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난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난어는 중국 대륙, 타이완, 동남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는 언어로, 푸젠성 남부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타이완에서는 '타이완어'로 불리며, 동남아시아 화교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주요 방언으로는 호키엔어, 조주어 등이 있으며, 한자와 로마자를 표기 체계로 사용한다. 한국과는 일제강점기 화교 사회를 통해 관계를 맺었으며, 한국어 한자어 발음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난어 - 취안장어
취안장어는 푸젠성 남부에서 사용되는 민남어의 주요 방언으로, 무역과 이민을 통해 해외로 확산되었으며, 음운, 문법, 어휘적 특징과 문어체와 구어체의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 민난어 - 백화자
백화자는 타이완어(민난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식 중 하나로, 선교사들이 개발하여 교회에서 사용되었으며, 여러 이름으로 불리고, 19세기에 현재와 유사한 형태로 정립되어 보급되었으나 억압받기도 했지만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 푸젠성 - 민중어
민중어는 객가어의 방언으로, 싼밍, 융안, 샤현 지역에서 사용된다. - 푸젠성 - 민베이어
푸젠성 북부에서 사용되는 민어의 한 분파인 민북어는 민월어, 고대 한어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건구화가 표준음으로 간주된다. - 대만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대만의 언어 - 아미어
아미어는 대만 원주민인 아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VSO 어순을 따르고, 화련현과 타이둥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민난어 | |
---|---|
개요 | |
이름 | 閩南語 (민난어) |
다른 이름 | Hoklo-Taiwanese (호클로-타이완어) Bân-lâm-gú (반람구) |
사용 지역 | 푸젠성 광둥성: 차오저우–산터우, 산웨이, 레이저우 반도, 산웨이, 레이저우 반도 저장성 최남단 하이난성 대부분 (하이나어) 타이완 대부분 홍콩 말레이시아 일부 싱가포르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
사용자 민족 | 호클로족 테오-스와족 |
언어 분류 | |
어족 | 중국-티베트 어족 |
어파 | 중국어파 |
어족 | 중국어 |
분파 | 민어 |
하위 분파 | 연해 민어 |
조상 언어 | 원시 중국-티베트어 |
조상 언어 2 | 고대 중국어 |
조상 언어 3 | 원시 민어 |
언어 코드 | |
ISO 639-3 | nan |
Glottolog | minn1241 |
Glottolog 참조 이름 | Min Nan Chinese (민남 중국어) |
Linguasphere | 79-AAA-j |
언어학적 정보 | |
문자 | 한자 백화자 (로마자) 타이완어 가나 (폐지됨) |
공용어 지정 국가 | 중화민국 ;http://focustaiwan.tw/news/aedu/201812250018.aspx https://tw.news.appledaily.com/politics/realtime/20181225/1489328/ https://tw.news.yahoo.com/amphtml/%E5%9C%8B%E5%AE%B6%E8%AA%9E%E8%A8%80%E7%99%BC%E5%B1%95%E6%B3%95-%E7%AB%8B%E9%99%A2%E4%B8%89%E8%AE%80-%E6%94%BF%E5%BA%9C%E5%BE%97%E8%A8%AD%E5%8F%B0%E8%AA%9E%E5%B0%88%E5%B1%AC%E9%A0%BB%E9%81%93-062038323.html 중화민국 타이완 지역 대중교통 방송 언어 중 하나 |
관리 기관 | 없음 (중화민국 교육부, 타이완 장로교회, 기타 다양한 비정부기구 (NGO)가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 |
방언 | |
주요 방언 | 호키엔어 (취안장 또는 추안치앙; 예: 샤먼 방언, 타이완어, 싱가포르 호키엔어) 차오산 민어 (테오-스와; 예: 제양, 차오저우 방언, 산터우 방언) 제난 민어 다톈 민어 (과도기적) 산샹 방언 (사히우) 하클라우 민어 (하클라우) |
분포 지도 | |
![]() | |
![]() |
2. 지리적 분포
민난어는 지리적으로 크게 중국 대륙, 타이완,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나뉜다.
푸젠성 남부의 취안저우, 장저우, 샤먼 지역은 역사적으로 타이완, 광둥성 자오저우, 산터우 지역, 뢰저우반도, 저장성 남부, 하이난성,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태국, 필리핀 등지로 이주한 사람들이 많았던 곳이다. 이들 지역 민난계 주민들 사이에서도 민난어가 사용되며, 이들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변종을 통칭하여 넓은 의미의 민난어라고 한다.
좁은 의미의 민난어는 동남아시아에서 '''Hokkien'''이라고도 불린다. 객가어와 혼동하기 쉽지만, "복건"이라는 뜻이다. 타이완에서는 타이완어 또는 하러(河洛, 호로)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표준중국어(타이완 국어)와 구분하기 위해 타이완 토착의 언어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2. 1. 중국 대륙
민난어는 푸젠성 남부, 특히 샤먼, 취안저우, 장저우, 롱옌 대부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7] 저장성 원저우 남동쪽 여러 현, 저장성 닝보 앞바다의 저우산 군도, 광둥성 중산 남쪽 변두리의 산샹 마을, 광둥성 차오산(Teo-swa) 지역에서도 민난어의 여러 방언이 사용된다.[7]레이저우와 하이난에서 사용되는 변종은 하이난어로 분류되며, 주류 민난어나 객가어와 서로 알아들을 수 없다. 하이난어는 일부 분류 체계에서는 민난어의 일부로, 다른 체계에서는 별개의 언어로 분류된다.
푸시엔 민어는 원래 취안저우 방언을 기반으로 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부 민어의 영향을 크게 받아 결국 민난어와 서로 알아들을 수 없게 되었다.[8]
2. 2. 타이완
타이완에서 사용되는 민난어 방언들은 통칭하여 대만어로 알려져 있으며, 타이완의 주요 민족인 호로인 대다수의 모어이다.[9] 하지만 언어와 민족의 대응 관계는 절대적이지 않아서, 일부 호로인들은 민난어에 대한 숙련도가 매우 낮은 반면, 일부 비호로인들은 민난어를 유창하게 구사하기도 한다.[9]타이완어는 취안저우 방언과 장저우 방언의 결합으로 발전했다.
타이완에서는 타이완어 또는 하러(河洛, 호로)어라고도 부른다. 이는 타이완의 국어인 표준중국어(타이완 국어, 베이징어와 유사)와 구분하기 위해 타이완 토착의 언어로 여겨지고 있다.
2. 3. 동남아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의 화교 사회에는 남부 민어 화자가 많다. 이 지역으로 이주한 많은 중국계 이민자들은 중국 남부 푸젠성 출신의 호로인(Hoklo people)들이었으며, 현재의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이전의 영국령 말레이, 해협 식민지, 영국령 보르네오), 인도네시아(이전의 네덜란드령 동인도), 필리핀(이전의 스페인령 동인도, 이후 미국의 필리핀 제도(P.I.)), 브루나이(이전의 영국령 보르네오의 일부), 태국 남부, 미얀마(영국령 버마), 캄보디아(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프랑스 보호령 캄보디아), 베트남 남부(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프랑스령 코친차이나), 베트남 중부(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프랑스 보호령 안남)에 이 언어를 전파했다.[7] 일반적으로, 푸젠성 남부의 남부 민어는 동남아시아에서 호키엔어(Hokkien), 호키엔어(Hokkienese), 푸키엔어(Fukien), 푸키엔어(Fookien)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 사용되는 호키엔어와 대부분 상호 이해 가능하다.호키엔어는 남부 민어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언으로, 동남아시아의 방언으로는 싱가포르 호키엔어, 페낭 호키엔어, 말레이시아 남부 반도 호키엔어, 메단 호키엔어, 필리핀 호키엔어가 있다.
필리핀에서는 필리핀 호키엔어가 필리핀 중국계 주민 사회의 최대 98.7%의 모국어 또는 유산 언어라고 알려져 있으며, 그들 사이에서는 호키엔어로 咱人話 / 咱儂話|Lán-nâng-ōe / Lán-lâng-ōe / Nán-nâng-ōe|우리 민족의 언어중국어라고 한다.
3. 하위 방언
민난어는 여러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절강성 남부에서 사용되는 민난어 방언은 취안저우어와 유사하며, 대만에서 사용되는 방언들은 타이완어로 통칭된다. 동남아시아의 민난어 방언들은 "호키엔(Hokkien)"으로 알려져 있으며, 취안저우어 지역 방언에서 유래했다. 광둥성 동부 차오산 지역의 방언은 차오저우어로 알려져 있으며, 동남아시아, 특히 말레이시아, 태국 등지에서 중요하다.
하이펑 방언은 차오저우어와 다르며, 장저우어에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룽옌 방언과 장핑 방언은 독자적인 분류를 형성한다. 말레이시아 페낭과 인도네시아 메단에서는 장저우 방언 기반의 독특한 형태가 발전했는데, 각각 페낭 호키엔, 메단 호키엔으로 불린다.
호키엔어는 남부 민어 중 가장 널리 사용되며, 샤먼어와 타이완어를 포함한다. 이들은 모두 취안저우 방언과 장저우 방언의 결합으로 발전했다. 동남아시아에는 싱가포르 호키엔어, 페낭 호키엔어, 말레이시아 남부 반도 호키엔어, 메단 호키엔어, 필리핀 호키엔어 등이 있다.
3. 1. 주요 분류
민난어는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샤먼어는 장저우어와 취안저우어를 기본으로 한 코이네 방언이다. 방언에 따라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7]
최근에는 뢰저우 방언과 하이난 방언을 포함할지 여부에 따라 남민어를 크게 두세 갈래로 나누기도 한다.
- '''남민어'''
- * 민남어 (진강 지역)
- * 티우저우 방언(스와토우 방언), 제양 방언, 학로 민어
- * 뢰저우 민어와 하이난어 방언
Kwok (2018)은 진저우 방언은 포함하지 않지만 취안저우 방언을 포함하는 북부 계통이 갈라져 나온 대안적인 분류를 제안했다.[10]
- '''남민어'''
- * '''북부'''
- ** 창난 방언
- ** 취안저우 방언, 쯔후 방언
- * '''중남부'''
- ** '''중부'''
장저우 방언
룽옌 방언, 다뎬
- ** '''남부'''
광둥성
* ? 하이펑 방언
* 제양 방언, 차오양
하이난성
* 뢰저우 민어
* 하이커우 방언
티우슈화(潮汕話) 또는 조산 방언(潮汕片)은 남민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변종으로, 계양 방언(揭阳方言), 차오저우 방언(潮州話), 산터우 방언(汕头話) 등을 포함하며, 일부 학자는 학로어(Haklau Min)도 포함한다고 여긴다. 호키엔어(Hokkien)와의 상호 이해도는 제한적이지만, 일부 공통 어원을 공유한다. 조산 방언은 발음과 어휘 모두에서 호키엔어와 상당히 다르며, 상호 이해는 어렵다.[11]
- 민남어(福建語, Hokkien)
- * 복건어(福建語, Fukienese)
- * 타이완어(台湾語, Taiwanese)
- 타이엔 방언(大田方言, Datian)
- 절남어(浙南語, Zhenan Min)
- 차오저우어 (潮州語, Chaozhou)
- * 차오저우어 (潮州語, Teochew)
- * 차오저우어 (潮州語, Chaochow)
- 룽두 방언 (隆都方言, Longdu)
- 뢰저우어 (Leizhou)
- 하이난어 (Hainan)
1987년 출판된 『중국언어지도집』에서는 공식적으로 뢰저우어와 하이난어 두 방언을 민남어에서 분리하여 설명하고 있다.
3. 2. 세부 분류 (Kwok, 2018)
Kwok (2018)은 진저우 방언을 제외하고 북부, 중남부(중부, 남부)로 나누는 대안적인 분류를 제안했다.[10]- '''북부'''
- ** 창난 방언
- ** 취안저우 방언, 쯔후 방언
- '''중남부'''
- ** '''중부'''
장저우 방언
룽옌 방언, 다티엔
- ** '''남부'''
광둥성
* 하이펑 방언
* 제양 방언, 차오양
하이난성
* 뢰저우 민어
* 하이커우 방언
4. 음운
민난어는 다양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성조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대부분의 민난어 방언은 5~6개의 성조를 가지며, 말할 때 문장 끝 음절을 제외한 대부분 음절의 성조가 변하는 연속 변조 현상이 나타난다.[17][18] 이는 민난어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민난어에는 한자를 읽는 방법에 따라 문어체 발음인 '문독음'과 구어체 발음인 '백화음'이 존재하며, 이를 "문백이독"이라고 한다. 통용 한자의 약 40%는 문독과 백화독으로 구분되며, 단어에 따라 사용되는 발음이 다르다.[19] 예를 들어, "大人"은 문독으로는 공인이나 윗사람에 대한 경칭으로 쓰이지만, 백화독으로는 "성인"을 의미한다.
숫자를 읽을 때도 문독과 백화독이 구분된다. 백화독은 기수를 나타낼 때, 문독은 서수, 전화번호, 자동차 번호판 등을 읽을 때 사용된다.
한자 | 일 | 이 | 삼 | 사 | 오 | 육 | 칠 | 팔 | 구 | 십 |
---|---|---|---|---|---|---|---|---|---|---|
문독 | it | jī | sam | sù | ngó͘ | lio̍k | chhit | pat | kiú | si̍p |
백화독 | saⁿ | sì | gō͘ | la̍k | poeh | káu | cha̍p |
지명에 쓰인 한자의 문백이독을 구별하는 것은 민난어를 모어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어려운 일이다. 예를 들어 타이완 가오슝시의 강산과 기산의 "산"은 문독이지만, 봉산의 "산"은 백화독이다.
4. 1. 성조
대부분의 민난어 방언은 5~6개의 성조를 가진다.[17][18]말할 때, 문장 끝의 음절을 제외한 대부분의 음절의 성조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단음절 성조에서 변화하는 것을 연속 변조라고 한다. 이것은 민난어의 특징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화차)와 (화차)는 성조만 다른 두 단어이다. (화)는 원래 음거(저평) 성조이지만, (차) 앞에서는 하강 성조(상성)의 로 바뀐다. (화)는 원래 상성(하강 성조)이지만, (차) 앞에서는 고평(음평) 성조의 로 바뀐다. 만약 "火車"를 말하려고 하는데 본래의 성조인 로 발음하면, 듣는 사람에게는 "貨車"라고 말한 것으로 들릴 것이다.
변조의 규칙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아래 표에는 각 방언에서의 변조 규칙을 나타낸다. 각 방언의 첫 번째 줄은 본래의 조치와 성조 번호, 두 번째 줄은 변조된 조치와 성조 번호이다.[17][18]
사성 | 평성 | 상성 | 거성 | 입성 | |||||
---|---|---|---|---|---|---|---|---|---|
음평 | 양평 | 음상 | 양상 | 음거 | 양거 | 음입 | 양입 | ||
성조 번호 | 1 | 5 | 2 | 6 | 3 | 7 | 4 | 8 | |
동 | 동 | 동 | 동 | 동 | 동 | 독 | 독 | ||
조치(성조 번호) | 하문 | 44(1) | 24(5) | 53(2) | 21(3) | 22(7) | 32(4) | 4(8) | |
22(7) | 22(7) | 44(1) | 53(2) | 21(3) | -p, -t, -k: 4(8) -h: 53(2) | 32(4) | |||
타이베이 | 44(1) | 24(5) | 53(2) | 11(3) | 33(7) | 32(4) | 4(8) | ||
33(7) | 33(7) | 44(1) | 53(2) | 11(3) | -p, -t, -k: 4(8) -h: 53(2) | -p, -t, -k: 32(4) -h: 21(3) | |||
타이난 | 44(1) | 23(5) | 41(2) | 21(3) | 33(7) | 32(4) | 44(8) | ||
33(7) | 33(7) | 44(1) | 41(2) | 21(3) | -p, -t, -k: 44(8) -h: 53(2) | -p, -t, -k: 32(4) -h: 21(3) | |||
장주 | 34(1) | 13(5) | 53(2) | 21(3) | 22(7) | 32(4) | 121(8) | ||
22(7) | 22(7) | 34(1) | 53(2) | 22(7) | -p, -t, -k: 4 -h: 53(2) | -p, -t, -k: 22 -h: 22(7) | |||
취안저우 | 33(1) | 24(5) | 55(2) | 22(6) | 41(3) | 5(4) | 24(8) | ||
33(1) | 21(3) | 35(5) | 21(3) | 55(2) | 22(6) | -p, -t, -k: 4(8) -h: 53(2) | 21 | ||
북말레이시아 | 44(1) | 24(5) | 54(2) | 21(7) | 21(4) | 44(8) | |||
21(7) | 21(7) | 44(1) | 44(1)/54(2) | 21(7) | -p, -t, -k: 44(8) -h: 54(2) | 21(4) | |||
산터우(조주어) | 33(1) | 55(5) | 52(2) | 35(6) | 213(3) | 22(7) | 32(4) | 21(8) | |
33 | 11 | 35 | 11 | 32 | 21 | 4 | 1 | ||
4. 2. 문백이독
민난어에는 한자를 문어적으로 읽는 '문독음'과 구어적으로 읽는 '백화음'이 존재하며, 이를 "문백이독(文白異讀)"이라고 한다. 통용 한자의 4할에는 문독과 백화독의 구분이 있으며, 단어에 따라 사용되는 독음이 다르다.[19]예를 들어, "大人"의 경우 문독으로는 공인 또는 윗사람에 대한 경칭으로 사용되는 반면, 백화독으로는 "성인"을 의미한다.[19] "成"의 경우, 문독은 (성공, )과 (몇 성, ) 두 가지, 백화독은 (성조, )과 (성가, ) 두 가지가 있으며, 서로 바꿔 쓸 수 없다.
같은 한자 표기라도, 문독과 백화독에 따라 단어의 의미가 달라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문독의 "성가"()는 "결혼"을 의미하지만, 백화독의 "성가"()는 "가족을 부양하다"는 의미이다.[19]
숫자를 읽을 때도 문독과 백화독이 구분된다. 백화독은 기수에, 문독은 서수나 전화번호, 자동차 번호판 등을 읽을 때 사용된다.
한자 | 일 | 이 | 삼 | 사 | 오 | 육 | 칠 | 팔 | 구 | 십 |
---|---|---|---|---|---|---|---|---|---|---|
문독 | it | jī | sam | sù | ngó͘ | lio̍k | chhit | pat | kiú | si̍p |
백화독 | saⁿ | sì | gō͘ | la̍k | poeh | káu | cha̍p |
지명에 쓰인 한자의 문백이독을 구별하는 것은 민난어가 모어가 아닌 사람에게는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타이완 가오슝시의 강산()과 기산()의 "산"은 문독 이지만, 봉산()의 "산"은 백화독 이다.
5. 역사
민난어는 한나라 시대부터 복건성 지역에 정착한 한족 이주민들의 언어에서 기원한다.[2][3] 이 지역은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인해 다른 남부 방언들보다 북방의 영향을 덜 받았다.[8] 그 결과, 민 방언에는 다른 중국어 방언들에 비해 더 오래된 특징들이 남아 있다.[9]
민난어는 중국 중세어와 달리, 절운(601년)과 같은 운서에서 묘사된 언어와는 다른 오래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성조는 베이징어의 4성에 비해 민남어의 경우 7성 전후로 많고, 발음, 어휘, 문법 면에서 중국고대어의 잔존이 보인다. 민어 내부에서는, 예를 들어 “냄비”를 “솥”이라고 부르는 등의 어휘 공통성이 보이는데, 이것 또한 중국고대어가 잔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중원의 한어 음운이 화남의 한화에 의해 퍼져나갔기 때문에, 특히 주변 지역인 복건성에서 오래된 시대의 음운이 남았다고 생각된다.
일본 한자 발음 중 한음은 당나라 시대에 전래되었기 때문에 민난어 발음과 유사성이 보인다. 예를 들어 "세계", "국가", "이해", "건강", "감사" 등의 발음은 현대 일본어와 비슷하게 들린다.
5. 1. 주요 역사적 사건
- 한나라 한무제가 기원전 110년에 민월을 정복하면서 복건성의 민 지역이 한족의 이주에 개방되었다.[1] 이는 민난어가 중국어의 다른 방언들과 다른 독자적인 특징을 가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언어학자들은 민 방언이 한나라 시대에 나머지 중국어에서 분기한 것으로 추정한다.[2][3]
- 오호십육국 시대에는 311년 용가의 난으로 인해 북쪽에서 남쪽으로의 이주가 크게 늘어났다.[4]
- 당나라 시기인 669년, 하남성 구시현 출신의 진정과 그의 아들 진원광이 복건성에 지역 행정부를 설치하고 사람들의 반란을 진압했다.[5]
- 893년, 당나라의 왕조가 복건성의 주지사로 임명되면서 하남성에서 수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남쪽으로 이주했다.[6]
- 오대십국 시대인 909년, 당나라가 멸망한 후 왕조의 동생 왕신지는 민을 건국했다.[7]
5. 2. 어휘 층위 (Norman, 1991)
제리 노먼은 현대 민난어 어휘에 네 가지 주요 층이 있다고 보았다.# 민월어의 원래 언어에서 온 비중국어 기층. 노먼과 매이 추린(Mei Tsu-lin)은 이것이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라고 믿는다.[1][2]
# 한나라 시대 북쪽의 절강성에서 온 이주민들이 복건성으로 가져온 가장 초기의 중국어 층.[3]
# 남북조 시대의 층으로, 이는 대체로 『절운』의 음운론과 일치한다.[4]
# 당나라 수도 장안의 공통어를 기반으로 한 문어 층.[5]
6. 표기 체계
민난어는 한자와 로마자를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 푸젠어와 차오저우어(티우저우 방언, 산터우 방언 포함)는 각각 로마자 표기 체계와 한자를 가지고 있다.
6. 1. 한자
민남어의 한자는 중국 본토에서는 閩南文 (Bân-lâm-bûn)으로, 타이완에서는 台文 (Tâi-bûn)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본토와 타이완에서는 漢字 (Hàn-jī / Hàn-lī)로 알려져 있으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는 唐儂字 / 唐人字 (Tn̂g-lâng-jī / Tn̂g-lâng-lī)로 부르기도 한다. 필리핀에서는 咱儂字 / 咱人字 (Lán-nâng-dī) 또는 漢文字 (Hàm-bûn-dī)로 부른다.민남어에는 일본어의 음독과 훈독처럼 문독음(文讀音)과 백화음(白話音)이 있으며, 이를 “문백이독(文白異讀)”이라고 한다. 통용 한자의 4할에는 문독과 백화독의 구분이 있으며, 단어마다 문독음과 백화음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지가 다르다. 백화독은 기수에 사용되는 반면, 문독은 서수로, 또는 전화번호·자동차 번호 등을 읽을 때 사용된다.
하나의 한자에 각각 하나 이상의 문독·백화독이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成”의 문독은 “성공”, “몇 성”의 두 가지가 있으며, 백화독도 “성조”, “성가”의 두 가지가 있다.
같은 한자 표기라도, 문독과 백화독에 따라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문독의 “성가”는 “결혼”을 뜻하는 반면, 백화독의 “성가”는 “가족을 부양하다”를 의미한다.[19] 문독의 “어른”은 공인 또는 윗사람에 대한 경칭인 반면, 백화독의 “어른”은 “성인”을 의미한다.
민남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에게는 지명용 한자의 문독·백화독을 판단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타이완의 가오슝시에는 강산구, 기산구, 봉산구의 세 개의 구가 있는데, “강산”과 “기산”의 “산”은 문독의 san인 반면, “봉산”의 “산”은 백화독의 soaⁿ이다. 또한, “타이둥”과 “핑둥”의 “동”의 읽기도 다르다(전자는 백화독, 후자는 문독).
타이완에서는 번체자가 사용되지만, 푸젠성에서는 간체자가 사용된다.
6. 2. 로마자
푸젠어와 차오저우어(티우저우 방언과 산터우 방언 포함)는 로마자 표기 체계와 각각의 한자를 가지고 있다. 중국 본토에서는 閩南文 (Bân-lâm-bûn)으로, 타이완에서는 台文 (Tâi-bûn)으로 알려져 있다. 한자는 중국 본토와 타이완에서 漢字 (Hàn-jī / Hàn-lī)로 알려져 있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는 한자를 때때로 唐儂字 / 唐人字 (Tn̂g-lâng-jī / Tn̂g-lâng-lī)로 부르기도 한다. 필리핀에서는 한자를 咱儂字 / 咱人字 (Lán-nâng-dī) 또는 漢文字 (Hàm-bûn-dī)로 부른다. 대만에서는 번체자(正體字)가 사용되지만, 복건성에서는 간체자가 사용된다(중국어 참조). 타이완에서는 백화자로 표기된 성경이 유통되고 있다.7. 어휘
민난어는 여러 언어와 교류하면서 다양한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특히 일본어에서 온 단어들이 있는데, 비훈(ビーフン)(쌀국수), 렌부(レンブ)(련무(큰열매피)), 케첩(ケチャップ)(말레이어, 영어 경유), 사바히(サバヒー)(이눈치) 등이 대표적이다.[1]
영어의 'tea', 프랑스어의 'thé'처럼 서구권 언어에서 차를 부르는 말은 민난어 '떼(tê|떼nan)'에서 비롯되었는데, 이는 복건성 남쪽 지역이 무역의 중심지였기 때문이다.[1]
7. 1. 차용어
민난어는 다른 언어와 교류하며 여러 차용어를 받아들였다. 일본어에서 차용한 어휘로는 비훈(ビーフン)(쌀국수), 렌부(レンブ)(련무(큰열매피)), 케첩(ケチャップ)(말레이어, 영어 경유), 사바히(サバヒー)(이눈치) 등이 있다. 영어의 'tea', 프랑스어의 'thé' 등 서구 언어에서 차를 부르는 명칭은 민난어 '떼(tê|떼nan)'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복건성 남부가 무역 중심지였기 때문이다.[1]7. 1. 1. 일본어
일본어에서 차용한 민난어 어휘는 다음과 같다.[1]일본어 표기 | 한국어 표기(한자) | 민난어 발음 |
---|---|---|
비훈(ビーフン) | 쌀국수 | bí-hún|비훈nan |
렌부(レンブ) | 련무(蓮霧) (큰열매피) | lián-bū|렌부nan |
케첩(ケチャップ) | 연어국 (말레이어, 영어 경유) | kê-chiap|케챱nan |
사바히(サバヒー) | 이눈치(虱目魚) (일본어 이름) | sat-ba̍k-hî|삿밧히nan |
고타이(コウタイ) | 鮕鮘중국어 (일본어 이름) | ko͘-tai|고타이nan |
렌히(レンヒー) | 련어(鰱魚) (렌교(レンギョ)의 다른 이름) | liân-hî|렌히nan |
켄히(ケンヒー) | 잉어과(鯁魚) (잉어과의 담수어의 일종, 능어) | |
탄키(タンキー) | 동기(童乩) (도교(道教)의 샤먼) | tâng-ki|땅끼nan |
영어의 "tea"나 프랑스어의 "thé" 등 일부 서구 언어에서 차를 부르는 명칭은 민난어의 "떼(茶/tê|떼nan)"에서 유래했다. 이는 복건성 남부를 중심으로 한 지역이 무역 중심지였기 때문이다.[1]
8. 한국과의 관계
민난어는 대한민국에서 직접적인 사용 빈도는 낮지만, 화교 사회에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조선으로 이주해온 푸젠성 출신 화교들이 사용하던 언어는 샤먼 방언을 기반으로 한 민난어였다.[1] 학술적으로는 중어중문학, 언어학 분야에서 민난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고대 한국어와의 연관성, 한자음 비교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다.[2] 일부 한국어 어휘 중에는 민난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단어들이 있다. (예: 곶감)[3]
참조
[1]
논문
Tones and prosody in Middle Chinese and the origin of the rising tone
[2]
서적
Middle Chinese: A study in Historical Phonology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3]
웹사이트
Glottolog 4.8 - Min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3-07-10
[4]
서적
Chinese language
Fujian Education Publishing House
2015-10-01
[5]
Ethnologue
[6]
서적
Chinese Street Opera in Singapo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9
[7]
논문
The Reflexes of Initial Nasals in Proto-Southern Min-Hingua
University of Hawaii Press
[8]
논문
In Memory of Professor Li Fang-Kuei: Essays of Linguistic Change and the Chinese Dialects
https://www.research[...]
Academic Sinica
2000-09-01
[9]
웹사이트
The politics of language names in Taiwan
http://www.ksc.kwans[...]
[10]
서적
Southern Min: comparative phonology and subgrouping
Routledge
2018
[11]
Ethnologue
[12]
웹사이트
Tâi-bûn/Hôa-bûn Sòaⁿ-téng Sû-tián
http://210.240.194.9[...]
[13]
웹사이트
Draft national language development act clears legislative floor
http://focustaiwan.t[...]
[14]
웹사이트
立院三讀《國家語言發展法》 公廣集團可設台語電視台
https://tw.news.appl[...]
[15]
웹사이트
《國家語言發展法》立院三讀!政府得設台語專屬頻道
https://tw.news.yaho[...]
[16]
위키소스
大眾運輸工具播音語言平等保障法
[17]
서적
《閩南方言大詞典》
福建人民出版社
[18]
논문
〈四個閩南方言〉
中央研究院
[19]
문서
この場合はよく同音の「晟家」に書き換え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