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광화문우체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광화문우체국은 1905년 9월 11일 경성우편국 광화문출장소로 개설되어, 1906년 7월 1일 광화문우편국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명칭 변경과 이전을 거쳐, 현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6에 위치하며 서울지방우정청과 청사를 공유한다. 현재 상명대학교우편취급국 등 다수의 우체국 및 우편취급국을 관할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국립중앙박물관우편취급소 등 여러 우체국 및 우편취급국을 관할했으나 폐국되었다. 조직은 영업과, 우편물류과, 지원과, 보험심사지급과, 경영지도실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 소재의 우체국 - 서울우편집중국
    서울특별시의 우편물을 집중 처리하던 서울우편집중국은 특정 구역의 우편물 취급 기능이 중지되었다.
  • 서울특별시 소재의 우체국 - 서울마포우체국
    서울마포우체국은 서울특별시 마포구에 위치한 우체국으로, 1903년 개국하여 명칭 변경과 이전을 거쳐 현재 마포구 전 지역의 우편물 배달을 담당하며 여러 조직과 관할 우체국 및 우편취급국을 두고 있다.
  • 서울 종로구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금융위원회
    대한민국 금융위원회는 금융 정책, 금융기관 감독, 자본시장 관리, 금융소비자 보호 등을 담당하는 국무총리 소속 중앙행정기관으로, 위원회를 통해 금융 관련 주요 의사결정을 하며 금융정보분석원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있다.
  • 서울 종로구 소재의 관공서 - 우정사업본부
    우정사업본부는 대한민국의 우편, 우체국예금, 우체국보험 등 우정 사업을 관장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중앙행정기관으로, 우편 및 금융 서비스 제공, 조직 형태와 명칭의 시대별 변천, 그리고 다양한 이슈들을 겪어왔다.
광화문우체국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광화문우체국
종류우체국
위치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6
관할 지역서울특별시 종로구 일원
홈페이지광화문우체국 홈페이지
추가 정보
직원(정보 없음)
접수(정보 없음)
배달(정보 없음)
출납(정보 없음)
역사
철거 (1차)광화문 입체 교차로 공사로 인해 철거 (1966년)
기타

2. 연혁

1905년 9월 11일 경성우편국 광화문출장소로 개설되었다가,[2] 1906년 7월 1일 광화문우편국으로 승격되었다.[3] 일제강점기를 거쳐 1950년 1월 15일 광화문우체국으로 개칭되었다.

1967년 7월 12일 옛 청사를 철거하고 현 청사 기공[45], 1970년 11월 16일 현 청사를 완공 및 개청[46]하였으며, 1994년 6월 30일 청사 대수선이 완공되었다.

1971년 6월 1일 정부종합청사 구내우체국 개국[47] 이후, 여러 우체국과 우편취급국이 설치되거나 폐국되었다. 2014년 1월 1일 우편구역 고시를 통해 종로구 전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다.[65]

2. 1. 설립 초기 (1905년 ~ 1945년)

1905년 9월 11일 경성우편국 광화문출장소로 개설되었다.[2] 1906년 6월 30일 경성우편국 광화문출장소는 폐지되었고, 1906년 7월 1일 광화문우편국으로 승격되었다.[3]

이후 일제강점기 동안 경성 지역의 우편 서비스 확장에 따라 여러 변화를 겪었다.

광화문우체국 설립 초기 역사 (1905년 ~ 1945년)
날짜내용
1906년 8월 1일경성동대문통우편수취소 설치[4]
1907년 4월 1일경성동대문통우편소 설치[5]
1910년 1월 21일경성사동우편소 설치[6]
1910년 9월 21일경성종로우편소 설치[7]
1910년 10월 21일경성황교통우편소 설치[8]
1910년 9월 21일경성청엽정우편소 설치[9]
1911년 3월 30일경성사동우편소 이전 및 경성원사정우편소로 명칭 변경[10]
1912년 2월 7일경성청엽정우편소 이전 및 경성고시정우편소로 명칭 변경[11]
1914년 7월 11일경성동대문통우편소를 경성종로3정목우편소로 명칭 변경[12], 경성종로5정목우편소 설치[13]
1914년 8월 1일경성원사정우편소 이전 및 경성관훈동우편소로 명칭 변경, 경성황교통우편소 이전 및 경성원남동우편소로 명칭 변경[14]
1914년 8월 26일경성통의동우편소 설치[15]
1915년 9월 11일 ~ 10월 31일조선물산공진회우편국 임시 설치[16]
1916년 12월 26일경성고시정우편소를 강기전으로 이전[17]
1917년 9월 16일경성종로우편소를 남대문통으로 이전[18]
1920년 7월 14일경성종로우편소를 견지동으로 이전[19]
1922년 8월 1일경성종로우편소를 종로1정목으로 이전[20]
1922년 12월 1일경성종로우편소를 남대문통1정목으로 이전[21]
1924년 5월 1일경성종로우편소를 공평동으로 이전[22]
1925년 12월 1일경성고시정우편소를 경성강기전우편소로, 경성종로3정목우편소를 경성종로3우편소로 명칭 변경[23]
1927년 10월 1일경성종로우편소를 종로2정목으로 이전[24]
1929년 9월 7일 ~ 11월 5일조선박람회우편국 임시 설치[25]
1929년 9월 11일경성관훈동우편소 이전 및 경성안국우편소로 명칭 변경[26]
1931년 7월 6일경성안국우편소를 관훈동으로 이전[27]
1931년 8월 16일경성종로우편소를 공평동으로 이전[28]
1932년 2월 21일경성종로2우편소 설치[29]
1932년 3월 26일경성혜화동우편소 설치[30]
1932년 4월 10일경성통의동우편소를 적성동으로 잠시 이전[31]
1932년 7월 10일경성통의동우편소를 통의동으로 이전[32]
1933년 8월 15일경성안국우편소를 송현동으로 이전[33]
1936년 4월 1일경성원남동우편소를 경성원남정우편소로, 경성통의동우편소를 경성통의정우편소로, 경성혜화동우편소를 경성혜화정우편소로 명칭 변경[34]
1939년 2월 1일경성효자정우편소 설치[35]
1939년 3월 1일경성창덕궁전우편소 설치[36]
1941년 2월 1일경성강기전우편소를 경성강기전우편국으로, 경성창덕궁전우편소를 경성창덕궁전우편국으로, 경성효자정우편소를 경성효자정우편국으로, 경성안국우편소를 경성안국우편국으로, 경성원남정우편소를 경성원남정우편국으로, 경성종로우편소를 경성종로우편국으로, 경성종로2우편소를 경성종로2우편국으로, 경성종로3우편소를 경성종로3우편국으로, 경성종로5정목우편소를 경성종로5우편국으로, 경성통의정우편소를 경성통의정우편국으로, 경성혜화정우편소를 경성혜화정우편국으로 명칭 변경[37]
1943년 12월 1일경성제국대학병원내우편국 설치[38]


2. 2. 광복 이후 (1945년 ~ 현재)

1950년 1월 15일 광화문우체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 한국 전쟁 중에는 서울안국우체국, 서울원남동우체국, 서울종로우체국, 서울종로3우체국, 서울종로5우체국, 서울혜화동우체국이 일반사무취급을 중지하기도 했다.[39] 이후 서울원남동우체국(1954년),[40] 서울혜화동우체국(1954년),[41] 서울안국동우체국(1955년),[42] 서울종로5가우체국(1961년)[43]이 차례로 사무를 재개하였다.

1967년 7월 12일 옛 청사를 철거하고 현 청사 공사를 시작하여,[45] 1970년 11월 16일 현 청사를 완공하고 개청하였다.[46] 1994년 6월 30일에는 청사 대수선을 완공하였다.

1971년 정부종합청사 구내우체국을 시작으로[47] 산하에 여러 우체국과 우편취급국이 설치되었다. 1980년대에는 교보빌딩,[48] 한국방송통신대학교,[49] 상명여자대학,[50] 서울대학교병원, 성균관대학교 분국 등이 신설되었다. 1987년에는 이들 분국이 각각 서울교보빌딩우체국(이후 통신센타우체국, 1993년),[57] 한국방송통신대학우체국(2018년 폐국),[70] 서울상명여자대학교우체국(이후 상명대학교우체국, 2014년 폐국),[66] 서울대학교병원우체국(2020년 폐국),[71] 서울성균관대학교우체국(이후 성균관대학교우체국, 2014년 폐국)[66]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도 서울삼청동우체국(1992년),[56] 서울관훈동우편취급소(1994년), 서울창신2동우편취급소(1994년), 서울홍파동우편취급소(1996년),[58] 서울종로6가우편취급소(1997년),[59] 서울창신1동우편취급소(1999년)[61] 등이 개국하였다. 정부종합청사구내우체국은 1998년 정부세종로청사우체국,[60] 1999년 정부중앙청사우체국,[62] 2013년 정부서울청사우체국으로[64]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2020년 폐국되었다.[71]

2014년 1월 1일 우편구역 고시를 통해 종로구 전 지역을 관할하게 되었다.[65]

배달국배달구역구역번호
광화문우체국종로구 전지역03000 ~ 03198



2010년대 이후 서울석탄회관우편취급국(2011년),[63] 서울원남동우체국(2015년),[67] 서울사직동우편취급국(2017년),[68] 우정총국출장소(2017년)[69] 등이 폐국되었다.

3. 관할 우체국 및 우편취급국

광화문우체국은 관할 우체국 및 우편취급국으로 현존하는 기관과 폐국된 기관을 두고 있다.

광화문우체국 관할 현존 기관
우체국명사진주소비고
상명대학교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문2길 20 (홍지동)2014년 7월 7일 신설
서울관훈동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삼봉로 81 (수송동)
서울내수동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3길 30 (내수동)
서울대학교병원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연건동)2020년 9월 14일 신설
서울삼청동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09 (삼청동)1992년 3월 30일 신설
서울세검정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세검정로 258 (신영동)1986년 12월 1일 신설
서울숭인동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88 (숭인동)
서울안국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49 (안국동)
서울종로2가우체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8 (종로2가)
서울종로5가우체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207-1 (종로5가)
서울종로6가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1길 36 (종로6가)1997년 11월 10일 신설, 2021년 5월 10일 이전
서울창신1동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328 (창신동)1999년 7월 1일 신설
서울창신2동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산길 196 (창신동)1994년 12월 15일 신설
서울통의동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30 (통의동)
서울혜화동우체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로 1 (혜화동)
서울홍파동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길 99, 상가동 1층 2145호 (홍파동, 경희궁자이2단지)
성균관대학교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명륜3가)2014년 7월 7일 신설
정부서울청사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세종로)2020년 9월 14일 신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86 (동숭동)



광화문우체국 관할 폐국 기관
우체국명주소비고
국립중앙박물관우편취급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조선총독부 청사에 위치
상명대학교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문2길 20 (홍지동)2014년 7월 4일 폐국
서울대학교병원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연건동)2020년 9월 11일 폐국
서울사직동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73 (사직동)1989년 1월 20일 신설, 2017년 6월 30일 폐국
서울원남동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60 (원남동)2015년 12월 4일 폐국
성균관대학교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명륜3가)2014년 7월 4일 폐국
우정총국출장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59 (견지동)2017년 9월 13일 폐국
정부서울청사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세종로)2013년 1월 15일 정부중앙청사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2020년 9월 11일 폐국
한국방송통신대학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86 (동숭동)2018년 7월 31일 폐국


3. 1. 현존 관할 기관

우체국명사진주소비고
상명대학교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문2길 20 (홍지동)2014년 7월 7일 신설
서울관훈동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삼봉로 81 (수송동)
서울내수동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3길 30 (내수동)
서울대학교병원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연건동)2020년 9월 14일 신설
서울삼청동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09 (삼청동)1992년 3월 30일 신설
서울세검정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세검정로 258 (신영동)1986년 12월 1일 신설
서울숭인동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88 (숭인동)
서울안국동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49 (안국동)
서울종로2가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8 (종로2가)
서울종로5가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207-1 (종로5가)
서울종로6가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1길 36 (종로6가)1997년 11월 10일 신설
2021년 5월 10일 이전
서울창신1동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328 (창신동)1999년 7월 1일 신설
서울창신2동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낙산길 196 (창신동)1994년 12월 15일 신설
서울통의동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30 (통의동)
서울혜화동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로 1 (혜화동)
서울홍파동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송월길 99, 상가동 1층 2145호 (홍파동, 경희궁자이2단지)
성균관대학교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명륜3가)2014년 7월 7일 신설
정부서울청사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세종로)2020년 9월 14일 신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86 (동숭동)


3. 2. 폐국된 관할 기관

우체국명주소비고
국립중앙박물관우편취급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조선총독부 청사에 위치
상명대학교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문2길 20 (홍지동)2014년 7월 4일 폐국
서울대학교병원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연건동)2020년 9월 11일 폐국
서울사직동우편취급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73 (사직동)1989년 1월 20일 신설, 2017년 6월 30일 폐국
서울원남동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60 (원남동)2015년 12월 4일 폐국
성균관대학교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 (명륜3가)2014년 7월 4일 폐국
우정총국출장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59 (견지동)2017년 9월 13일 폐국
정부서울청사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209 (세종로)2013년 1월 15일 정부중앙청사우체국에서 명칭 변경, 2020년 9월 11일 폐국
한국방송통신대학우체국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86 (동숭동)2018년 7월 31일 폐국


4. 조직

과/실하부 조직주요 업무
영업과우편영업실우편 서비스 제공
금융영업실금융 서비스 제공
우편물류과물류실우편물 처리 및 관리
소포실소포 서비스 제공
집배실우편물 배달
특수발착사서함특수 사서함 관리
지원과행정 지원
보험심사지급과보험 심사 및 지급
경영지도실경영 지도


5. 기본 정보

광화문우체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6 (서울지방우정청과 청사 공유)에 위치해 있으며, 우편번호는 03187이다.

참조

[1] 뉴스 새 서울의 청사진 (12) 광화문 입체 교차로 신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6-03-15
[2]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3260호 1905-10-03
[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統告37 1906-06-03
[4]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統告62 1906-07
[5]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統告30 1907-03-03
[6]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統告5 1910-01-15
[7]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統告212 1910-09-19
[8]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7 1910-10-12
[9]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統告212 1910-09-19
[10]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80 1911-03-25
[11]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30 1912-02-07
[12]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52 1914-07-03
[1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51 1914-07-03
[14]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73 1914-07-18
[15]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328 1914-08-19
[16]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14 1915-09-06
[17]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337 1916-12-25
[18]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91 1917-08-27
[19]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92 1920-07-14
[20]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90 1922-07-31
[21]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52 1922-11-24
[22]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94 1924-04-30
[2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303 1925-11-07
[24]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97 1927-09-16
[25]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98 1929-08-29
[26]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324 1929-09-10
[27]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344 1931-07-03
[28]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402 1931-08-14
[29]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66 1932-02-18
[30]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35 1932-03-23
[31]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71 1932-03-30
[32]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350 1932-07-05
[33]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381 1933-08-14
[34]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09 1936-03-30
[35]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59 1939-01-30
[36]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41 1939-02-25
[37]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09 1941-01-31
[38]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371 1943-11-27
[39] 간행물 체신부공고 제61호 1951-11-24
[40] 간행물 체신부고시 제109호 1954-01-25
[41] 간행물 체신부고시 제339호 1954-09-04
[42] 간행물 체신부고시 제433호 1955-05-21
[43] 간행물 체신부고시 제1664호 1961-12-06
[44] 간행물 체신부고시 제2339호 1965-12-20
[45] 뉴스 광화문 우체국 기공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67-07-12
[46] 뉴스 광화문우체국 새 청사로 이전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70-11-13
[47] 간행물 체신부령 제457호 1971-06-01
[48] 간행물 서울지방체신청공고 제430호 1981-09-07
[49] 간행물 서울지방체신청공고 제507호 1983-06-03
[50] 간행물 서울지방체신청공고 제603호 1984-09-27
[51] 간행물 서울지방체신청공고 제608호 1984-10-10
[52] 간행물 서울지방체신청공고 제761호 1986-12-01
[53] 간행물 광화문우체국공고 제1호 1987-12-17
[54] 간행물 광화문우체국공고 제2호 1987-12-24
[55] 간행물 체신부고시 제147호 1988-01-04
[56] 간행물 체신부고시 제1992-23호 1992-03-30
[57] 간행물 체신부고시 제1993-109호 1993-12-20
[58] 간행물 서울지방체신청고시 제1996-30호 1996-12-02
[59] 간행물 서울지방체신청고시 제1997-47호 1997-11-10
[60] 간행물 정보통신부고시 제1998-17호 1998-02-16
[61] 간행물 서울지방체신청고시 제1999-17호 1999-06-24
[62] 간행물 정보통신부고시 제1999-71호 1999-09-02
[63] 간행물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1-2호 2011-08-01
[64] 간행물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2-12호 http://gwanbo.mois.g[...] 2013-01-03
[65] 간행물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3-7호 http://gwanbo.mois.g[...] 2013-12-26
[66] 간행물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4-6호 http://gwanbo.mois.g[...] 2014-05-30
[67] 간행물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5-4호 http://gwanbo.mois.g[...] 2015-10-14
[68] 간행물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7-7호 http://gwanbo.mois.g[...] 2017-06-02
[69] 간행물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7-19호 http://gwanbo.mois.g[...] 2017-09-13
[70] 간행물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18-9호 http://gwanbo.mois.g[...] 2018-07-20
[71] 간행물 서울지방우정청공고 제2020-76호 2020-06-12
[72] 간행물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20-8호 http://gwanbo.mois.g[...] 2020-08-24
[73] 간행물 서울지방우정청고시 제2021-5호 https://gwanbo.go.kr[...] 2021-05-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