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제물포구락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물포구락부는 1901년 6월 22일 개관한 인천의 근대 건축물로,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제물포에 거주하던 외국인들의 사교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러시아 건축가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이 설계한 2층 벽돌 건물로, 사교실, 도서실, 당구대 등의 시설을 갖추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재향군인연합회 사무실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광복 후에는 미군 장교 클럽, 한국 전쟁 중에는 대대본부로 사용되기도 했다. 1946년 인천시립박물관으로 개관했으나, 한국 전쟁 중 피해를 입었다. 2007년 리모델링을 거쳐 현재는 스토리텔링 박물관 및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 교동향교
    교동향교는 고려 시대에 창건되어 조선 시대를 거쳐 이건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향교 중 하나로, 강학 공간과 제향 공간을 갖춘 건축 체계를 유지하며 향토관 및 충효교육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유형문화재 - 강화향교
    강화향교는 고려 인종 5년에 건립되어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을 교육하는 국립교육기관이었으며, 여러 차례 이전을 거쳐 현재 위치에 자리 잡고 제사 기능만 수행하고 있다.
  • 인천 중구의 건축물 - 영종하늘도서관
    영종하늘도서관은 2015년 7월 10일 개관한 인천광역시 소재 도서관으로, 미추홀도서관 분관에서 시작하여 한국주택공사로부터 시설물 인수인계 후 정식 개관하였으며, 이후 운영을 확대해왔다.
  • 인천 중구의 건축물 - 답동성당
    답동성당은 1897년 건립되어 1937년 증축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근대 건축물 중 하나로, 벽돌조 고딕 양식이며 프랑스 선교사 코스트 신부의 설계로 시작되어 P. 시잘레 신부에 의해 증축되었고, 지역사회 기여로 1980년 사적 제287호로 지정되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구제물포구락부
기본 정보
제물포구락부
제물포구락부
이름제물포구락부
한자 표기濟物浦俱樂部
지정 번호17
지정 연월일1993년 7월 6일
소재지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 1가 11-1외 1필지
소유자인천광역시
제작 시기대한제국

2. 역사

1876년 강화도 조약으로 제물포가 개항된 후, 조선은 미국, 청나라 등과 수호조약을 맺고 제물포 무역을 허용하였다. 이후 조계 조약이 체결되면서 각국 조계에 외국인들이 거주하게 되었고, 이들은 공동의 이익을 위해 자치기구인 신동공사(紳董公司·Municipal Council)를 설립하고 사교 목적의 클럽을 짓기로 합의하였다. 1901년 6월 22일 러시아 건축가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이 설계한 제물포구락부가 문을 열었다. '구락부'는 영어 '클럽(club)'의 일본식 발음을 한자로 옮긴 것이다.[5]

1892년에 발간된 《인천사정》에 따르면, 제물포구락부에는 문화적인 오락기구가 갖추어져 있어 인천 신사들의 유일한 오락장소로 손색이 없었다고 한다. 회원은 서양인 6명, 중국인 4명, 일본인 24명이었다.[6]

1914년 조선총독부는 지방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조계를 철폐하였고, 제물포구락부는 일본재향군인연합회, 일본부인회 등에서 사용하였다.[5] 1945년 광복 이후에는 미군 장교 클럽, 한국 전쟁 중에는 인민군 대대본부 등으로 사용되었다.[8][5] 1946년 인천시립박물관으로 재개장하였으나, 인천 상륙작전 중 포격으로 건물이 파손되어 박물관 기능을 완전히 회복하지는 못했다.[11][12] 1990년 시립박물관 이전 후 자료실로 운영되다가 2007년 리모델링을 거쳐 스토리텔링 박물관으로 활용되었다.[13] 2019년 12월부터는 문화재형 예비사회적기업이 복합문화공간으로 운영하고 있다.

2. 1. 조계지 설립과 제물포

1876년 강화도 조약에 의해 제물포가 개항되었다. 개항 당시 제물포의 무역은 일본이 독점하고 있었으나, 1882년 조선은 미국, 청나라 등과 수호조약을 맺고 이들에게도 제물포의 무역을 허용하였다. 이후 1883년부터 1884년 사이 인천구조계조약[1], 인천구화상지계장정[2], 인천제물포각국조계장정[3]을 맺어 조계 설치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제물포 조계지는 조선 최초의 근대적인 계획 도시 가운데 하나로 정비되었다.[4]

조계 조약 체결 이후 각국 조계에는 여러 나라에서 온 외국인들이 거주하게 되었다. 제물포구락부 개항 당시 제물포 개항장 인구는 총 17,507명이었고, 그 가운데 서양인들은 75명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은 대개 외교관, 세관 직원, 통역사, 선교사, 상인 등으로 영향력이 큰 유력 인사들이었다.[7]

2. 2. 제물포구락부 설립

1876년 강화도 조약으로 제물포가 개항된 후, 1882년 조선은 미국, 청나라 등과 수호조약을 맺어 제물포 무역을 허용하였다. 1883년부터 1884년 사이에는 인천구조계조약(仁川口租界條約)[1], 인천구화상지계장정(仁川口華商地界章程)[2], 인천제물포각국조계장정(仁川濟物浦各國租界章程)[3] 등 각종 조계 조약이 체결되어 조계 설치의 근거가 마련되었다. 제물포 조계지는 조선 최초의 근대적인 계획 도시 가운데 하나로 정비되었다.[4]

조계 조약 체결 후, 각국 조계에는 여러 나라 출신 외국인들이 거주하였다. 이들은 공동 이익을 위해 자치기구인 신동공사(紳董公司·Municipal Council)를 설립하고, 사교 목적의 클럽을 짓기로 합의했다. 이 클럽이 바로 제물포구락부이며, '구락부'는 영어 '클럽(club)'의 일본식 발음을 한자로 옮긴 것이다.[5]

제물포구락부가 문을 열 당시, 각국조계(약 14만 평) 내 서양인은 제물포 개항장 전체 인구 17,507명 중 75명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들은 주로 외교관, 세관 직원, 통역사, 선교사, 상인 등 영향력 있는 유력 인사들이었다.[7] 1901년 6월 22일, 러시아 건축가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이 설계한 제물포구락부가 문을 열었다. 양철 지붕을 덮은 벽돌식 2층 건물로, 내부에는 바와 테이블 등을 갖춘 사교실, 도서실, 당구대 등이 있었고, 실외에는 테니스 코트가 마련되었다.[5] 개장식에서는 호러스 뉴턴 알렌의 부인 프랜치스 앤 알랜이 은열쇠로 문을 열었고, 영국 공사 허버트 고페가 연설하였다.[7]

2. 3. 일제강점기와 제물포구락부

1914년 조선총독부는 지방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기존의 모든 조계를 철폐하였다. 인천의 조계는 모두 인천부(仁川府)에 편입되었다.[9] 조계가 철폐되자 상당수의 외국인이 떠났고, 제물포구락부는 정방각(精芳閣)이라는 이름으로 일본재향군인연합회 사무실로 사용되다가, 1934년부터는 일본부인회에서 사용하였다.[5]

2. 4. 광복 이후 ~ 현재

1945년 광복 이후 제물포구락부는 미군 장교 클럽으로 사용되었고,[8] 한국 전쟁 초기 인민군이 점령하였을 때에는 대대본부로 사용하기도 하였다.[5] 1946년 4월 1일 인천시립박물관으로 재개장하였다.[11] 그러나 1950년 9월 15일 인천 상륙작전 와중에 포격을 맞아 건물의 상당수가 불탔다. 1953년 전쟁 후 다시 박물관이 개장되었으나 유물 파손이 심해 시립박물관으로서의 기능을 다 회복하지는 못하였다.[12] 1990년 인천시립박물관이 현 위치로 이전한 뒤 한동안 자료실로 운영되었다.[11]

오랜 세월 여러 차례 건물 용도가 바뀌면서 내부 구조 역시 바뀌었다. 1950년대의 사진에는 출입구가 건물의 정면과 우측에 보이지만 현재의 출입구는 좌측에 있다.[10]

2007년 6월 리모델링을 거쳐 외국인 사교와 인천의 개항을 이야기로 풀어나가는 스토리텔링 박물관으로 활용되었으며,[13] 2019년 12월 인천시의 문화재활용정책 1호 사업으로 추진되어 2020년 6월 현재 문화재형 예비사회적기업 카툰캠퍼스가 미래세대를 위한 복합문화공간, 자주적 개항의 상징적인 서사 공간으로써의 가치 재생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전개하고 있다.

2020년 8월 16일, 공개하지 않던 1층의 석벽 공간을 전시장과 음악감상실로 꾸며 일반에 공개하였다.[14]

3. 건축

참조할 원본 소스가 주어지지 않았고, 이전 단계에서도 빈 문자열이 출력되었으므로, 이번 단계에서도 변경 사항 없이 빈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4. 문화적 활용

현재 제물포구락부는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7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다양한 문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인천시 역사자료관: 제물포구락부 건물은 인천시 역사자료관으로 사용되어, 개항기 인천의 역사와 관련된 자료들을 전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방문객들은 개항기 인천의 모습과 당시 외국인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 드라마 및 영화 촬영지: 제물포구락부의 독특한 외관과 내부는 여러 드라마와 영화의 촬영지로 활용되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드라마 야인시대, 제중원, 도깨비, 영화 1987 등이 있다. 이러한 작품들을 통해 제물포구락부는 대중들에게 더욱 친숙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했다.

  • 문화 행사 및 공연: 제물포구락부에서는 다양한 문화 행사와 공연이 개최되어 시민들에게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클래식 음악회, 연극 공연, 전시회 등이 열리며, 이를 통해 제물포구락부는 단순한 역사적 공간을 넘어 살아있는 문화 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5. 사진

참조

[1] 실록 인천항의 일본 조계 조약을 체결하다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1883-08-30
[2] 실록 인천항 중국상인들의 거주지역에 관한 규정을 체결하다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1884-03-07
[3] 실록 인천 제물포의 각국 조계 장정을 체결하다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1884-08-15
[4] 웹사이트 근대 개항도시 - 인천과 목포 http://www.cha.go.kr[...] 문화재청
[5] 뉴스 사진에 비친 인천 100년 - 14. 제물포구락부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6-10-26
[6] 서적 인천사정 http://www.incheon.g[...]
[7] 웹사이트 우리나라 최초 외국인 사교 클럽 제물포구락부 http://webzine.nfm.g[...] 국립민속박물관
[8] 뉴스 이색건물 제물포구락부 https://news.naver.c[...] 서울신문 2012-11-03
[9] 백과사전 인천조계조약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뉴스 지식인 인천의 숨은 명소, 제물포 구락부 http://www.inhapress[...] 인하프레스 2016-11-18
[11] 웹사이트 연혁 http://icmuseum.inch[...] 인천시립박물관
[12] 웹사이트 박물관 70년 '인천 찾기’의 긴 여정 https://m.incheon.go[...] 인천광역시
[13] 뉴스 역사빠진 ‘제물포구락부’ 빈축 https://news.naver.c[...] 경기일보 2012-11-03
[14] 뉴스 제물포 구락부, 인문학 공간으로 시민 곁에 성큼 https://www.ytn.co.k[...] YTN NEWS 2020-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