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분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분해는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화학 결합을 끊는 화학 반응으로, 광합성, 대기 화학, 천체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광합성에서는 물 분자가 광분해되어 산소가 생성되고, 대기 중에서는 오염 물질 분해가 일어나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하거나 오존층을 파괴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우주 공간에서는 성간 물질의 분해를 일으키며, 감마선 폭발과 같은 강력한 에너지 현상으로 인해 생물권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다중 광자 해리, 광유도 양성자 전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화학 - 광전 효과
광전 효과는 빛이 물질에 닿을 때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으로, 빛 에너지가 광자라는 덩어리로 양자화되어 있고, 아인슈타인의 광양자 가설로 설명되며, 다양한 기술에 응용되지만 문제도 야기한다. - 광화학 - 광촉매
광촉매는 빛을 받아 촉매 작용을 하는 물질로, 이산화티타늄이 주로 사용되며 유기물 분해, 수질 및 대기 정화 등에 응용되지만 가시광선 효율 향상 및 과장 광고 문제가 있다. - 광합성 - 멜빈 캘빈
멜빈 캘빈은 광합성 과정의 탄소 고정 경로를 밝혀 196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화학자로, 캘빈 순환을 규명하고 화학 생역학 연구소 설립, NASA 협력 등을 통해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 광합성 - 명반응
명반응은 엽록체 틸라코이드 막에서 광계 II와 I을 통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ATP와 NADPH를 합성하고 물을 광분해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합성의 첫 번째 단계이다. - 화학 반응 - 촉매
촉매는 화학 반응에서 자신은 소모되지 않으면서 반응 속도를 변화시키는 물질로,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는 새로운 반응 경로를 제공하여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며, 균일계, 불균일계, 생체 촉매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여러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화학 반응 - 축합 반응
축합 반응은 두 작용기가 결합하며 작은 분자를 생성하고 제거되어 새로운 작용기를 형성하는 화학 반응으로, 중축합이나 탈수 축합으로 응용되며 에스터화, 아미드화, 알돌 축합 반응 등이 대표적이다.
광분해 | |
---|---|
개요 | |
정의 | 화합물이 빛에 의해 분해되는 화학 반응 |
관련 용어 | 광화학 반응, 광분해 |
상세 정보 | |
과정 | 분자가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광자를 흡수하여 더 작고 덜 복잡한 조각으로 분해됨. 흡수된 광자의 에너지는 분자의 화학 결합을 끊기에 충분해야 함. |
영향 요인 | 광자의 파장과 강도, 분자의 화학적 성질, 용매의 존재 여부 |
메커니즘 | 직접 광분해: 분자가 직접 빛을 흡수하여 분해됨. 간접 광분해: 광증감제라는 다른 분자가 빛을 흡수한 후 에너지를 표적 분자에 전달하여 분해를 유도함. |
예시 | 오존층의 오존 분해: 오존(O3)이 자외선에 의해 산소 분자(O2)와 산소 원자로 분해됨. 식물의 광합성: 엽록소가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물 분해를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산소가 생성됨. 사진 필름의 감광 과정: 할로겐화 은 입자가 빛에 노출되어 은 원자로 분해되고, 이 변화가 현상 과정을 통해 이미지로 나타남. 과산화수소(H2O2)의 분해: 자외선 또는 특정 금속 촉매 존재 하에 물과 산소로 분해됨. 염소(Cl2)의 분해: 염소 기체가 빛을 받아 염소 라디칼로 분해되어 다양한 화학 반응에 참여함. |
응용 분야 | 환경 화학: 오염 물질 분해, 수처리 유기 화학: 특정 화합물 합성 대기 화학: 대기 오염 연구 레이저 화학: 레이저를 이용한 화학 반응 제어 |
추가 설명 | 광분해는 분자가 빛을 흡수하여 일어나는 화학 반응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 |
2. 광합성과 광분해
광합성의 명반응 과정에서 광분해가 일어난다. 광분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H2A + 2 광자 → 2e- + 2H+ + A
여기서 생성물 "A"는 광합성을 하는 생물체에 따라 달라진다. 홍색황세균은 황화 수소(H2S)를 황(S)으로 산화시킨다. 물(H2O)이 광분해 기질로 작용하면 산소(O2)가 생성된다. 물의 광분해는 남조류의 틸라코이드나 녹조류 및 식물의 엽록체에서 일어나며, 이 과정을 통해 지구 대기 중에 산소가 순환한다.[4]
2. 1. 에너지 전달 모델
광합성의 명반응에서 일어나는 광분해는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 분자를 분해하고,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전자는 전자 전달 사슬로 전달되어 화학 에너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전형적인 반고전적 모델은 광합성 에너지 전달 과정을 빛을 흡수하는 색소 분자에서 반응 중심 분자로 에너지가 단계별로 이동하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 색소 분자의 빛 흡수:
- 클로로필은 스펙트럼의 보라색-파란색과 빨간색 부분의 빛을 흡수한다.
- 보조 색소는 다른 파장의 빛도 흡수한다.
- 홍조류의 피코빌린은 청록색 빛을 흡수하여 심해에서도 광합성을 할 수 있게 한다.
- 엑시톤 형성: 흡수된 광자는 색소 분자 내에서 엑시톤(더 높은 에너지 상태로 여기된 전자)을 형성한다.
- 에너지 전달: 엑시톤 에너지는 공명 에너지 전달을 통해 반응 중심의 엽록체 분자 (P680)로 전달된다. P680은 적절한 파장의 광자를 직접 흡수할 수도 있다.
- 광분해 반응:
- 광합성 중 광분해는 빛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 반응으로 발생한다.
- P680의 엑시톤은 광합성 전자 전달 사슬의 주요 전자 수용체에 의해 포획되어 광계 II를 빠져나간다.
- 반응 중심의 전자를 보충하기 위해 산소 발생 광합성의 경우 물의 산화가 일어난다.
- 광계 II의 전자 결핍 반응 중심(P680*)은 물 분자를 분해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생물학적 산화제이다.[4]
- 산소 발생 복합체:
- 물 분해 반응은 광계 II의 산소 발생 복합체에 의해 촉매 작용을 받는다.
- 이 복합체는 4개의 망가니즈 이온과 보조 인자로서 칼슘 및 염화물 이온을 포함한다.
- 두 개의 물 분자는 망가니즈 클러스터에 의해 복합체를 형성하고, 광계 II의 반응 중심을 보충하기 위해 4개의 전자 제거(산화)를 겪는다.
- 이 과정에서 자유 산소()가 생성되고, 물 분자의 수소는 틸라코이드 루멘으로 방출되는 4개의 양성자로 변환된다.
- 화학 에너지 생성:
- 틸라코이드 막을 가로지르는 양성자 기울기는 광인산화를 유도하여 아데노신 삼인산(ATP) 형태로 화학 에너지를 생성한다.
- 전자는 광계 I의 P700 반응 중심에 도달하여 빛에 의해 다시 에너지를 얻고, 조효소 및 양성자와 결합하여 NADPH를 형성한다.
- 물 광분해의 순 산화 반응은 다음과 같다.
:
2007년, 그레이엄 플레밍과 그의 연구진은 광합성 에너지 전달이 양자 진동을 포함하여 높은 효율을 갖는다는 양자 모델을 제안했다.[6] 플레밍에 따르면,[7] 전자 양자 간섭성이 에너지 전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에너지 전달의 효율성을 높인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주장은 이후 여러 간행물에서 틀린 것으로 증명되었다.[8][9][10][11][12]
2010년, 토론토 대학교의 그레고리 숄스 연구팀은 일부 해양 조류가 양자 간섭 전자 에너지 전달(EET)을 사용하여 에너지 활용 효율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3][14][15]
3. 대기 중의 광분해
대기 중의 광분해는 탄화수소나 질소 산화물 같은 1차 오염 물질이 과산화 아실 질산염 같은 2차 오염 물질로 전환되는 반응의 일부이다. 자세한 내용은 광화학 스모그 문서를 참고하라.
3. 1. 대류권
대류권에서 일어나는 주요 광분해 현상은 다음 두 가지가 있다.
- O3 + hν → O2 + O(1D) λ < 320 nm
이 반응으로 생성된 발생기산소가 물과 반응하여 하이드록실라디칼을 만들어낸다.
:O(1D) + H2O → 2OH
하이드록실라디칼은 세제로도 작용하며 탄화수소를 산화시키는 물질이므로, 대기화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 NO2 + hν → NO + O
:O2 + O → O3
이 반응은 대류권 오존 오염의 핵심 반응이다.[16]
탄화수소나 질소 산화물 같은 일차적 오염 물질이 질산염 같은 이차적 오염 물질로 전환될 때도 광분해가 일어난다.
3. 2. 성층권 (오존층)
지구의 성층권에 존재하는 오존은 자외선이 산소 분자(O₂)를 두 개의 산소 원자로 분해시키고, 이 산소 원자가 분해되지 않은 산소 분자와 결합하여 생성된다.[17] 또한 염화불화탄소(CFC)가 광분해되어 유리기 염소를 생성, 오존층을 파괴한다.[18]4. 천체물리학
성간 공간에서는 진공 때문에 분자와 자유 라디칼이 오랫동안 남아 있을 수 있는데, 광분해는 이 분자들이 분해되는 주요한 요인이다. 항성이 형성되는 성간 구름의 구성 물질을 연구할 때도 광분해율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성간 물질에서 일어나는 광분해 현상의 예는 다음과 같다(는 광자를 가리킨다).
:
:
5. 감마선 폭발과 광분해
감마선 폭발(GRB)은 우주에서 가장 강력한 폭발 현상 중 하나이다.[19] 궤도 위성을 통해 하루 평균 약 1개의 감마선 폭발이 감지된다.[19] 감마선 폭발은 관측 가능한 우주 대부분을 포함하는 거리, 즉 수십억 개의 은하를 포함하는 부피까지 관측되기 때문에, 은하당 극히 드문 사건임을 알 수 있다.[20]
감마선 폭발의 정확한 발생 빈도를 측정하기는 어렵지만, 우리 은하와 비슷한 크기의 은하에서 예상되는 발생 빈도(장주기 GRB의 경우)는 약 10만 년에서 100만 년에 한 번이다.[20] 이 중 단 몇 퍼센트만이 지구를 향하게 될 것이다. 단주기 GRB의 발생 빈도는 빔 분율을 알 수 없어 더욱 불확실하지만, 아마도 비슷할 것이다.[21]
우리 은하 내에서 감마선 폭발이 발생하여 지구에 충분히 가깝고, 지구를 향해 빔이 쏠린다면 생물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기 중의 방사선 흡수는 질소의 광분해를 일으켜 산화 질소를 생성하고, 이는 오존을 파괴하는 촉매 역할을 할 것이다.[22]
대기 광분해는 다음을 생성한다.
- NO2 (최대 400개의 오존 분자를 소비)
- CH2 (공칭)
- CH4 (공칭)
- CO2
2004년 연구에 따르면, 약 킬로파섹 거리에서 발생한 GRB는 지구 오존층의 최대 절반을 파괴할 수 있으며, 폭발로 인한 직접적인 자외선 조사와 감소된 오존층을 통과하는 추가적인 태양 자외선 복사가 결합되어 먹이 사슬에 잠재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대량 멸종을 유발할 수 있다.[23][24] 연구 저자들은 이러한 폭발이 10억 년에 한 번 발생할 것으로 추정하며,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멸종이 그러한 폭발의 결과였을 수 있다고 가설을 세웠다.
장주기 감마선 폭발이 저금속 환경에서 우선적으로 또는 배타적으로 발생하는 강력한 징후가 있다. 우리 은하는 지구가 형성되기 전부터 금속이 풍부했기 때문에, 이 효과는 지난 10억 년 동안 우리 은하 내에서 장주기 감마선 폭발이 발생했을 가능성을 감소시키거나 심지어 제거할 수 있다.[25] 단주기 감마선 폭발에 대해서는 이러한 금속성 편향이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국부적인 발생 빈도와 빔 특성에 따라, 지질학적 시간의 어느 시점에서 지구에 큰 영향을 미쳤을 수 있는 근접 사건의 가능성은 여전히 상당할 수 있다.[26]
6. 다중 광자 해리
적외선 스펙트럼 범위의 단일 광자는 일반적으로 분자의 직접적인 광분해에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여러 개의 적외선 광자를 흡수한 후 분자는 해리에 대한 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내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다중 광자 해리(MPD; IRMPD)는 이산화 탄소 레이저 또는 자유 전자 레이저와 같은 고출력 레이저를 사용하거나, 충돌과 같이 급속한 냉각 가능성 없이 방사선장과 분자의 긴 상호 작용 시간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후자의 방법은 심지어 흑체 복사에 의해 유도된 MPD, 즉 흑체 적외선 복사 해리(BIRD)도 가능하다.
7. 광유도 양성자 전달
광산은 빛을 흡수하면 양성자 전달을 거쳐 광염기를 형성하는 분자이다.
:
이 반응에서 해리는 전자적으로 들뜬 상태에서 발생한다. 양성자 전달 후 전자 바닥 상태로 완화된 후 양성자와 산은 다시 광산을 형성하기 위해 재결합한다.
광산은 초고속 레이저 분광법 실험에서 pH 변화를 유도하는 편리한 공급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hotochemical reaction - Photosensitization, Light Activation, Photoprodu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5-24
[2]
논문
Virtual Issue on Photodissociation: From Fundamental Dynamics and Spectroscopy to Photochemistry in Planetary Atmospheres and in Space
https://pubs.acs.org[...]
2023-07-20
[3]
웹사이트
Photolysis - Definition and Examples - Biology Online Dictionary
https://www.biologyo[...]
2024-05-24
[4]
서적
Biology
Pearson – Benjamin Cummings
2005
[5]
서적
Biology of Plants
https://archive.org/[...]
W.H. Freeman and Company Publishers
2005
[6]
논문
Evidence for wavelike energy transfer through quantum coherence in photosynthetic systems
https://www.nature.c[...]
2007-04-12
[7]
웹사이트
Quantum secrets of photosynthesis revealed
https://phys.org/new[...]
2007-04-12
[8]
논문
Vibrational Beatings Conceal Evidence of Electronic Coherence in the FMO Light-Harvesting Complex
2014
[9]
논문
Origin of Long-Lived Coherences in Light-Harvesting Complexes
2012
[10]
논문
Exciton Structure and Energy Transfer in the Fenna−Matthews− Olson Complex
https://lup.lub.lu.s[...]
2016
[11]
논문
The role of the environment time scale in light-harvesting efficiency and coherent oscillations
2012
[12]
논문
Influence of weak vibrational-electronic couplings on 2D electronic spectra and inter-site coherence in weakly coupled photosynthetic complexes
2015
[13]
웹사이트
Scholes Group Research
http://www.chem.utor[...]
2010-03-23
[14]
간행물
Quantum-coherent electronic energy transfer: Did Nature think of it first?
2010-01-07
[15]
간행물
Coherently wired light-harvesting in photosynthetic marine algae at ambient temperature
2010-02-04
[16]
논문
Inferring the photolysis rate of NO2 in the stratosphere based on satellite observations
https://acp.copernic[...]
2023-09-20
[17]
웹사이트
How is ozone formed in the atmosphere?
https://csl.noaa.gov[...]
2024-10-19
[18]
웹사이트
Chlorofluorocarbons (CFCs)
https://gml.noaa.gov[...]
2024-10-19
[19]
웹사이트
Gamma-ray Bursts
https://hubblesite.o[...]
2024-10-19
[20]
Citation not found
[21]
Citation not found
[22]
Citation not found
[23]
Citation not found
[24]
Citation not found
[25]
Citation not found
[26]
Citation not fou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