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언어학 학회 월어 병음 방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콩 언어학 학회 월어 병음 방안(월병, Jyutping)은 광둥어의 로마자 표기 시스템으로, 19개의 자음, 56개의 운모, 6개의 성조로 구성된다. 1997년에 인정된 음절을 반영하여 업데이트되었으며, 라틴 문자를 사용해 광둥어 발음을 표기한다. 예일식 광둥어 로마자 표기법, ILE 로마자 표기법 등 다른 표기법과 비교하여 차이점을 보인다. 현재 교육, 컴퓨터 입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홍콩 특별 행정구 정부, 상무신사전 등에서 채택되었다. macOS, Windows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월병 입력기가 개발되어 있으며, 광둥어 입력기로도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문화 - 노래방
노래방은 반주에 맞춰 노래를 부르는 시설로, 대한민국에서는 노래연습장으로 불리며 일본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법적 규제, 소음 문제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홍콩의 문화 - 공주병
공주병은 동아시아 사회에서 특권 의식을 가진 듯한 태도를 보이는 현상으로, 저출산, 학업 경쟁, 사회경제적 불평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며, 대중문화에서도 활용된다. - 로마자 표기법 - 와일리 표기법
와일리 표기법은 티베트어의 철자법적 특징을 반영하여 모호성을 최소화하면서 티베트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로마자로 옮기는 표기 체계로, 음절 내 자음 연속을 연속된 로마자로 표기하는 특징을 가진다. - 로마자 표기법 -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
아랍어 로마자 표기법은 아랍 문자를 로마자(라틴 문자)로 변환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의미하며, 음역과 음사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어 학술, 지명 표기, 인터넷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모음 표기의 불완전성, 음역과 음사 방식의 선택 등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홍콩 언어학 학회 월어 병음 방안 | |
---|---|
개요 | |
명칭 | 粤拼 (Jyutping) |
유형 | 로마자 표기법 |
대상 언어 | 광둥어 |
개발 | 홍콩 언어학회 |
사용 지역 | 홍콩, 마카오, 광둥 성을 포함한 광둥어 사용 지역 |
특징 | 광둥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로마자 표기 체계 |
참고 | 광둥어 병음 방식 중 하나 |
표기 | |
초기 자음 | b, p, m, f, d, t, n, l, g, k, ng, h, gw, kw, z, c, s, j, w |
종결 자음 | p, t, k, m, n, ng, i, u |
모음 | a, e, i, o, u, yu |
성조 | 1, 2, 3, 4, 5, 6 (숫자로 표기) |
관련 | |
관련 항목 | 광둥어 로마자 홍콩 언어학회 |
2. 역사
월병(Jyutping) 시스템[1]은 로버트 모리슨이 1828년에 선구적인 작업을 한 이후 등장한 여러 광둥어 로마자 표기법들과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널리 사용되는 표준 로마자 표기법, 예일, 시드니 라우 시스템을 포함하여 기존의 약 12개 시스템들과 달리, 월병은 z와 c 초성을 도입하고 종성에 eo와 oe를 사용한다. 또한, 이전의 모든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초성 y를 j로 대체하였다.[2]
월병(Jyutping) 시스템[1]은 광둥어의 발음을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이다. 이 시스템은 1828년 로버트 모리슨의 초기 표기법이나 널리 쓰이는 표준 로마자 표기법, 예일, 시드니 라우 방식 등 이전에 사용되던 여러 광둥어 로마자 표기법들과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예를 들어, 월병은 'z'와 'c'를 성모(초성)로 도입하고 'eo'와 'oe'를 운모(종성)에 사용하며, 이전 시스템들에서 흔히 사용되던 초성 'y' 대신 'j'를 사용한다.[2]
2018년에는 홍콩 언어학 학회 월병 작업 그룹에 의해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이 업데이트는 1997년에 광둥어 음운론의 일부로 인정된 음절들을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a와 -oet 종성이 새롭게 포함되었다.[3]
3. 표기법
2018년에는 홍콩 언어학 학회 월병 작업 그룹에 의해 업데이트가 이루어졌다. 이 업데이트는 1997년에 광둥어 음운론의 일부로 인정된 특정 음절들을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a'와 '-oet' 종성이 새롭게 추가되었다.[3]
3. 1. 성모 (초성)
19개의 성모가 설정되어 있다.
병음 | IPA | 예시 한자 | 한글 표기 |
---|---|---|---|
b | /p/ | 巴 | 바 |
p | /pʰ/ | 怕 | 파 |
m | /m/ | 媽 | 마 |
f | /f/ | 花 | 화 |
d | /t/ | 打 | 타 |
t | /tʰ/ | 他 | 타 |
n | /n/ | 那 | 나 |
l | /l/ | 啦 | 라 |
g | /k/ | 家 | 가 |
k | /kʰ/ | 卡 | 카 |
ng | /ŋ/ | 牙 | 아 |
h | /h/ | 蝦 | 하 |
gw | /kʷ/ | 瓜 | 과 |
kw | /kʷʰ/ | 誇 | 과 |
w | /w/ | 蛙 | 와 |
z | /ts/ | 渣 | 자 |
c | /tsʰ/ | 叉 | 차 |
s | /s/ | 沙 | 사 |
j | /j/ | 也 | 야 |
3. 2. 운모 (중성/종성)
/iː/思yue
/iːp̚/
攝yue
/iːt̚/
洩yue
/ɪk̚/
識yue
/iːm/
閃yue
/iːn/
先yue
/ɪŋ/
升yue
/iːu/
消yue
/yː/
書yue
/yːt̚/
雪yue
/yːn/
孫yue
/uː/
夫yue
/uːt̚/
闊yue
/ʊk̚/
福yue
/uːn/
歡yue
/ʊŋ/
風yue
/uːi/
灰yue
/ɛː/
些yue
/ɛːp̚/
夾yue
/ɛːk̚/
石yue
/ɛːm/
舐yue
/ɛːŋ/
鄭yue
/ei/
四yue
/ɛːu/
掉yue
/ɵt̚/
摔yue
/ɵn/
詢yue
/ɵy/
需yue
/œː/
鋸yue
/œːt̚/[13]
/œːk̚/
削yue
/œːŋ/
姜yue
/ɔː/
可yue
/ɔːt̚/
喝yue
/ɔːk̚/
學yue
/ɔːn/
看yue
/ɔːŋ/
康yue
/ɔːi/
開yue
/ou/
好yue
/ɐ/
/ɐp̚/
汁yue
/ɐt̚/
侄yue
/ɐk̚/
則yue
/ɐm/
斟yue
/ɐn/
珍yue
/ɐŋ/
增yue
/ɐi/
擠yue
/ɐu/
周yue
/ɑː/
叉yue
/ɑːp̚/
集yue
/ɑːt̚/
察yue
/ɑːk̚/
客yue
/ɑːm/
三yue
/ɑːn/
山yue
/ɑːŋ/
掙yue
/ɑːi/
齋yue
/ɑːu/
嘲yue
/m̩/
唔yue
/ŋ̩/
吳y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