n [n]), 연구개(-ng [ŋ])의 3종의 비음운모를 가지는 것이 있으며, 의미 구별에 사용된다.
s-、z-、c-는 치경음(、、)으로 발음되는 경우와 후치경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으며, 현재는 이 차이가 의미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20세기 전반까지는 의미 구별에 사용되었다.
4. 1. 2. 운모
광둥어는 50여 종류의 운모(모음과 음절말 자음의 결합)를 가지고 있으며, 장모음과 단모음의 대립이 있다.colspan="3" rowspan="2"| | 주모음 | 종지자음 | |||||||||
---|---|---|---|---|---|---|---|---|---|---|---|
, | , | , | , | , | |||||||
운모 | 단모음 | (沙) | style="background: #aaa;"| | (疏) | (鋸) | (些) | (詩) | (夫) | (書) | rowspan="3" style="background: #aaa;"| | |
복모음 (반모음) | , | (街) | (雞) | (愛) | (水) | (你) | style="background: #aaa;"| | (會) | |||
(教) | (夠) | (好) | (掉) | (了) | style="background: #aaa;"| | ||||||
비음 | (衫) | (深) | (舐) | (點) | (唔) | ||||||
(山) | (新) | (看) | (准) | style="text-align: left" | | (見) | (歡) | (遠) | ||||
(橫) | (宏) | (方) | (傷) | (鏡) | (敬) | (風) | (五) | ||||
입성운 (폐쇄음) | (插) | (輯) | (夾) | (接) | rowspan="3" style="background: #aaa;"| | ||||||
(達) | (突) | (渴) | (出) | style="text-align: left" | | (結) | (沒) | (血) | ||||
(百) | (北) | (角) | (着) | (錫) | (亦) | (六) |
위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광둥어의 운모는 주모음과 종지자음(받침)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모음은 단모음, 복모음, 비음, 입성운 등 다양하게 나타나며, 종지자음은 비음(/m/, /n/, /ŋ/)과 폐쇄음(/p/, /t/, /k/)으로 나뉜다.
주:
- 운모 ・・・・는 구어체 발음이기 때문에, 예일 광둥어 병음 등의 라틴 문자 표기 체계는 이러한 운모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4. 1. 3. 성조
일반적으로 광둥어는 성조 언어이며, 표준 중국어(만다린)의 네 가지 성조보다 두 가지가 많은 여섯 가지의 음운론적 성조를 가지고 있다.[65] 역사적으로, 파열음으로 끝나는 음절의 끝소리는 "입성"으로 간주되어 별도로 처리되어 광둥어를 아홉 가지 성조로 분류했지만(九声六调중국어), 현대 언어학에서는 이것을 다음 자음에 따라 결정되는 동소변이체로 분석하는 것을 선호한다.음절 유형 | colspan=6 | | |||||
---|---|---|---|---|---|---|
성조 이름 | 음평 (}) | 음상 (}) | 음거 (}) | 양평 (}) | 양상 (}) | 양거 (}) |
설명 | 높이 떨어지는, 높은 평탄 | 중간 상승 | 중간 평탄 | 낮게 떨어지는, 매우 낮은 평탄 | 낮은 상승 | 낮은 평탄 |
예일 또는 Jyutping 성조 번호 | 1 | 2 | 3 | 4 | 5 | 6 |
예시 | 詩 | 史 | 試 | 時 | 市 | 是 |
성조 문자 | , | , | ||||
IPA 부호 | , | , | ||||
예일 부호[66] | sì | sí | si | sìh | síh | sih |
음절 표기 체계 | 성조 | ||||||||
---|---|---|---|---|---|---|---|---|---|
음성(陰) | 양성(陽) | 입성(入聲) | |||||||
조 초 성조 윤곽 (IPA) | 53, 55 | 35 | 33 | 21, 11 | 24, 13 | 22 | 5 | 3 | 2 |
IPA 성조 문자 | , | , | , | ||||||
예일 표기법[66] | à | á | a | àh | áh | ah | āk | ak | ahk |
ILE | 1 | 2 | 3 | 4 | 5 | 6 | 7 | 8 | 9 |
Jyutping | 1 | 2 | 3 | 4 | 5 | 6 | 1 | 3 | 6 |
광둥어는 광저우와 홍콩의 발음에서 평성, 상성, 거성, 입성이 음양(고저) 각 한 쌍과 음입성이 고저로 더 나뉘어 증가한 중촉조를 포함해 총 9개의 성조가 있다. 그 외에도 의미에는 차이가 없지만, 음평성을 고평조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으며, 고평조, 고승조, 고승강조 등 3개의 변조가 있으므로, 세세하게 나누면 12종 또는 13종의 성조가 있다고 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기본적으로 6종류 또는 7종류의 조치를 구별하면 된다. 입성의 일부에는 음상성과 같은 조치(35)의 고승변조('''초입성''')[81]을 취하는 것도 있다(예: 「鹿 luk2」「鴨 aap2/ngaap2」「우체국 jau4guk2」 등)[82]。
여기서 보여준 조치는 5도식이며, 5가 가장 높고, 1이 가장 낮음을 나타낸다.
「醫(이엘식:yì, 광병:ji1)」과 「衣(yī, ji1)」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고강조와 고평조의 구별은 홍콩의 광둥어에서는 사라지고, 고강조는 고평조로 합류했다.
4. 2. 문법
형태론 및 통사론적으로,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붙는 복합어(「鷄公」(「公鷄」는 표준어), 「椰青」, 「豆腐潤」 등)가 식품 관련 어휘를 중심으로 나타난다.[75] 이중목적어 구문에서 직접목적어가 동사 바로 뒤에 나타나며, 측정사가 수사를 수반하지 않고 명사에 붙어 성질을 나타내는 점 등, 북방 관화를 기반으로 한 표준중국어와 다른 부분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타이어족과 같은 동남아시아의 언어에도 나타난다. 참고로, 역수식은 고대 중국어에서도 볼 수 있다.[75]기본 어순은 SVO(주어+동사+목적어)형이다.
- 我 食 蛋糕。|ngo5 sik6 daan6gou1|나는 케이크를 먹는다.중국어 (주어+동사+목적어)
예외로 목적어를 주제로 먼저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적다)
- 蛋糕, 我 食!|daan6gou1 ngo5 sik6|케이크는 내가 먹는다!중국어 (주제화된 목적어+주어+동사)
또한, 보충적으로 문법 성분을 뒤에 덧붙이는 말투가 다른 방언보다 많이 나타난다.
- 食 蛋糕 啦, 你!|sik6 daan6gou1 laa3 nei5|케이크 먹어, 너!중국어 (동사+목적어+어기조사+보충된 주어)
- 佢 食緊 蛋糕,我 諗。|keoi5 sik6gan2 daan6gou1 ngo5 nam2|그는 케이크를 먹고 있다, 내 생각에.중국어 (목적어가 되는 구+주어+동사)
수식어는 수식받는 말보다 앞에 두지만, 개별 어휘에서는 수식 성분이 뒤에 오는 경우도 있다.
- 청사라(ceng1 saa1leot2): 녹색 샐러드 (수식어 + 수식받는 말)
- 청채(ceng1coi3): 청채 (수식 성분 + 수식받는 성분)
- 야청(je4ceng1): 푸른 야자 열매 (수식받는 성분 + 수식 성분)
베이징어 또는 표준어와 어순이 다른 경우가 있다.
- (광둥어: 베이징어)
- 我 高 過 佢|ngo5 gou1 gwo3 keoi5중국어:我 比 他 高 (나는 그보다 키가 크다)
베이징어 또는 표준어와 어순이 다른 경우가 많다. (다음 예에서는 "你|nei5중국어"가 간접목적어이다.)
- (광둥어: 베이징어)
- 我 畀 錢 你|ngo5 bei2 cin2 nei5중국어:我 給 你 錢|wǒ gěi nǐ qián|나는 너에게 돈을 준다중국어
- 我 對 你 唔 住|ngo5 deoi3 nei5 m4 zyu6중국어:我 對 不 起 你|wǒ duì bu qǐ nǐ|나는 너에게 면목이 없다중국어
연결사(코피ュラ)로서 "係"(hai6)가 사용된다. "係"는 중국어 문어에 나타나는 고어이다.
- 我 係 學生 (ngo5 hai6 hok6saang1): 나는 학생입니다.
문어에서는 중국어 공통의 "為"나 "是"도 사용된다.
일반 동사보다 앞에 위치하지만, 베트남어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동사 뒤에 위치하는 부사 「先」(sin1)이나 「添」(tim1) 등이 있는 점이 베이징어 등과 다르다.
- 我 慢慢 食 飯: 나는 천천히 밥을 먹는다 (주어 + 부사 + 동사 + 목적어)
- 我 食 飯 先: 나는 먼저 밥을 먹는다 (주어 + 동사 + 목적어 + 부사)
- 我 又/都 食 飯: 나는 또한/역시 밥을 먹는다 (주어 + 부사 + 동사 + 목적어)
방향 보어, 가능 보어, 결과 보어 등 동사 뒤에 보충하는 성분이 있는 점은 베이징어 등과 같다.
- 行 出去 (haang4 ceot1heoi3): 걸어서 나가다
- 食 唔落 (sik6 m4lok6): 삼키지 못하다, 식욕이 없다
중국어에서 '량츠(量詞)'라고 부르는 측량사가 발달되어 있으며, 수사와 명사 사이에 놓는 것은 중국어 공통이지만, 베이징어와는 다른 측량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광둥어: 베이징어)
- 장(張) zoeng1: 바(把) bǎ|bǎ중국어 (발(脚): 의자를 셀 때)
- 바(把) baa2: 코우(口) kǒu|kǒu중국어 (소리를 셀 때)
- 단(單) daan1: 지엔(件) jiàn|jiàn중국어、치(起) qǐ|qǐ중국어 (지엔(件): 사건, 장사 등을 셀 때)
- 신(身) san1: 둔(頓) dùn|dùn중국어 (발(發): 몸을 때리는 횟수를 셀 때)
측량사 앞에 수사를 수반하지 않고, 특정화를 위해서만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佢|keoi5중국어 유 일 가 처(車): 그는 차 한 대를 가지고 있다
- 가 처(架 車) 계 佢 嘅|keoi5 ge3중국어: 저 차는 그의 것이다
중국어는 가장 풍부한 종결어기조사를 가진 언어이다.
예:
- 啊(aa3) 또는 呀(ya3): 단정, 강조, 설명, 의문, 반복 등 여러 가지 어기를 나타내며 가장 많이 사용된다.
- 㗎(gaa3): 의문, 설명을 나타낸다.
- 咩(me1): 생략된 에서 유래했다. 놀라움이나 의외의 의미를 담은 의문을 나타낸다.
- 啩(gwaa3): 추측을 나타낸다.
4. 3. 어휘
광둥어 어휘는 베이징어에 비해 고대 중국어와 공통되는 어휘가 많다. 예를 들어, '먹다'는 吃|chī중국어 (베이징어) 대신 食 (sik6)를, '마시다'는 喝|hē중국어 (베이징어) 대신 飲 (jam2)를 사용한다. 이 외에도 徛/企 (kei5, 서다), 行 (haang4, 걷다), 面 (min6, 얼굴) 등이 있다.광둥어에는 장족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어휘도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광둥어 | 장족어 | 의미 |
---|---|---|
啲중국어 (di1) | di | 약간, 더, 비교적 |
曱甴중국어 (gaat6zaat2) | gaenxcaengh | 바퀴벌레 |
冚중국어 (kam2) | hoemq | 덮다, 덮어 씌우다, 뚜껑을 하다 |
踎중국어 (mau1) | maeuq | 웅크리다 |
啱중국어 (ngaam1) | ngamj | 딱 맞는, 정확한 |
呢중국어 (ni1) | neix | 이 |
屙중국어 (o1) | ok | 배설하다 |
嘥중국어 (saai1) | sai | 낭비하다 |
Yue-Hashimoto(1991)는 광둥어의 기층 언어로 타이카다이어족에 속하는 좡어와 함께 묘어(후몽어)를 제시하였다.[73] 묘어에서 유래한 형태소로는 명사 접미사 乸중국어와 동사 뒤에 오는 嗮|晒중국어가 있다.[73]
- '''乸중국어''' (naa2, laa2): 묘어 /na/ '어미'
- 豬乸중국어 (zyu1-laa2): 암퇘지
- 雞乸중국어 (gai1-laa2): 암탉
- '''晒중국어''' (saai3): 묘어 /sai/ '전부'
- 冇晒중국어 (mou5 saai3): 모두 없어지다
Matthews(2007)는 분류사를 사용한 소유 구문이 후몽어에도 나타난다고 지적한다.
我|ngó중국어張|jēung중국어檯|tóu중국어 (광둥어, '나의 책상'), kuv lub rooj (후몽어, '나의 책상')
베이징어가 '子'와 같은 접미사를 많이 사용하는 것에 비해, 광둥어는 기본 어휘에 단음절어가 많다. 예를 들어, '탁자'는 桌子|zhuōzi중국어 (베이징어) 대신 檯 (toi2)를, '알다'는 知道|zhīdao중국어 (베이징어) 대신 知 (zi1)를 사용한다.
광둥어에는 영어에서 유래한 차용어가 많다. 이는 청나라 시대부터 영국과의 접촉, 피진 영어 사용, 그리고 155년간의 영국 통치와 관련이 있다.
광둥어 | 영어 | 의미 |
---|---|---|
爹哋 (de1dei6, 변조: de1di4) | daddy | 아버지 |
媽咪 (maa1mai1, 변조: maa1mi4) | mummy | 어머니 |
肥佬 (fei4lou2) | fail | 불합격 |
亞摩尼亞/阿摩尼阿중국어 (aa3mo1nei4aa3) | ammonia | 암모니아 |
巴士 (baa1si6, 변조: baa1si2) | bus | 버스 |
杯葛 (bui1got3) | boycott | 보이콧 |
暢 (coeng3) | change | 환전하다 |
的士 (dik1si6, 변조: dik1si2) | taxi | 택시 |
多士 (do1si6, 변조: do1si2) | toast | 토스트 |
菲林 (fei1lam4, 변조: fei1lam2) | film | 필름 |
吉列 (gat1lit6) | cutlet | 커틀릿 |
基 (gei1) | gay | 게이, 레즈비언 |
檸檬 (ling4mung4, 변조: ling4mung1) | lemon | 레몬 |
忌廉 (gei6lim4, 변조: gei6lim1) | cream | 크림 |
芝士 (zi1si6, 변조: zi1si2) | cheese | 치즈 |
茄士咩 (ke4si6me1, 변조: ke1si6me1) | cashmere | 캐시미어 |
曲奇 (kuk1kei4) | cookie | 쿠키 |
咪 (mai1) | mic | 마이크 |
咪 (mai5) | mile | 마일 |
米 (mai1) | metre | 미터 |
三文治 (saam1man4zi6) | sandwich | 샌드위치 |
士多 (si6do1) | store | (식료품점 등을 파는) 잡화점 |
士多啤梨 (si6do1be1lei4, 변조: si6do1be1lei2) | strawberry | 딸기 |
士碌架 (si6luk1gaa2) | snooker | 스누커 |
保齡 (bou2ling4) | bowling | 볼링 |
貼士 (tip3si6, 변조: tip1si2) | tips | 팁, 힌트 |
碌士 (luk1si6, 변조: luk1si2) | notes | 필기 |
波士 (bo1si6, 변조: bo1si2) | boss | 보스, 상사 |
安士 (on1si6, 변조: on1si2) | ounce | 온스 |
餐士 (caan1si6, 변조: caan1si2) | chance | 기회 |
渣 (zaa1) | jar | 병 [단위] |
沙律 (saa1leot6, 변조: saa1leot2) | salad | 샐러드 |
咖啡 (kaa1fei1, 변조: gaa3fe1) | coffee | 커피 |
咭/卡 (gat1/kaa1, 변조: kaat1) | card | 카드 |
卡通 (kaa1tung1) | cartoon | 애니메이션 |
홍콩에서는 약자나 알파벳 표기를 사용한 차용어도 있다. (예: 開P (hoi1pi1, 파티를 열다), Q版 (kiu1baan2, 큐트판, 디포르메판))
일본어에서 차용한 용어로는 스시(壽司 sau6si1), 카라오케(卡拉OK kaa1laa1ou1kei1), (누드 사진이 실린) 사진집(寫眞集 se2zan1zaap6), 다다미(榻榻米 taap3taap3mai5, 대만 화어 경유), 철판구이(鐵板燒 tit3baan2siu1), 인기(人氣 jan4hei3), 이야기(物語 mat6jyu5), 와사비(WASABI waa6saa1bi4), 우동(烏冬 wu1dung1), 과금(課金 fo3gam1) 등이 있다.
마카오 광둥어에는 포르투갈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있다. (예: amigo (친구, 흑인 병사), não tem (없다), 바칼리아우(馬介休 maa5gaai3jau1), sopa (야채 수프))
말레이시아 광둥어에는 말레이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있다. (예: kampung (시골), duit (돈))
한국어의 강시(殭屍 goeng1si1), 샤오마이(燒賣 siu1maai2), 차슈(叉燒 caa1siu1), 배추(白菜 baak6coi3), 하토시(蝦多士 haa1do1si2), 판탄(番攤 faan1taan1), 딤섬(飮茶 jam2caa4), 라이치(茘枝 lai6zi1), 완탕(餛飩/雲呑중국어 wan4tan1) 등은 광둥어에서 온 차용어이다.
영어의 bok-choy (파크초이, 白菜 baak6choi3), chop suey (찹수이, 雜碎 zaap6seoi3), chow mein (볶음면/야키소바, 炒麵 caau2min6), conpoy (말린 관자, 乾貝 gon1bui3), cumquat/kumquat (금귤, 金橘 gam1gwat1), longan (롱간, 龍眼 lung4ngaan2), loquat (비파, 蘆橘 lou4gwat1), wampee (금귤, 黃皮 wong4pei2), wok (중화냄비, 鑊 wok6), wonton (완탕, 餛飩/雲呑중국어 wan4tan1), dim sum (딤섬, 點心 dim2sam1), ketchup (케첩, 茄汁 ke2zap1, 민난어 차용설도 있음) 등도 광둥어에서 차용되었다.
4. 4. 문자
광둥어는 홍콩, 마카오 및 해외 중국계 사회에서 주로 사용되므로 일반적으로 번체자로 표기된다. 그러나 구어체 광둥어에는 표준 중국어에 없는 어휘 또는 구어체 광둥어에 해당하는 어휘가 존재하기 때문에 표준 중국어와는 다른 의미를 가진 추가적인 자형과 한자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구어체 광둥어는 오락 잡지, 소셜 미디어, 광고 등의 일상적인 맥락에서 자주 나타난다.[73]반면, 공식적인 문헌, 전문 및 정부 문서, 텔레비전 및 영화 자막, 뉴스 매체는 표준 중국어를 계속 사용한다. 그러나 법정 증언이나 신문과 같이 공식적인 서면 의사소통에서 개인의 말을 인용할 때는 구어체 한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구어체 광둥어를 표준 중국어로 바꿔 쓰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인용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광둥어 | 人人生而自由,喺尊嚴同埋權利上一律平等。佢哋有理性同埋良心,而且應當以兄弟關係嘅精神相對待。 |
---|---|
IPA | /jɐn˨˩ jɐn˨˩ sɐŋ˥˧ ji:˨˩ tsiː˨ jɐuː˨˩, hɐi˧˥ tsy:n˥˧ jiːm˨˩ tʰʊŋ˨˩ ma:i˨˩ kʰyːn˨˩ lei˨ sœ:ŋ˨ jɐt˥ lɵt˨ pʰɪŋ˨˩ tɐŋ˧˥. kʰɵy˩˧ tei˨ jɐu˩˧ lei˩˧ sɪŋ˧ tʰʊŋ˨˩ ma:i˨˩ lœ:ŋ˨˩ sɐm˥˧, ji:˨˩ tsʰɛ:˧˥ jɪŋ˥ tɔ:ŋ˧˥ ji:˩˧ jy:˩˧ hɪŋ˥˧ tɐi˨ kʷaːn˥˧ hɐi˨ kɛ:˧ tsɪŋ˥˧ sɐn˨˩ sœ:ŋ˥˧ tɵy˧ tɔ:i˨./ |
Yale 표기법[66] | yàhnyàhn sàng yìh jihyàuh, hái jyùnyìhm tùhngmàaih kyùhn leih seuhng yātleuht pìhngdáng. kéuihdeih yáuh léihsing tùhngmàaih lèuhngsàm, yìhché yìngdòng yíh hìngdaih gwàanhaih ge jìngsàhn sèung deui doih. |
ILE 표기법 | jan4 jan4 sang1 ji4 dzi6 jau4, hai2 dzyn1 jim4 tung4 maai4 kyn4 lei6 soeng6 jat7 loet9 ping4 dang2. koey5 dei6 jau5 lei5 sing3 tung4 maai4 loeng4 sam1, ji4 tse2 jing1 dong1 ji5 hing1 dai6 gwaan1 hai6 ge3 dzing1 san4 soeng1 doey3 doi6. |
Jyutping 표기법 | jan4 jan4 sang1 ji4 zi6 jau4, hai2 zyun1 jim4 tung4 maai4 kyun4 lei6 soeng6 jat1 leot6 ping4 dang2. keoi5 dei2 jau5 lei5 sing3 tung4 maai4 loeng4 sam1, ji4 ce2 jing1 dong1 ji5 hing1 dai6 gwaan1 hai6 ge3 zing1 san4 soeng1 deoi3 doi6. |
원문(영어): | "모든 인간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게 태어난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형제애의 정신으로 서로 대해야 한다." |
어느 지역에서든 공적인 문서는 표준중국어(홍콩에서는 “서면어”라고 부름)로만 작성되기 때문에, 광둥어에 대해서는 통일된 표준 표기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민간 차원에서는 광둥어를 한자로 표기하려는 시도가 오랫동안 계속되어 왔다. 표준어와 마찬가지로,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광둥어를 번체자, 광둥성에서는 간체자를 사용한다. 이 과정에서 광둥어 특유의 어휘를 표기하기 위한 방언자가 발달했지만, 원래는 광동극의 대사 등을 기록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생각된다. 표준 표기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각자가 사용하는 한자가 다르고, 이체자도 적지 않지만, 현재는 많은 글자에서 자연스럽게 선택이 진행되어 홍콩의 신문이나 잡지에 사용해도 충분히 이해되는 것이 많다. 홍콩에서는 홍콩 증보 문자 집합이라고 불리는, 광둥어 표기에 필요한 방언자 등을 보충하는 컴퓨터용 문자 세트가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다. 광둥성에서는 이것을 간체자 규칙에 따라 고쳐 쓴 방언자도 일부에서 속자로 사용되고 있다. 홍콩과 광둥의 사물이 중국 각지에 퍼진 결과, 중국의 공식 한자로서 『통용규범한자표』에 수록된 “4962 焗”, “5506 煲”, “7156 啫” 등의 방언자도 있다.
4. 5. 로마자 표기법
광둥어 로마자 표기 체계는 광저우와 홍콩의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표준 광둥어 개념을 정의하는 데 기여했다.[67] 주요 체계로는 (최신부터 가장 오래된 순서대로) Jyutping, 중국 정부의 광동 로마자 표기, 예일, 마이어-왐페, 표준 로마자 표기가 있다. Jyutping과 예일은 오늘날 서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가르치는 두 가지 체계이며, 음조 표기 방식을 제외하고는 서로 크게 다르지 않다.[67] 시드니 라우는 예일 체계를 수정하여 인기 있는 광둥어 제2언어 학습 과정에 사용했으며, 그의 변형된 체계 또한 오늘날 사용되고 있다.홍콩과 마카오 정부는 고유 명칭과 지명에 로마자 표기 체계를 사용하지만, 일부 소리를 일관되지 않게 표기한다. 이러한 체계는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다. 마카오의 체계는 식민지 역사로 인해 포르투갈어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홍콩의 체계와 약간 다르다. 예를 들어 마카오 체계의 많은 단어는 홍콩 체계와 동일하지만 (예: 성씨 ''Lam'' 林, ''Chan'' 陳), 홍콩 체계에서 로 표기되는 경우는 마카오 체계에서는 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예: ''Chau'' vs. ''Chao'' 周, ''Leung'' vs ''Leong'' 梁). 홍콩 체계나 마카오 체계의 철자는 중국 본토의 병음 체계와 매우 유사하지 않다. 주된 이유는 병음이 표준관화의 두 가지 파열음 계열을 구분하는 반면, 표준 광둥어의 두 계열 발음은 표준관화와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구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pʰ/, /tʰ/ 등뿐만 아니라 /p/, /t/ 및 나머지 무기음도 간단한 철자 , 등으로 표기하는 반면, 후자의 계열은 , 등으로 표기한다.
19세기 초 중국에 도착한 프로테스탄트 선교사들에 의해 광둥어를 알파벳으로 표기하려는 체계적인 노력이 시작되었다. 로마자 표기는 새로운 선교사들이 방언을 더 쉽게 배우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이자, 글을 모르는 사람들이 복음을 읽고 쓰는 능력을 빠르게 얻는 방법으로 여겨졌다. 이전의 가톨릭 선교사들, 대부분 포르투갈인들은 중국 궁정과 수도에서 사용되는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식을 개발했지만, 다른 방언들을 로마자로 표기하려는 노력은 거의 하지 않았다.
홍콩 언어학회(Linguistic Society of Hong Kong)(LSHK)는 자신들이 고안하고 Jyutping이라고 명명한 로마자 표기를 지지해왔다. Jyutping의 장점 중 하나는 예를 들어 이름의 시작 부분에서 J를 사용하는 방식이 다른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Y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IPA와 일치한다는 점이다.
또 다른 인기 있는 체계는 ILE 로마자 표기로, 홍콩 교육 및 인력국(Hong Kong Education and Manpower Bureau)과 홍콩 시험 및 평가 당국(Hong Kong Examinations and Assessment Authority)에서 허용하는 유일한 로마자 표기 시스템이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사와 학생들을 위한 교재와 연구 자료는 일반적으로 이 체계를 사용하지만, 일부 교사와 학생들은 왕석령의 전사 시스템을 사용한다.
광둥어를 배우는 사람들은 광둥어 로마자 표기를 표준화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육 수준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원어민 광둥어 화자들은 기존의 광둥어 이름의 라틴 문자 표기 외의 로마자 표기에 익숙하지 않다는 사실에 좌절감을 느낄 수 있다. 광둥어는 주로 구어로 사용되며, 화자들이 대부분의 글쓰기 장르에서 자체적인 문자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 일부 광둥어 고유의 한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글쓰기에서 표준 중국어를 따름). 따라서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다. 그 결과, 현지인들은 이러한 시스템을 배우지 않는다. 중국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의 로마자 표기의 일반적인 사용과는 달리, 광둥어의 로마자 표기 시스템은 홍콩과 광둥성의 교육 시스템에서 제외된다. 실제로 홍콩은 홍콩 정부(Government of Hong Kong)에서 사용하는 느슨하고 명칭이 없는 로마자 표기 체계를 따른다.
구글의 광둥어 입력은 예일(Yale), Jyutping 또는 광둥어 병음(ILE 로마자 표기)을 사용하며, 예일이 첫 번째 표준이다.[69][70]
5. 문화적 역할
중국어는 수많은 지역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서로 이해할 수 없어 원어권 지역 외부에서는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광둥어가 주로 사용되며, 공개적인 담론도 거의 전적으로 광둥어로 이루어져 표준어 이외의 중국어 방언으로는 유일하게 공식 언어로 사용된다. 1909년 청나라는 교육, 언론, 공식 석상에서 표준어 사용을 장려했다.[67]
홍콩에서는 영어와 함께 텔레비전, 라디오 등 미디어에서 광둥어가 공용어로 사용되며, 영화, 연극, 가요에서도 널리 쓰인다. 공식적인 문어로는 '서면어'라고 불리는 표준 중국어가 사용되기에, 다른 중국어 방언처럼 정서법은 없고 문자로 표기되는 일은 드물다. 하지만 광둥어는 비공식적으로 문자 표기 빈도가 높은 편이며, 신문, 잡지, 웹사이트 등에서 광둥어 구어를 섞은 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광둥어 사용 인구는 오어보다 적지만, 홍콩의 정치·경제적 발전 덕분에 영향력과 지위는 더 높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광둥어는 탈중국화 과정에서 홍콩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59]
5. 1. 광둥어 제한과 항의
2010년 7월 5일, 광저우 시의 자문기관인 인민정치협상회의가 현지 TV의 광둥어 채널을 표준어로 변경해야 한다고 제안하자 시민들이 반발했다. 7월 25일에는 “광둥어를 지켜라!”라고 외치는 2000명 이상의 시민들이 항의 집회를 열었고, 출동한 경찰에 의해 해산되었다.[77] 광저우 시는 같은 달 28일, 광둥어 채널을 유지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사태를 수습했지만, 시민들의 항의는 계속되었다. 8월 1일에는 광저우와 홍콩에서 거의 동시에 광둥어 보호를 요구하는 시민 시위가 벌어졌다. 광저우에서는 수백 명이 참가하여 “광둥어 만세!”라는 구호를 외쳤고, 경찰이 집회를 해산시켜 일부 참가자가 체포되었으며, 홍콩에서도 민주파 활동가 약 150명이 참가하여 광저우 시 시민 운동을 지지하는 시위를 벌였다.[78]2011년 12월 1일, 광둥성 정부는 「광둥성 국가통용어언문자 규정」[79]을 제정하여 표준어 사용을 촉진하고 방언 사용에 대한 더욱 명확한 규정을 마련했으며, 2012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하여 TV 등에서 광둥어 방송이 사라질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지만, 12월 24일 광둥성 정부는 기자회견을 열고 광둥성 광보전영전시국 허지단 부국장이 승인을 받은 한에서는 시행 후에도 광둥어 등 방언 방송이 없어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명확히 밝혔다.[80]
한편, 홍콩의 학교 교육에서는 광둥어로 진행되는 수업이 줄어들고 있으며, 중국 본토의 영향력이 강해지고 있다는 우려가 있다.
참조
[1]
서적
Cantonese as Written Language: The Growth of a Written Chinese Vernacular
https://books.googl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5-11-09
[2]
학술지
The status of Cantonese in the education policy of Hong Kong
https://multilingual[...]
[3]
서적
晚清民初歐美傳教士書寫的廣東話文獻精選
https://www.cuhk.edu[...]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22
[4]
서적
The Sacred Edict: Containing Sixteen Maxims of the Emperor Kang-Hi
http://archive.org/d[...]
1817
[5]
서적
A Vocabulary with Colloquial Phrases of the Canton Dialect
1854
[6]
웹사이트
Audio Web Page
http://www.hko.gov.h[...]
2021-05-08
[7]
간행물
Chinese as a FSL (Cantonese) Curriculum
http://www.cuhk.edu.[...]
Yale-China Chinese Language Centre,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18-01-29
[8]
서적
Chinese Culture in the 21st Century and its Global Dimensions
2024-01-25
[9]
학술지
Challenges in D2 and D3 Acquisition: Dr. Sun Yat-Sen's 1924 Cantonese and Mandarin Audiorecordings
https://bpb-us-w2.wp[...]
2024-01-25
[10]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Chinese Language Studies
https://books.google[...]
2024-01-25
[11]
학술지
Tone mergers in Cantonese: Evidence from Hong Kong, Macao, and Zhuhai
2019-06-13
[12]
서적
Planet Hong Kong: popular cinema and the art of entertain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13]
간행물
Basic Law, Chapter I : General Principles
http://www.basiclaw.[...]
2018-01-29
[14]
웹사이트
Zhōngguó guǎngbò diànshì bòyīn yuán zhǔchí rén zhíyè dàodé zhǔnzé
http://www.chinasarf[...]
국제방송영화전시총국
2010-07-26
[15]
웹사이트
Chinese Language Programes
http://www2.scut.edu[...]
[16]
웹사이트
Chinese Language
http://www.sicas.cn/[...]
[17]
웹사이트
The Slow Death of China's Dialects
https://www.mironlin[...]
2021-09-11
[18]
뉴스
Move to Limit Cantonese on Chinese TV Is Assailed
https://www.nytimes.[...]
2018-09-24
[19]
웹사이트
Canton's Unease: As Mandarin Spreads, Locals Face Identity Crisis
https://www.sixthton[...]
2021-11-10
[20]
학술지
广州人语言态度与粤语认同传承
http://yyzlyj.cp.com[...]
[21]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Facts on File
[22]
웹사이트
Report on Results of the 2019 Census
https://drive.google[...]
General Statistics Office of Vietnam
2020-05-01
[23]
학술지
"Mǎláixīyà de sān gè hànyǔ fāngyán" zhōng zhī jílóngpō Guǎngdōnghuà yuè tán
http://www.newera.ed[...]
2018-01-29
[24]
학술지
Why are the Native Languages of the Chinese Malaysians in Decline
2012
[25]
웹사이트
Malaysian Cantonese
http://www.chinahist[...]
2019-08-01
[26]
학술지
Why are the Native Languages of the Chinese Malaysians in Decline
2012
[27]
뉴스
Why Cantonese Spoken in Malaysia Sounds Different to Hong Kong Cantonese, and No it's Not 'Wrong'
https://www.scmp.com[...]
2018-11-15
[28]
간행물
Profile of the Singapore Chinese Dialect Groups
http://www.howardsco[...]
[29]
웹사이트
Use of Dialects Interfere with Learning of Mandarin & English
http://www.channelne[...]
2012-01-20
[30]
웹사이트
Speak Mandarin Campaign
http://www.mandarin.[...]
Singapore Promote Mandarin Council
2010-10-07
[31]
서적
Life is Not Complete Without Shopping: Consumption Culture in Singapore
Singapore University Press
2003
[32]
웹사이트
Cambodia – The Chinese
http://countrystudie[...]
Countrystudies.us
2016-04-22
[33]
논문
The Chinese Minority in Cambodia: Identity Construction and Contestation
http://spectrum.libr[...]
Concordia University
2018-01-29
[34]
서적
Language, Nation and Development in Southeast Asia
ISEAS Publishing
2007
[35]
서적
The Well-Being of the Elderly in Asia: A Four-Country Comparative Stud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2
[36]
서적
Alternate Identities: The Chinese of Contemporary Thailand
https://archive.org/[...]
Brill
2001
[37]
웹사이트
Chow: The Cantonese–Chinese cultural minority in the Philippines
https://www.sunstar.[...]
2024-11-11
[38]
웹사이트
From Quadrilingual to Bilingual: On the Multilingual Teaching in the Chinese Schools in the Philippines (从四语人到双语人:论菲律宾华校的多语教学)
https://www.lannanga[...]
2024-11-11
[39]
서적
Made in America
September 2021
[40]
웹사이트
How Many People Speak "What Languages" in America
http://names.mongaba[...]
2017-10-04
[41]
웹사이트
Top Languages Other than English Spoken in 1980 and Changes in Relative Rank, 1990–2010
https://www.census.g[...]
[42]
웹사이트
Mandarin Use Up in Chinese American Communities
http://hsktests.com/[...]
2018-01-29
[43]
웹사이트
As Mandarin Language Becomes Standard, Chinatown Explores New Identity
https://web.archive.[...]
2012-01-20
[44]
서적
Chinese Transnational Networks
Taylor & Francis
2007
[45]
뉴스
In Chinatown, Sound of the Future Is Mandarin
https://www.nytimes.[...]
2014-03-22
[46]
뉴스
Asian Boom in Brooklyn Along N-Lline Neighborhoods in Brooklyn, Census Data Shows
https://web.archive.[...]
2021-05-08
[47]
뉴스
With an Influx of Newcomers, Little Chinatowns Dot a Changing Brooklyn
https://www.nytimes.[...]
2015-04-15
[48]
간행물
Chinese Population by Census Tract – New York City, 2010
https://www1.nyc.gov[...]
New York City Department of City Planning
[49]
웹사이트
Mapping America: Every City, Every Block
http://www.nytimes.c[...]
2020-05-14
[50]
보고서
The Newest New Yorkers: Characteristics of the City's Foreign-Born Population
2013
[51]
뉴스
The Changing Chinatowns: Move Over Manhattan, Sunset Park Now Home to Most Chinese in NYC
https://www.nydailyn[...]
2011-08-05
[52]
뉴스
Dragon Roars in San Gabriel
https://www.latimes.[...]
2014-11-21
[53]
서적
Chinese American Transnational Politic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0
[54]
서적
The Last Spike
Penguin
1989
[55]
웹사이트
Cantonese Speakers in the UK
http://www.ethnologu[...]
2012-01-20
[56]
웹사이트
"Chinois de France" ne veut rien dire
http://www.slate.fr/[...]
2018-01-29
[57]
간행물
Immigrant's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The Case of the Chinese in Portugal
https://web.archive.[...]
2003-07
[58]
웹사이트
What are the most common languages spoken in Australia?
https://langpro.com.[...]
2018-11-26
[59]
웹사이트
Say It Loud: Language and Identity in Taiwan and Hong Kong
https://web.archive.[...]
2018-09-24
[60]
서적
Media in China: Consumption, Content and Crisis
RoutledgeCurzon
2002
[61]
서적
Hong Kong Connections: Transnational Imagination in Action Cinema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Books
2006
[62]
서적
Cinema and Urban Culture in Shanghai, 1922–1943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5-11-09
[6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Hong Kong Cinem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7
[64]
학술지
Variation and Merger of the Rising Tones in Hong Kong Cantonese
http://ira.lib.polyu[...]
2003
[65]
harvard
[66]
서적
English-Cantonese Dictionary 英粵字典: Cantonese in Yale Romanization
New Asia-Yale-in-China Chinese Language Center;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1991; "first copublished edition", The Chinese University Press, The Chinese University of Hong; New Asia-Yale-in-China Language Center, 2000; second printing. Note that, in Yale-Romanization, tone 1 is marked by the (down-sloping =) grave accent even in the situation that it gets realised as its high flat variant, which occurs (automatically) in Canton-standard pronunciation wherever the tone 1 immediately precedes any syllable whose tone is or begins high, as within for example the 應當 that occurs in the sample text near the end of this article
2004
[67]
학술지
A System without a System: Cantonese Romanization Used in Hong Kong Place and Personal Names
2008
[68]
학술지
A Transcription for Cantonese: Notes on Mr. Yuen Ren Chao's "Cantonese Primer"
https://www.jstor.or[...]
1950
[69]
웹사이트
Google Cantonese Input
https://play.google.[...]
2018-01-29
[70]
웹사이트
Guǎngdōnghuà pīnyīn – Google sōuxún jiànyì
https://www.google.c[...]
2018-01-29
[71]
웹사이트
Jyutping 粵拼
https://www.lshk.org[...]
2020-10-07
[72]
웹사이트
粵音節表 (Table of Cantonese Syllables)
http://humanum.arts.[...]
2021-07-20
[73]
웹사이트
OHCHR {{!}}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Cantonese
https://www.ohchr.or[...]
2023-07-24
[74]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 Division, Civil Service Bureau, Government of Hong Kong
http://www.csb.gov.h[...]
Csb.gov.hk
2008-09-19
[75]
일반
[76]
일반
[77]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78]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79]
웹사이트
广东省人民政府令第165号《广东省国家通用语言文字规定》
http://www.gd.gov.cn[...]
广东省人民政府
[80]
웹사이트
省政府召开新闻发布会通报通用语言文字规定有关情况
http://www.gd.gov.cn[...]
广东省人民政府
[81]
서적
標準広東語同音字表
東方書店
[82]
일반
[83]
일반
[84]
일반
[85]
일반
[86]
일반
[87]
웹사이트
Top 100 Languages by Population - First Language Speakers
http://www.davidpbro[...]
[88]
일반
[89]
서적
The Palgrave Handbook of Chinese Language Studies
https://books.google[...]
2024-01-25
[90]
저널
Challenges in D2 and D3 Acquisition: Dr. Sun Yat-Sen's 1924 Cantonese and Mandarin Audiorecordings
https://bpb-us-w2.wp[...]
2024-01-25
[91]
저널
Tone mergers in Cantonese: Evidence from Hong Kong, Macao, and Zhuhai
2019-06-13
[92]
서적
Planet Hong Kong: popular cinema and the art of entertainment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93]
서적
Chinese Culture in the 21st Century and its Global Dimensions
2024-01-25
[94]
웹사이트
Basic Law, Chapter I : General Principles
http://www.basiclaw.[...]
2018-01-29
[95]
웹사이트
Zhōngguó guǎngbò diànshì bòyīn yuán zhǔchí rén zhíyè dàodé zhǔnzé
http://www.chinasarf[...]
State Administration of Radio, Film, and Television
2010-07-26
[96]
웹사이트
Chinese Language Programes
http://www2.scut.edu[...]
[97]
웹사이트
Chinese Language
http://www.sicas.cn/[...]
[98]
웹사이트
The Slow Death of China's Dialects
https://www.mironlin[...]
2021-09-11
[99]
뉴스
Move to Limit Cantonese on Chinese TV Is Assailed
https://www.nytimes.[...]
2018-09-24
[100]
웹사이트
Canton's Unease: As Mandarin Spreads, Locals Face Identity Crisis
https://www.sixthton[...]
2021-11-10
[101]
저널
广州人语言态度与粤语认同传承
http://yyzlyj.cp.com[...]
[102]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Facts on File
[103]
일반
[104]
일반
[105]
일반
[106]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