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칸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칸쇼》는 일본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 지엔이 저술한 역사서로, 천황 연대기, 역사의 변천, 도리에 대한 총괄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2권에서는 진무 천황부터 준토쿠 천황까지의 연대기를, 3~6권에서는 도리의 추이를 중심으로 역사의 변천을, 7권에서는 지엔의 도리에 대한 사상을 담고 있다. 지엔은 불교 사상과 '도리'를 강조하며 개인적인 관점을 반영하여 역사를 서술했으며, 일본과 한국에서 다양한 판본과 번역본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마쿠라 시대의 역사책 - 아즈마카가미
    아즈마카가미는 호조 싯켄의 지시로 편찬된 가마쿠라 막부의 역사서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중심으로 한 막부 초기의 정치, 사회, 문화를 기록하고 있으며, 역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지만 왜곡된 기록에 대한 비판도 있다.
  • 가마쿠라 시대의 역사책 - 원형석서
    원형석서는 고려 후기 보우가 편찬한 불교 역사서로, 승려와 속인의 전기를 모은 전기부, 불교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자치표부, 역사 기록을 담은 지부로 구성되어 한국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13세기 책 - 신학대전
    신학대전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집필한 기독교 신학의 대표적 저서로, 이성과 신앙의 조화를 추구하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기반으로 하느님의 존재와 본성, 창조, 인간의 본성, 윤리, 법, 은총, 성사, 종말론 등 광범위한 주제를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미완성 부분을 제자들이 완성하여 오늘날까지 기독교 신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13세기 책 - 진랍풍토기
    《진랍풍토기》는 1296년 주달관이 크메르 제국을 방문하여 앙코르의 정치, 사회, 문화, 경제 등을 기록한 책으로, 앙코르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구칸쇼
일반 정보
제목구간쇼
원어 제목愚管抄
저자지엔
집필 시기가마쿠라 시대 초기
완성 시기조큐의 난 이후
종류역사서
분량7권
구성
제1권천황 계보 및 역사 개략
제2권 ~ 제6권역사 상세 기술 (고다이고 천황 시대까지)
제7권도리 (道理, 사회적 정의)에 대한 고찰
특징
역사관도리 (道理)에 따른 역사 해석 강조
서술 방식평이한 문체, 비판적 시각 포함
영향후대 역사 연구에 영향
참고 사항
사료적 가치조정 내부의 시각 반영
연구 현황현대 일본사 연구의 중요 자료

2. 구성

《구칸쇼》는 전체 7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의 성격에 따라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제1권과 제2권: 진무 천황부터 준토쿠 천황까지의 역대 천황 연대기를 다룬다.
  • 제3권에서 제6권: '도리'의 추이를 중심으로 정치적 변천 과정을 설명한다.
  • 제7권: 지엔 자신이 생각하는 '도리'에 대한 총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스즈키 마사미치는 지엔이 처음에는 권3부터 쓰기 시작했으며, 마지막에 천황 연대기(1권, 2권)를 덧붙였다고 주장한다.

2. 1. 천황 연대기 (1-2권)

진무 천황부터 준토쿠 천황까지 역대 천황들의 계보와 주요 사건을 연대순으로 기록하고 있다.[5] 지엔은 말법이라는 불교 사상을 역사 해석에 적용하려 했으나, 후지와라 가문 출신의 승려라는 입장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다.[6]

2. 2. 역사의 변천과 도리 (3-6권)

愚管抄|구칸쇼일본어 3~6권은 '도리'(道理)의 추이를 중심으로 역사의 변천을 서술한다. 단순한 사건 나열을 넘어, 정치·사회적 변동을 '도리'라는 핵심 개념으로 분석하며, 특히 귀족 사회에서 무사 사회로의 전환을 심도 있게 다룬다.[5]

지엔은 말법 사상 등 불교 원리를 적용하여 역사를 분석하면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정치를 도리에 맞는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6] 또, 지엔 자신의 가문인 셋칸 가 내부의 복잡한 사정, 즉 아버지 후지와라노 타다미치와 할아버지 후지와라노 타다자네의 불화, 친형제인 구조 가와 이복 형제인 고노에 가 사이의 갈등도 언급했다.

스즈키 마사미치는 지엔이 처음에 3권부터 집필을 시작하여 마지막에 천황 연대기를 덧붙였다고 주장한다.

2. 3. 도리에 대한 총괄 (7권)

지엔은 모든 법이 '도리'에 기초하며, 그 도리에 토대하여 세상을 바로잡는 방법에 대해 논하고 있다.[5] 지엔은 말법과 같은 불교 원리를 적용하여 사람과 사건의 연대기를 발전시키려고 노력했다.[5] 그러나 지엔은 후지와라 일족의 아들이자 형제로서의 입장과 불교를 공부하고 실천하는 승려로서의 입장을 완전히 분리할 수 없었다.[6]

3. 특징

《구칸쇼》는 초대 진무 천황부터 제84대 순덕 천황까지의 역사를 귀족 시대에서 무사 시대로의 전환으로 파악하고, 말법 사상과 "도리"의 이념에 기초하여 가나 문으로 서술한 작품이다. 지엔은 조정의 일원이었지만,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정치를 도리에 맞는다고 평가했다. 또한 지엔 자신의 아버지인 후지와라노 타다미치가 아버지(지엔에게는 조부)인 후지와라노 타다자네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것을 암묵적으로 비판하거나, 동복 형제인 구조 가를 띄워주고 이복 형제인 고노에 가를 비난하는 등, 셋칸 가의 일원으로서 지엔 본인의 복잡한 사정을 엿볼 수 있는 내용도 있다.

3. 1. 불교 사상의 영향

지엔은 말법 사상과 같은 불교 원리를 역사 해석에 적용하고자 노력하였다.[5] 그는 일본 역사를 분석하는 데 불교 원리를 적용하는 것에 집중하였다.[5] 그러나 지엔은 후지와라 일족의 아들이자 형제로서의 입장과 불교를 공부하고 실천하는 승려로서의 입장을 완전히 분리할 수는 없었다.[6]

지엔은 진무 천황부터 준토쿠 천황까지의 역사를 귀족의 시대에서 무사의 시대로 전환하였다고 보았으며, 말법 사상과 도리의 이념에 기초하여 가나문으로 서술하였다. 그는 천태종 승려였지만, 무사정권의 수장인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정치를 도리에 맞는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지엔은 자신의 아버지인 후지와라노 타다미치가 그 아버지(지엔에게는 할아버지)인 후지와라노 타다자네와 사이가 나빴던 점을 은근히 비판하거나, 친형제인 구조 가 계통을 추켜 세우고 이복 형제인 고노에 가 계통을 비난하는 등 셋칸 가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복잡한 사정을 엿볼 수 있는 기사를 남기기도 했다.

3. 2. '도리'의 강조

지엔은 《구칸쇼》에서 '도리'라는 핵심 개념을 통해 역사를 해석하고, 현실 정치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미래 사회의 방향을 제시한다. '도리'는 단순한 이치를 넘어선 규범, 원리, 정의를 포괄하는 의미를 지닌다.[5]

지엔은 말법 사상과 "도리"의 이념에 기초하여 진무 천황부터 준토쿠 천황까지의 역사를 귀족 시대에서 무사 시대로의 전환으로 파악하였다. 그는 천태종 승려이자 조정 측의 일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무사정권의 수장인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정치를 도리에 맞는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6]

또한 지엔은 자신의 아버지인 후지와라노 다다미치가 그의 아버지(지엔의 할아버지) 후지와라노 다다자네와 사이가 나빴던 점을 은근히 비판하는 등, 셋칸 가의 일원으로서 본인의 복잡한 사정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3. 3. 개인적 관점

지엔은 자신의 가문인 셋칸케 내부의 권력 투쟁과 갈등을 솔직하게 기록하고 있다. 특히, 아버지인 후지와라노 다다미치(藤原忠通)가 그 아버지(지엔에게는 할아버지)인 후지와라노 다다자네(藤原忠実)와 사이가 나빴던 점을 은근히 비판하였다.[1] 또한 친형제인 구조 가(九条家) 계통을 추켜세우고 이복 형제인 고노에 가(近衛家) 계통을 비난하는 등, 셋칸케의 일원으로서 지엔 본인의 복잡한 사정을 엿볼 수 있는 기사도 존재한다.[1]

4. 판본 및 번역

일본에는 다음과 같은 판본이 존재한다.[1]


  • 『구칸쇼』 (이와나미 쇼텐 〈일본 고전 문학 대계〉 〔구(舊) 대계〕, 1967년)
  • 『구칸쇼』 (마루야마 지로 교주, 이와나미 문고, 1949년, 복간 1988년 외)
  • 국사대계본 『고금저문집・구칸쇼』 (요시카와 고분칸, 신정증보판 2000년) ISBN 4-642-00320-7


한국에는 2012년에 박연정 번역으로 세창출판사에서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동양편 513으로 번역 출판되었다.[2]

5. 한국사와의 비교

구칸쇼의 서술 방식과 내용은 한국사의 특정 사서들과 비교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Political thought in Japanese historical writing: from "Kojiki" (712) to "Tokushi Yoron" (1712) 1991
[2] 서적 Gukanshō 1975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