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석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형석서》는 일본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 고칸 시렌이 편찬한 불교 서적으로, 승려와 속인의 전기, 편년체 불교사, 10가지 주제별 역사를 담고 있다. 전(傳), 표(表), 지(志)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불교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다양한 판본이 존재하며, 한국어 번역본도 출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역사 책 - 다몬인 일기
본문 내용이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요약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개요" 섹션 내용이 제공되면, 그 내용만을 사용하여 한 문장 요약을 생성하겠습니다. - 가마쿠라 시대의 역사책 - 아즈마카가미
아즈마카가미는 호조 싯켄의 지시로 편찬된 가마쿠라 막부의 역사서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를 중심으로 한 막부 초기의 정치, 사회, 문화를 기록하고 있으며, 역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지만 왜곡된 기록에 대한 비판도 있다. - 가마쿠라 시대의 역사책 - 구칸쇼
구칸쇼는 가마쿠라 시대 지엔이 편찬한 역사서로, 진무 천황부터 준토쿠 천황까지의 역사를 지엔의 독자적인 역사관과 불교적 세계관, '도리' 사상을 통해 해석하고 섭관가 출신 지엔의 개인사와 정치적 입장이 반영된 책이다. - 14세기 책 - 매송론
매송론은 가마쿠라 막부의 흥망부터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집권까지를 액자식 구성으로 서술한 역사서로, 아시카가 씨에 우호적인 시각을 보이며 《태평기》와 함께 해당 시대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나 비판적 검토가 필요하다. - 14세기 책 - 전등신화
《전등신화》는 명나라 취우가 지은 전기 소설집으로, 중국 설화집의 영향을 받아 출간 당시 동아시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쳐 한국 《금오신화》 등의 모티브가 되었다.
원형석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원형석서 (元亨釈書) |
종류 | 불교사, 고승전, 기전체 역사서 |
언어 | 한문 |
저자 | 호칸 시렌 (虎関師錬) |
출판일 | 겐코 2년 8월 16일 (1322년9월 27일) |
권수 | 30권 |
내용 | |
설명 | 내용에 대한 설명은 위키백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2. 구성
《원형석서》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전'''(傳): 승려와 속인의 전기를 담은 부분이다. (권1~권19)
- '''표'''(表): 편년체 불교사를 다룬 부분이다. (권20~권26)
- '''지'''(志): 10가지 주제별 역사를 다룬 부분이다. (권27~권30)
저자인 고칸 시렌은 원래 "오격"(다섯 가지 방식)으로 분류하여 "전(傳) · 찬(贊) · 논(論) · 표(表) · 지(志)"라고 하였으나, 실제 구성은 "전", "표", "지"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찬"과 "논"은 "전"의 부속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17]
각 부분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구성 | 권 | 내용 | |
---|---|---|---|
전(傳) | 권1~권19 | 400여 명의 승려와 속인의 전기 | 찬(贊), 논(論)은 전의 부속으로 간주 |
표(表) | 권20~권26 | 539년 (긴메이 천황)부터 1221년 (준토쿠 천황)까지 일본 불교사를 편년체로 기술[4] | |
지(志) | 권27~권30 | 10가지 주제별 역사 |
혜관 등 한국에서 건너온 승려들의 행적도 기록되어 있어, 한국 불교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2. 1. 전 (권1-19)
《원형석서》 권1~19는 승려와 속인 400여 명의 전기를 담은 '승속전기부'이다. '전(傳)', '찬(贊)', '논(論)'으로 구성되며, 찬과 논은 전의 부속으로 간주된다.[1] 보리달마, 혜관, 도소, 감진, 최징, 공해, 영서 등이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한국에서 건너온 혜관, 도녕, 의각 등의 행적도 기록되어 있어 한국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하위 섹션 '==== 권1-19: 승속전기부 ===='에 상세한 내용이 이미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요약된 정보만을 제시함.)
2. 1. 1. 권1-19: 승속전기부
고칸 시렌이 쓴 《원형석서》의 권1-19는 승속'''전'''기부(僧俗'''伝'''記部)로, 400여 명의 승려와 속인들의 전기를 담고 있다.[1]다음은 권1-19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 목록이다.
권 | 전 | 주요 인물 |
---|---|---|
권1 | 전지1 | 보리달마, 혜관, 지장, 도소, 선무외, 자훈, 감진, 최징, 공해 |
권2 | 전지2 | 영서 |
혜해1 | 의연, 도자, 지광, 량변, 선주, 명선, 명일, 자보, 선사, 자운, 승오, 선의, 안징, 광의, 상루, 상등, 품혜, 도증, 봉실, 근조, 호명, 도웅, 안혜, 의진, 원징 | |
권3 | 혜해2 | 수인, 실혜, 명복, 연상, 장훈, 실민, 원인, 광정, 진제, 원인, 상효, 종예, 도창, 진아, 륭해, 변조, 원진 |
권4 | 혜해3 | 익신, 성보, 관조, 인해, 덕일, 약지, 안연, 현소, 증리, 신신, 일화, 선희, 량원, 중산, 법장, 천관, 진의, 권수, 원신, 각운, 각초, 경조, 실인, 원원, 명존, 명산, 경요 |
권5 | 혜해4 | 안해, 주은, 환순, 영관, 관인, 황경, 연은, 대원, 종범, 연의, 영연, 각원, 원공, 명편, 정경, 고변 |
권6 | 정선1 | 의공, 각아, 도원, 영조, 법심, 각심, 의공, 보녕, 료연, 보문, 덕검 |
권7 | 정선2 | 변원 |
권8 | 정선3 | 조원, 정념, 자담, 일녕, 담조, 도해, 소원, 혜효, 순공, 조원 |
권9 | 감진1 | 의각, 도녕, 도장, 정혜, 좌련, 실충, 보은, 현빈, 혜승, 도공, 법세, 정숭, 관충, 증여, 지천, 연진, 성존, 원심, 만미, 일장, 봉연, 장연, 성의, 안원, 장원, 심예, 각조, 평원, 진원, 광공, 묘존, 진련, 운정, 신서, 은융, 정안, 혜달, 연창, 심선, 원천, 견불 |
권10 | 감진2 | 상응, 행교, 교원, 의조, 행순, 관현, 성전, 증명, 존의, 태순, 명달, 정장, 수입, 원하, 공이, 제원, 양생, 증가, 관공, 범준, 신각, 승각 |
권11 | 감진3 | 리포, 예환, 진흥, 경원, 여경, 예실, 정조, 성공, 평인, 련방, 적원, 승산, 행원, 량인, 적선, 행공, 련장, 이원, 교진, 경원, 경일, 각승, 불련, 유범, 선각, 림가, 계심, 원구, 행선, 성신, 각법, 기등, 예호, 인경, 량산, 현상, 청해, 중이 |
권12 | 감진4 | 행손, 연랑, 경원, 상관, 성련, 제원, 광은, 련장, 지법, 법련 |
인행 | 현경, 인요, 혜량, 증공, 장명, 문호, 연구, 선명, 신경, 련조, 응조, 춘조, 영조, 예효 | |
권13 | 명계 | 보조, 법진, 여보, 도충, 풍안, 명유, 실범, 준령, 예존, 인성 |
권14 | 단흥 | 행기, 경준, 진소, 관희, 최선, 승도, 항적, 진연, 기친, 련입, 도적, 풍연, 일연, 자신, 행원, 원산, 광승, 문각, 중원 |
권15 | 방응 | 성덕태자, 역소각, 태징, 보리선나, 불철, 복견옹, 선중, 개성, 교대 |
권16 | 력유 | 담혜, 혜변, 혜총, 혜자, 관륵, 승륭, 혜미, 담미, 복량, 신예, 도선, 도영, 혜제, 승민, 혜은, 지통, 지봉, 정달, 행선, 현방, 행하, 영충, 원행, 혜운, 혜악, 진여, 초연, 적소, 성심 |
원잡1 고덕 | 풍국, 덕제, 덕적, 혜묘, 도현, 도신, 법원, 홍요, 혜충, 행표, 인수, 징예, 자항, 수원, 수총, 도전, 승준, 량진 | |
권17 | 원잡2 왕신 | 성무천황, 정관천황, 관평천황, 관화천황, 소아도목, 소아마자, 사마달등, 후지와라노 가마타리, 와케노 마즈나, 후지와라노 요시스케, 다카시나노 키미스케, 후지와라노 요시타카, 다카시나노 요시토미, 미나모토노 아키모토, 다이라노 고레시게, 별가 사친원, 다치바나노 모리보, 미나모토노 치카모토, 다이라노 토키노리, 미나모토노 토시후사, 미요시노 타메야스, 후지와라노 아츠미츠, 다이라노 사네치카, 미나모토노 마사미치, 후지와라노 나카오, 기노 미무타카, 다이라노 토키요리 |
원잡3 사서 | 약연, 감세, 심적, 승련, 유고, 후지이노 히사토, 노돈말, 진무원, 원서, 원전, 기요하라노 노부토시, 오에노 치카미치, 사이온, 임량문, 수각 | |
권18 | 원잡4 비녀 | 선신, 법명, 도람, 황후광명자, 사리, 여의, 여장, 황후환자, 타카시나노 아츠토오 처, 후지와라노 아츠미츠 딸, 후지와라노 츠네자네 처, 석묘, 원서, 묘법, 후지와라노 카네스미 딸 |
원잡5 신선 | 황태신궁, 백산명신, 단생명신, 신라명신, 천만대자재천신, 법도, 구미, 양승, 규선, 도량향, 후지타누시와 겐타누시, 생마선, 법공 | |
권19 | 원잡6 영괴 | 전승, 해련, 혜증, 뢰진, 춘명, 련존, 명련, 묘달, 도명, 원존, 상조, 아청, 장만, 원능, 도승, 원선, 안진, 무공, 강선 |
도총론 |
2. 2. 표 (권20-26)
권20부터 권26까지는 539년 (긴메이 천황)부터 1221년 (준토쿠 천황)까지 일본 불교사를 편년체로 기술한 자치표부이다.[4]2. 2. 1. 권20-26: 자치표부
권 | 내용 |
---|---|
권20 - 권26 | 자치표부 (편년체 불교사) |
2. 3. 지 (권27-30)
志일본어부(권27 - 30)는 10가지 분류에 따른 불교 관련 역사를 다룬다.2. 3. 1. 권27-30: 지부
권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
27 | 지(志) | 학수 | |
도수 | |||
제종 | 삼론 · 유식 · 율 · 화엄 · 천태 · 밀 · 선 | ||
회의 | |||
봉직 | |||
28 | 지(志) | 사상 | 향원사 · 사천왕사 · 원흥사 · 대안사 · 정법사 · 선림사 · 견사 · 숭복사 · 흥복사 · 신원사 · 장곡사 · 동대사 · 석산사 · 갈목(사)상 · 우전사 · 초제사 · 서대사 · 분하사 · 신호사 · 자씨(사)상 · 촌강(사)상 · 승미(사)상 · 안마사 · 청수사 · 산왕(히에이산 산왕원)상 · 원성사 · 정관사 · 감응사 · 원교(사)상 · 게만사 |
29 | 지(志) | 음예 | 경사 · 성명 · 창도 · 염불 |
습이 | 야마시로노오에 · 영상 · 제경 · 후지와라 나가테 · 대군씨 · 아스카 사다나리 · 가야 요시후지 · 아와타 로쿠지 · 낙라경(헤이조쿄) 여자 · 대안사 측녀 · 가반도 · 료바라촌 맹녀 · 구마노촌 비구 · 후지와라 토키시게 · 오에 모로요 · 혜승 · 후지와라 츠네유키 · 중산동 · 역부하능 · 토슈 나카무라 사냥꾼[8] · 덕만 · 다이호 비구 | ||
30 | 지(志) | 묵쟁 | |
서설 | |||
부 |
겐코 2년(1322년)에 조정에 상정되었기에 책 이름에 '겐코'가 붙여졌다. '석서(釋書)'는 석(釋), 즉 석가모니 부처의 책이라는 뜻이다.[17] 수록 연대는 불교 초전(初傳) 이후 가마쿠라 후기까지 700여 년에 이르며, 승려 전기 및 불교사를 담고 있다. 남북조 시대에는 대장경에 수록되었다.
3. 판본 및 번역
저자 고칸 시렌은 1299년 송나라에서 온 승려 일산일녕에게 일본 고승들의 행적에 대한 질문을 받았으나 제대로 답하지 못했다. 이를 부끄럽게 여긴 그는 일본 고승들을 소개하는 책을 집필하기로 결심하고, 중국의 《고승전》, 《속고승전》, 《송고승전》 등을 토대로 사마천의 《사기》와 구양수의 《당서》를 참조해 10여 년 만에 본서를 완성했다.
활자 번각본으로는 《대일본불교전서》와 《국사대계》본[17]이 있으며, 주석서로는 에도 시대의 《원형석서화해》[18]가 유명하다. 참고서로는 『国史大系 第31巻 日本高僧伝要文抄 ・ 元亨釈書』(마루야마 지로 교주, 요시카와 홍문관) 등이 있다.
2010년 부산대학교 강사 정천구가 사단법인 불교학연구지원사업회의 지원을 받아 상하 2권으로 번역하여 도서출판 씨아이알(CIR)에서 한국어 번역본을 출간하였다.[1]
3. 1. 판본
겐코 2년(1322년)에 조정에 상정되었기에, 책 이름으로 겐코가 붙여졌다. 여러 사본과 판본이 존재한다.
'''주요 판본'''
판본 종류 | 간행 연도 | 권수 | 소장처 |
---|---|---|---|
오산판 | 1364년 ~ 1377년 | 30권 | 국립공문서관(권5, 6, 12-14, 20), 궁내청 서릉부, 교토 대학(15권), 다이토큐 기념 문고(8권), 료소쿠인(8권), 린노지 닛코 도서관(권15) |
오산판 | 1384년 ~ 1391년 | 10권 | 에이잔 문고 텐카이장, 이시카와 다케미 기념 도서관 세이키도 문고(15권) |
게이초 4년(1599)판 | 1599년 | 10권 | 국립공문서관, 동양문고 이와사키 문고, 교토 대학, 다이토큐 기념 문고, 이시카와 다케미 기념 도서관 세이키도 문고, 요메이 문고(6권), 개인 |
게이초 10년(1605)판 | 1605년 | 10권 | 시모무라 세이조 간행[13][12], 동양문고 이와사키 문고, 궁내청 서릉부, 교토 대학 타니무라 문고, 교토 대학 마츠모토 문고, 도쿄 대학, 고마자와 대학, 히로시마 시립 중앙 도서관, 나고야시 호레 문고, 쿠리타 문고 (현재 불명) 진구 문고, 마츠가오카 문고, 다이토큐 기념 문고, 텐리 대학 부속 텐리 도서관, 이시카와 다케미 기념 도서관 세이키도 문고, 호쿠니 문고, 사카모토 류몬 문고, 부쿄 대학[13] |
게이초 (1596-1615)판 | 1596년 ~ 1615년 | 10권 | 궁내청 서릉부 |
겐나 3년(1617)판 | 1617년 | 10권 | 쥬칸 개판, 교토[12], 동양문고 이와사키 문고, 교토 대학, 도쿄 대학, 니시오시 이와세 문고, 이시카와 다케미 기념 도서관 세이키도 문고, 텐리 대학 부속 텐리 도서관 고기당 문고, 개인 |
간에이 원년(1624)판 | 1624년 | 15권 | 라잔시 발문[12], 저본은 도후쿠지 사본[14], 국립공문서관, 동양문고 이와사키 문고, 궁내청 서릉부, 도쿄 국립 박물관, 오타니 대학(2권 보사), 교토 대학, 교토 대학 타니무라 문고, 교토 대학 마츠모토 문고, 쓰쿠바 대학(권7 결본), 고마자와 대학, 와세다 대학, 도쿄 대학, 도쿄 대학 사료 편찬소, 도호쿠 대학 카노 문고, 나고야 대학 오카야 문고, 류코쿠 대학, 아키타 현립 도서관, 오사카 부립 나카노시마 도서관, 도쿄 도립 중앙 도서관 카가 문고(7권), 미야기현 도서관, 야마구치현립 도서관, 니시오시 이와세 문고, 나고야 시 쓰루마 중앙 도서관, 고야산 삼보원, 고야산 지묘인, 고야산 호조인, 고토히라궁 도서관, 마츠가오카 문고, 마에다 이쿠토쿠회 존경각 문고, 나리타산 불교 도서관, 야쿠시지(권1, 2, 21, 22 결본), 요메이 문고, 구 쇼코칸 문고, 도쿄 대학 가켄 문고, 도쿄 대학 국문학 연구실(모토이 문고), 개인 |
간분 원년(1661)판 | 1661년 | 15권 | 가나자와 대학, 야쿠시지(권17, 18 결본, 14권) |
간행년 불명 | - | - | 가가와 대학 진바라 문고(권13, 14), 교토 대학 타니무라 문고(결본), 교토 대학 마츠모토 문고(결본), 오사카 부립 나카노시마 도서관, 이다 시립 중앙 도서관 (권29, 30 결본), 카리야 시 중앙 도서관 (15권), 카리야 시 중앙 도서관(16권), 고야산 콩고 삼매원(권10 결본), 진구 문고(15권), 야마토 문화관(15권), 이시카와 다케미 기념 도서관 세이키도 문고(15권), 이시카와 다케미 기념 도서관 세이키도 문고(12권), 나가노 현립 역사관(10권), 나가노 현립 역사관(15권) |
『국사대계 제14권 백련초 우관초 원형석서』 | 1901년 | - | 경제잡지사 |
『신정증보 국사대계 31 일본 고승전 요문초·원형석서』 | 1965년 | - | 마루야마 지로 교주, 요시카와 고분칸 |
『대일본불교전서 101 일본 고승전 요문초 외사부』 | - | - | 불서간행회 |
『훈독 원형석서』 상하 | 2011년 | - | 후지타 타쿠지 편, 선문화연구소, 저본은 도후쿠지 사본[16] |
'''주요 소장처'''
소장처 | 비고 |
---|---|
국립국회도서관 | 에이로쿠 원년(1558), 다이안 돈세키 필사[9] |
국립공문서관 | 게이초 원년(1615), 슈코 필사, 15권 |
국립공문서관 | 초본, 셋츠 징쇼 권78 |
세이카도 문고 | |
교토 대학 마츠모토 문고 | 권13, 14, 1권 |
마츠가오카 문고 | 권1, 2, 1권, 무로마치 시대 말기 필사, 세키스이 문고 구장 |
도후쿠지 | 30권, 중요문화재 (1941년 7월 3일 지정)[10] |
로쿠지조지 | 권1, 2, 4, 9, 에이로쿠 7년(1564) 필사 |
개인 | 15권, 깃카와 시게키 필사, 중요문화재 (1959년 12월 18일 지정)[11] |
- 교토 대학 귀중 자료 디지털 아카이브
- * [https://rmda.kulib.kyoto-u.ac.jp/item/rb00012893 고산판, 1377년 간행]
- * [https://rmda.kulib.kyoto-u.ac.jp/item/rb00009215 1605년 간행]
- * [https://rmda.kulib.kyoto-u.ac.jp/item/rb00012892 1617년 간행]
- * [https://rmda.kulib.kyoto-u.ac.jp/item/rb00009219 1624년 발문]
- * [https://rmda.kulib.kyoto-u.ac.jp/item/rb00009217 에도 말기]
- [https://shoryobu.kunaicho.go.jp/Toshoryo/Detail/1000074050000 궁내청 서릉부 자료 목록・이미지 공개 시스템]: 고산판, 1364년 ~ 1377년
- [https://kokusho.nijl.ac.jp/work/24908?ln=ja 국서 데이터베이스]
- 국립공문서관
-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
- * [https://dl.ndl.go.jp/pid/2545149 사본, 1558년]
- * [https://dl.ndl.go.jp/pid/991104/1/317 국사대계, 1901년]
- [https://www.zenbunka.or.jp/data/text/entry/post.html 선문화연구소 흑두 데이터베이스]
- [https://bird.bukkyo-u.ac.jp/collections/titles/genkoshakusho/ 불교대학교 도서관 디지털 컬렉션]:1605년 간행
3. 2. 한국어 번역
2010년에 부산대학교 강사 정천구가 사단법인 불교학연구지원사업회 지원을 받아 상하 2권으로 번역하여 도서출판 씨아이알(CIR)에서 출간하였다.[1]4. 평가 및 의의
《원형석서》는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불교 통사로서, 일본 불교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이다. 또한 한국 불교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겐코 2년(1322년)에 조정에 상정되었으며, '석서(釋書)'는 석가모니 부처의 책이라는 뜻이다. 불교 초전 이후 가마쿠라 후기까지 700여 년간 승려의 전기 및 불교사를 수록했다. 남북조 시대에는 대장경에 수록되었다.[17]
저자 고칸 시렌은 1299년 송나라에서 온 승려 일산일녕(一山一寧)에게 일본 고승들의 행적에 대해 질문을 받았으나 제대로 답하지 못했다. 이를 부끄럽게 여긴 고칸 시렌은 일본 고승들을 소개하는 책을 집필하기로 결심하고, 중국의 《고승전》, 《속고승전》, 《송고승전》등과 사마천의 《사기》, 구양수의 《당서》를 참고하여 10여 년 만에 본서를 완성하였다.[17]
활자본으로는 《대일본불교전서》와 《국사대계》본이 있으며[17], 주석서로는 에도 시대의 《원형석서화해》가 유명하다.[18] 참고서로는 『国史大系 第31巻 日本高僧伝要文抄 ・ 元亨釈書』(마루야마 지로 교주, 요시카와 홍문관) 등이 있다.[17]
참조
[1]
서적
Foguangshan
1989
[2]
논문
Kokan Shiran and Musō Soseki: "Chineseness" vs "Japaneseness" in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y Japan
https://journals.ub.[...]
[3]
서적
Muller
2019
[4]
서적
Soka Gakkai
2019
[5]
문서
元亨釈書上表文
[6]
서적
『国史大系』第14巻
https://books.google[...]
[7]
문서
『通俗元亨釈書和解』巻之上; 『通俗元亨釈書和解』巻之中; 『通俗元亨釈書和解』巻之下
[8]
문서
目次に記載なし。宮内庁, vol.29, image 18-19。佛教大, vol.10, image 52-53。
https://dl.ndl.go.jp[...]
国史大系
[9]
웹사이트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0]
웹사이트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
https://kunishitei.b[...]
[11]
웹사이트
国指定文化財等データベース
https://kunishitei.b[...]
[12]
웹사이트
京都大学貴重資料デジタルアーカイブ
[13]
웹사이트
佛教大学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解題
[14]
웹사이트
京都大学貴重資料デジタルアーカイブ, image 913
[15]
웹사이트
p. 6
https://dl.ndl.go.jp[...]
[16]
웹사이트
禅文化研究所
https://www.zenbunka[...]
[17]
서적
『国史大系』第14巻
http://books.google.[...]
[18]
문서
『通俗元亨釈書和解』巻之上; 『通俗元亨釈書和解』巻之中; 『通俗元亨釈書和解』巻之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