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상나무는 한국 고유종으로, 한라산, 덕유산, 지리산 등 남부 지방의 높은 산에서 자라는 상록 침엽수이다. 키는 10~18m까지 자라며, 잎은 바늘 모양으로 윗면은 짙은 녹색, 아랫면에는 흰색 기공 띠가 있다. 5~6월에 꽃이 피고, 9월에 원통 모양의 솔방울 열매가 열린다. 구상나무는 관상수로 재배되며, 크리스마스 트리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고유종 식물 - 섬초롱꽃
섬초롱꽃은 대한민국 울릉도 바닷가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8월에 연한 자줏빛 꽃이 피며, 햇볕이 잘 드는 척박한 토양에서 주로 자란다. - 전나무속 - 분비나무
분비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수이며, 더불어민주당의 이상적인 가치를 상징하는 나무로 여겨지기도 한다. - 전나무속 - 유럽전나무
유럽전나무(Abies alba)는 유럽 남부에서 중부, 서부의 산악 지대에 분포하는 키가 큰 상록 침엽수로, 건축, 가구, 제지 등에 사용되는 목재를 제공하며 항산화 폴리페놀이 풍부한 껍질과 목재를 가지고 있다. - 1920년 기재된 식물 - 산타래난초속
산타래난초속은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산타래난초와 G. orchioides 등이 속하는 난초 속이다. - 1920년 기재된 식물 - 매생이
매생이는 청정 지역에서 자라는 해조류로, 전라남도 해안 지방에서 식재료로 활용되기 시작하여 철분, 칼슘, 요오드 등 영양소가 풍부하며 매생이국 등으로 요리되고 대한민국 완도군 고금면이 주요 생산지이다.
| 구상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Abies koreana |
| 명명자 | E.H. Wilson (1920) |
| 한국어 | 구상나무 |
| 로마자 표기 | Gusangnamu |
| 분포 고도 | 1,000 |
| 생물 분류 | |
| 계 | 식물계 |
| 문 | 구과식물문 |
| 강 | 구과식물강 |
| 목 | 구과목 |
| 과 | 소나무과 |
| 아과 | 전나무아과 |
| 속 | 전나무속 |
| 종 | 구상나무 |
| 보전 상태 | |
| IUCN | EN |
| 참고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31244/9618913 |
| 대한민국 환경부 | 멸종위기 야생생물 관찰종 |
| 참고 | https://species.nibr.go.kr/endangeredspecies/rehome/exlist/exlist.jsp?1=1&1=1&sch_gbn=wc&middle=3&minor=2&page_count=1 |
2. 특징 및 생태
구상나무는 한라산, 덕유산, 지리산과 같이 남부 지방의 높은 산에 사는 한국고유종이다. 늘푸른 바늘잎나무로 키는 10m~18m이며 수관폭은 7m~8m이다. 작은 가지는 황색이지만 털이 없어지면서 갈색이 돈다. 겨울눈은 달걀 모양의 둥근 모습이며, 털이 없고 송진이 약간 묻어있다.
상록 구과식물 침엽수인 구상나무는 원줄기 지름이 최대 0.7m까지 자란다. 수관에서는 더 작고 때로는 관목 형태를 보인다. 줄기는 처음에는 녹회색을 띠다가 분홍빛이 도는 회색으로 성숙하며, 드문드문 섬세한 털이 있다. 나무껍질은 표면이 거칠고 회갈색이다.
2. 1. 잎
가지나 줄기에 돌려나기로 돋아나며 잎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다. 1년생 이상의 가지에 나는 바늘잎은 길이 9~14mm, 폭 2.1~2.4mm (어린가지에 돋는 잎은 길이 18~20mm, 폭 1.8mm)로, 끝이 살짝 갈라져 오목하게 패고 뒷면에 흰색 숨구멍줄 2개가 있다. 잎 표면은 암록색이고 뒷면은 은백색이다.[12] 잎은 바늘 모양으로 편평하며, 길이 1cm~2cm, 폭 2mm~2.5mm, 두께 0.5mm이며, 윗면은 광택이 나는 짙은 녹색이고, 아랫면에는 두 개의 넓고 선명한 흰색 기공 띠가 있으며, 잎 끝은 약간 오목하다. 잎의 배열은 줄기에서 나선형을 이루지만, 각 잎은 기부에서 가변적으로 비틀려 대부분 줄기의 양쪽과 위에 놓이며, 줄기 아래에는 더 적게 위치한다.2. 2. 꽃과 열매
암수한그루로 5~6월에 꽃이 핀다. 수구화수는 길이 1cm의 타원형으로 5~10개의 황갈색 꽃이 피고, 암구화수는 길이 1.8cm로 수구화수보다 조금 더 길며 짙은 자줏빛을 띤다.[12] 9월에 녹갈색 또는 자갈색의 원통 모양 솔방울 열매가 하늘을 향해 곧게 선다.[12] 열매는 구과로 원통형이며 길이 4cm~7cm, 지름 1.5cm~2cm이다. 실편은 길이 9mm, 폭 18mm이고 포편의 바늘 모양 돌기가 뒤로 넘어가 있다. 씨앗은 달걀 모양으로 길이는 약 6mm이고 날개의 폭은 약 4.5mm이다.[12] 비늘 포는 길고 녹색 또는 황색이며, 닫힌 원뿔 안의 비늘 사이에서 나타난다. 날개가 달린 종자는 수분 후 약 5~6개월 후에 원뿔이 성숙하여 부서질 때 방출된다.2. 3. 수피
어린 가지는 황색이지만 털이 없어지면서 갈색이 된다. 나이 든 나무의 나무껍질은 표면이 거칠고 회갈색이며, 수피는 매끄럽고 수지 물집이 있다.[12]3. 분포
한국 고유종으로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등 남부 지방의 높은 산에 분포한다. 특히 한라산에 가장 큰 군락지가 있다.[12] 제주도 한라산은 야생 구상나무의 가장 큰 군락지이다.[6]
4. 유사종
구상나무는 분비나무와 아주 비슷한데, 분비나무의 솔방울이 끝이 다소 뾰족한 원통형이고 약간 노출된 포린이 젖혀지지 않는데 비해, 구상나무 솔방울은 계란형이고 끝이 둔하며 노출된 포린이 젖혀지는 것으로 이 두 종을 구별할 수 있다.
다른 품종으로 솔방울 열매가 연녹색인 푸른구상나무, 붉은 빛깔인 붉은구상나무, 검은 자주빛인 검은구상나무가 있다.
5. 발견 및 학명
1907년 프랑스 신부 포리가 한라산에서 구상나무 표본을 채집하여 미국 하버드대 아널드 식물원의 윌슨에게 제공하였다.[13] 윌슨은 포리가 준 표본을 보고 분비나무와 다른 종이라고 생각하여 1917년에 직접 제주도를 방문하였다. 그는 타케와 일본인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과 함께 한라산에 올라 구상나무를 채집하였다. 윌슨은 연구 끝에 1920년 구상나무가 신종임을 발표하였다. 윌슨은 제주도 방언인 "쿠살낭"(성게, 나무)을 참고하여 구상나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13] 한편, 나카이 다케노신은 구상나무를 분비나무와 구별하지 못해 신종 명명자가 되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했다.[14]
6. 재배 및 이용
구상나무는 온대 기후의 공원과 정원에서 잎뿐만 아니라 키가 1m에서 2m에 불과한 어린 나무에서도 풍성한 원뿔을 생산하여 매우 인기 있는 관상 식물로 재배된다. 다음 품종들은 왕립 원예 협회의 가든 메리트 상을 수상했다.[2][3][4][5]
- ''구상나무'' (≥ 12 m)
- ''구상나무'' 'Cis' (0.5–1 m)
- ''구상나무'' 'Kohout's Ice Breaker' (0.5–1 m)
- ''구상나무'' 'Silberlocke' (2.5–4 m)
구상나무는 크리스마스 트리로도 사용된다.[7][8]
참조
[1]
간행물
"''Abies koreana''"
2011
[2]
웹사이트
"''A. koreana''"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7-12-20
[3]
웹사이트
"''A. koreana'' 'Cis'"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7-12-20
[4]
웹사이트
"''A. koreana'' 'Kohout's Ice Breaker'"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7-12-20
[5]
웹사이트
"''A. koreana'' 'Silberlocke'"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7-12-20
[6]
뉴스
Climate troubles loom for South Korea’s ‘Christmas Tree Island’
https://www.national[...]
2020-12-24
[7]
뉴스
Korean Fir Popular as Christmas Tree
https://www.koreatim[...]
2009-12-24
[8]
웹사이트
Real Christmas trees: Which one is right for you?
https://www.canr.msu[...]
2023-11-06
[9]
간행물
2021-11-20
[10]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1]
url
https://species.nibr[...]
[12]
웹인용
구상나무
https://klta.or.kr/m[...]
2024-12-12
[13]
서적
[14]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