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 화양구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괴산 화양구곡은 조선 시대 학자 송시열이 머물렀던 화양동 계곡의 아홉 절경을 이르는 말이다. 각 구곡은 경천벽, 운영담, 읍궁암, 금사담, 첨성대, 능운대, 와룡암, 학소대, 파곶으로 불리며,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 송시열 사후 그의 제자 권상하가 구곡을 설정하고 민진원이 각자한 것으로 전해진다. 화양구곡은 속리산국립공원 내 화양천을 따라 위치하며, 암서재, 송시열의 필적, 화양서원 터 등 역사적 유적을 포함한다. 1994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가, 1999년 괴산 송시열 유적에 포함되어 지정 해제되었고, 2014년 명승 제110호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북도의 계곡 - 용하구곡
- 괴산군의 문화유산 - 괴산 홍범식 고가
괴산 홍범식 고가는 조선 후기에 건축된 중부 지방 양반 가옥으로, 금산군수를 지낸 홍범식 선생이 성장하고 홍명희의 생가이며, 3·1 운동 당시 독립만세운동을 꾀했던 역사적인 장소로, 현재는 충청북도 민속문화재로 지역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괴산군의 문화유산 - 괴산 미륵산성
괴산 미륵산성은 충청북도 괴산군에 있는 산성으로, 고려 시대에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자연석을 사용한 성벽과 건물터 등이 남아 있고 고려 후기에서 조선 시대로 이어지는 축조 기술의 변모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 충청북도의 명승 - 속리산
속리산은 충청북도 보은군과 경상북도 상주시에 걸쳐있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산으로, 문장대, 천왕봉을 포함한 봉우리들, 법주사를 비롯한 사찰들, 정이품송 등의 명승지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국립공원이다. - 충청북도의 명승 - 법주사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때 창건되어 고려 시대에 번성하고 조선 시대에 재건되었으며, 국보와 사적을 보유하고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찰이다.
괴산 화양구곡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괴산 화양구곡 |
![]() | |
유형 | 명승 |
지정 번호 | 110 |
지정일 | 2014년 8월 28일 |
주소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 456 |
면적 | 30,282m2 |
2. 화양구곡의 절경
화양구곡은 속리산국립공원 내 화양천을 따라 3km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하류의 제1곡 경천벽부터 상류의 제9곡 파곶까지 각기 다른 아름다움을 지닌 절경들이 보존되어 있다.[1]
이 구곡은 우암 송시열이 머물렀던 화양계곡에 그의 사후 제자인 수암 권상하가 설정하였고, 이후 단암 민진원이 각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 1. 제1곡 경천벽(擎天壁)
화강암으로 된 바위산이 가파르게 솟아 있어, 그 모습이 마치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듯하다 하여 경천벽이라 이름 붙여졌다.2. 2. 제2곡 운영담(雲影潭)
해당 섹션은 괴산 화양구곡의 제2곡인 운영담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2. 3. 제3곡 읍궁암(泣弓巖)
화양구곡의 제3곡은 읍궁암(泣弓巖)이다.2. 4. 제4곡 금사담(金沙潭)
화양구곡의 제4곡은 금사담(金沙潭)이다.2. 5. 제5곡 첨성대(瞻星臺)
첨성대는 큰 바위가 층층이 쌓여 있는 모양으로, 우뚝 솟은 모양이 별을 관측하기에 알맞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2. 6. 제6곡 능운대(凌雲臺)
능운대(凌雲臺)는 구름을 찌를 듯이 높이 솟은 바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2. 7. 제7곡 와룡암(臥龍巖)
괴산 화양구곡의 제7곡이다. 용이 누워 꿈틀거리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2. 8. 제8곡 학소대(鶴巢臺)
괴산 화양구곡의 제8곡은 학소대이다.2. 9. 제9곡 파곶(巴串)
괴산 화양구곡의 마지막 절경이다. 흰 바위가 겹겹이 쌓여 물결치는 듯하고, 그 위로 흐르는 물살도 구불구불 돌아 흐른다 하여 파곶이라 불린다.3. 역사적 배경과 인물
화양구곡은 속리산국립공원 내 화양천을 따라 3km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제1곡 경천벽부터 제9곡 파곶까지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한다.[1]
이곳은 우암 송시열이 은거하며 학문을 닦던 곳으로, 그의 사후 제자인 수암 권상하가 화양구곡을 설정하고, 단암 민진원이 각자한 것으로 전해진다.[1]
3. 1. 암서재(巖棲齋)
암서재(巖棲齋)는 조선 후기의 대학자인 우암(尤庵) 송시열(1607∼1689)이 정계를 은퇴하고 은거하며 학문을 닦고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다. 화양구곡 제4곡 금사담(金沙潭) 물가의 큰 바위 위에 자리 잡고 있다.암서재는 대지 약 65m2 정도의 목조 기와 건물로, 방 2칸과 마루 1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방 안에는 현판 5점이 걸려 있고, 앞에는 바위 사이에 일각문이 세워져 있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 후손들이 수리하였고, 1970년에 보수하여 현재에 이른다. 암서재기(岩棲齋記)에 '우암선생어병오년간축정사어계남(尤庵先生於丙午年間築精舍於溪南)'이라고 씌어 있는 것으로 보아 1666년(현종 7) 8월에 암서재를 짓고 이곳에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암서재기의 글씨는 문인 권상하가 썼다. 화양구곡 곳곳에는 지금도 <비례부동(非禮不動)> 등 송시열의 필적이 많이 남아 있으며, 화양서원 터도 이곳에 있다.
암서재는 1994년 1월 7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75호로 지정되었다가, 1999년 12월 29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17호 '괴산 송시열 유적'에 포함되면서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지정이 해제되었다. 2014년 8월 28일 대한민국의 명승 제110호 '괴산 화양구곡'에 포함되면서 사적 '괴산 송시열 유적'의 보호구역에서 제외되었다.[1]
4. 문화재 지정
암서재는 1994년 1월 7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제175호로 지정되었다가, 1999년 12월 29일 사적 제417호 '괴산 송시열 유적'에 포함됨에 따라 충청북도의 유형문화재 지정이 해제되었다.[1] 이후 2014년 8월 28일 명승 제110호 '괴산 화양구곡'에 포함되면서 사적 '괴산 송시열 유적'의 보호구역에서 제외되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